KR200390305Y1 -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 - Google Patents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305Y1
KR200390305Y1 KR20-2005-0010888U KR20050010888U KR200390305Y1 KR 200390305 Y1 KR200390305 Y1 KR 200390305Y1 KR 20050010888 U KR20050010888 U KR 20050010888U KR 200390305 Y1 KR200390305 Y1 KR 200390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
information system
bus information
plate member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욱
Original Assignee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0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3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3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4Structures with steel columns and beams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 정보 시스템(BIS)의 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에 지지기둥이 설치된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를 지면 상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을 지면 매설형의 방진 구조물로 개선하여 차량에 의한 지면의 충격이나 기타의 외부 충격에 의해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의 진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그 일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횡방향으로 지면 상에 매몰 고정되는 일정 크기의 형강부재; 형강부재의 상부면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평면상으로 설치되는 일정 크기의 강판부재; 강판부재의 상부면 양측 각각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다수의 볼트부재; 볼트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결합공이 형성되어지되 강판부재의 상부면에 평면상으로 위치되어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판 부재; 볼트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결합공이 형성되어지되 고무판 부재의 상부면 양측 각각에 동일한 형태로 대향되어 평면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판 부재; 베이스판 부재 각각의 상부면에 용접에 의해 상하로 직립 설치되어지되 그 내부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의 지지기둥이 삽입 결합되는 지지기둥 결합부재; 및 고무판 부재와 베이스판 부재의 볼트결합공으로 결합된 볼트부재에 체결되어 고무판 부재와 베이스판 부재를 고정시키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Vibration prevention apparatus of bus information system}
본 고안은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 유개 승강장의 주변 인도 상에 설치된 버스 정보 단말기의 설치 및 이를 지지하기 위해 인도 상의 지면에 설치 고정되어 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버스 정보 단말기를 보호하는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도심의 교통 혼잡은 도심을 운행하는 차량의 통행 속도를 저하시켰음은 물론, 이에 따라 버스 이용자의 평균 대기시간 및 통행시간도 증가할 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률도 점차 감소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버스 정보 시스템(BIS)과 같이 버스(대중교통) 이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안이 도입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버스 정보 시스템(BIS)은 통상 타코와 비콘을 이용한 방식의 시스템, GPS와 CDMA을 이용한 방식의 시스템, 단거리 전용 통신(DSRC)을 이용한 방식의 시스템 및 적외선을 이용한 방식의 정류장 안내방송 시스템 등이 연구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버스 정보 시스템(BIS) 등은 통상 대중교통수단(버스)을 이용하려는 이용자 및 승객이 내가 타야할 차량의 도착시간과 운행구간을 문자로써 볼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의 형태로 구성된다. 특히,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는 인도 상의 차로 변에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 및 대중교통수단(버스) 이용자들이 보다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버스 승강장 인근의 차로 변 상에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 구조물은 인도의 지면에 별다른 충격 흡수구조를 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운행에 따라 지면을 통해서 전해지는 충격이나 기타의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의 작동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 구조물은 인도의 지면에 노출된 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비바람이나 기후의 영향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버스 승강장과는 떨어져 있기 때문에 특히 비가 오는 날에는 대중교통수단(버스)의 이용자로 하여금 비를 맞고 봐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 구조물을 인도의 지면에 노출된 구조로 설치하는 경우의 또 다른 문제로는 불법 부착물에 의해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의 미관상 좋지 않을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양측에 지지기둥이 설치된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를 지면 상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을 지면 매설형의 방진 구조물로 개선하여 차량에 의한 지면의 충격이나 기타의 외부 충격에 의해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의 진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버스 정보 시스템(BIS)의 방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양측에 지지기둥이 설치된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를 지면 상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을 지면 매설형의 방진 구조물로 개선하여 숫결합부재인 지지기둥을 지면 매설형의 방진 구조물의 암결합부재인 지지기둥 결합부재에 삽입 결합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의 설치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양측에 지지기둥이 