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100Y1 - 우마사다리의 높이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우마사다리의 높이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100Y1
KR200390100Y1 KR20-2005-0012770U KR20050012770U KR200390100Y1 KR 200390100 Y1 KR200390100 Y1 KR 200390100Y1 KR 20050012770 U KR20050012770 U KR 20050012770U KR 200390100 Y1 KR200390100 Y1 KR 200390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leg
pressing member
hol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희
Original Assignee
김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희 filed Critical 김진희
Priority to KR20-2005-0012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1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1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44C7/027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for removing wall pap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마사다리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테리어 작업시 사용하는 우마 사다리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마사다리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우마 사다리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높이 조절 시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높이 조절을 함으로써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마사다리의 높이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접을 수 있도록 경첩으로 연결된 사다리 부재(51)의 저면 양측에 직립 설치됨과 아울러 작동공(2)이 형성된 제1다리(1)와, 상기한 제1다리(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함과 아울러 작동공(1)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고정공(4)이 형성된 제2다리(3)를 포함하는 우마 사다리의 높이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공(2)의 근처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작동공(2)과 대응되도록 관통공(5)이 형성된 브라켓(6)과, 상기한 브라켓(6)에 회전축(7)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된 누름 부재(8)와, 상기한 누름 부재(8)의 일측에 힌지축(9)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누름 부재(8)의 작동 시 작동공(2)을 통해 이동하면서 고정공(4)에 삽입 및 이격되어 제2다리(3)를 고정시키거나 이동 자재하도록 하는 고정봉(10)과, 상기한 누름 부재(8)와 브라켓(6)에 사이에 개재되어 누름 부재(8)에 탄성을 인가하고 회전축(7)이 관통되도록 배치되어 위치 고정된 스프링(11)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마사다리의 높이조절 장치{HEIGHT ADJUSTING DEVICE OF LADDER}
본 고안은 우마사다리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테리어 작업시 사용하는 우마 사다리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마사다리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배등과 같은 인테리어 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자가 높은 벽 또는 천정등에 작업을 하기 위해서 사용이 편리한 우마 사다리를 사용하게 된다.
즉, 우마 사다리는 작업자가 높은 곳에 작업을 하면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수평 상태로 제작된 것으로서, 비교적 높이가 낮고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절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알루미늄등으로 제작됨과 아울러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폭이 비교적 좁고 경첩(50)등으로 서로 접힐 수 있게 연결된 판상의 사다리 부재(51)와, 상기한 사다리 부재(51)의 양측 하단에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고 접힐 수 있도록 힌지(미 도시)로 결합된 제1다리부재(52)와, 상기한 제1다리부재(52)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고정 수단에 의해 높이 조절됨으로써 사다리 부재(51)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다리부재(53)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제2다리부재(53)를 인출한 상태에서 고정 수단으로 고정시키게 되면, 사다리 부재(51)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고정 수단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다리부재(53) 내부에 설치되어 일정 크기 돌출되도록 스프링(미 도시)등으로 지지된 고정볼(54)과, 상기한 고정볼(54)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제1다리부재(52)에 다수가 형성된 고정공(55)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한 고정볼(54)을 누른 상태에서 제2다리부재(53)를 이동시키면 다음 고정공(55)에 위치되었을 때 고정볼(54)이 