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474Y1 - Suction Duct - Google Patents

Suction 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474Y1
KR200387474Y1 KR20-2005-0007175U KR20050007175U KR200387474Y1 KR 200387474 Y1 KR200387474 Y1 KR 200387474Y1 KR 20050007175 U KR20050007175 U KR 20050007175U KR 200387474 Y1 KR200387474 Y1 KR 200387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duct
fiber
intake
segment
melt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17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카즈오 후지하라
야스오 사카키바라
요시카즈 히로세
타카히로 코모리
히토시 키노
젠이치 야스다
히데토시 이시하라
쿠니야스 이토
마사루 하토리
Original Assignee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20-2005-0007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47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474Y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14Materials for intake systems
    • F02M35/10334Foams; Fabrics; Porous media; Laminates; Ceramics;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4Manufacturing and assembling intake systems
    • F02M35/10347Moulding, casting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의 흡기 덕트에서 흡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분은 부직포 섬유의 주조 몸체로 형성된다. 부직포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를 포함한다.In the intake 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take duct is formed of a cast body of nonwoven fibers. Nonwoven fibers include thermoplastic binders.

Description

흡기 덕트{Suction Duct}Suction Duct

본 고안은 엔진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로서의 흡기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를 흡입할 때 소음이 적은 흡기 덕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ake duct as a passage for supplying air to an eng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ake duct with less noise when inhaling air.

(종래 기술)(Prior art)

자동차 엔진의 흡입 시스템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 호스, 흡기 덕트 등에 있어서 공기가 흡입될 때 소음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흡입 소음은 특히 낮은 엔진 속도에서 더 크다. 그러므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 덕트(200)내에 측지관(201) 및/또는 공명장치(20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헬름홀츠 이론 등에 기초하여 계산된 특정한 공명 주파수에서 소음이 감소된다.In the intake system of an automobile engin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noise is generated when air is inhaled in an air cleaner hose, an intake duct, and the like. This intake noise is especially loud at low engine speeds. Therefore, as shown in FIG. 25, a geodetic tube 201 and / or a resonance apparatus 202 are provided in the intake duct 200, whereby noise is reduced at a specific resonance frequency calculated based on the Helmholtz theory or the like. .

그러나, 이러한 측지관(201)은 가장 긴것은 약 30cm가 되고, 공명장치(202)는 가장 큰 것이 14 리터의 체적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러한 소음 흡수 장치에 의해 점유되는 엔진 룸의 공간이 증가하게 되고 다른 부품을 장착하는 자유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낳는다.However, this geodetic tube 201 is about 30 cm long and the resonator 202 has a volume of 14 liters, the largest. Therefore, the space of the engine room occupied by such a noise absorbing device is increased, resulting in a lower freedom of mounting other components.

그러므로, JP-U-64-22866호는 흡기 덕트내에 배열된 구멍과 흡기를 감소시켜 흡기 소음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흡기 통로를 좁게함으로써, 음량은 저역 톤 영역의 흡기 소음이 감소시킬 수 있도록 증가한다.Therefore, JP-U-64-22866 discloses a method for reducing intake noise by reducing holes and intake air arranged in the intake duct. By narrowing the intake passages, the volume increases so that the intake noise in the low tone region is reduced.

또한, JP-U-3-43576호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평행하게 연결된 두개의 흡기 덕트를 구비하며, 측지관은 각각 두개의 흡기 덕트로부터 분지되고, 모든 측지관은 공통의 공명장치에 결합되어 있는 흡기 소음 감소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흡기 소음 감소 장치는 하나의 흡기 덕트내의 측지관 연결부의 상류측상에 구비되어 있고 운행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온-오프 밸브를 더 포함한다.JP-U-3-43576 also has two intake duct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air cleaner case, each geodetic branch is branched from two intake ducts, and all geodetic tubes are coupled to a common resonator. An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is disclosed. The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n on-off valve provided on an upstream side of the geodetic pipe connection in one intake duct and selectively open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ng conditions.

상기 JP-U-3-43576호에 개시된 장치에 따라서, 온-오프 밸브는 다수의 흡기 덕트가 하나 또는 둘에 스위치되도록 엔진 속도에 따라서 제어된다. 그러므로, 흡입된 공기량은 엔진 속도에 따라 제어가능하고, 흡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disclosed in JP-U-3-43576, the on-off valv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engine speed so that a plurality of intake ducts are switched to one or two. Therefore, the intake air amount is controllable in accordance with the engine speed, and the intake noise can be reduced.

그러나, 상기 방법에 있어서 흡기 통로가 좁다는 것은 흡입된 공기의 양이 높은 엔진 속도에서 충분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고 이에 의해 엔진 출력이 낮아진다.However, the narrow intake passage in this method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amount of air sucked in is not sufficient at high engine speeds, thereby lowering engine power.

또한, 상기 JP-U-3-43576호에 개시된 장치에 있어서, 전자 제어 회로, 전자기 온-오프 밸브, 다이어프램 액츄에이터 등이 온-오프 밸브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이들은 단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전자 제어 회로, 전자기 온-오프 밸브 등이 필요하고, 상기 장치는 복잡하고 단가가 비싸게 될 뿐만아니라 유지보수에 다수의 인력이 필요하게 된다.Further, in the apparatus disclosed in JP-U-3-43576, an electronic control circuit, an electromagnetic on-off valve, a diaphragm actuator, and the like are used to drive the on-off valve. These are undesirable in terms of unit cost. In addition, electronic control circuits, electromagnetic on-off valves, and the like are required, and the apparatus is not only complicated and expensive, but also requires a large number of manpower for maintenance.

본 고안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흡입 통로를 가늘게 하지 않으면서 전자 제어 회로, 전자기 온-오프 밸브 등을 가지지 않으면서 낮은 엔진 속도에서 흡기 소음을 간단하고 낮은 단가의 구조로 낮출 수 있으며, 고속 엔진 속도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충분하게 할 수 있는 흡기 덕트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view of such a situation,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and low cost intake noise at low engine speed without having an electronic control circuit, electromagnetic on-off valve, etc. without thinning the intake passage. It is possible to lower the structure and to provide an intake duct capable of sufficient amount of air supplied at a high engine speed.

본 고안에 따른 흡기 덕트는 덕트벽의 적어도 일부분이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와 자동차의 외측 공기 흡입측 사이에 배열된 흡기 덕트가 부직포 섬유로 주조된 몸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ake duct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duct wall is arranged between the intake manifold of the engine and the outside air intake side of the vehicle is formed of a body made of nonwoven fabric.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PP(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은 상기 부직포 섬유를 구성하는 섬유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섬유 변화, 질, 값 등의 관점에서 PET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PP (polypropylene) fibers and the like are used as 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PET fibers in terms of fiber change, quality, value and the like.

또한, 98 Pa의 압력차를 가진 공기의 경우에 주조 몸체의 1 ㎡ 당 침투도는 상기 흡기 덕트에서는 6,000 ㎥/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침투도"의 의미는 시편에 의해 흡입된 두개의 챔버 사이의 압력차가 98 Pa로 설정될 때 단위 시간당 및 단위 면적당 시편을 통하여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의미한다.Further, in the case of air having a pressure difference of 98 Pa, the permeability per m 2 of the casting body is preferably 6,000 m 3 / h or less in the intake duct. By “permeability” here is meant the amount of air that passes through the specimen per unit time and per unit area when the pressure differential between the two chambers sucked by the specimen is set to 98 Pa.

상기한 흡기 덕트는 덕트벽 전체가 주조 몸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직포 섬유는 융점을 달리하는 고융점 열경화성 수지로 된 고융점 섬유(제 1섬유)와 고융점 섬유보다 낮은 용융점을 가진 저융점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며, 부직포 섬유에 대한 저융점 섬유(제 2섬유)의 비율은 고융점 섬유보다 높다.Preferably, the intake duc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ntire duct wall is formed of a cast body, and the nonwoven fabric has a melting point lower than that of the high melting point fiber (first fiber) and the high melting point fiber of high melting point thermosetting resin having different melting points. The low melting point thermosetting resin is included, and the ratio of the low melting point fiber (second fiber) to the nonwoven fiber is higher than that of the high melting point fiber.

흡기 덕트가 압축 성형에 의해 주조된 경우에, 여기에서 "저융점" 이라는 의미는 용융점이 압축 성형 온도보다 낮은 것을 의미하며, 한편으로 "고융점"이라는 의미는 융점이 압축 성형 온도보다 높은 것을 의미한다.In the case where the intake duct is cast by compression molding, the term "low melting point" here means that the melting point is lower than the compression molding temperature, while "high melting point" means that the melting point is higher than the compression molding temperature. do.

또한, 흡기 덕트는 덕트벽이 주조된 몸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부직포 섬유는 고융점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된 코어 물질에 의해 구성된 열경화성 수지와 코어 물질의 표면상에 적용되고 코어 물질보다 낮은 용융점을 가진 저융점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코팅층의 용적은 코어 물질보다 크다.Also, the intake duc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uct wall is formed into a cast body and the nonwoven fiber is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thermosetting resin and the core material constituted by the core material composed of the high melting point thermosetting resin and has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core material. A coating layer composed of a low melting thermosetting resin, the volume of the coating layer being greater than the core material.

상기한 흡기 덕트의 주조된 몸체는 소정의 기능이 주어져 있는 기능층을 가진 부직포 섬유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기능층은 방수층이다.The cast body of the intake duct may be formed of nonwoven fibers having a functional layer given a predetermined function. Preferably this functional layer is a waterproof layer.

