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453Y1 - 배터리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은이온수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은이온수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453Y1
KR200389453Y1 KR20-2005-0010951U KR20050010951U KR200389453Y1 KR 200389453 Y1 KR200389453 Y1 KR 200389453Y1 KR 20050010951 U KR20050010951 U KR 20050010951U KR 200389453 Y1 KR200389453 Y1 KR 200389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ionized water
silver ionized
water generato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태흥
Original Assignee
함태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태흥 filed Critical 함태흥
Priority to KR20-2005-0010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4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4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5Devices for dosing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laundry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은이온수 발생장치에 내장된 배터리에서 방출되는 배터리 가스를 은이온수 발생장치가 밀폐된 상태에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개선된 배터리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은이온수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전원부(20)에서 회로부(30)를 통해 은이온수발생부(40)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배터리전원부(20)가 플러스단자(21)와 마이너스단자(22)를 구비하는 배터리수납부(23)에 낱개의 배터리(60)가 수납되며 배터리수납부(23)는 덮개부재(50)에 의해 밀폐되는 은이온수 발생장치(10)로서; 상기 덮개부재(50)에는 통기공(51)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통기공(51)에는 내부에서 외부쪽으로 가스가 통과되고 외부에서 내부쪽으로는 액체가 통과되지 않게 차단되는 공지 소재의 고어텍스부재(52)에 의해 차폐되도록 고정되게 하여 배터리 가스가 배터리수납부(23)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은이온수 발생장치{battery gas exhaust was possible silver- ion water occurrence device}
본 고안은 은이온수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은이온수 발생장치에 사용되는 배터리에서 자연적으로 방출되는 미량의 배터리 가스를 방수,방습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배터리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은이온수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이온수 발생장치는 세면대, 샤워실, 싱크대 등과 같이 물과 접촉되는 곳에 설치되기 때문에 물이나 습기로부터 완전히 차단되는 밀폐 또는 방수처리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은이온수 발생장치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전원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샤워나 세면 및 설거지 후에 젖은 손으로 전원플러그를 뽑게 되고 이에 따른 감전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어린아이들에 경우 보호자 없이 샤워나 세면을 하는 경우 부주의에 의해 콘센트에 물이 침투하게 되어 전기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은이온수 발생장치 내부에 배터리를 내장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배터리에서는 미량의 배터리 가스가 자연적으로 방출되고 있으며, 내부와 외부가 차폐되게 구성된 은이온수 발생장치 내부에는 배터리 가스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점차 축적되어 퍼지게 되고, 그로 인해 회로부 등에서 스파크 발생시 화재 및 폭발 위험성이 있다.
상기한 배터리 가스방출은 이미 공지된 사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배터리가 설치된 은이온수 발생장치에 안전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은이온수 발생장치에 내장된 배터리에서 방출되는 배터리 가스를 밀폐된 상태에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개선된 배터리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은이온수 발생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미연에 안전사고 예방을 도모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터리전원부에서 회로부를 통해 은이온수발생부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배터리전원부가 플러스단자와 마이너스단자를 구비하는 배터리수납부에 낱개의 배터리가 수납되며 배터리수납부는 덮개부재에 의해 밀폐되는 은이온수 발생장치로서; 상기 덮개부재에는 통기공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통기공에는 내부에서 외부쪽으로 가스가 통과되고 외부에서 내부쪽으로는 액체가 통과되지 않게 차단되는 공지소재의 고어텍스부재에 의해 차폐되도록 고정되게 하여 배터리 가스가 배터리수납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기공 외측 테두리부분이 물방울이 흘러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어텍스부재는 통기공 내측에서 덮개부재에 고주파 접착되어 고정되게 구성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어텍스부재는 통기공 내측 외주면에 형성된 링홈에 끼워지는 고정링에 의해 외주연부가 가압되게 끼워져서 고정되게 구성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재 내면에는 배터리와 덮개부재 사이에 가스가 배출되게 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시키기 위해 다수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되는 은이온수 발생장치(10)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은이온수 발생장치(10) 내부에 배터리전원부(20)를 구비하여 회로부(3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부(30)는 공급받은 전압과 전류를 일정하게 제어하여 물이 입수되는 입수관(41)과 은이온수가 출수되는 출수관(42)으로 구성된 은이온수발생부(40)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은이온수발생부(40)는 전기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물속에서 은(銀)이 분해되게 하여 은물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은이온수발생부(40)는 이미 알려진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전원부(20)에는 플러스단자(21)와 마이너스단자(22)를 구비하는 배터리수납부(23)가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수납부(23)에는 배터리(60)가 낱개로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덮개부재(50)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재(50)는 고정나사(53)에 의해 배터리전원부(20)에 설치된다. 부호 54는 기밀을 위한 패킹이고, 부호 12는 걸이구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배터리전원부(20)의 플러스,마이너스단자(21,22)와 전선(24)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회로부(30)는 음이온수발생장치(10) 외면부에 설치된 콘트롤부(11)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재(50)에는 배터리 가스가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통기공(51)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51) 내측으로 배터리 가스의 방출은 가능하지만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물을 차단하는 고어텍스부재(52)에 의해 차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어텍스부재(52)는 통기공(51) 내측에서 덮개부재(50)에 고주파 접착에 의해 고정되게 구성된다.