돌출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우마 사다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1다리에 다수의 고정공을 형성하고 여기에 걸려 고정되도록 제2다리부재에 고정볼을 탄성 운동하도록 설치하게 되면, 상기한 우마 사다리의 높이 조절 시 비교적 작은 크기인 고정볼을 한손으로 누르고 다른 손으로 제2다리부재를 잡고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제2다리부재의 조절 시 고정볼이 고정공마다 걸리기 때문에 높이 조절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마 사다리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높이 조절 시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높이 조절을 함으로써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마사다리의 높이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접을 수 있도록 경첩으로 연결된 사다리 부재의 저면 양측에 직립 설치됨과 아울러 작동공이 형성된 제1다리와, 상기한 제1다리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함과 아울러 작동공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된 제2다리를 포함하는 우마 사다리의 높이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공의 근처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작동공과 대응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한 브라켓에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된 누름 부재와, 상기한 누름 부재의 일측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누름 부재의 작동 시 작동공을 통해 이동하면서 고정공에 삽입 및 이격되어 제2다리를 고정시키거나 이동 자재하도록 하는 고정봉과, 상기한 누름 부재와 브라켓에 사이에 개재되어 누름 부재에 탄성을 인가하고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배치되어 위치 고정된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과 도2 및 도3과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우마사다리의 높이조절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와 부분 확대 단면도 및 스토퍼의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로서, 사다리 부재(51)의 제1다리(1)에 형성된 작동공(2)과, 상기한 제1다리(1)에 삽입되어 이동 자재하는 제2다리(3)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공(4)과, 상기한 작동공(2)의 근처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작동공(2)과 대응되도록 관통공(5)이 형성된 브라켓(6)과, 상기한 브라켓(6)에 회전축(7)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된 누름 부재(8)와, 상기한 누름 부재(8)의 일측에 힌지축(9)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누름 부재(8)의 작동 시 작동공(2)을 통해 이동하면서 고정공(4)에 삽입 및 이격되어 제2다리(3)를 고정시키거나 이동 자재하도록 하는 고정봉(10)과, 상기한 누름 부재(8)와 브라켓(6)에 사이에 개재되어 누름 부재(8)에 탄성을 인가하고 회전축(7)이 관통되도록 배치되어 위치 고정된 스프링(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누름 부재(8)는 회전 운동을 하고 고정봉(10)은 직선 운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한 고정봉(10)을 힌지축(9)으로 고정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누름 부재(8)에 의한 회전 운동 시 작동공(2)과 고정공(4)에서는 직선 운동을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힌지축(9)이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때 이를 가이드하여 고정봉(10)이 관통공(5)으로 직각 운동하기 위하여 브라켓(6)에 소정 곡률로 이루어진 가이드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실내 인테리어 작업을 하기 위하여 우마 사다리를 작업 위치에 이동시킨 후 작업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한 우마 사다리를 거꾸로 놓은 상태에서 누름 부재(8)를 손으로 누르게 되는 바, 상기한 누름 부재(8)를 누르게 되면 회전축(7)을 중심으로 누름 부재(8)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한 누름 부재(8)의 일단에 힌지축(9)으로 결합된 고정봉(10)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한 고정봉(10)이 상승할 때 고정봉(10)은 힌지축(9)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고, 고정봉(10)의 이동은 고정공(4)과 작동공(2)에서 직선 운동하게 되는 바, 상기한 고정봉(10)이 힌지축(9)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직선 운동하게 됨으로써, 고정봉(10)이 작동공(2)과 고정공(4)에서 매우 원활하게 운동할 수 있게 된다.
고정봉(10)이 누름 부재(8)의 회전 운동에 따라 움직이면서 고정공(4)과 작동공(2)에서 이탈되면 상기한 제2다리(3)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2다리(3)가 자유로운 상태가 되면,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로 조절한 후 상기한 누름 부재(8)를 누르는 손을 놓게 되는 바, 상기한 누름 부재(8)는 스프링(11)의 힘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누름 부재(8)가 원상태로 복귀되면 상기한 고정봉(10)이 다시 작동공(2)과 고정공(4)으로 삽입되면서 상기한 제2다리(3)를 고정하게 된다.