또한, 본 고안에 따라서, 실제적으로 반원원형인 단면 형상을 가지며 합성 수지로 제조된 몰드에 의해 구성된 제 1 세그먼트와 실제적으로 반원원형인 단면 형상을 가지며 부직포 섬유로 제조된 주형에 의해 구성된 제 2 세그먼트를 구비한 흡기 덕트가 형성되며,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세그먼트는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first segment composed of a mold made of synthetic resin and a second segment composed of a mold made of nonwoven fabric, having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 intake duct is forme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본 고안의 고안자들은 흡기 덕트의 재료와 그 재료에서 발생되는 소음사이의 관계를 면밀히 연구하였다. 그 결과, 덕트벽이 소정의 침투성을 가진 침투성 재료로 형성될 때 흡입 소음이 현저하게 감소되도록 정재파가 발생하기 곤란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refully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ial of the intake duct and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material.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standing waves are difficult to generate so that the suction noise is significantly reduced when the duct wall is formed of a permeabl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perme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based on this finding.

공기를 흡입할 때 발생되는 소음은 흡기 덕트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음향 정재파에 의해 야기된다. 정재파 주파수는 흡기 덕트의 길이, 직경 및 재질 등에 따라 다르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라서, 흡기 덕트의 덕트벽의 적어도 일부분은 부직포 섬유로 된 주조 몸체로 형성된다.Noise generated when inhaling air is caused by acoustic standing waves generated inside the intake duct. The standing wave frequency depends on the length, diameter and material of the intake duct.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part of the duct wall of the intake duct is formed of a cast body of nonwoven fibers.

부직포 섬유로 주조된 몸체로 형성된 덕트에 의해 흡입 소음이 어떻게 감소되는지 상세히 공지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다음의 세가지 이유가 고려된다.It is not known in detail how suction noise is reduced by a duct formed from a body cast from nonwoven fibers. However, three reasons are considered.

(i) 부직포 섬유가 탄성체이기 때문에 진동을 흡수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에 의해 음파가 덕트벽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 제한된다.(i) Since the nonwoven fabric is an elastic body, it has an effect of absorbing vibration, whereby sound waves are restricted from being generated by vibration of the duct wall.

(ii) 부직포 섬유의 섬유 사이의 틈으로 들어오는 다수 음파의 에너지가 갭들의 열전도와 점도 효과에 의해 약화된다. 또한, 섬유 자체가 음압의 파동에 공명되고 이에 의해 소리 에너지가 감쇠된다.(ii) The energy of multiple sound waves entering the gaps between the fibers of the nonwoven fibers is weakened by the thermal conduction of the gaps and the viscosity effect. In addition, the fibers themselves resonate in waves of sound pressure, thereby attenuating sound energy.

(iii) 적어도 덕트벽의 일부분이 어느 정도의 침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음파는 부분적으로 덕트벽을 통하여 통과하고 이 때문에 정재파가 발생되는 것이 제한된다.(iii) Since at least a part of the duct wall has some degree of permeability, the sound wave passes in part through the duct wall, which limits the generation of standing waves.

흡입 소음은 이들 이유에 의한 상승 효과에 의해 감소된다고 생각된다.Inhalation noise is thought to be reduced by the synergistic effect for these reasons.

그러나, 부직포 섬유 주조 몸체의 침투도가 너무 높으면 흡기 덕트내의 음파덕트벽을 관통하고 외측으로 누설되고 이에 의해 소음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98 Pa의 압력차를 가진 공기에 대한 1 ㎡ 당 공기 침투도는 6,000 ㎥/h 보다 크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 면적당 6,000 ㎥/h 이하인 공기 침투도는 물론 98 Pa의 압력차를 가진 공기의 경우에 대한 한정이다. 침투도의 한정치는 흡입 압력이 다르다면 다른 것은 물론이다.However, if the penetration of the nonwoven fiber casting body is too high, it penetrates the sound wave duct wall in the intake duct and leaks outward, thereby increasing the noise. Therefore, the air permeability per m 2 for air having a pressure difference of 98 Pa is preferably not greater than 6,000 m 3 / h. Air permeability of 6,000 m 3 / h or less per unit area is of course limited to air with a pressure difference of 98 Pa. The limit of penetration is of course different if the suction pressure is different.

부직포 섬유 주조 몸체 1 ㎡ 당 침투도가 6,000 ㎥/h 를 초과할 경우, 흡기 덕트의 덕트벽을 통하여 통과하는 음파는 관통 소음이 증가되기 때문에 증가한다. 이와는 반대로, 침투도가 0이라면, 소음은 200 Hz 이하의 낮은 주파수대에서 소음을 제한하는 효과가 낮음에 의해 종래 기술의 흡기 덕트보다 낮다. 부직포 섬유 주조 몸체가 0의 침투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필름과 같은 표면층이 부직포 섬유 주조 몸체의 외표면에 형성하면 된다. 표피층이 내표면에 형성될 때 침투도를 0으로 만들수 있을지라도 이러한 방법은 상기한 이유(ii) 때문에 소음을 감소시키기 곤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결국, 98 Pa의 압력차를 가진 공기에 대하여 1㎡당 의 부직포 섬유 주조 몸체는 0보다 크고 4,200 ㎥/h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0보다 크고 3,000 ㎥/h 보다 작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f the permeability per m 2 of nonwoven fiber casting body exceeds 6,000 m 3 / h, the sound waves passing through the duct wall of the intake duct increase because of the increased penetration noise. Conversely, if the penetration is zero, the noise is lower than the intake duct of the prior art due to the low effect of limiting the noise in the low frequency band below 200 Hz. In order for the nonwoven fiber casting body to have zero penetration, a surface layer such as a film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onwoven fiber casting body. Although the permeability can be made zero when the epidermal lay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is method is undesirable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noise for the above reason (ii). As a result, for air having a pressure difference of 98 Pa, the nonwoven fiber casting body per m 2 is preferably larger than 0 and smaller than 4,200 m 3 / h, particularly preferably larger than 0 and smaller than 3,000 m 3 / h.

본 고안에 따른 흡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분은 부직포 섬유로 구성된 주조 몸체를 가진다. 이러한 부직포 섬유는 열경화성 섬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된 부직포 섬유가 사용된다면, 복잡한 구조를 가진 흡기 덕트용이하게 성형되고 가열 가압 성형(가열 가압주조)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성형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열경화성 수지 섬유는 일부가 부직포 섬유로 구성 또는 전체가 부직포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부직포 섬유는 열경화성 수지 바인더가 침지된 비열경화성 수지라면 가열 가압 성형에 의해 성형할 수 있고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 섬유는 열경화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흡기 소음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sting body composed of nonwoven fibers. Such nonwoven fibers are preferably formed of thermosetting fibers. If a nonwoven fiber composed of a thermosetting resin is used, the intake duct having a complicated structure is easily molded and molded by a method such as hot press molding (heat press casting) or the like. In such a case, the thermosetting resin fibers may be partially composed of nonwoven fibers or entirely formed of nonwoven fibers. Alternatively, the nonwoven fiber may be formed by heat press molding as long as the thermosetting resin binder is immersed in the non-curable resin, and in the same manner, the nonwoven fiber is formed of the thermosetting resin fiber. Therefore, the intake noise can be reduced in the above manner.

사실상, 부직포 섬유로 구성된 주조 몸체는 주조 몸체가 흡기 덕트의 덕트벽의 적어도 일부분내에 존재한다면 흡입 소음의 감축에 대한 어느 정도의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정재파는 부직포 섬유 이외에 비침투성 물질로 구성된 일부분에서 쉽게 발생된다. 그러므로, 흡기 덕트 전체가 부직포 섬유로 구성된 주조 몸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fact, the cast body composed of nonwoven fibers has some effect on the reduction of suction noise if the cast body is present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duct wall of the intake duct. However, standing waves are easily generated in portions composed of non-invasive materials in addition to nonwoven fiber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tire intake duct is formed of a cast body composed of nonwoven fibers.

그러나, 흡기 덕트 전체가 부직포 섬유로 구성된 주조 몸체로 형성된 경우에, 크랙 등과 같은 결함이 벽 표면에 발생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에 의해 흡입 소음은 흡기 덕트가 가열 가압 성형에 의한 작은 곡률반경을 가진 굴곡부 또는 깊게 압출된 부분을 가지도록 형성될 때 누설된다. 이러한 결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조 몸체가 복잡한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세그먼트는 소정의 형상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인력이 많이 증가되어 이에 의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단가가 올라가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entire intake duct is formed of a cast body composed of nonwoven fibers, defects such as cracks and the like may occur on the wall surface, whereby the suction noise may be caused by the bent portion of the intake duct having a small radius of curvature due to hot press molding or Leak when formed to have a deeply extruded portion. In order to prevent such defects, it is conceivable to divide the casting body into complicated segments and join the segments into a predetermined shape.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npower is increased so that productivity is lowered and the unit price is increased.

그러므로, 전체의 덕트벽을 주조 몸체로 형성하고, 고융점 섬유보다 저융점을 가진 저융점 섬유와 고융점 섬유를 포함하도록 부직포 섬유로 구성되고, 부직포 섬유에 대한 저융점 섬유의 비율이 고융점 섬유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entire duct wall is formed into a cast body, and is composed of nonwoven fibers so as to include a low melting point fiber and a high melting point fiber having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high melting point fiber, and the ratio of the low melting point fiber to the nonwoven fiber is a high melting point fiber. Higher is preferred.

