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478Y1 -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478Y1
KR200389478Y1 KR20-2005-0011674U KR20050011674U KR200389478Y1 KR 200389478 Y1 KR200389478 Y1 KR 200389478Y1 KR 20050011674 U KR20050011674 U KR 20050011674U KR 200389478 Y1 KR200389478 Y1 KR 2003894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upport member
lower plate
hinge
upp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빈
Original Assignee
동경금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경금속(주) filed Critical 동경금속(주)
Priority to KR20-2005-0011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4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4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4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판(下板)과, 상기 하판 위에서 승강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지지부재와 하판에 연결되어 상부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재는, 하부가 상기 하판에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하부링크와, 상부가 상기 상부지지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링크와, 상기 하부링크와 상부링크를 서로 힌지 결합하는 힌지결합수단과, 상기 힌지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링크 및 상부링크와 함께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좌우 가이드 블록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이송나사로 구성되는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에 있어서, 상기 좌우 상부링크의 상단 둘레에는 치(齒)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맞물려 있고, 상기 좌우 하부링크의 하단 둘레에는 치(齒)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맞물려 있고, 상기 이송나사와 손잡이의 축은 45°∼135°의 범위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기다란 상판을 미리 설치한 상태에서도 승강이동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힌지부에 다소의 유격이 있어도 회전비를 정확히 맞출수 있으며 추가적인 지지력이 확보되므로 작동시 흔들림이나 수평설치오차가 크게 줄어든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A SUPPORT APPARATUS OF MOULD FOR BUILDINGS}
본 고안은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푸집의 높이를 용이하게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에 관한 것이다.
주택 등 콘크리트 건축물의 경우,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철근과 콘크리트 등을 충진하여 양생하면서 시공해 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먼저 콘크리트 상층부(床層部)를 축조한 후 그 위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벽체 등을 시공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콘크리트 상층부에 실내의 크기 및 수평을 맞추기 위한 선을 표시한 후, 그 표시선을 따라 각재와 합판 등을 배치한 후, 그 위에 거푸집을 적절한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서로 고정함으로써 수평과 수직의 거푸집을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거푸집 설치방식에서는, 상층 콘크리트가 고르지 못할 경우, 각재와 각재가 서로 정확히 결합되기 어렵고, 이에 따라 거푸집의 설치도 불안정하여 균일한 두께를 얻기 어려웠다.
또한, 일단 각재끼리 또는 각재와 거푸집이 서로 잘못 결합된 경우에, 분리하여 재결합하는 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을 요하는 것이어서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구조로서, 실용신안등록공보 제0167489에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받침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받침기구는, 슬래브 거푸집상에 복수의 고정못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 서로 나란하게 브라켓(22)이 연장 형성된 중간 플레이트(20)와; 하부 플레이트(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전,후 양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장홈(31,32)이 나란하게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30)와; 가이드 플레이트(3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며, 하부 양측면에 가이드 플레이트(30)의 장홈(31,32)과 직교되는 형태의 장홈(41,42)이 형성되어 가이드 플레이트(30)를 중심으로 상,하 및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는 벽 거푸집의 고정각목이 위치될 수 있도록 브라켓이 연장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40)와; 가이드 플레이트(30)와 상부 플레이트(40)의 장홈들 사이로 관통하여 결합되어 상호간의 유동상태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복수의 볼트(B) 및 너트(N)쌍과; 상부 플레이트(40)의 일측 상면에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며, 하부 플레이트(10)를 중심으로 하여 상부 플레이트(40)의 평행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복수의 수평계(44,45)와; 가이드 플레이트(30)와 중간 플레이트(20) 사이에 서로 연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중간 플레이트(20)를 중심으로 하여 가이드 플레이트(30)를 상,하로 연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링크쌍(50,60)과; 링크쌍(50,60)들의 힌지 결합부위에 각각 개재되며,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된 가이드 블록(70,80)과; 가이드 블록(70,80)들 사이로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어느 하나의 가이드 블록(70,80)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이송 스크류(9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 스크류(90)에 고정된 손잡이(92)를 회전시킴에 따라 이송 스크류(90)와 가이드 블록(70,80)이 상대이동하고, 결국 상기 가이드 블록(70,80)에 힌지 결합된 링크쌍(50,60)이 연속적으로 경사이동하면서 가이드 플레이트(30) 및 상부 플레이트(40)가 승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손잡이(92)의 회전축이 거푸집의 설치방향, 즉 거푸집의 변을 따라 연장 배치되어 있어, 기다란 상부 플레이트가 미리 설치된 상태에서는 높이조절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였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링크쌍(50,60)이 하부 플레이트(10)와 중간 플레이트(30)에 단순한 힌지결합식으로 결합되어 있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거나 또는 대하중이 작용하여 힌지부에 약간의 유격이 발생되어도 동작중 가이드 플레이트(30)가 심하게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높이조절 및 수평조절이 곤란할 수 있었다.