설치된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를 지면 상에 설치하기 위한 지면 매설형 방진 구조물을 볼트와 너트부재를 통해 결합할 수 있는 분리구조로 제작함으로써 어떠한 장소에서도 조립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양측에 지지기둥이 설치된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와 이를 지면에 설치하기 위한 지면 매설형 방진 구조물을 버스 유개 승강장의 내측에 설치하여 지지기둥을 통해 버스 유개 승강장의 일측 지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환경이나 폐해로부터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의 보호는 물론, 이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의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는 대중교통수단(버스)의 도착시간과 운행구간을 문자 및 음성으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지지하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는 그 일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횡방향으로 지면 상에 매몰 고정되는 일정 크기의 형강부재; 형강부재의 상부면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평면상으로 설치되는 일정 크기의 강판부재; 강판부재의 상부면 양측 각각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다수의 볼트부재; 볼트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결합공이 형성되어지되 강판부재의 상부면에 평면상으로 위치되어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판 부재; 볼트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결합공이 형성되어지되 고무판 부재의 상부면 양측 각각에 동일한 형태로 대향되어 평면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판 부재; 베이스판 부재 각각의 상부면에 용접에 의해 상하로 직립 설치되어지되 그 내부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의 지지기둥이 삽입 결합되는 지지기둥 결합부재; 및 고무판 부재와 베이스판 부재의 볼트결합공으로 결합된 볼트부재에 체결되어 고무판 부재와 베이스판 부재를 고정시키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양측의 두 베이스판 부재 각각에 설치된 지지기둥 결합부재가 이루는 간격은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의 양측에 설치된 두 지지기둥이 이루는 간격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구성에서 형강부재는 I형강 또는 H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양측 베이스판 부재와 고무판 부재의 상부 및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충격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 고무판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기둥 결합부재 내측면으로부터 결합된 지지기둥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에 위치하는 베이스판 부재 상부면에는 용접을 통해 직립 설치되어 결합된 지지기둥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편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지지기둥에는 야광 반사지가 더 부착되어 야간에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의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가 지지된 버스 정보 시스템(BIS)의 방진 구조물 전체가 버스 유개 승강장의 내측에 설치되어 지지기둥을 통해 버스 유개 승강장의 일측 지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의 방진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를 적용한 버스 유개 승강구조물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의 방진장치는 앞서의 목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외부의 충격이나 차량의 운행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전해오는 충격을 흡수하여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의 진동을 방지함으로써 버스 정보 시스템(BIS) 내부의 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구성되는 본 고안의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는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의 방진장치(100)는 횡방향으로 지면 상에 매몰 고정되는 형강부재(110), 형강부재(110)의 상부면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강판부재(120), 강판부재(120)의 상부면 양측 각각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다수의 볼트부재(130), 볼트부재(130)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결합공(142)이 형성되어 강판부재(12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고무판 부재(140), 볼트부재(130)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결합공(150a)이 형성되어 고무판 부재(140)의 상부면 양측 각각에 동일한 형태로 대향 설치되는 베이스판 부재(150), 베이스판 부재(150) 각각의 상부면에 용접에 의해 상하로 직립 설치되는 지지기둥 결합부재(152) 및 볼트부재(130)에 체결되어 고무판 부재(140)와 베이스판 부재(150)를 고정시키는 너트부재(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100)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가 설치될 위치의 지면에 강판부재(120)가 상면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된 형강부재(110)를 매설하고, 강판부재(120)의 상부로 볼트부재(130)와 볼트결합공(142, 150a)을 일치시켜 고무판 부재(140)와 베이스판 부재(150)를 차례로 설치한 후, 너트부재(132)를 볼트부재(130)에 체결하여 고무판 부재(140)와 베이스판 부재(150)를 고정시킨다. 이처럼 설치된 구조물은 고무판 부재(140)의 상부 전체가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강판부재(120)의 상부로 고무판 부재(140)와 베이스판 부재(150)를 설치하여 너트부재(132)의 체결을 통해 고정시킨 후에는 베이스판 부재(150) 상부의 두 지지기둥 결합부재(152) 각각에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 양측에 설치된 지지기둥(30)을 삽입 결합하여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를 지면 상에 설치한다. 