이렇게 구성된 부직포 섬유가 가열 가압 성형된다면, 저융점 섬유는 유연화되고 양호하게 용융되고, 고융점 섬유는 소성적으로 또는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끝으로, 유연화된 저융점 섬유는 냉각되고 고형화되며 이에 의해 부직포 섬유는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러므로, 성형시 섬유의 이동 자유도는 부직포 섬유가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진 굴곡부 또는 깊은 인발부분을 가진 형상으로 용이하게 성형되도록 높아야 한다. 크랙이 벽표면에 발생될지라도, 크랙은 접합되고 결합되도록 풍부하게 존재하는 용융 저융점 섬유로 채워진다. 그러므로, 상기한 문제점이 방지된다.If the nonwoven fibers thus constructed are hot press molded, the low melting fibers are softened and melted well, and the high melting fibers are plastically or elastically deformed. Finally, the softened low melting fiber is cooled and solidified, whereby the nonwoven fibers are molded into the desired shape. Therefore, the degree of freedom of movement of the fibers in forming must be high so that the nonwoven fibers are easily molded into shapes with bends or deep draws with small radii of curvature. Although cracks occur on the wall surface, the cracks are filled with molten low melting fibers that are abundantly present to bond and bond. Therefore, the above problem is prevented.

저융점 섬유의 용적이 고융점 섬유보다 크다면 저융점 섬유 대 부직포 섬유의 비율이 20 내지 50%가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이 20%보다 작다면, 상기한 효과는 나타나기 곤란하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비율이 50%보다 크다면, 주조 몸체는 내열성이 충분하지 않다.If the volume of the low melting fiber is larger than the high melting fiber, the ratio of low melting fiber to nonwoven fiber is preferably 20 to 50%. If the ratio is less than 20%, the above effects are unlikely to appear. On the contrary, if the ratio is greater than 50%, the cast body does not have sufficient heat resistance.

결국, 저융점 섬유의 융점은 150 내지 170℃의 범위와 고융점 섬유의 융점은 220 내지 260℃ 범위가 바람직하다. 부직포 섬유는 고융점 섬유와 저융점 섬유 이외의 다른 섬유를 포함 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섬유가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 않을지라도 방수 기능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가진 섬유를 사용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As a result, the melting point of the low melting point fib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0 to 170 ° C and the melting point of the high melting point fiber is in the range of 220 to 260 ° C. Nonwoven fibers may include fibers other than high and low melting fibers. Although such other fiber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fibers having special functions such as waterproofing.

또한, 부직포 섬유는 고융점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코어 물질에 의해 구성된 열가소성 섬유와 코어 물질보다 낮은 융점을 가진 저융점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고 코팅층의 용적은 코어 물질보다 크며 코어 물질의 표면상에 적용된 코팅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Further, the nonwoven fiber is composed of a thermoplastic fiber composed of a core material composed of a high melting point thermoplastic resin and a low melting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core material, and the volume of the coating layer is larger than that of the core material and is applied to the coating layer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이렇게 구성된 부직포 섬유로서, 코팅층은 가열가압성형시 유연화되고 용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어 물질은 가성적으로 및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결국, 유연 코팅층은 부직포 섬유가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냉각되고 굳어진다. 그러므로, 주조시 부직포 섬유보다 큰 섬유가 이동하는 자유도는 깊은 인발 부분 또는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진 굴곡부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크랙이 벽표면에 발생될지라도, 크랙은 용접되고 결합되도록 충분히 존재하는 용융 코팅층으로 채워진다. 그러므로, 상기한 단점이 방지된다.As the nonwoven fabric thus constructed, the coating layer is preferably softened and melted upon hot pressing, and the core material is deformed causally and elastically. As a result, the flexible coating layer is cooled and hardened so that the nonwoven fibers are form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Therefore, the degree of freedom in which fibers move larger than the nonwoven fibers during casting can be easily formed with deep drawn portions or bends with a small radius of curvature. Although cracks are generated on the wall surface, the cracks are filled with a molten coating layer that is sufficient to be welded and bonded. Therefore, the above disadvantage is avoided.

코팅층이 코어 물질의 용적보다 크면, 열가소성 섬유 대 부직포 섬유의 비율은 20 내지 50%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이 20%보다 작다면, 상기한 효과는 나타나기 곤란하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비율이 50%보다 크다면, 주조 몸체는 내열성이 불충분하다. 결국, 코팅층의 융점은 150 내지 170℃범위가 바람직하고 코어 물질의 융점은 220 내지 260℃ 범위가 바람직하다. If the coating layer is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core material, the ratio of thermoplastic fibers to nonwoven fiber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50%. If the ratio is less than 20%, the above effects are unlikely to appear. On the contrary, if the ratio is greater than 50%, the casting body has insufficient heat resistance. As a result, the melting point of the coating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0 to 170 ° C and the melting point of the core material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20 to 260 ° C.

부직포 섬유가 이중층 구조가 사용된 열가소성 섬유를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부직포 섬유가 이러한 열가소성 섬유를 적어도 20 내지 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섬유의 용량이 20 용적%보다 작다면, 상기한 효과는 크랙이 주조 몸체에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잘 나타나지 않는다.In the case where the nonwoven fibers partially comprise thermoplastic fibers in which a bilayer structure is used, it is preferred that the nonwoven fibers comprise at least 20-50% of such thermoplastic fibers. If the capacity of the thermoplastic fibers is less than 20% by volume, the above effect is less likely because cracks may remain in the casting body.

본 고안에 따른 흡기 덕트에 있어서, 주조 몸체의 두께 또는 특성은 갱년 열화, 습기 침투 등에 따라 변화한다. 그 결과로서, 주조 몸체를 통하여 통과하는 관통 소음과 흡기 덕트의 전단부에서의 흡입구로부터 방사되는 흡입 소음 사이의 균형은 흡입 소음을 제한하는 성능이 변화되기 때문에 잃을 수 있다.In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r characteristics of the cast body changes according to climacteric deterioration, moisture infiltration and the like. As a result, the balance between the passing noise passing through the casting body and the suction noise radiating from the suction port at the front end of the intake duct can be lost because the performance limiting the suction noise is varied.

그러므로, 주조 몸체는 소정의 기능이 주어진 기능층을 가진 부직포 섬유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층, 막힘 방지층 등은 이러한 기능층의 예이다. 이러한 주조 몸체는 부직포 섬유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섬유는 그들의 적절한 부분내에 혼합된 기능을 가진다. 다르게는, 그들의 자체 기능을 가진 필름은 사용시 부직포 섬유에 적층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casting body is preferably formed from nonwoven fibers having a functional layer given a certain function. Waterproofing layers, anti-clogging layers and the like are examples of such functional layers. Such cast bodies can be easily formed using nonwoven fibers and the fibers have a function of mixing in their appropriate portions. Alternatively, films having their own function may be laminated to nonwoven fibers in use.

본 원에서 상기한 "막힘 방지층"은 자유 공간이 흡기 덕트와 커버(도 26 참조)의 외표면 사이에 구비된 부직포 섬유로 구성된 덕트벽을 통하여 통과하는 공기를 방해하지 않게 충분한 사이즈를 가지도록 부직포 섬유로 구성된 흡기 덕트의 외표면을 덮는 막으로 된 커버를 의미한다. 상기 커버는 테이프 등으로 흡기 덕트의 외표면에 고정된다.The "anti-clogging layer" described herein is a nonwoven fabric such that the free space has a sufficient size so that the free spac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uct wall consisting of nonwoven fibers provided between the intake duc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see FIG. 26). It means a cover made of a membrane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take duct made of fibers. The cover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take duct with a tape or the like.

이러한 기능층의 위치는 주조 몸체의 두께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방수층이 사용될 경우에, 방수층은 주조 몸체의 중간층 또는 표면층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습기는 주조 몸체에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로서, 주조 몸체의 특성은 흡입 소음 감소 효과가 장기간 동안 유지되도록 변화가 방지된다. 또한, 물은 에어 크리너 엘레멘트의 침투성이 손실되어 야기되는 엔진 트러블을 방지하도록 에어 크리너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position of this functional layer is preferably se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asting body. For example, when a waterproof layer is used, the waterproof layer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intermediate layer or the surface layer of the casting body. Therefore, moisture is prevented from penetrating the casting body. As a result, the properties of the cast body are prevented from changing so that the suction noise reduction effect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he water is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air cleaner to prevent engine trouble caused by the loss of permeability of the air cleaner element.

