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207Y1 - 등부표의 조류퇴치용 바람개비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등부표의 조류퇴치용 바람개비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207Y1
KR200390207Y1 KR20-2005-0012574U KR20050012574U KR200390207Y1 KR 200390207 Y1 KR200390207 Y1 KR 200390207Y1 KR 20050012574 U KR20050012574 U KR 20050012574U KR 200390207 Y1 KR200390207 Y1 KR 200390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coupled
buoy
bird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5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득광
Original Assignee
이득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득광 filed Critical 이득광
Priority to KR20-2005-0012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2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2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상에 설치된 등부표 등의 항로표지시설(이하 등부표라 통일하여 지칭함)에 조류퇴치 수단을 구비하여 갈매기 등의 조류가 배설하는 각종 배설물 등으로 하여금 등명기나 기타 태양전지판(일명 솔라판이라고도 함)을 오손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하므로서 양호한 항로표지시설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해상에 설치되는 등부표(10)의 상부에 설치된 태양전지판(11)과 등명기(12)에 조류가 앉지 못하도록 하는 유동형 바람개비(23)를 설치함에 있어서,
등명기(12)의 상부측에 결합된 상부캡(13)에는 고정관(14)이 나사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14)에 결합가능한 규격의 고정볼트(22)가 결합된 고정구(20)에 저면에는 상부캡(13)의 형상과 동일하게 경사면(21)을 형성하여 등명기(12)와의 밀착력을 증대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보장하며,
상기 고정구(20)의 내부에는 대략 방사상으로 수개의 바람개비(23)가 형성된 회전체(24)를 결합하되, 내부에는 베이링(25)을 결합하여 자연풍에 의해 바람개비(23)가 회전하므로 조류가 등명기(12)나 태양전지판(11)에 앉지 못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등부표의 조류퇴치용 바람개비 설치구조{vane set up construction for birds control of buoy light}
본 고안은 해상에 설치된 등부표 등의 항로표지시설(이하 등부표라 통일하여 지칭함)에 조류퇴치 수단을 구비하여 갈매기 등의 조류가 배설하는 각종 배설물 등으로 하여금 등명기나 기타 태양전지판(일명 솔라판이라고도 함)을 오손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하므로서 양호한 항로표지시설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 해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항로표지시설이 설치되어 항해하는 선박 등에 신호를 부여하여 각종 다양한 여건에 의한 해난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등부표를 설치하여 빛을 반사하는 등명기에 의해 선박이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등부표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등부표의 상부에는 등명기가 설치되어 이와 연결된 태양전지판에 의해 축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등명기를 밝혀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등부표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등부표의 상부에 설치된 등명기의 꼭대기에 해상에서 날아다니는 갈매기 등 조류가 휴식을 취하는 과정에서 배설물을 배설하게 되어 빛을 반사하는 등명기의 조도를 급격하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등부표에 설치된 등명기의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전지판의 표면에도 갈매기 등의 조류가 배설물을 배설하여 태양광을 집광하는데 상당한 애로를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대략 2년의 주기로 등부표 전체에 표면 도장(塗裝)을 하거나 청소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갈매기 등 조류가 배설물을 배설하기 때문에 청소의 주기를 단축해야 함은 물론 도장작업이 매우 까다로워 원래 목적으로 하는 등부표의 기능을 원할하게 수행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과도한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갈매기 등 조류가 휴식을 취하지 못하도록 나선형의 조류방지봉 등을 안출하여 설치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나선형 조류방지봉은 단순히 철사 형태의 봉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상기 나선형에 의해 바람으로부터 흔들리게 되어 갈매기 등 조류가 앉지 못하도록 하는 정도이므로 근본적으로 갈매기 등 조류를 퇴치할 수 있는 기능이 부족하다.