이때, 베이스판 부재(150) 상부의 두 지지기둥 결합부재(152)는 암결합부재를 이루고,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 양측에 설치된 지지기둥(30)은 숫결합부재를 이룬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고무판 부재(140)의 양측에 설치 고정된 베이스판 부재(150) 각 상부에 구성된 두 지지기둥 결합부재(152)가 이루는 간격은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의 양측에 설치된 두 지지기둥(30)이 이루는 간격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숫결합부재인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 양측에 설치된 지지기둥(30)과 암결합부재인 베이스판 부재(150) 상부의 지지기둥 결합부재(152)는 결합시 일치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 구성된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100)를 통해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를 설치한 구성에 더하여 양측 베이스판 부재(150)와 고무판 부재(140)의 상부 및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 하부 사이에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의 충격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 고무판 부재(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100)의 구성에는 지지기둥(3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편(154)이 더 구비되는데, 이 유동방지편(154)은 지지기둥 결합부재(152) 내측면으로부터 결합된 지지기둥(30)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에 위치하는 베이스판 부재(150) 상부면에 용접을 통해 직립 설치된다. 따라서, 지지기둥 결합부재(152)의 내측면과 유동방지편(154) 사이로 삽입 결합되는 지지기둥(30)은 그 유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100)의 구성에는 날씨가 흐린날이나 야간에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가 설치된 위치의 식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의 양측에 설치된 지지기둥(30)에 야광 반사지(도시하지 않음)를 더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인도를 걷는 행인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형강부재(110)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 구조물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형강부재(110)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지면에 매설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형강부재(110)로서 금속재의 I형강 또는 H형강을 사용하였다.
강판부재(120)는 그 상부로 설치되는 베이스판 부재(150)를 설치하여 수평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강판부재(120)는 형강부재(110)의 상부면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형강부재(110)의 상부면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강판부재(120)는 형강부재(110)의 상부면과 평행하게 평면상으로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의 강판부재(120)는 일정두께의 강판을 절단하여 제작되고, 그 길이는 형강부재(110)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그 너비는 형강부재(110)의 상부면에 비해 넓게 형성되어진다.
볼트부재(130)는 너트부재(132)와의 체결을 통해 강판부재(120)의 상부면 상에 고무판 부재(140)와 베이스판 부재(1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볼트부재(130)의 강판부재(120)의 상부면 양측 각각에 용접을 통해 다수 개가 설치된다. 이때, 볼트부재(130)는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이 상향을 향해 설치된다.
고무판 부재(140)는 그 상부로 설치되는 구성요소에 충격이 있는 경우 이를 흡수하여 방진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베이스판 부재(150) 각각의 지지기둥 결합부재(152)를 통해 삽입 결합되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의 충격을 흡수하여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의 내부 회로를 보호한다.
전술한 고무판 부재(140)는 볼트부재(130)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결합공(142)이 형성되어 강판부재(120)의 상부면에 평면상으로 설치된다. 이처럼 설치된 고무판 부재(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 이외에 강판부재(120)의 상부면에 밀착 설치됨으로써 강판부재(12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빗물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고무판 부재(140)는 강판부재(120)를 충분히 덮을 수 있는 동일한 크기나 그 이상의 크기로 형성된다.
베이스판 부재(150)는 그 각각의 상부로 설치되는 지지기둥 결합부재(152)를 통해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의 양측에 설치되는 기기기둥(30)을 삽입 결합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베이스판 부재(150)는 그 각각에 볼트부재(130)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결합공(150a)이 형성되어 고무판 부재(140)의 상부면 양측 각각에 동일한 형태로 대향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의 베이스판 부재(150)는 판상의 알루미늄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두 개가 한 쌍을 형성하도록 하여 그 각각을 강판부재(120) 상부면 양측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설치된 볼트부재(1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베이스판 부재(150)는 볼트결합공(150a)을 통해 볼트부재(130)에 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지지기둥 결합부재(152)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의 양측에 설치되는 기기기둥(30)을 삽입 결합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지지기둥 결합부재(152)는 지지기둥(30)의 단면 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판 부재(150)의 상부면 상에 용접을 통해 설치 고정된다. 이때, 지지기둥 결합부재(152)는 도 1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는 면이 개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두 지지기둥 결합부재(152) 사이의 간격은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의 양측에 설치된 두 지지기둥(30)이 이루는 간격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지지기둥(30)의 삽입 결합시 지지기둥(30)과 지지기둥 결합부재(152)는 일치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지기둥 결합부재(152)는 베이스판 결합부재(150)와 같은 재질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기둥 결합부재(152)는 베이스판 결합부재(150) 상부면에 아르곤 용접을 통해 일체로 설치되어진다.