결국, 흡기 덕트와 같은 원통형 몸체가 압축 성형으로 제조된 경우에 있어서, 실제적으로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각각 가진 제 1 및 제 2 세그먼트와 같은 복수의 세그먼트가 통상적이며, 이들 세그먼트는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세그먼트의 결합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플랜지 부분 각 세그먼트의 양단에 형성되고, 세그먼트의 이들 플랜지 부분은 본딩 면적이 증가되도록 결합된다. 흡기 덕트가 부직포 섬유로 형성된 경우에 있어서, 유사한 방법이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세그먼트의 대향 측면의 플랜지 부분은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된다.As a result, in the case where a cylindrical body such as an intake duct is manufactured by compression molding, a plurality of segments, such as first and second segments, each having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re conventional, and these segments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 Also, to increase the bond strength of the segments, generally flange por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segment, and these flange portions of the segments are joined so that the bonding area is increased. In the case where the intake duct is formed of nonwoven fibers, a similar method is preferably employed, and the flange portions on opposite sides of the segment are integrally joined to each other.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흡기 덕트에 있어서, 플랜지 부분이 서로 결합된 곳의 두께는 다른 보통 부분보다 약 두배의 두께가 되고, 이에 의해 강도가 증가한다. 그 결과로서, 흡기 덕트가 내구성과 진동 소음이 증가되어 사용중에 진동을 흡수하기 곤란해 진다고 생각된다.However, in the intake duct manufactured by this method, the thickness of the portions where the flange portions are joined to each other is about twice as thick as other ordinary portions, thereby increasing the strength. As a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the intake duct increases durability and vibration noise, making it difficult to absorb vibration during use.

또한, 플랜지 부분 이외의 다른 부분은 형상 보유력이 낮게 되도록 강도가 불충분하다. 그 결과로서, 이러한 부분은 커다란 부압 또는 외력이 작용할 때 좌굴되거나, 위치 정밀도는 흡기 덕트가 파트너 부재에 부착될 때 낮게 된다.In addition, the portion other than the flange portion is insufficient in strength so that the shape holding force is low. As a result, this portion is buckled when a large negative pressure or external force is applied, or the positional accuracy is low when the intake duct is attached to the partner member.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보면, 흡기 덕트는 고압축성을 가진 하드 부분과 저압축성을 가진 소프트 부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압축 성형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를 포함하는 부직포 섬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consideration of such a situation, the intake duct preferably has a hard portion having a high compressibility and a soft portion having a low compressibility, which is preferably formed of a nonwoven fiber including a thermoplastic resin binder by compression molding.

더욱이, 상기한 흡기 덕트에 있어서 하드 부분은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n the intake duct described above, the hard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aight line.

더욱이, 상기한 흡기 덕트에 있어서, 파트너 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부분은 하드 부분으로 형성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intake duct described above, the engaging portion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partner member can be formed as a hard portion.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흡기 덕트에 따라서, 복수의 세그먼트는 각각의 세그먼트가 각각 대향측면에 플랜지 부분을 가진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압축 성형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형성된다. 세그먼트의 플랜지 부분은 세그먼트들이 실린더로 형성되고 변형가능한 가요성 부분이 플랜지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되도록 서로 결합된다.And, according to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egments are formed of a nonwoven fabric comprising a thermoplastic resin binder by compression molding such that each segment has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with flange portions on opposite sides. The flange portions of the segments are joined together such that the segments are formed into cylinders and a deformable flexible portion is provid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상기한 흡기 덕트에 사용된 부직포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를 포함한다. 즉, 비열가소성 섬유가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에 침지되고 부직포 섬유가 바인더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섬유를 사용 가능하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섬유가 사용된다면, 복잡한 형상을 가진 흡기 덕트일지라도 용이하게 성형되고 주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부직포 섬유의 일부, 또는 부직포 섬유의 전체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nonwoven fiber used in the above intake duct includes a thermoplastic binder. That is, it is possible to use nonwoven fibers in which the non-thermoplastic fibers are immers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binder and the nonwoven fibers include thermoplastic resin fibers such as a binder or the like. Preference is given to using nonwoven fibers comprising thermoplastic resin fibers. If nonwoven fibers comprising thermoplastic resin fibers are used, even intake ducts with complex shapes can be easily molded and cast. In such a case,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may be formed of a portion of the nonwoven fibers, or the entirety of the nonwoven fibers from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전체의 흡기 덕트가 부직포 섬유의 주조 몸체로 형성된 경우에 있어서, 세그먼트의 대향 측면상의 플랜지 부분은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플랜지 부분이 다른 보통 부분보다 두배의 두께로 결합되며 강도가 증가한다. 그 결과로서, 상기한 결점이 발생한다.In the case where the entire intake duct is formed of a cast body of nonwoven fibers, the flange portions on opposite sides of the segment are preferably integrally joined to each other. However, the flange portion is joined at twice the thickness than other ordinary portions and the strength is increased. As a result, the above drawbacks arise.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흡기 덕트는 고압축성을 가진 하드 부분과 저압축성을 가진 소프트 부분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소프트 부분은 변형되기 쉬운 유연성이 풍부하고 외력에 잘 따르도록 유연성이 좋다. 그러므로, 소프트 부분은 흡기 덕트가 사용될 때 진동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내구성이 개선되고 진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여러가지 특성은 소프트 부분과 하드 부분의 크기 또는 위치를 선택함으로서 흡기 덕트에 주어진다.Therefore,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ard portion having high compression and a soft portion having low compression.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soft portion is rich in flexibility that is easily deformed, and flexible in order to comply well with external forces. Therefore, the soft portion can absorb vibration when the intake duct is used, whereby the durability is improved and generation of noise due to vibration is suppressed. In addition, various properties are given to the intake duct by selecting the size or location of the soft and hard portions.

결국, 소프트 부분과 하드 부분 사이의 압축성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한 특별한 제한이 없다. 압축성의 차이는 적용, 사용 조건 등에 따라 바람직하게 설정할 수 있다. After all,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compressibility between the soft and hard parts. The difference in compressibility can be preferab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application, the use conditions and the like.

하드 부분은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하드 부분은 보강 리브로서 작용을 하고, 이 때문에 형상 보유력은 향상된다. 예를 들면, 하드 부분이 흡기 덕트의 외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면, 흡기 덕트는 흡기 덕트에 과부압 또는 외력이 작용한다면, 좌굴이 방지된다. 또한, 하드 부분이 흡기 덕트가 연장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면, 형상 보유력은 흡기 덕트가 파트너 부재에의 부착 정밀도가 향상되도록 증가된다.Preferably, the hard portion extends straight. Therefore, the hard portion acts as a reinforcing rib, so that the shape holding force is improved. For example, if the hard portion is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take duct, the intake duct is prevented from buckling if overpressure or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intake duct. In addition, if the hard portion is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take duct extends, the shape holding force is increased so that the attachment accuracy of the intake duct to the partner member is improved.

하드 부분이 파트너 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결합 부분으로서 결합 걸쇠, 결합 플랜지 등이 예이다. 이러한 결합부분이 하드 부분으로 형성된다면, 다른 부분은 불필요하다. 그 결과로서, 다수의 부품이 감소되고 이에 의해 다수의 인력이 감소될 수 있고,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재생 분리가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재생도가 향상된다. 결국, 결합 부분은 고 압축성을 가진 하드 부분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 부분의 강도는 충분하게 보장할 수 있다. 결합부의 압축성을 더 크게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red that the hard portion is formed to have an engagement portion that can engage with the partner member. Examples of the engaging portion include a coupling shackle and a coupling flange. If this joining portion is formed as a hard portion, the other portion is unnecessary. As a result, a larg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a large number of manpower and lowering the unit cost. In addition, the reproducibility is improved because the regeneration separation becomes easy. As a result, since the joining portion is formed into a hard portion with high compressibility, the strength of the joining portion can be sufficiently ensured. It is also preferable to form a larger compressibility of the joining portion.

또한, 적어도 일부의 플랜지 부분이 변형가능한 가요성 부분을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진동이 발생할 때, 가요성 부분은 진동을 흡수하도록 변형되고, 이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되고 진동에 의한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It is also preferred that at least some of the flange portions have flexible portions that are deformable. When vibration occurs, the flexible portion is deformed to absorb vibration,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and suppressing noise due to vibration.

이러한 가요성 부분의 형상과 같이, 산형부와 계곡부를 가진 톱니형상이 연속적으로 엇갈리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결국, 가요성부는 플랜지 부분에 구비될 뿐만 아니라 원통형 부분에도 구비된다. 그 결과로서, 흡기 덕트는 더 용이하게 변형되고 이 때문에 진동 댐핑 특성이 더욱 향상된다.As in the shape of such a flexible part, the sawtooth shape which has a ridge and a valley part continuously staggers is a typical example. As a result, the flexible portion is provided not only in the flange portion but also in the cylindrical portion. As a result, the intake duct is more easily deformed, thereby further improving vibration damping characteristics.

또한, 흡기 덕트는 실제적으로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각각 가진 제 1 및 제 2 세그먼트이며, 하나의 세그먼트는 주조 수지 몸체로 형성되어 있고, 다른 세그먼트는 부직포 섬유 주조 몸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세그먼트는 높은 강도를 가진 수지 몸체로 형성되고, 이 때문에 흡기 덕트는 에어 크리너를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 부분 또는 결합 부분은 제 1 세그먼트에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많은 갯수의 부품이 감소되고 이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립성과 신뢰도도 또한 개선된다.Further, the intake ducts are actually first and second segments each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one segment formed of a cast resin body, and the other segment formed of a nonwoven fiber cast body. The first segment is formed of a resin body having a high strength, so that the intake duct can be integrally formed in the first segment with a bracket portion or a joining portion for fixing the air cleaner. Therefore, a large number of parts are reduced,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In addition, assembly and reliability are also improved.