더욱이,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중간 플레이트(30)에서 좌우 링크쌍(50,60)이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어야만 했기 때문에 전체 장치의 부피도 커지게 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안의 목적은 거푸집의 설치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손잡이를 작동시킬 수 있어, 기다란 상판을 설치한 상태에서도 승강이동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링크의 힌지부에 다소의 유격이 있어도 회전비를 정확히 맞추어, 지지되는 부분의 흔들림이나 수평설치오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좌우 링크 사이의 거리를 짧게 유지하여 보다 콤팩트한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판(下板)과, 상기 하판 위에서 승강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지지부재와 하판에 연결되어 상부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재는, 하부가 상기 하판에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하부링크와, 상부가 상기 상부지지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링크와, 상기 하부링크와 상부링크를 서로 힌지 결합하는 힌지결합수단과, 상기 힌지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링크 및 상부링크와 함께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좌우 가이드 블록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이송나사와, 상기 이송나사에 결합된 손잡이로 구성되는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에 있어서,
상기 좌우 상부링크의 상단 둘레에는 치(齒)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맞물려 있고, 상기 좌우 하부링크의 하단 둘레에는 치(齒)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판(下板)과, 상기 하판 위에서 승강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지지부재와 하판에 연결되어 상부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재는, 하부가 상기 하판에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하부링크와, 상부가 상기 상부지지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링크와, 상기 하부링크와 상부링크를 서로 힌지 결합하는 힌지결합수단과, 상기 힌지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링크 및 상부링크와 함께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좌우 가이드 블록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이송나사로 구성되는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에 있어서,
상기 이송나사와 손잡이의 축은 45°∼135°의 범위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판(下板)과, 상기 하판 위에서 승강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지지부재와 하판에 연결되어 상부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재는, 하부가 상기 하판에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하부링크와, 상부가 상기 상부지지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링크와, 상기 하부링크와 상부링크를 서로 힌지 결합하는 힌지결합수단과, 상기 힌지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링크 및 상부링크와 함께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좌우 가이드 블록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이송나사로 구성되는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에 있어서,
상기 좌우 상부링크의 상단 둘레에는 치(齒)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맞물려 있고, 상기 좌우 하부링크의 하단 둘레에는 치(齒)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맞물려 있고, 상기 이송나사와 손잡이의 축은 45°∼135°의 범위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치는 모서리가 곡선 모따기된 사각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나사의 단부에는 제1베벨기어가 고정결합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의 축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가 고정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상부 거푸집이 놓이는 방향을 좌우방향, 그와 수직인 방향을 앞뒤방향으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1000)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판(下板)(100)과, 상기 하판(100) 위에서 승강하는 상부지지부재(400)와, 상기 하판(100)과 상부지지부재(400) 사이에 연결되어 상부지지부재(40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500)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100)은 보다 넓은 지지판을 고정시켜서 안정되게 지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500)는, 하부가 상기 하판(100)에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하부링크(510)와, 상부가 상기 상부지지부재(400)에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링크(520)와, 상기 하부링크(510)와 상부링크(520)를 서로 힌지 결합하는 힌지결합수단(530)과, 상기 힌지결합수단(530)에 의해 상기 하부링크(510) 및 상부링크(520)와 함께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 블록(540)과, 상기 좌우 가이드 블록(540)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이송나사 이송나사(550)와, 상기 이송나사(550)에 결합된 손잡이(56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링크(510)와 상부링크(520)는 앞뒤 및 좌우에 각각 1개씩 총 4개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하부링크(510)와 상부링크(520)의 강도가 크다면 좌우 1개씩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링크(510)가 용이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하판(100)에는 