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300Y1 - 4접점키버튼을갖는다이얼패드 - Google Patents

4접점키버튼을갖는다이얼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300Y1
KR200389300Y1 KR20050011620U KR20050011620U KR200389300Y1 KR 200389300 Y1 KR200389300 Y1 KR 200389300Y1 KR 20050011620 U KR20050011620 U KR 20050011620U KR 20050011620 U KR20050011620 U KR 20050011620U KR 200389300 Y1 KR200389300 Y1 KR 200389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ontact
buttons
key butt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11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석
Original Assignee
이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석 filed Critical 이주석
Priority to KR20050011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3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이나 각종 소형 휴대기기의 사용에 있어서 숫자나 문자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4접점 키버튼을 갖는 다이얼 패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같은 버튼을 여러 번 눌러 사용하는 키버튼에는 시간낭비와 손가락의 통증이 있었고, 3접점 키버튼에는 3개의 접점 밖에 없었다. 게다가 여러 개의 키버튼을 설치하면 각 버튼의 간격이나 너무 많은 버튼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혼란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1개의 버튼에 4개의 누름점이 형성된 4접점 키버튼을 이용하여 각각의 누름점에 따라 고유 문자나 숫자를 부여함으로서 한 번의 누름동작으로 원하는 문자를 신속 정확하게 입력시키고, 3접점 키버튼 보다 1개의 접점을 추가시킴으로 더 많은 입력키를 생성할 수 있으며, 버튼을 + 와 × 로 혼합 배열함으로서 공간의 효율적 사용과 이웃버튼 과의 문자입력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4접점키버튼을갖는다이얼패드{Dialpad with four-input key buttons}
본 고안은 휴대폰이나 각종 소형 휴대기기의 사용에 있어서 숫자나 문자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4접점 키버튼을 갖는 다이얼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화기나 휴대기기는 12개의 숫자 버튼과 3~5개의 기능키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문자나 숫자를 입력할 때에는 프로그램된 순서에 의해 키버튼 누름동작을 통해 한글의 자음, 모음 영어 알파벳을 입력한다.(도9)
그러나 상기 방식은 여러번의 키버튼을 조작하여 문자를 선택 입력하는 것이므로 버튼을 조작함에 있어 버튼조작의 번거로움이 내제되어 있다. 물론 천지인방식과 문자배치방식을 변형함으로써 좀더 신속한 문자입력을 위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 방법도 문자를 여러번 조작해야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등록된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 0313336호에는 다중버튼을 갖는 다이얼패드를 제공하는 전화기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전화기는 기존 버튼의 상하좌우에 각각별도로 분리된 보조버튼을 형성하는 것이다.(도10)
또한 등록된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 0269601에는 3접점의 버튼을 갖는 전화기를 제시하고 있다. 이 실용신안은 버튼은 막대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 버튼내에 3개의 접점을 가지고 있다.(도8)
그러나 상기의 개선된 방식인 다중버튼을 갖는 다이얼 패드는 너무 많은 키버튼으로 인해 사용자에게는 혼란을 기기의 입장에서는 공간사용의 비효율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3접점 키버튼도 더 다양한 키버튼의 입력의 한계와 공간사용의 비효율성에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1개의 버튼에 4개의 누름점이 형성된 4접점 키버튼을 제공하여 각각의 누름점에 따라 고유 문자나 숫자를 부여함으로서 한 번의 누름동작으로 원하는 문자를 신속 정확하게 입력시키고, 3접점 키버튼 보다 1개의 접점을 추가시킴으로 더 많은 입력키를 생성하며, 버튼을 + 와 × 로 혼합 배열함으로서 공간의 효율적 사용과 이웃버튼 과의 문자입력의 오류를 최소화하는 장치의 제공함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위한 본 고안의 4접접 키버튼을 갖는 다이얼패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5에서 4접점을 키버튼을 갖는 다이얼 패드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하나의 버튼에 숫자(0 ~ 9, *, #)를 비롯하여 한글 자모음, 알파벳 및 특수키가 하나의 버튼에 포함된 것이다. 이 하나의 버튼에는 4개의 접점이 형성된다.