제 1 및 제 2 세그먼트는 별도로 준비되는 클립 등을 통하여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 다수의 부품이 증가되는 결점이 있다. 그러므로, 제 1 및 제 2 세그먼트는 그들 자체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세그먼트는 제 1 세그먼트에 형성된 결합 걸쇠와 같은 결합 수단을 통하여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제 1 및 제 2 세그먼트는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된다. 제 1 세그먼트는 수지로 제조되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이에 의해 결합 걸쇠와 같은 결합 수단은 제 1 세그먼트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clip prepared separately.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drawback that a large number of parts are increased.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are preferably joined by themselves.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are mechanically coupled through a coupling means such as a coupling shackle formed in the first segment;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are joined by welding or the like. Since the first segment is made of resin, it has sufficient strength, whereby a joining means such as a joining clasp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segment.

시험 실시예Test Example

여러가지 재질의 덕트의 소리 흡수 특성을 도 1에 도시된 장치로 시험하였다. 재질에 관하여, 다음의 세개의 재질이 사용되었으며 시편으로 사용되도록 60mm의 내경과 400mm의 길이를 가진 직선형 덕트로 형성되어 있다.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ducts of various materials were tested with the apparatus shown in FIG. 1. Regarding the materials, the following three materials were used and formed of straight ducts with an internal diameter of 60 mm and a length of 400 mm for use as specimens.

시편 A : 아크릴 수지Specimen A: Acrylic Resin

시편 B :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부직포 섬유(단위 중량 : 700 g/㎡, 두께 : 1.5 mm, 두께 : 3,500 ㎥/h·㎡)Specimen B: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nonwoven fabric (unit weight: 700 g / m 2, thickness: 1.5 mm, thickness: 3,500 m 3 / h · m 2)

시편 C :시편 B의 PET 섬유 부직포 섬유로 된 두장의 시트가 서로 적층되어 있다(침투도 :1,750 ㎥/h·㎡)Specimen C: Two sheets of PET fiber nonwoven fibers of Specimen B were laminated together (penetration: 1,750 m 3 / h · m 2)

상기 테스트 장치에 있어서, 시편(1)의 한단부는 방음벽(3)을 통과하는 아크릴 수지 파이프(2)(내경 : 66mm)의 한단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한편 시편(1)은 방음실내에 전체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스피커(4)는 파이프(2)의 다른 단부에 배열되어 있다. 마이크로폰(5)은 각각 시편(1)의 덕트벽으로부터 10mm 떨어진 위치에 배열되어 있고, 시편(1)의 덕트벽으로부터 100mm 떨어진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In the test apparatus, one end of the specimen 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crylic resin pipe 2 (inner diameter: 66 mm) passing through the sound insulation wall 3, while the specimen 1 is arranged in the soundproof room as a whole. It is. The speaker 4 is arranged at the other end of the pipe 2. The microphones 5 are each arranged at a position 10 mm away from the duct wall of the specimen 1, and are arranged at a position 100 mm away from the duct wall of the specimen 1.

그런 다음에, 백색 잡음이 스피커(4)로부터 발생되고, 시편(1)의 덕트벽을 통과하는 투과음과 시편(1)의 구멍으로부터 발생되는 배출음의 주파수 특성(주파수 대 음압)은 각각 마이크로폰(5)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Then, white noise is generated from the speaker 4,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frequency vs. sound pressure) of the transmission sound passing through the duct wall of the specimen 1 and the discharge sound generated from the holes of the specimen 1 are respectively microphones. It measured through (5).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2 and 3.

도 2 및 도 3으로부터 정재파의 음압은 낮고 정재파의 발생이 아크릴 수지로 형성된 시편(A)의 것보다 부직포로 형성된 시편(B, C)에서 더욱 한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투과음의 정재파의 음압은 후자의 것보다 형상에서 높은 배출음의 정재파의 음압을 통한 시편(B)에서 보다 시편(C)에서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편(C)의 1㎡당 침투도는 어떤 음파가 덕트벽을 투과하는 것이 더욱 억제되도록 시편(B)보다 낮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배출음과 투과음 사이의 균형은 1㎡ 당 침투도를 조절하여 조정할 수 있다.It can be seen from FIGS. 2 and 3 that the sound pressure of standing waves is low and generation of standing waves is more limited in specimens B and C formed of nonwoven fabric than that of specimen A formed of acrylic resin. It can be seen that the sound pressure of the standing wave of the transmitted sound is lower in the specimen (C) than in the specimen (B) through the sound pressure of the standing wave of the discharge sound higher in shape than the latter. This is because the permeability per square meter of the specimen C is lower than the specimen B so that any sound waves penetrate the duct wall further. Therefore, the balance between the discharge sound and the transmission sound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permeability per m 2.

결국, 시편(A)의 침투도가 0일지라도, 투과음은 도 3에 도시된 시편(B 또는 C)보다 높다. 이는 마이크로폰(5)이 배출 파이프 근처로 들어오는 음을 픽업하기 때문이다.As a result, even if the penetration of specimen A is zero, the transmission sound is higher than that of specimen B or C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the microphone 5 picks up the sound coming near the discharge pipe.

실시예 1Example 1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흡기 덕트(6)의 사시도이며, 도 5는 흡기 덕트의 A-A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상기 흡기 덕트(6)에 있어서, 각각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진 분할 부분인 두 세그먼트는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세그먼트들은 분할된 반쪽 부재로 성형되어 있으며 서로 용접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 부재(60, 6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기 덕트(6)의 제조 방법은 그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ake duct 6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intake duct. In the intake duct 6, two segments, each of which is a divided portion having a small radius of curvature,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 segments consist of upper and lower members 60 and 61 which are molded into divided half members and which are welded to each oth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id intake duct 6 is explained in full detail below with the structure.

우선, 부직포 섬유는 PET 섬유로 형성되며 두께가 약 35 mm로 마련된다. 부직포 섬유에 있어서, 저융점 PET 섬유로 구성된 바인더 화인더는 30 용적% 만큼 포함되고 단위 중량은 700g/㎡ 이다. 다음으로, 상기 부직포 섬유는 가압 성형 몰드에 배열하고 바인더 섬유의 융점까지 가열하는 동안에 3 mm 두께가 되도록 가열가압 성형한다. 그러므로, 상부 및 하부 부재(60, 61)가 형성된다.First, the nonwoven fibers are formed of PET fibers and are provided with a thickness of about 35 mm. For nonwoven fibers, binder binders comprised of low melting point PET fibers are included by 30 vol% and have a unit weight of 700 g / m 2. Next, the nonwoven fibers are arranged in a pressure forming mold and hot press molded to a thickness of 3 mm while heating to the melting point of the binder fibers. Therefore, upper and lower members 60 and 61 are formed.

다음으로, 상부 및 하부 부재(60, 61)는 덕트와 같이 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둘은 초음파 용접에 의해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실시예 1에 따른 흡기 덕트(6)(덕트 길이 : 700 mm, 내경 : 66 mm)가 얻어진다. 흡기 덕트(6)의 덕트벽 1㎡당 두께 방향의 공기 침투도는 압력차가 98 Pa일때 3,900 ㎥/h이었다.Next, the upper and lower members 60 and 61 are coupled to each other like a duct, and the two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by ultrasonic welding. Therefore, the intake duct 6 (duct length: 700 mm, inner diameter: 66 mm) according to Example 1 is obtained. The air permeability in the thickness direction per square meter of the duct wall of the intake duct 6 was 3900 m 3 / h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was 98 Pa.

실시예 2Example 2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키친랩을 실시예 1에 따른 상기한 흡기 덕트(6)의 전체 외표면을 둘러싸서 10㎛의 두께가 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실시예 2에 따른 흡기 덕트가 얻어진다. 상기 흡기 덕트의 덕트벽 1 ㎡ 당 공기 침투도는 압력차가 98Pa일 때 0이었다.A kitchen wrap made of polyethylene was made to enclose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intake duct 6 according to Example 1 to a thickness of 10 μm. Therefore,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Example 2 is obtained. The air permeability per 1 m 2 of the duct wall of the intake duct was 0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was 98 Pa.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도 25에 도시된 종래의 흡기 덕트(200)를 비교예 1로 사용하였다. 상기 흡기 덕트(200)는 내경이 66 mm이고 덕트 길이가 700 mm가 되도록 고밀도 폴리에텔렌으로 취입성형하여 형성되었다. 덕트벽의 길이방향으로의 공기 침투도는 압력차가 98Pa일 때 0이었다.The conventional intake duct 200 shown in FIG. 25 was used as Comparative Example 1. The intake duct 200 was formed by blow molding with high density polyetherene such that the inner diameter was 66 mm and the duct length was 700 mm. The air penetr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wall was zero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was 98 Pa.

시험/평가Exam / Evaluation

각각의 상기한 흡기 덕트는 시험예에서와 같은 동일한 시험 장치에 배열하였으며, 흡기 소음에 대한 그들의 주파수 특성은 같은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두 종류의 흡기 소음, 즉 흡기 덕트의 유입구로부터 발생하는 배출음과 덕트벽으로부터 발생된 투과음이 측정되었다. 배출음의 결과가 도 6에 도시되어 있고, 투과음의 결과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Each of the above intake ducts was arranged in the same test apparatus as in the test example, and their frequency characteristics for intake noise were measured by the same method. Two types of intake noise, that is, the discharge from the inlet of the intake duct and the permeation from the duct wall, were measured. The result of the discharge sound is shown in FIG. 6, and the result of the transmission sound is shown in FIG. 7.