또한, 도장작업시나 청소작업시 나선형의 조류방지봉에 걸리게 되어 조류의 배설물이 신체나 피복을 오손하고, 선단이 뾰족하여 상처를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등부표에 설치된 등명기나 태양전지판에 갈매기 등 조류가 휴식을 취하는 과정에서 배설하는 배설물이 묻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근본적으로 갈매기 등 조류가 앉지 못하도록 하여 등부표의 사용수명을 가일층 연장함은 물론, 태양전지판에서 축광되는 전력을 양을 극대화하면서 등명기에서 발생하는 빛의 발생률을 극대화하여 적은 전력으로서 고효율적인 에너지화에 기여할 수 있게 한 것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해상에 설치되는 항로표지시설의 일종인 등부표의 상부측에 설치된 태양전지판에서 축광되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등명기의 상부에 지지력을 증대하기 위해 경사면을 둔 고정구를 고정볼트로서 등명기 상부캡의 고정관에 고정하고, 상기 고정구의 상부에는 바람개비가 설치된 회전체를 베어링에 의해 결합하므로서 자연적으로 불어오는 해풍에 의해 바람개비가 쉴새없이 회전하여 갈매기 등 조류가 상기 등명기나 태양전지판에 앉지 못하도록 하여 항상 깨끗하고 반짝이는 상태의 등부표가 유지될 수 있게 하므로서 등명기에서 발생되는 태양전지판의 빛이 매우 양호하게 반사될 수 있게 하여 해상 설치용 등부표로서 매우 합리적인 효과를 득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해상에 설치되는 등부표(10)에 있어서, 상부에 설치된 태양전지판(11)과 등명기(12)에 갈매기 등 조류의 배설물이 묻지 않도록 움직이는 바람개비(23)를 설치하여 움직이는 타입의 조류퇴치 수단을 제공코져 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등명기(12)의 상부측 상부캡(13)에는 고정관(14)이 나사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14)에 결합가능한 규격의 고정볼트(22)가 결합된 고정구(20)에 저면에는 상부캡(13)의 형상과 동일하게 경사면(21)을 형성하여 등명기(12)와의 밀착력을 증대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보장한다.
상기 고정구(20)의 내부에는 대략 방사상으로 수개의 바람개비(23)가 형성된 회전체(24)를 결합하여 내부의 베이링(25)의 회전력에 의해 자연풍인 해풍에 의해 바람개비가 회전하므로 갈매기 등 조류가 등명기(12)나 태양전지판(11)에 앉지 못하도록 하여 배설물이 묻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물론,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부의 바람개비(23)는 그 수량이나 크기를 가감할 수 있을 것이며,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갈매기 등 조류가 앉지 못할 정도를 감안하여 제작해야 할 것이고, 고정구(20)와 회전체(24)의 결합수단은 내부에 베이링(25)을 내장하므로서 미량의 해풍에도 매우 쉽게 회전이 가능하여 움직이는 상태의 조류퇴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고안은 등부표(10)에 설치된 등명기(12)나 태양전지판(11)에 갈매기 등 조류가 휴식을 취하는 과정에서 배설하는 배설물이 묻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근본적으로 갈매기 등 조류가 앉지 못하도록 하여 등부표(10)의 사용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태양전지판(11)에서 축광되는 전력을 양을 극대화하면서 등명기(12)에서 발생하는 빛의 발생률을 극대화하여 적은 전력으로서 고효율적인 에너지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해상에 설치되는 항로표지시설의 일종인 등부표(10)의 상부측에 설치된 태양전지판(11)에서 축광되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등명기(12)의 상부에 지지력을 증대하기 위해 경사면(21)을 둔 고정구(20)를 고정볼트(22)로서 등명기(12) 상부캡(13)의 고정관(14)에 고정하고, 상기 고정구(20)의 상부에는 바람개비(23)가 설치된 회전체(24)를 베이링(25)에 의해 결합하므로서 자연적으로 불어오는 해풍에 의해 바람개비가 쉴새없이 회전하여 갈매기 등 조류가 상기 등명기(12)나 태양전지판(11)에 앉지 못하도록 하여 항상 깨끗하고 반짝이는 상태의 등부표가 유지될 수 있게 하므로서 등명기(12)에서 발생되는 태양전지판(11)의 빛이 매우 양호하게 반사될 수 있게 하여 해상 설치용 등부표(10)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구성에 따른 설치방법과 사용 및 그 기능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일단 도 1과 같은 상태로 등부표(10)가 해상에 설치되고, 이의 상부에는 태양전지판(11) 및 등명기(12)가 설치되어 상기 태양전지판(11)에서 축광되는 전력이 등명기(12)로 공급되어 빛을 발생할 수 있게 배선되어 있는 것은 일반적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등명기(12)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캡(13)의 