도 1은 “+” 형태의 4접점 키버튼의 윗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버튼에는 4개의 접점이 제공됨으로써 버튼의 수를 늘리지 않고도 일반 전화기 보다 4배 많은 버튼을 가질 수 있고 3접점 키버튼 보다는 12개 이상의 추가된 접점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 메뉴 버튼으로 한 접점에도 2개 이상의 입력키가 존재할 수 있음을 고려하면 하나의 버튼에 최대 8개의 입력키를 넣을 수 있다. 이것은 8개의 입력키를 가질 수 있는 12개의 버튼으로 96개의 조합을 이끌어 낼 수 있다. 기존의 일반버튼 84개(96-12)의 이득이 있고 3접점 키버튼 36개(=12×3)의 조합보다는 60(=96-36)개의 이득이 있다.
도1은 7개의 다른 입력 변수들이 한 버튼에 포함된 예이다.
도 4에서는 4접점 키버튼을 이용한 다이얼 패드를 나타내고 있다.
알파벳: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한글자음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g
한글모음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l , ㅔ(ㅖ), ㅐ(ㅒ)
특수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숫자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0 , * , #
함수키 : enter , back , menu , end , shift , alt , 한/영 , ctrl, ←, ↑ , → , ↓
도 3에서와 같이 버튼의 밑면에는 누름점(2)이 4각형 형태로 상호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키버튼의 가운데에 중심 버팀축(3)이 존재함으로서 다른 쪽의 문자입력의 오류를 최소화하였다.
도 6에서와 같이 + x 의 키버튼을 번갈아 배치함으로서 다중 다이얼패드(도 10)에서 생기는 비효율적인 공간의 사용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획일적인 키버튼이 아닌 여러종류의 키버튼을 구성함에 있어서도 훨씬 더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나 이 4접점 키버튼은 영문자를 입력할 때 큰 이점이 있다. 대부분의 단말기에는 한 버튼에 3개의 영문자가 있다.(도9)
가령 ‘ccc’ 라는 문자를 입력한다면
도 9에서와 같이 <숫자2>의 버튼에 ABC가 포함되어있다
① 메뉴에서 ②영/한 변환을 한 후 ③ <숫자2> 버튼 3번 누르고 ④ 다시 숫자버튼을 3번 누르고 ⑤ 한 번더 숫자버튼을 3번 누르는 도합 11번의 입력버튼의 누름이 필요하다.
반면에 고안된 4접점 키버튼(도5)으로는 단순히
① 영/한 변환 후 ② <숫자2>버튼의 ↖화살표 방향을 세 번 누름으로 도합 4번의 누름으로 끝낼 수 있다.
물론 다중 다이얼 패드 역시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지만 점차 경량화되고 소형화되는 휴대기기에 너무나도 복잡하게 많은 키들이 존재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혼란이 가중되고 기기의 입장에서는 버튼이 작아질수록 그 버튼을 구분하기 위해 버튼간의 간격이 넓어져야 하므로 공간의 비효율적 사용이 야기된다. 따라서 4접점 키버튼갖는 다이얼 패드가 다중다이얼패드보다 휴대기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일반 소비자 및 컴퓨터에 익숙한 소비자에게 기존의 것보다 훨씬 다양하고 컴퓨터의 키보드와 동일/유사한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키버튼을 제공하되 외형상으로는 키버튼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종래의 여러 번 반복하여 누름으로써 문자를 선택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문자의 입력 가능하게 하며 공간의 사용에 있어서도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게다가 단순한 모양으로 인해 단조로웠던 키버튼에 다양한 문양(꽃, 원, 네잎클로버, 십자가, 곱하기, 나누기 등등)을 넣을 수 있어 외양상으로도 훨씬 더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는 고안이다. (도 7)
도 1은 "+" 자 형태의 4접점 키버튼 윗면도
도 2는 "×" 자 형태의 4접점 키버튼 윗면도
도 3은 "+" 자 형태의 4접점 키버튼 밑면도
도 4은 4접점 키버튼의 사시도
도 5는 4접점 키버튼의 배치예
도 6는 4접점 키버튼의 혼합배치예
도 7은 여러 가지 4접점 키버튼의 응용
도 8은 선등록된 3접점 키버튼
도 9는 기존의 다이얼 패드
도 10은 선등록된 다중 다이얼패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설명>
1. 4접점 키버튼 2. 4개의 입력 접점
3. 키버튼의 중심축 4. 본고안의 4접점 키버튼 다이얼패드

