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926Y1 - 컴퓨터 - Google Patents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926Y1
KR200389926Y1 KR20-2005-0012085U KR20050012085U KR200389926Y1 KR 200389926 Y1 KR200389926 Y1 KR 200389926Y1 KR 20050012085 U KR20050012085 U KR 20050012085U KR 200389926 Y1 KR200389926 Y1 KR 200389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main body
computer
supporting
accommoda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2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9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9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하드웨어가 장착된 본체를 갖는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수용하는 지지부재수용부와;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수용부에 수용된 수용위치와,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인출된 인출위치 사이를 회동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피봇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수용위치 및 인출위치와, 상기 수용위치 및 인출위치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지지부재가 걸림 유지되도록 하는 걸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컴퓨터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COMPUTER}
본 고안은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작 및 설치가 용이하며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갖는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다수의 하드웨어가 장착된 직육면체 형태의 본체를 갖는다. 본체는 주로 책상이나 바닥과 같은 평편한 설치면에 설치되는데, 본체의 바닥면이 평편하므로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하드웨어의 크기가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컴퓨터 본체 역시 소형화·슬림화되어 가고 있다. 소형의 슬림한 컴퓨터 본체는 넓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렇게 슬림한 본체의 경우 바닥면이 평편하기는 하지만, 바닥면의 면적이 기존의 컴퓨터 본체에 비해 좁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본체가 쓰러질 위험이 있다. 또한, 설치면이 경사진 경우 컴퓨터 본체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
그러므로, 컴퓨터 본체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키는 수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작 및 설치가 용이하며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갖는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다수의 하드웨어가 장착된 본체를 갖는 컴퓨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수용하는 지지부재수용부와;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수용부에 수용된 수용위치와,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인출된 인출위치 사이를 회동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피봇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수용위치 및 인출위치와, 상기 수용위치 및 인출위치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지지부재가 걸림 유지되도록 하는 걸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수용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경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유닛은 상기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걸림돌기와, 상기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수용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돌기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데스크탑 컴퓨터를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하고,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컴퓨터는 다수의 하드웨어가 장착된 본체(1)와, 본체(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0)와, 본체(1)의 하측에 형성되어 지지부재(20)를 수용하는 지지부재수용부(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컴퓨터는 지지부재(20)와 지지부재수용부(1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피봇부(40)와, 지지부재(20)가 지지부재수용부(10)의 특정 위치에서 걸림 유지되도록 하는 걸림유닛(3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컴퓨터는 지지부재(20)가 지지부재수용부(1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재(50)를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수용부(10)는 본체(1)의 하측 전면에 함몰 형성되어 지지부재(20)를 수용한다. 지지부재수용부(10)는 본체(1)의 하측에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본체(1)의 외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마련된다. 즉, 지지부재수용부(10)는 설치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함몰 형성된다. 지지부재수용부(10)에는 지지부재(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 수용된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는 한 쌍의 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지지부재(20)는 지지부재수용부(10)에 완전히 수용된 수용위치(A)에서 지지부재수용부(10)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인출위치(B) 사이를 회동한다. 지지부재(20)는 인출위치(B)에서 본체(1)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즉, 지지부재(20)가 본체(1)의 하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므로, 본체(1)의 설치시 안정성이 향상된다. 지지부재(20)는 수용위치(A)에서 본체(1)의 저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지지부재수용부(10)에 완전히 수용된다. 지지부재(20)는 각각 회동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므로, 본체(1)가 경사진 설치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지지부재(20)의 인출되는 정도를 달리하여 본체(1)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도 5 참고). 지지부재(20)가 완전히 인출되지 않더라도 본체(1)의 저면보다 지지부재(20)가 돌출되기 때문에, 지지부재(20)가 수용위치(A)와 인출위치(B)의 사이에 위치하더라도 본체(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20)는 원활한 회동 및 수납을 위해 단부가 라운드지게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20)는 걸림유닛(30)에 의해 수용위치(A)와 인출위치(B)의 사이의 특정 위치에 걸림 유지되며, 피봇부(40)에 의해 지지부재수용부(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걸림유닛(30)은 지지부재(20)에 형성된 걸림돌기(32)와, 지지부재수용부(10)에 형성된 돌기수용부(34)를 포함한다.
걸림돌기(32)는 지지부재수용부(10)의 경사면에 대향하는 지지부재(20)의 판면에 돌출 형성되며, 탄성력을 갖도록 만들어진다. 걸림돌기(32)는 지지부재(20)의 회동시 지지부재수용부(10)의 접촉면을 따라 가압되며 이동하다가, 돌기수용부(34)에 맞물리며 수용된다. 걸림돌기(32)가 돌기수용부(34)에 수용됨으로써 지지부재(20)가 수용위치(A)와 인출위치(B) 및 수용위치(A)와 인출위치(B) 사이의 특정 위치에 걸림 유지될 수 있다.
돌기수용부(34)는 지지부재수용부(10)의 경사진 면에 함몰 형성되어 걸림돌기(32)를 수용한다. 돌기수용부(34)는 지지부재(20)가 수용위치(A) 및 인출위치(B)에 놓일 때 걸림돌기(32)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만들어진다. 또한, 돌기수용부(34)는 지지부재(20)가 수용위치(A)와 인출위치(B)의 사이 중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20)의 수용위치(A)와 인출위치(B) 사이에 마련된다. 따라서, 돌기수용부(34)는 적어도 3군데 이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부(40)는 지지부재수용부(10)의 경사면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피봇축(42)과, 지지부재(20)에 관통 형성되어 피봇축(42)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수용부(44)를 포함한다. 피봇부(40)에 의해 지지부재(20)는 지지부재수용부(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 및 인출된다. 피봇축(42)에 지지부재(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방지부재(50)가 체결된다.
이탈방지부재(50)는 스크루로 마련되며, 지지부재(20)가 피봇축(42)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따라서, 이탈방지부재(50)로 사용되는 스크루는 헤드(Head) 부분이 지지부재(20)의 축수용부(44)의 내경보다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에서, 지지부재의 조립 과정 및 작동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는 본체(1)의 하측에 함몰 형성된 지지부재수용부(10)에 수용된다. 지지부재수용부(10)에는 피봇축(42)이 형성되고 지지부재(20)에는 축수용부(44)가 마련되어 있어, 지지부재(20)가 지지부재수용부(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부재수용부(10)는 경사지도록 함몰 형성되므로 지지부재(20) 역시 인출위치에서 지지부재수용부(10)의 경사에 대응하여 경사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1)가 설치면에 놓인 상태에서, 지지부재(20)는 지지부재수용부(10)에 완전히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 때, 걸림유닛(30)에 의해 지지부재(20)는 지지부재수용부(10)에 수용된 상태로 걸림 유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지부재(20)를 인출하면 지지부재(20)는 수용위치(A)에서 인출위치(B)로 인출된다. 이 때, 지지부재(20)는 걸림유닛(30)에 의해 지지부재수용부(10)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걸림 유지된다. 또한, 지지부재(20)는 수용위치(A)와 인출위치(B) 사이의 특정 위치에서도 걸림유닛(30)에 의해 걸림 유지될 수 있다.
지지부재(20)는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므로, 설치면이 경사진 경우에도 각각의 지지부재(20)의 회동 각도를 달리하여 본체(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지지부재는 단부가 라운드지게 만들어진다고 하였으나, 지지부재의 회동이나 본체의 지지에 적합하다면 사각 형상 등으로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피봇축은 지지부재수용부에 형성되고, 축수용부는 지지부재에 마련된다고 하였으나, 피봇축이 지지부재에 마련되고 축수용부가 지지부재수용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축수용부는 지지부재에 관통 형성된다고 하였으나, 피봇축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면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걸림돌기는 지지부재에, 돌기수용부는 지지부재수용부에 마련된다고 하였으나, 그 반대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에 있어서, 조작 및 설치가 용이하며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가 제공되어 컴퓨터 본체의 설치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컴퓨터에 따른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컴퓨터에 따른 본체의 측단면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의 컴퓨터에 따른 지지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컴퓨터에 따른 지지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컴퓨터에 따른 지지부재의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0 : 지지부재수용부
20 : 지지부재 30 : 걸림유닛
32 : 걸림돌기 34 : 돌기수용부
40 : 피봇부 42 : 피봇축
44 : 축수용부 50 : 이탈방지부재
A : 수용위치 B : 인출위치