중앙 상부에는 일반적으로 나사타입의 고정관(14)이 형성되어 여기에는 선택적으로 필요용품을 결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고정관(14)에 결합된 필요용품을 분리하게 되면 나사타입의 고정관(14)에 고정구(20)의 고정볼트(22)를 결합하면 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20)의 저면에는 상부캡(13)의 형상과 부합하는 경사면(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경사면(21)에 의해 등명기(12)의 상부캡(13)과 접지력을 증대하면서 내구성이 크게 개선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구(20)가 등명기(12)의 상부캡(13)에 고정되면 상기 고정구(20)에는 대략 방사상으로 수개의 바람개비(23)가 구비된 회전체(24)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바람개비(23)가 구비된 회전체(24)의 내부에는 베이링(25)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바람개비(23)는 매우 적은 미풍에도 용이하게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해상에 설치된 등부표(10)의 등명기(12)에는 갈매기 등 조류가 앉을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등명기(12)의 상부에 회전되는 바람개비(23)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양측의 태양전지판(11)에도 갈매기 등이 앉을 수 없게 된다.
이는 종래와 같이 고정타입으로 조류를 퇴치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고, 항상 회전을 함에 따라 유동식으로 갈매기 등의 조류를 퇴치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햇빛이 바람개비(23)의 그늘을 움직이게 만들면서 연속적으로 회전하여 근본적으로 갈매기 등 조류가 앉을 수 없게 되어 배설물을 배설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매우 간단한 구조로서 조류의 퇴치 기능을 합리적으로 함에 대해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주기적으로 도장작업을 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됨과 아울러 잦은 청소작업을 하지 않아도 밝은 빛을 반사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의 절감 효과는 물론 빛의 축광효과와 반사효과를 극대화하여 각종 해상에서 발생하는 해난사고의 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등부표(10)에 설치된 등명기(12)나 태양전지판(11)에 갈매기 등 조류가 휴식을 취하는 과정에서 배설하는 배설물이 묻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근본적으로 갈매기 등 조류가 앉지 못하도록 하여 등부표(10)의 사용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태양전지판(11)에서 축광되는 전력을 양을 극대화하면서 등명기(12)에서 발생하는 빛의 발생률을 극대화하여 적은 전력으로서 고효율적인 에너지화에 기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각종 조류 퇴치기능을 등부표로서 그 기대되는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등부표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등명기에 조류퇴치 수단을 구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등명기에 조류퇴치 수단을 구비한 상태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등명기에 조류퇴치 수단을 구비한 상태의 조립 단면도
도 5는 종래 등부표의 설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등부표 11 : 태양전지판
12 : 등명기 13 : 상부캡
14 : 고정관
20 : 고정구 21 : 경사면
22 : 고정볼트 23 : 바람개비
24 : 회전체 25 : 베어링

Claims (1)

  1. 해상에 설치되는 등부표(10)의 상부에 설치된 태양전지판(11)과 등명기(12)에 조류가 앉지 못하도록 하는 유동형 바람개비(23)를 설치함에 있어서,
    등명기(12)의 상부측에 결합된 상부캡(13)에는 고정관(14)이 나사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14)에 결합가능한 규격의 고정볼트(22)가 결합된 고정구(20)에 저면에는 상부캡(13)의 형상과 동일하게 경사면(21)을 형성하여 등명기(12)와의 밀착력을 증대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보장하며,
    상기 고정구(20)의 내부에는 대략 방사상으로 수개의 바람개비(23)가 형성된 회전체(24)를 결합하되, 내부에는 베이링(25)을 결합하여 자연풍에 의해 바람개비(23)가 회전하므로 갈매기 등 조류가 등명기(12)나 태양전지판(11)에 앉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부표의 조류퇴치용 바람개비 설치구조.