Claims (3)

  1. 문자를 입력하기위한 다이얼 패드에 있어서 숫자버튼, 한글 자음/모음버튼, 특수키 버튼, 함수키버튼이 하나의 4접점을 갖는 키버튼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4접점 키버튼을 갖는 다이얼 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4접점을 갖는 키버튼은 중심에 하나의 버팀축과 “+” 나 “×”의 형태로 4개의 접점을 갖는 키버튼.
  3. 청구항 2에 있어서 4접점 키버튼을 휴대용 소형기기의 좁은 공간에 배치함에 “+” 나 “×” 형태를 혼합 배치함으로 비효율적인 공간의 사용과 입력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안된 4접점 키버튼을 갖는 다이얼 패드.
KR20050011620U 2005-04-26 2005-04-26 4접점키버튼을갖는다이얼패드 KR200389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1620U KR200389300Y1 (ko) 2005-04-26 2005-04-26 4접점키버튼을갖는다이얼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1620U KR200389300Y1 (ko) 2005-04-26 2005-04-26 4접점키버튼을갖는다이얼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300Y1 true KR200389300Y1 (ko) 2005-07-07

Family

ID=40527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11620U KR200389300Y1 (ko) 2005-04-26 2005-04-26 4접점키버튼을갖는다이얼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3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070B1 (ko) 2006-04-25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08150084A2 (en) * 2007-06-04 2008-12-11 Dong Joo Kim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070B1 (ko) 2006-04-25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08150084A2 (en) * 2007-06-04 2008-12-11 Dong Joo Kim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WO2008150084A3 (en) * 2007-06-04 2009-01-29 Dong Joo Kim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9300Y1 (ko) 4접점키버튼을갖는다이얼패드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200313336Y1 (ko) 다중버튼을 갖는 다이얼패드
KR100432267B1 (ko) 간편한 한글자판
KR100637745B1 (ko) 한글 키패드
KR100451191B1 (ko) 휴대단말기용 키 패드의 한글 문자 배열 구조
KR200269602Y1 (ko) 소형 키패드용 3분할 사용가능 키버튼
KR20010091356A (ko) 휴대전화기의 효율적인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KR20060107646A (ko) 디지털 단말기 한글입력시스템
KR20060026830A (ko) 휴대용 키패드 시스템
KR20070031076A (ko)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20030054449A (ko) 3접점 키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및 배열 방법
KR200340166Y1 (ko) 정보기기의 자판입력부
KR200269601Y1 (ko) 소형 키패드용 3접점 키버튼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20001918A (ko) 전화기와 상기 전화기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KR20010060266A (ko) 문자입력 패널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KR20060091359A (ko) 한글 입력 방법
KR200290008Y1 (ko) 지그재그형 다접점 키버튼
WO2000073886A1 (fr) Clavier ergonomique conçu pour un fonctionnement avec une seule main
KR20000054571A (ko) 휴대전화기 숫자판에서의 한글입력법
JP4341822B2 (ja) 入力装置
KR200276554Y1 (ko) 3접점 키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KR20030071601A (ko) 통신 수단의 정보 입력 장치
KR101084692B1 (ko) 영어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