플랜지(1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링크(520)가 용이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상부지지부재(400)에도 플랜지(41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좌우 하부링크(510)의 일단부 둘레에는 치(齒)(515)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맞물려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우 상부링크(520)의 상단 둘레에는 치(齒)(525)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맞물려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판(100)과 상부지지부재(400)의 힌지 결합부에 미세한 유격이 발생되어도 정확한 회전비가 얻어지면서 승강이동이 흔들림없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송나사(550)의 회전력이 링크(520)(510)의 상하단부에서 한번 더 지지되면서 전달되기 때문에 흔들림이 없이 보다 견조한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나사(550)와 손잡이(560)의 축(561)은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나사(550)의 단부에는 제1베벨기어(555)가 고정결합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의 축(561)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555)와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565)가 고정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베벨기어(555), 손잡이의 축(561) 및 제2베벨기어(565)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570)이 한쪽 가이드 블록(540)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나사(550)와 손잡이(560)의 축(561)은 직교하고 있으나, 45°∼135°의 범위 내에서 교차하여도 작동의 용이성이 얻어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거푸집 받침기구를 거푸집의 설치자리를 따라 바닥이나 바닥 프레임 등에 고정 배치한다.
그리고, 상판(600)을 상부지지부재(400) 위에 올려놓고 손잡이(560)를 회전시켜서 상판(600)의 수평을 조절한다. 이는 통상적인 수평계(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560)의 축(561)이 이송나사(55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기다란 상판(600)이 미리 적재되어 있어도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물론, 상판(600)을 적재하지 않은 않은 상태에서 상부지지부재(400)의 대략적인 높이를 맞춘 후에 상판(600)을 올려 놓고 높이를 미세 조절하여도 된다.
상기 손잡이(560)를 작동시킴에 따라 상부지지부재(400)가 승강이동하는 동시에, 좌우 하부링크(510)의 치(齒)(515)와 좌우 상부링크(520)의 치(齒)(525)는 각각 맞물려서 회전하기 때문에 흔들림이 없이 안정된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예를 나타낼 뿐이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또는 수정이 있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나사(550)의 단부와 손잡이의 축(561)에 베벨기어가 각각 고정설치되어 있으나, 작동의 안정성은 다소 떨어지더라도 평기어나 헬리컬기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맞물리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송나사(550)의 단부에 평기어나 헬리컬기어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사전에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치(525)는 모서리가 곡선 모따기된 사각치로 형성되어 있지만 일반적인 기어의 치형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거푸집의 설치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손잡이의 축이 설치되어 있어, 기다란 상판을 미리 설치한 상태에서도 승강이동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등 거푸집 설치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승강시에 좌우 하부링크의 하단에 형성된 치(齒)들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고, 좌우 상부링크의 상단에 형성된 치들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기 때문에, 힌지부에 다소의 유격이 있어도 회전비를 정확히 맞출수 있고 추가적인 지지력이 확보되므로 작동시 흔들림이나 수평설치오차가 크게 줄어든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좌우 링크 사이의 거리를 짧게 유지할 수 있어 전체 부피가 줄어들기 때문에, 보다 콤팩트한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에서의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의 하강자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2에서의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의 상승자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의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받침기구를 실제 거푸집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0... 하판
110... 절곡부
400... 상부지지부재
500... 승강부재
510... 하부링크
520... 상부링크
515, 525... 치(齒)
530... 힌지결합수단
540... 가이드 블록
550... 이송나사
555, 565... 베벨기어
560... 손잡이
570... 브라켓
600... 상판

Claims (5)

  1.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판(下板)과, 상기 하판 위에서 승강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지지부재와 하판에 연결되어 상부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재는, 하부가 상기 하판에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하부링크와, 상부가 상기 상부지지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링크와, 상기 하부링크와 상부링크를 서로 힌지 결합하는 힌지결합수단과, 상기 힌지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링크 및 상부링크와 함께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좌우 가이드 블록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이송나사와, 상기 이송나사에 결합된 손잡이로 구성되는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에 있어서,