KR20-2005-0012574U 2005-05-04 2005-05-04 등부표의 조류퇴치용 바람개비 설치구조 KR200390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574U KR200390207Y1 (ko) 2005-05-04 2005-05-04 등부표의 조류퇴치용 바람개비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574U KR200390207Y1 (ko) 2005-05-04 2005-05-04 등부표의 조류퇴치용 바람개비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207Y1 true KR200390207Y1 (ko) 2005-07-20

Family

ID=43691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574U KR200390207Y1 (ko) 2005-05-04 2005-05-04 등부표의 조류퇴치용 바람개비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207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204Y1 (ko) 2010-04-28 2010-09-15 강지성 소리와 빛 바람을 이용한 회전식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
KR101101881B1 (ko) * 2009-07-06 2012-01-05 이정미 조류퇴치장치
KR101322305B1 (ko) * 2013-03-22 2013-10-28 주식회사 덕성해양개발 조류퇴치수단 및 클램프가 구비된 항로표지시설
KR20210068736A (ko) * 2019-12-02 2021-06-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한 조류퇴치장치
KR20210096457A (ko) * 2020-01-28 2021-08-05 주식회사 와이에이치테크 모터 회전 장치
KR20210121684A (ko) * 2020-03-31 2021-10-08 김종무 등부표용 조류퇴치기
KR102319380B1 (ko) * 2021-03-05 2021-11-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전력을 이용한 조류퇴치용 해상 구조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881B1 (ko) * 2009-07-06 2012-01-05 이정미 조류퇴치장치
KR200450204Y1 (ko) 2010-04-28 2010-09-15 강지성 소리와 빛 바람을 이용한 회전식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
KR101322305B1 (ko) * 2013-03-22 2013-10-28 주식회사 덕성해양개발 조류퇴치수단 및 클램프가 구비된 항로표지시설
KR20210068736A (ko) * 2019-12-02 2021-06-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한 조류퇴치장치
KR102358711B1 (ko) 2019-12-02 2022-02-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한 조류퇴치장치
KR20210096457A (ko) * 2020-01-28 2021-08-05 주식회사 와이에이치테크 모터 회전 장치
KR102320954B1 (ko) 2020-01-28 2021-11-04 주식회사 와이에이치테크 모터 회전 장치
KR20210121684A (ko) * 2020-03-31 2021-10-08 김종무 등부표용 조류퇴치기
KR102387129B1 (ko) 2020-03-31 2022-04-14 김종무 등부표용 조류퇴치기
KR102319380B1 (ko) * 2021-03-05 2021-11-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전력을 이용한 조류퇴치용 해상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0207Y1 (ko) 등부표의 조류퇴치용 바람개비 설치구조
KR101101881B1 (ko) 조류퇴치장치
TWI269850B (en) A fluid-driven lighting apparatus
CN111449038B (zh) 一种自清洁式杀虫灯
KR200450204Y1 (ko) 소리와 빛 바람을 이용한 회전식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
KR101132226B1 (ko) 태양광 석등
CN205585176U (zh) 一种多功能驱动物稻草人
CN205431755U (zh) 一种风能驱鸟装置
CN201100561Y (zh) 灭蚊蝇草坪灯
KR20130053991A (ko) 수중 조명용 집어등
CN201697012U (zh) 可收叠路灯
KR20090001303A (ko) 어업용 집어등
CN112042630B (zh) 一种具有驱鸟功能的智能航标灯
CN108253365A (zh) 一种多功能环保型路灯
CN208284056U (zh) 一种码头用警示装置
KR20080000685U (ko) 엘이디를 이용한 등대의 조명장치
CN107420845B (zh) 一种具有走马灯功能的导光装置
JP2005095123A (ja) 集魚灯および漁船における集魚システム
CN112219834A (zh) 一种电力设备用驱鸟装置
KR200497244Y1 (ko)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
CN215411683U (zh) 一种方便清洁路灯保护罩的太阳能路灯
KR102457865B1 (ko) 반사판을 구비한 집어등갓
KR102648330B1 (ko) 작물 생육용 조명 장치
KR200429702Y1 (ko) 선박용 항로표지기의 등명기 보호장치
CN201962769U (zh) 带照明的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