도 6으로부터 배출음은 비교예 1 의 종래의 흡기 덕트와 비교하여 실시예 1 및 2에 따른 흡기 덕트에서 대폭 감소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흡기 덕트가 소정의 침투도를 가진 부직포 섬유로 주조된 몸체를 사용한 효과라는 것이 명백하다.It can be seen from FIG. 6 that the discharge sound is greatly reduced in the intake ducts according to Examples 1 and 2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intake duct of Comparative Example 1. FIG. It is evident that this is the effect of using the body in which the intake duct is cast from nonwoven fibers with a predetermined degree of penetration.

도 7로부터 투과음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실시예 1 및 2에 따른 흡기 덕트에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from FIG. 7 that the transmission sound increases in the intake ducts according to Examples 1 and 2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 FIG.

흡입 소음은 배출음과 투과음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이 도 6 및 도 7에 의해 평가한다면, 배출음이 극도로 큰 비교예 1은 흡입 소음면에서 가장 나쁘다는 것을 알 수 있다.Suction noise is composed of discharge and transmission sounds. Therefore, if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 1 are evaluated by Figs. 6 and 7, it can be seen that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discharge noise is extremely high, is the worst in terms of suction noise.

또한, 도 6으로부터는 실시예 1에 따른 흡기 덕트가 침투도가 0인 실시예 2에 따른 것보다 낮은 주파수대에서 음압 레벨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배출음에 대해서는 0보다 높은 침투도를 가지도록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from FIG. 6 that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s a lower sound pressure level at a lower frequency band than tha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th zero penetrati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t is desirable to make the penetration sound higher than zero.

실시예 3Example 3

160 ℃의 융점을 가진 저융점 PET 섬유가 30 용적%가 포함되고 220 내지 260 ℃ 범위의 융점을 가진 고융점 PET 섬유를 70 용적% 포함하는 부직포 섬유(단위 중량 : 1,400 g/㎡, 두께 : 3 mm)가 준비된다. 상기 부직포 섬유가 가압 성형 몰드내에 배열되고, 저융점 PET 섬유가 융점까지 가열되는 동안에 3 mm 두께가 되도록 가열가압 주조된다. 그러므로, 상부 및 하부 부재가 흡기 덕트의 분할 반쪽 부재로 성형되고 이는 도 4의 것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나 비분할 구조를 가지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된다.Nonwoven fiber containing 30% by volume of low melting point PET fiber with melting point of 160 ° C and 70% by volume of high melting point PET fiber with melting point in the range of 220 to 260 ° C (unit weight: 1,400 g / ㎡, thickness: 3 mm) is prepared. The nonwoven fibers are arranged in a pressure forming mold and hot press molded to a thickness of 3 mm while the low melting PET fibers are heated to the melting point. 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members are formed into the divided half members of the intake duct, which have the same shape as that of Fig. 4 but have a non-divided structure, and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그런 다음에, 상부 및 하부 부재는 덕트와 같이 서로 부착되고, 대향측의 플랜지 부분은 초음파 용접으로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그러므로, 실시예 3에 따른 흡기 덕트(덕트 길이 : 700 mm, 내경 : 66 mm)가 얻어진다. 상기 덕트의 덕트벽 1㎡ 당 두께 방향의 침투도는 압력차가 98 Pa일 때 1,000 ㎥/h 이었다.Then, the upper and lower members are attached to each other like a duct, and the opposite flange portions are integrally joined by ultrasonic welding. Therefore, an intake duct (duct length: 700 mm, inner diameter: 66 mm) according to Example 3 is obtained. The penetr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per square meter of the duct of the duct was 1,000 m 3 / h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was 98 Pa.

얻어진 흡기 덕트에 있어서,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이 있으나, 형상의 정밀도가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크랙의 발생 등이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1 및 2 의 특성들 사이의 중간 특성은 흡기 소음(배출음 및 투과음)에 관하여 얻어진다.In the obtained intake duct, although there exists a part with a small radius of curvature, the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a crack was not found although the shape precision was excellent. In addition, intermediat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Examples 1 and 2 are obtained with respect to intake noise (emission sound and transmission sound).

실시예 4Example 4

흡기 덕트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었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물질(10)의 외주를 둘러싸고 160 ℃의 융점을 가지는 저융점 PET 섬유로 구성된 약 12 ㎛의 두께를 가진 코팅층과 220 내지 260 ℃ 범위의 융점을 가지는 고융점 PET로 구성된 약 7 ㎛의 직경을 가진 코어 물질(10)로 각각 구성된 10 데니어의 PET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섬유를 사용한다. 흡기 덕트의 덕트벽 1 ㎡당의 두께 방향으로의 공기 침투도는 압력차가 98 Pa 일 때 900 ㎥/h 이었다. 또한, 코팅층(11)의 용적은 코어 물질(10)의 용적보다 약 18배 이었다.The intake duct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but with a coat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2 μm and consisting of low melting PET fibers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re material 10 and having a melting point of 160 ° C. as shown in FIG. 8. Nonwoven fibers formed from 10 denier PET fibers each composed of a core material 10 having a diameter of about 7 μm consisting of high melting point PET having a melting point in the range of from 260 ° C. are used. The air permeability in the thickness direction per 1 m 2 of the intake duct was 900 m 3 / h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was 98 Pa.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coating layer 11 was about 18 times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core material 10.

얻어진 흡기 덕트에 있어서,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이 있으나, 형상 정밀도가 우수할지라도 크랙의 발생 등이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3과 실제적으로 동일한 특성이 흡입 소음에 관하여 나타났다.In the obtained intake duct, although there exists a part with a small radius of curvature, the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a crack was not found even if it is excellent in shape precision. Also, substantially the same characteristics as in Example 3 appeared with respect to suction noise.

참조예Reference Example

흡기 덕트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었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물질(10)의 외주를 둘러싸고 160 ℃의 융점을 가지는 저융점 PET 섬유로 구성된 약 4 ㎛의 두께를 가진 코팅층(11)과 160 ℃ 범위의 융점을 가지는 고융점 PET로 구성된 코어 물질(10)로 각각 구성된 2 데니어의 PET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섬유를 사용한다. 흡기 덕트의 덕트벽 1 ㎡당의 두께 방향으로의 공기 침투도는 압력차가 98 Pa 일 때 3,000 ㎥/h 이었다. 또한, 코팅층(11)의 용적은 코어 물질(10)의 용적보다 약 3배 이었다.The intake duct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but with a coating layer 11 having a thickness of about 4 μm, which is composed of low melting PET fibers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re material 10 and having a melting point of 160 ° C. as shown in FIG. 9. ) And nonwoven fibers formed of 2 denier PET fibers each composed of a core material 10 composed of high melting point PET having a melting point in the range of 160 ° C. The air permeability in the thickness direction per 1 m 2 of the intake duct was 3,000 m 3 / h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was 98 Pa.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coating layer 11 was about three times the volume of the core material 10.

비교예의 흡기 덕트에 있어서, 크랙이 가열 가압 성형시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진 부분에 일어나고, 이 때문에 흡기 덕트는 흡입 소음이 누설된다.In the intake duct of the comparative example, cracks occur in a portion having a small radius of curvature at the time of hot press molding, and because of this, the intake duct leaks out the intake noise.

실시예 5Example 5

도 10은 실시예 5에 따른 흡기 덕트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흡기 덕트는 실시예 3과 상부 및 하부 부재(12, 13)의 플랜지 부분(14, 15)이 재봉에 의해 결합된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하다. 결국, 이것들은 재봉에 의해 결합되어 있지 않고 스테이플러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intake duct is similar to Example 3 except that the flange portions 14, 15 of the upper and lower members 12, 13 are joined by sewing. After all, they are not joined by sewing but by a stapler.

결합에 재봉 또는 스테이플러가 사용되었다면, 소량의 배치 제조를 위하여 가장 적절하도록 용접기와 같은 큰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If a sewing or stapler is used for the joining, no large device such as a welder is needed to be most suitable for producing small batches.

실시예 6Example 6

도 11은 실시예 6에 따른 흡기 덕트의 단면도이다. 상기 흡기 덕트는 방수층(16)이 분할된 반쪽 부재로 성형된 상부 및 하부 부재(12, 13)의 표면에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것과 유사하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The intake duct is similar to that of Example 3 except that the waterproof layer 16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members 12 and 13 formed into divided half members.

흡기 덕트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었으나 실리콘 수지층(18)을 가진 PET 섬유(17)로 코팅하여 얻어진 방수 섬유(20)가 표면층내에 배열되어 있는 부직포 섬유(21)가 사용된다.The intake duct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but the nonwoven fabric 21 in which the waterproof fiber 20 obtained by coating with the PET fiber 17 having the silicone resin layer 18 is arranged in the surface layer is used.

상기 흡기 덕트에 따라서, 습기는 방수층(16)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덕트벽으로 침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로서, 덕트벽의 두께는 수분의 침투에 따른 변화가 억제되고, 이 때문에 주조 몸체를 관통하는 투과음과 흡기 덕트의 전방단부의 공기 흡입 유입구로부터 방사되는 흡입 소음사이의 균형은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물이 에어 클리너로 침입하는 것이 억제된다.According to the intake duct, moisture is suppressed from entering the duct wall because the waterproof layer 16 is formed on the surface. As a result, the thickness of the duct wall is suppressed from the change due to the infiltration of moisture, thereby maintaining a balance between the transmission sound passing through the casting body and the suction noise radiated from the air intake inlet at the front end of the intake duct. Can be. In addition, intrusion of water into the air cleaner is suppressed.