제2다리(3)가 고정봉(10)에 의해 고정되면 우마 사다리의 높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로서, 상기한 우마 사다리의 높이 조절이 누름 부재(8)를 누른 상태에서 쉽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실내 인테리어 작업등에서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제2다리(3)의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상기한 우마 사다리에 올라가서 작업을 진행하면 되는 바, 상기한 제1, 2다리(1, 3)의 결합에 금속봉 형태인 고정봉(10)이 사용됨과 아울러 스프링(11)의 탄성으로 지지됨으로써, 견고하게 제1, 2다리(1, 3)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자가 우마 사다리에 올라가서 작업을 할 때 제2다리(3)가 접히는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물론, 우마 사다리를 정상 위치로 놓은 상태에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다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우마 사다리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단지 누름 부재를 손으로 누른 상태에서 제2다리를 이동시키면 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우마 사다리를 사용하는 인테리어 작업등에서의 작업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우마 사다리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보다 편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우마사다리의 높이조절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우마 사다리의 정면도,
도2는 도1에서 스토퍼 설치 부분만을 확대한 단면도,
도3은 도1에서 스토퍼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4는 도3의 분해 사시도,
도5는 일반적인 인테리어 작업용 우마사다리를 도시한 정면도,
도6은 도5에서 높이 조절 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제1다리 2: 작동공
3: 제2다리 4: 고정공
5: 관통공 6: 브라켓
7: 회전축 8: 누름부재
9: 힌지축 10: 고정봉
11: 스프링

Claims (1)

  1. 접을 수 있도록 경첩으로 연결된 사다리 부재의 저면 양측에 직립 설치됨과 아울러 작동공이 형성된 제1다리와, 상기한 제1다리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함과 아울러 작동공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된 제2다리를 포함하는 우마 사다리의 높이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공의 근처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작동공과 대응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한 브라켓에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된 누름 부재와, 상기한 누름 부재의 일측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누름 부재의 작동 시 작동공을 통해 이동하면서 고정공에 삽입 및 이격되어 제2다리를 고정시키거나 이동 자재하도록 하는 고정봉과, 상기한 힌지축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때 이를 가이드하여 고정봉의 직선 운동을 지지하기 위하여 브라켓에 곡면으로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한 누름 부재와 브라켓에 사이에 개재되어 누름 부재에 탄성을 인가하고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배치되어 위치 고정된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 사다리의 높이 조절 장치.
KR20-2005-0012770U 2005-05-06 2005-05-06 우마사다리의 높이조절 장치 KR200390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770U KR200390100Y1 (ko) 2005-05-06 2005-05-06 우마사다리의 높이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770U KR200390100Y1 (ko) 2005-05-06 2005-05-06 우마사다리의 높이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100Y1 true KR200390100Y1 (ko) 2005-07-18

Family

ID=4369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770U KR200390100Y1 (ko) 2005-05-06 2005-05-06 우마사다리의 높이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1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3483B2 (ja) 旋回可能に保持された仕切り要素の変位装置及び家具製品
US9891506B1 (en) Camera stabilizer
US10317058B2 (en) Support arm device
US7926477B2 (en) Tile cutter
US7784749B2 (en) Supporting frameworks
KR200390100Y1 (ko) 우마사다리의 높이조절 장치
DE50105696D1 (de) Apparate-haltevorrichtung
JP2007111284A (ja) 遊技機固定装置
US20040065238A1 (en) Elevational adjusting device using air pressure rod to lift object
NO345405B1 (en) Lowering mechanism for hand held jacking tool..
JP6787052B2 (ja) 昇降天板付きデスク装置
GB2108263A (en) Wind-shifting apparatus for an air conditioner
KR200494846Y1 (ko) 상자 접이 장치
JP4094620B2 (ja) 壁面用目地装置
JP2007031981A (ja) 梯子の転倒防止器具
JP4452227B2 (ja) 笠木装置
JP2002276240A (ja) アウトセット引戸装置
KR20060090952A (ko) 강의용 책상
KR100787158B1 (ko) 상다리 절첩장치
KR200213295Y1 (ko) 절첩식 도배용 작업대
FR3097150B1 (fr) Dispositif de déplacement d’une tête de traitement et d’un plateau
KR200360436Y1 (ko) 나사봉을 이용한 수평조절부
JPH08133431A (ja) てこ型物体自動持ち上げ装置
JP3354115B2 (ja) 床用目地装置
KR200400121Y1 (ko) 책상 상판의 틸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