    상기 좌우 상부링크의 상단 둘레에는 치(齒)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맞물려 있고, 상기 좌우 하부링크의 하단 둘레에는 치(齒)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
  2.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판(下板)과, 상기 하판 위에서 승강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지지부재와 하판에 연결되어 상부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재는, 하부가 상기 하판에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하부링크와, 상부가 상기 상부지지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링크와, 상기 하부링크와 상부링크를 서로 힌지 결합하는 힌지결합수단과, 상기 힌지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링크 및 상부링크와 함께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좌우 가이드 블록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이송나사로 구성되는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에 있어서,
    상기 이송나사와 손잡이의 축은 45°∼135°의 범위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
  3.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판(下板)과, 상기 하판 위에서 승강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지지부재와 하판에 연결되어 상부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재는, 하부가 상기 하판에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하부링크와, 상부가 상기 상부지지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링크와, 상기 하부링크와 상부링크를 서로 힌지 결합하는 힌지결합수단과, 상기 힌지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링크 및 상부링크와 함께 힌지 결합되며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좌우 가이드 블록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이송나사로 구성되는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에 있어서,
    상기 좌우 상부링크의 상단 둘레에는 치(齒)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맞물려 있고, 상기 좌우 하부링크의 하단 둘레에는 치(齒)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맞물려 있고, 상기 이송나사와 손잡이의 축은 45°∼135°의 범위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치는 모서리가 곡선 모따기된 사각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나사의 단부에는 제1베벨기어가 고정결합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의 축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가 고정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
KR20-2005-0011674U 2005-04-26 2005-04-26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 KR2003894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674U KR200389478Y1 (ko) 2005-04-26 2005-04-26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674U KR200389478Y1 (ko) 2005-04-26 2005-04-26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478Y1 true KR200389478Y1 (ko) 2005-07-14

Family

ID=43690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674U KR200389478Y1 (ko) 2005-04-26 2005-04-26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4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721B1 (ko) * 2020-04-09 2021-08-18 김동선 플렉서블 거푸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721B1 (ko) * 2020-04-09 2021-08-18 김동선 플렉서블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170B1 (ko) 패널 지지 브라켓
US20080111040A1 (en) Column hung shoring bracket and slab support truss system
JP4966977B2 (ja) 改良された建設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KR101691525B1 (ko) 레고형 대차 동바리
US20220274804A1 (en) Connecting mechanism, elevator shaft module and elevator system
US20110302854A1 (en) Floor leveling system
CN111058647B (zh) 一种装配式建筑墙体与叠合梁一体化支护结构
JP3602541B2 (ja) 枠組み又は任意には該枠組み上に載っている建物の一部分と一緒の枠組みの昇降装置
KR200389478Y1 (ko)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기구
CA2758244C (en) Assembly system for modular building units
KR100945426B1 (ko) 건축용 폼 상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 벽면동시 시공방법
JP2014152027A (ja) 段積み段ばらし装置
CN213143786U (zh) 一种顶升传动机构
CA2440612A1 (en) Column hung shoring bracket and slab support truss system
CN112112403A (zh) 一种顶升传动机构
JP2002276167A (ja) 傾斜構造物設置工法用サポート及び傾斜構造物の設置工法
JPH1018598A (ja) ハウスアップ装置
US200201947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pre-cast panel to a structure
CN117684674A (zh) 一种基于装配式建筑的保温防裂型外墙板
KR200167489Y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 수평 받침구
CN218911767U (zh) 一种框架建筑用加固型支撑底座
KR101578563B1 (ko)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이용한 중량물 자세 조정용 정반
EP3689689A1 (en) Cart-like platform
JP2017227016A (ja) 梁主筋の移動治具
JP2008025244A (ja) 立体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