상기 고어텍스부재(52)는 합성수지제로 된 방수가공 원단이기 때문에 합성수지제로 된 덮개부재(50)와 고주파 접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고어텍스부재(52)는 방수가공 원단으로 알려진 고어텍스(Gore-tex)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학계에서는 고어텍스원단이라고도 일컬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고어텍스(Gore-tex)원단은 열이나 약품에 강한 테플론계(系) 수지(樹脂)를 늘려서 가열하여 무수한 작은 구멍을 뚫은 아주 얇은 막으로 이 재질은 1평방인치당 90억개 이상의 미세한 구멍을 가지며, 액체(물) 분자보다 2만배 이상 작기 때문에 물방울이 통과할 수 없으며, 기체 분자보다는 700배 이상 큰 구멍구조를 가진 방수원단이기 때문에 기체와 같은 공기(가스)는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공기(가스)는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며 액채(물)는 외부에서 내부로 침투 못하도록 된 소재이다.
그리고 이미 우리가 흔히 아는 등산용,사냥용 이외에도 소방서,경찰,군특수부대,우주복,의료용품 등 여러곳에 쓰이고 있으며 숨쉬(breathable)는 원단이란 뜻을 가지고 있는 소재로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있어 고어택스부재(52)를 통해서 안쪽에서 발생되는 배터리 가스는 밖으로 배출 가능하지만 물은 밖에서 안쪽으로 침투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덮개부재(50) 내면에 다수의 돌기(56)를 형성하여 설치시에 배터리(60)와 덮개부재(50) 사이에 공간부(57)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이때, 공간부(57)는 배터리(60)에서 자연적으로 방출되는 배터리 가스가 고어텍스부재(52)를 통과해 통기공(51)으로 원만히 배출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또한, 통기공(51) 외측 테두리부분에 형성된 경사면(55)은 덮개부재(50)의 표면에 결로현상으로 발생되는 물방울이 그 표면을 타고 흘러 내리게 될 경우 물이 경사면(55)을 타고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어텍스부재(52)를 덮개부재(50)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덮개부재(50)의 통기공(51) 내측 외주면에 링홈(58)이 형성되고, 상기 링홈(58)에 끼워지게 되는 고정링(59)이 구비된다.