Claims (5)

  1. 다수의 하드웨어가 장착된 본체를 갖는 컴퓨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수용하는 지지부재수용부와;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수용부에 수용된 수용위치와,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인출된 인출위치 사이를 회동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피봇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수용위치 및 인출위치와, 상기 수용위치 및 인출위치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지지부재가 걸림 유지되도록 하는 걸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수용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경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유닛은 상기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걸림돌기와, 상기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수용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돌기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KR20-2005-0012085U 2005-04-29 2005-04-29 컴퓨터 KR200389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085U KR200389926Y1 (ko) 2005-04-29 2005-04-29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085U KR200389926Y1 (ko) 2005-04-29 2005-04-29 컴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926Y1 true KR200389926Y1 (ko) 2005-07-18

Family

ID=4369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085U KR200389926Y1 (ko) 2005-04-29 2005-04-29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9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7006B2 (en) Monitor
US10690329B2 (en) Power supply box device
KR101358408B1 (ko) 도킹스테이션
JP2002062816A (ja) コンピュータ装置
US20150050077A1 (en) Quick release device
EP1351011A2 (en) Monitor
US20070246619A1 (en) Base for display device
US8091838B2 (en) Mounting mechanism for storage device
US8814225B2 (en) Lock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US20040202346A1 (en) Wall mounting speaker assembly
KR200389926Y1 (ko) 컴퓨터
US7319595B2 (en) Foolproof mechanism for server
JP3224744U (ja) 扇風機
JP5281061B2 (ja) キャスター及びキャスターユニット
KR200447210Y1 (ko) 휴대용 기기 거치대
CN113867481A (zh) 电子设备壳体及笔记本电脑
JP2007096878A (ja) 卓上・壁掛け兼用型電子機器
JP2011137508A (ja) スタンド装置
KR200330603Y1 (ko) 컴퓨터
JP4253956B2 (ja) ポートリプリケータ
US7384283B2 (en) Fixing member for fixing a circuit board to a housing of an electronic device
TWI450669B (zh) 電腦機箱
KR200210622Y1 (ko) 모니터용 스탠드
US20220136645A1 (en) Angle-adjustable supporting mechanism and knob-type locking mechanism thereof
CN110873272B (zh) 固定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