흡기 덕트의 외표면에 방수층(16)을 구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할지라도, 방수층(16)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나 상기 층(16)은 외표면의 어느 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내표면과 중간층은 복수의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고르게 분산된 방수층 섬유(20)는 방수층을 전체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부직포 섬유가 사용될 수도 있다. Although it is most preferable to have a waterproof layer 16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take duct, the position of the waterproof layer 16 is not limited thereto, but the layer 16 may be located at any position of the outer surface. The surface and the intermediate layer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addition, the evenly dispersed waterproofing layer fiber 20 may be used non-woven fabric to form the waterproofing layer as a whole.

방수층(16)이 실시예 6의 방수 섬유(20)를 포함하는 부직포 섬유로 형성되어 있을지라도, 방수층은 부직포 섬유위에 실리콘 수지막, 플로우르 수지막 등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방수층이 외표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내부표면과 중간층이 복수의 위치에 구비된다.Although the waterproof layer 16 is formed of the nonwoven fabric containing the waterproof fiber 20 of Example 6, the waterproof layer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 silicone resin film, a flow resin film, or the like on the nonwoven fabric. In this case, the waterproof layer may be located at any position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and the intermediate layer are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실시예 7Example 7

본 고안에 따른 흡기 덕트가 칼럼 공명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고 할지라도, 엔진 속도 등과 같은 칼럼 공명 이외의 요인에 의해 야기된 80 내지 100 Hz의 낮은 주파수 밴드내에서의 소음을 억제하기는 곤란하다. 이러한 소음을 억제하기 위하여, 흡기 덕트의 공기 유입구측의 구멍 직경이 감소되고 공기 배출측 구멍쪽으로 점차적으로 직경이 증가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공기 유입구측 구멍의 직경을 크게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엔진 출력은 많은 양의 공기가 필요한 높은 엔진 속도 영역에서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Although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suppresses column resonance, it is difficult to suppress noise in a low frequency band of 80 to 100 Hz caused by factors other than column resonance such as engine speed or the like. In order to suppress such noise, it is effective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hole diameter on the air inlet side of the intake duct is reduced and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air discharge side hole. However, it is necessary to greatly reduce the diameter of the air inlet side holes. In this case, the engine output is disadvantageous in the high engine speed range where a large amount of air is required.

실시예 7에 있어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 덕트(7)의 직경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공기 유입구측 직경은 작으나 공기 유입구측 직경으로부터 공기 배출구 직경 쪽으로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배출측 구멍(70)은 에어 클리너(8)의 제 1 공기 유입구(80)와 결합되어 있다.In the sev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17, the diameter of the intake duct 7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air inlet side diameter is small but gradually formed from the air inlet side diameter toward the air outlet diameter. have. The outlet side hole 70 is engaged with the first air inlet 80 of the air cleaner 8.

한편, 제 1 공기 유입구(80)보다 큰 직경을 가진 제 2 공기 유입구(81)가 에어 클리너(8)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82)는 제 2 공기 유입구(81)내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된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된다.On the other hand, a second air inlet 81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first air inlet 80 is formed in the air cleaner 8. In addition, the valve 82 is driven by unshown drive means rotatably provided in the second air inlet 81.

이러한 흡입 장치에 있어서, 밸브(82)는 낮은 엔진 속도에서는 밀접하고, 이 때문에 흡입 공기는 흡기 덕트(7)로부터 에어 클리너(8)내로 공급된다. 그런 다음에, 중/고 주파수 밴드에서의 흡입 소음은 부직포 섬유로 제조된 흡기 덕트(7)의 특성에 의해 감소된다. 또한, 낮은 주파수 밴드에서의 흡입 소음은 흡기 덕트(7)(공기 유입구측 구멍의 직경이 감소된)의 형상에 의해 감소된다.In this intake device, the valve 82 is intimate at low engine speeds, so that intake air is supplied from the intake duct 7 into the air cleaner 8. Then, the suction noise in the mid / high frequency band is redu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ake duct 7 made of nonwoven fibers. In addition, the suction noise in the low frequency band is reduced by the shape of the intake duct 7 (the diameter of the air inlet-side hole is reduced).

엔진 속도가 소정값까지 증가될 때, 밸브(82)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고, 이 때문에 제 2 공기 유입구(81)가 개방된다. 그 결과로서, 흡입 공기는 제 1 공기 유입구(80)와 제 2 공기 유입구(81)로부터 에어 클리너(8)로 유동하고, 이 때문에 고속 엔진 속도에 필요한 공기량이 보장된다.When the engine speed is increased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valve 82 is driven by driving means, not shown, so that the second air inlet 81 is opened. As a result, intake air flows from the first air inlet 80 and the second air inlet 81 to the air cleaner 8, thereby ensuring the amount of air required for the high speed engine speed.

실시예 8Example 8

도 18은 실시예 8에 따른 흡기 덕트의 사시도이다. 상기 흡기 덕트는 반쪽부재로 분할, 즉 제 1 세그먼트(101)와 제 2 세그먼트(102)로 구성된다. 세그먼트(101, 102)는 그들의 대향측상에 플랜지 부분(110, 120)을 가진다. 서로 대향된 플랜지 부분(110, 120)은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다른 부분에 관하여 팽창되어 있는 저압축 소프트 부분은 제 1 및 제 2 세그먼트(101, 102) 부분내에 형성되고, 톱니 형상의 가요성 부분(112, 122)은 각각 소프트 부분(11, 121)을 따라 플랜지 부분(110, 120)내에 형성된다. 흡기 덕트의 제조 방법은 그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1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The intake duct is divided into half members, that is, the first segment 101 and the second segment 102. Segments 101 and 102 have flange portions 110 and 120 on their opposite sides. The flange portions 110, 120 facing each other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In addition, a low compression soft portion that is expanded relative to the other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egment 101, 102 portions, and the sawtooth flexible portions 112, 122 are the soft portions 11, 121, respectively. Along the flange portions 110, 120.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intake du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thereof.

우선, PET 섬유로 형성되고 약 35 mm 두께의 부직포 섬유 시트가 준비된다. 부직포 섬유 시트에 있어서, 저융점 PET 섬유로 구성된 바인더 섬유는 30%의 용적으로 포함되어 있고 단위 중량이 1,400 g/㎡이었다. 다음으로, 부직포 섬유 시트는 가압 성형 주조내에 배열되고, 바인더 섬유의 융점까지 가열되는 동안에 보통 부분이 3mm 두께가 되도록 가열가압 성형된다. 그러므로, 제 1 및 제 2 세그먼트(101, 102)가 형성된다.First, a non-woven fibrous sheet formed of PET fibers and about 35 mm thick is prepared. In the nonwoven fiber sheet, the binder fiber composed of the low melting PET fiber contained a volume of 30% and had a unit weight of 1,400 g / m 2. Next, the nonwoven fiber sheet is arranged in a press-molded casting, and is hot press molded so that the normal portion is 3 mm thick while being heated to the melting point of the binder fiber.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101 and 102 are formed.

이 때에, 가압 성형 몰드의 소정 부분의 거리는 각각 5 mm의 두께를 가진 소프트 부분(111, 121)를 형성하도록 다른 부분보다 더 연장되고, 소정 부분의 몰드 표면은 가요성 부분(112, 122)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톱니형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distance of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press-molded mold extends further than the other portions to form the soft portions 111 and 121, each having a thickness of 5 mm, and the mold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portion extends the flexible portions 112 and 122. It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awtooth shape to form.

다음으로, 제 1 및 제 2 세그먼트(101, 102)는 서로 플랜지 부분(110, 120)이 서로 대향되도록 서로 결합된다. 플랜지 부분(110, 120)은 초음파 용접에 의해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그러므로, 실시예 8에 따른 흡기 덕트(덕트 길이 : 700 mm, 내경 : 66 mm)가 얻어진다.Next,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101, 102 are joine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flange portions 110, 120 face each other. The flange portions 110, 120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by ultrasonic welding. Therefore, an intake duct (duct length: 700 mm, inner diameter: 66 mm) according to Example 8 is obtained.

흡기 덕트에 있어서, 소프트 부분(111, 121)은 그 압축성이 다른 어떤 부분보다 작기 때문에 유연하다. 또한, 소프트 부분(111, 121)은 각각 가요성부분(112, 122)을 가진다. 따라서, 가요도는 소프트 부분(111, 121)과 가요성부분(112, 122)이 있는 경우에 높다. 그 결과로, 진동이 사용중에 흡기 덕트에 주어지더라도 소프트 부분(111, 121)과 가요성부분(112, 122)은 진동을 흡수하고, 그 때문에 내구성이 높고 소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소프트 부분(111, 121) 이외의 부분은 고 압축성을 가진 하드 부분으로서의 역할을 한다.In the intake duct, the soft portions 111 and 121 are flexible because their compressibility is smaller than any other portion. In addition, the soft portions 111 and 121 have flexible portions 112 and 122, respectively. Therefore, the flexibility is high when the soft portions 111 and 121 and the flexible portions 112 and 122 are present. As a result, even if vibration is given to the intake duct during use, the soft portions 111 and 121 and the flexible portions 112 and 122 absorb vibrations, which is high in durability and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noise. In addition, portions other than the soft portions 111 and 121 serve as hard portions having high compressibility.