고어텍스부재(52)는 고정링(59)과 링홈(58) 사이에서 외주연부가 가압된 상태로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재(50)에 끼움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고어텍스부재(52)는 착탈이 가능하게 이루어 짐으로서 사용자가 손쉽게 교체작업을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 배터리전원부에서 자연발생되는 배터리 가스가 외부(대기)로 배기 되기 때문에 은이온수 발생장치에서 스파크가 발생되더라도 가스 폭발 및 화재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안전성이 도모되고 제품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은이온수 발생장치를 설명하는 전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실시된 은이온수 발생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배출 상태를 설명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어텍스부재의 고정수단을 보인 다른 실시예이고,
도 6은 도 5에 보인 고정수단의 일부 절개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은이온수 발생장치 20 : 배터리전원부
21 : 플러스단자 22 : 마이너스단자
23 : 배터리수납부 30 : 회로부
40 : 은이온수발생부 50 : 덮개부재
51 : 통기공 52 : 고어텍스부재
55 : 경사면 56 : 돌기
57 : 공간부 58 : 링홈
59 : 고정링 60 : 배터리

Claims (5)

  1. 배터리전원부(20)에서 회로부(30)를 통해 은이온수발생부(40)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배터리전원부(20)가 플러스단자(21)와 마이너스단자(22)를 구비하는 배터리수납부(23)에 낱개의 배터리(60)가 수납되며 배터리수납부(23)는 덮개부재(50)에 의해 밀폐되는 은이온수 발생장치(10)로서;
    상기 덮개부재(50)에는 통기공(51)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통기공(51)에는 내부에서 외부쪽으로 가스가 통과되고 외부에서 내부쪽으로는 액체가 통과되지 않게 차단되는 공지 소재의 고어텍스부재(52)에 의해 차폐되도록 고정되게 하여 배터리 가스가 배터리수납부(23)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은이온수 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51) 외측 테두리부분이 물방울이 흘러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55)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은이온수 발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어텍스부재(52)가 통기공(51) 내측에서 덮개부재(50)에 고주파 접착시켜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은이온수 발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어텍스부재(52)는 통기공(51) 내측 외주면에 형성된 링홈(58)에 끼워지는 고정링(59)에 의해 외주연부가 가압되게 끼워져서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은이온수 발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50) 내면에는 배터리(60)와 덮개부재(50) 사이에 가스가 배출되게 하기 위한 공간부(57)를 형성시키기 위해 다수의 돌기(56)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은이온수 발생장치.
KR20-2005-0010951U 2005-04-20 2005-04-20 배터리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은이온수 발생장치 KR200389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951U KR200389453Y1 (ko) 2005-04-20 2005-04-20 배터리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은이온수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951U KR200389453Y1 (ko) 2005-04-20 2005-04-20 배터리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은이온수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453Y1 true KR200389453Y1 (ko) 2005-07-18

Family

ID=4369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951U KR200389453Y1 (ko) 2005-04-20 2005-04-20 배터리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은이온수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4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821A1 (ko) * 2016-08-10 2018-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각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821A1 (ko) * 2016-08-10 2018-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각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팩
KR20180017695A (ko) * 2016-08-10 2018-0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각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팩
KR102075101B1 (ko) * 2016-08-10 2020-03-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각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6149B2 (en) Liquid presence detecting device functioning also as power supply, and air improving device having the same
TW201735803A (zh) 電源組合、非燃燒型香味吸嚐器及非燃燒型香味吸嚐系統
US20160218490A1 (en) Ion generation apparatus and electrical equipment
US20140047981A1 (en) Ventilation unit
JP2007027011A (ja) 電源装置
EP4286029A2 (en) Sterilization module, water purifying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water purifying device
KR200389453Y1 (ko) 배터리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은이온수 발생장치
US20230180844A1 (en) Electronic vaporization device
KR20160035835A (ko)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KR200488053Y1 (ko)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 및 배출하는 공기살균장치
KR102088566B1 (ko) 고체 산소 발생기 및 이를 가진 고체 산소 발생 장치
KR200487768Y1 (ko) 가정용 및 차량용 공기살균장치
CN201117574Y (zh) 电磁继电器的防水透气结构
CN212596708U (zh) 雾化组件和便携式消毒器
CN209922892U (zh) 一种手持式臭氧发生器
CN210574113U (zh) 门铃组件
US20130128600A1 (en) Maritime light source
CN209900444U (zh) 美容仪
CN217247918U (zh) 电解除湿器及车载灯具
CN217473118U (zh) 一种应用于安防监控的主动除湿装置
CN215474372U (zh) 安全性高的车载雾化器
KR102216314B1 (ko) 휴대용 향발산 산소발생 장치
CN211429540U (zh) 修复熏壶
CN216216932U (zh) 基于纳米水离子净化的多功能网关设备
CN217473119U (zh) 一种应用于安防监控的主动除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