너트부재(132)는 볼트부재(130)와의 체결을 통해 강판부재(120) 상부면에 고무판 부재(140)와 베이스판 부재(15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 너트부재(132)의 체결없이는 고무판 부재(140)와 베이스판 부재(150)를 강판부재(120) 상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100)는 베이스판 부재(150) 상부의 지지기둥 결합부재(152)와 지지기둥(30)을 통해 지면 상에 설치되어지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를 지지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차량의 운행에 따라 지면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고무판 부재(140)를 통해 흡수하여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의 진동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100)의 구성에 더하여 베이스판 부재(150)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는 유동방지편(154)은 지지기둥(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유동방지편(154)은 지지기둥 결합부재(152) 내측면으로부터 결합된 지지기둥(30)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의 베이스판 부재(150) 상부면에 아르곤 용접을 통해 일체로 설치된다. 이때, 아르곤 용접은 유동방지편(154)의 전 둘레에 걸쳐 실시하는 것이 보다 양호하다.
또한, 방진 고무판 부재(160)는 고무판 부재(150)에 더하여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의 방진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방진 고무판 부재(160)는 양측 베이스판 부재(150)와 고무판 부재(140)의 상부 및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여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의 진동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가 지지된 버스 정보 시스템(BIS)의 방진장치(10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100) 전체가 버스 유개 승강장(1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버스 유개 승강장(10)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100)는 그 지지기둥(30)을 통해 버스 유개 승강장(10)의 일측 지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가 지지된 버스 정보 시스템(BIS)의 방진장치(100)를 버스 유개 승강장(10)의 내측으로 설치함으로써 외부에서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의 화면을 보는 것보다 이용객의 편리를 더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자외선으로부터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를 보호함과 아울러 시각적 미관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100)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의 설치시 I형강을 이용하여 설치함으로써 수직 및 수평을 맞추는데 보다 유리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용이한 조립성과 높낮이 조절 및 충격에 의한 진동으로부터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를 보호할 수 있다.
더구나,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100)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의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를 포함한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100)를 버스 유개 승강장(10)의 내측으로 설치하여 지지기둥(30)을 통해 버스 유개 승강장(10)의 일측 지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바람이나 기타 기후의 영향 및 불법불착물로부터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를 보호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100)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20)를 포함한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100)를 버스 유개 승강장(10)의 내측으로 설치하여 지지기둥(30)을 통해 버스 유개 승강장(10)의 일측 지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100)는 양측에 지지기둥이 설치된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를 지면 상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을 지면 매설형의 방진 구조물로 개선하여 차량에 의한 지면의 충격이나 기타의 외부 충격에 의해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의 진동이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의 다른 효과로는 양측에 지지기둥이 설치된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를 지면 상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을 지면 매설형의 방진 구조물로 개선하여 숫결합부재인 지지기둥을 지면 매설형의 방진 구조물의 암결합부재인 지지기둥 결합부재에 삽입 결합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의 설치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효과로는 양측에 지지기둥이 설치된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를 지면 상에 설치하기 위한 지면 매설형 방진 구조물을 볼트와 너트부재를 통해 결합할 수 있는 분리구조로 제작함으로써 어떠한 장소에서도 조립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양측에 지지기둥이 설치된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와 이를 지면에 설치하기 위한 지면 매설형 방진 구조물을 버스 유개 승강장의 내측에 설치하여 지지기둥을 통해 버스 유개 승강장의 일측 지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환경이나 폐해로부터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의 보호는 물론, 이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를 적용한 버스 유개 승강구조물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버스 유개 승강장 20.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
30. 지지기둥 100. 버스 정보 시스템 방진장치
110. 형강부재 120. 강판부재
130. 볼트부재 132. 너트부재
140. 고무판 부재 150. 베이스판 부재
152. 지지기둥 결합부재 154. 유동방지편
160. 방진 고무판 부재

Claims (7)

  1. 대중교통수단(버스)의 도착시간과 운행구간을 문자 및 음성으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지지하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BIS) 방진장치는 그 일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횡방향으로 지면 상에 매몰 고정되는 일정 크기의 형강부재;
    상기 형강부재의 상부면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평면상으로 설치되는 일정 크기의 강판부재;
    상기 강판부재의 상부면 양측 각각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다수의 볼트부재;
    상기 볼트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결합공이 형성되어지되 강판부재의 상부면에 평면상으로 위치되어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판 부재;
    상기 볼트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결합공이 형성되어지되 고무판 부재의 상부면 양측 각각에 동일한 형태로 대향되어 평면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판 부재;
    상기 베이스판 부재 각각의 상부면에 용접에 의해 상하로 직립 설치되어지되 그 내부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의 지지기둥이 삽입 결합되는 지지기둥 결합부재; 및
    상기 고무판 부재와 베이스판 부재의 볼트결합공으로 결합된 볼트부재에 체결되어 고무판 부재와 베이스판 부재를 고정시키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의 방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두 베이스판 부재 각각에 설치된 지지기둥 결합부재가 이루는 간격은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의 양측에 설치된 두 지지기둥이 이루는 간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의 방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형강부재는 I형강 또는 H형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의 방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베이스판 부재와 고무판 부재의 상부 및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충격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 고무판 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의 방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 결합부재 내측면으로부터 결합된 지지기둥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에 위치하는 베이스판 부재 상부면에는 용접을 통해 직립 설치되어 결합된 지지기둥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의 방진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에는 야광 반사지가 더 부착되어 야간에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의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의 방진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BIS) 단말기가 지지된 버스 정보 시스템(BIS)의 방진 구조물 전체가 버스 유개 승강장의 내측에 설치되어 지지기둥을 통해 버스 유개 승강장의 일측 지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버스 정보 시스템(BIS)의 방진장치.
KR20-2005-0010888U 2005-04-19 2005-04-19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 KR200390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888U KR200390305Y1 (ko) 2005-04-19 2005-04-19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888U KR200390305Y1 (ko) 2005-04-19 2005-04-19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305Y1 true KR200390305Y1 (ko) 2005-07-22

Family

ID=4369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888U KR200390305Y1 (ko) 2005-04-19 2005-04-19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3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985B1 (ko) 2021-06-07 2022-02-09 (주)일렉콤 방재 및 내진 기능을 갖는 버스 정보 제공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985B1 (ko) 2021-06-07 2022-02-09 (주)일렉콤 방재 및 내진 기능을 갖는 버스 정보 제공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0047C (en) Impact absorbing barrier assembly
CN202482784U (zh) 一种轻型吸隔声屏障
KR200390305Y1 (ko) 버스 정보 시스템의 방진장치
KR101441292B1 (ko) 차량 방호 장치
JP6204760B2 (ja) 透光性遮音壁
KR101007729B1 (ko) 다목적설치대
KR20050040870A (ko) 과속방지 및 정보제공용 차량차단기
CN103874802A (zh) 用于街路设施竖直构件的活动式底座的说明书
KR101926064B1 (ko) 방풍 및 소음 감소 구조체
JP4934538B2 (ja) 吸音構造体と吸音構造体を備えた防護柵
CN210013563U (zh) 一种新型便于拆卸的道路施工围挡
KR100961987B1 (ko) 지주커버
JP2003328325A (ja) 落下防止機能付き道路用透光型遮音壁
JP2001336125A (ja) 多機能支柱一体型防護柵
CN216332082U (zh) 一种铁路道口综合警示装置
KR101083187B1 (ko) 기둥보호용 식생블록
KR200341904Y1 (ko) 스프링 구조를 갖는 경계용 안전 펜스
CN110593143A (zh) 一种防眩防抛隔离组件
KR200364636Y1 (ko) 이단 가로등 주철지주용 보호커버
KR100506000B1 (ko) 교량용 풍속감속벽
KR102549359B1 (ko) 바닥신호등 설치프레임
KR100456160B1 (ko) 차음 펜스
KR200252803Y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용 차도난간
CN219867590U (zh) 路灯防撞装置
CN216920121U (zh) 挡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