실시예 9Example 9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 9에 따른 흡기 덕트는 소프트 부분(113, 123)이 소프트 부분(111, 121)의 위치에 더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의 구성과 유사하다. 흡기 덕트에 있어서, 가요성부분(113, 123)은 소프트 부분(111, 121)과 같은 방법으로 작용하고, 이 때문에 실시예 8에 따른 흡기 덕트와 유사한 작용을 하며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shown in FIG. 19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ighth embodiment except that the soft portions 113 and 123 are further formed at the positions of the soft portions 111 and 121. In the intake duct, the flexible portions 113 and 123 act in the same way as the soft portions 111 and 121, and thus have a similar effect to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and have a similar effect.

실시예 10Example 10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 10에 따른 흡기 덕트는 실시예 8과 유사한 부직포 섬유 시트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흡기 덕트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그들의 플랜지 부분(130, 140)을 통하여 서로 결합된 제 1 및 제 2 세그먼트(103, 104)로 구성된다. 각각 1.5 mm 두께의 요홈 트렁크 부분(131, 141)은 각각 플랜지부분(130, 140)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1.5 mm 두께의 브랜치 부분(132, 142)은 각각 흡기 덕트의 외주 방향으로 트렁크 부분(131, 141)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트렁크 부분(131, 141)과 브랜치 부분(132, 142) 이외의 모든 부분은 실시예 8에서 소프트 부분(111, 121) 이외의 부분은 3mm 두께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트렁크 부분(131, 141)과 브랜치 부분(132, 142)은 특별히 단단하도록 고 압축도를 가진다. 즉, 각각의 트렁크 부분은 흡기 덕트의 축/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부분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각각의 브랜치 부분은 흡기 덕트의 외주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부로서의 역할을 한다.The intake duct according to Example 10 shown in FIGS. 20 and 21 is formed using a nonwoven fiber sheet similar to Example 8. The intake ducts are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103 and 104 joined together via their flange portions 130 and 140, respectively,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ighth embodiment. Each 1.5 mm thick groove trunk portion 131, 141 is formed parallel to the flange portions 130, 140, respectively, and the 1.5 mm thick branch portions 132, 142 are each a trunk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take duct. It is formed to extend perpendicular to the (131, 141). All parts other than the trunk parts 131 and 141 and the branch parts 132 and 142 are formed in the eighth embodiment except for the soft parts 111 and 121 to be 3 mm thick. Therefore, trunk portions 131, 141 and branch portions 132, 142 have a high degree of compression to be particularly rigid. That is, each trunk portion serves as a reinforcement portion extending in the axial / length direction of the intake duct, and each branch portion serves as a reinforcement portion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take duct.

그러므로, 실시예 10의 흡기 덕트에 따라서, 굴곡 성형 보유도는 하드 트렁크 부분(131, 141)과 플랜지 부분(130, 140)에 의해 우수하게 되고, 이 때문에, 설치하기 위한 인력이 흡기 덕트의 변형에 따라 증가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내경 보유도는 하드 브랜치 부분(132, 142)에 의해 우수해지며, 이에 의해 이에 작용하는 외력 또는 부압이 과도하다면 흡기 덕트는 좌굴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항상 공기의 안정적인 양이 보장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take duct of the tenth embodiment, the bending molding retention is excellent by the hard trunk portions 131 and 141 and the flange portions 130 and 140, so that the manpower for installation deforms the intake duct. The increase is prevented accordingly. 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retention is improved by the hard branch portions 132 and 142, whereby the intake duct is prevented from buckling if the external force or negative pressure acting on it is excessive. Therefore, it is always possible to ensure a stable amount of air.

실시예 11Example 11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 11에 따른 흡기 덕트는 실시예 8과 유사한 부직포 섬유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흡기 덕트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그들의 플랜지 부분(150, 160)을 통하여 서로 결합된 제 1 및 제 2 세그먼트(105, 106)로 구성된다. 하드 결합 걸쇠(151, 161)는 각각 제 1 및 제 2 세그먼트(106)의 단부 부분에 형성되고, 돌출부(152, 162)는 각각 다른 단부 부분에서 플랜지 부분(150, 160)상에 형성된다. 돌출부(152, 162)는 흡기 덕트를 파트너 부재에 결합시키기 위한 브래킷으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서로 일체적으로 적층된다.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shown in FIG. 22 is formed using a nonwoven fiber similar to that of the eighth embodiment. The intake ducts are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segments 105, 106 joined to each other through their flange portions 150, 160, respectively,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8. Hard engagement clasps 151 and 161 are formed at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106, respectively, and protrusions 152 and 162 are formed on the flange portions 150 and 160 at the other end portions, respectively. The protrusions 152 and 162 are integrally stacked with each other to function as a bracket for coupling the intake duct to the partner member.

결합 걸쇠(151, 161)는 각각 도 23에 도시된 단면형상을 가지며, 파트너 부재(107)의 결합 구멍(170)과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 걸쇠(151, 161)는 고압축도를 가지도록 1.5 mm 두께를 가지고 보통 부분과 비교하여 단단한 3mm 의 두께를 가진다. 그러므로, 결합 걸쇠(151, 161)는 탄성 변형에 의해 결합 구멍(170)과 결합하고 파트너 부재가 결합된 후에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원래의 형상을 회복한다.Engagement clasps 151 and 161 have a cross-sectional shape shown in FIG. 23, respectively, and are formed to engage with engagement holes 170 of partner member 107. In addition, the coupling clasps 151 and 161 have a thickness of 1.5 mm to have a high compression, and has a thickness of 3 mm, which is harder than that of the normal part. Therefore, the engagement clasps 151, 161 regain their original shape to prevent engagement with the engagement apertures 170 by elastic deformation and separation after the partner members are engaged.

결국, 세그먼트 걸쇠(151, 161)는 각각 그들의 단면 형상으로 반원통 부분으로서 제 1 및 제 2 세그먼트(105, 106)와 일체로 우선 형성되고 각각 제 1 및 제 2 세그먼트(105, 106)를 절단하여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As a result, the segment clasps 151, 161 are first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105, 106 as semi-cylindrical portions in their cross-sectional shapes, respectively, and cut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105, 106, respectively. I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또한, 돌출부(152, 162)는 두께가 3mm인 보통 부분보다 높은 압축도를 가지도록 각각 1.5 mm두께를 가지도록 제조된다. 그러므로 충분한 강도가 보장된다. 결국, 리브(152, 162)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돌출부(152, 162)의 표면상에 형성된다. 그 결과로, 돌출부(152, 162)는 브래킷으로서의 충분한 강도를 보장하도록 강도가 더욱 향상된다.In addition, the protrusions 152 and 162 are each manufactured to have a thickness of 1.5 mm so as to have a higher degree of compression than a normal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3 mm. Therefore sufficient strength is ensured. As a result, ribs 152 and 162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protrusions 152 and 162,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protrusions 152 and 162 are further enhanced in strength to ensure sufficient strength as a bracket.

그러므로, 실시예 11에 따른 흡기 덕트는 파트너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결합 부와 브래킷을 가지기 때문에 다른 부품이 필요없이 파트너 부재에 부착할 수 있고, 이 때문에 단가가 감소한다. 또한, 흡기 덕트는 또한 재활용도가 또한 우수하다.Therefore, since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has a joining portion and a bracket for attaching the partner member, it can be attached to the partner member without the need for other parts, which reduces the unit cost. In addition, the intake duct is also excellent in recyclability.

실시예 12Example 12

도 12는 실시예 12에 따른 흡기 덕트의 단면을 도시한다. 흡기 덕트는 제 1 및 제 2 세그먼트(30, 40)에 의해 구성된다.12 shows a cross section of an intake duct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The intake duct is constituted by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30, 40.

제 1 세그먼트(30)는 플랜지 부분이 대향하여 왼쪽 및 오른쪽에 형성되도록 사출성형에 의해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플랜지 부분(31)에 있어서, 복수의 결합 돌출부(32)는 일정한 간격으로 플랜지 부분(31)과 일체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33)은 플랜지 부분(31)의 일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The first segment 30 is formed of polypropylene by injection molding so that the flange portion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ppositely. In each flange portion 31, the plurality of engagement protrusions 32 are integrally arranged with the flange portion 31 at regular intervals. In addition, the bracket 33 is integrally formed with a part of the flange portion 31.

제 2 세그먼트(40)는 실시예 1과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가열 가압 성형에 의해 PET 섬유로 제조된 부직포 섬유로 형성되고, 플랜지 부분(41)은 왼쪽 및 오른쪽에 대향되게 형성된다. 또한, 이들 플랜지 부분(41)의 각 플랜지 부분과, 복수의 관통 구멍(42)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이들 관통 구멍(42)은 플랜지 부분(41) 근처의 불필요한 부분이 제 2 세그먼트(40)가 주조된 후에 펀치되는 동시에 형성된다.The second segment 40 is formed of nonwoven fibers made of PET fibers by heat press molding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flange portion 41 is formed opposite to the left and right sides. In addition, each flange portion of these flange portions 41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42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se through holes 42 are formed at the same time that unnecessary portions near the flange portion 41 are punched after the second segment 40 is cast.

실시예 12에 따른 흡기 덕트에 있어서, 결합돌기(32)는 제 1 및 제 2 세그먼트(30, 40)가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되도록 각각의 관통 구멍(42)에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 1 세그먼트(30)의 강도가 흡기 덕트에서 크기 때문에, 흡기 덕트는 결합 브래킷과 같은 다른 부품이 필요없이 브래킷을 통하여 파트너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돌기(32)의 강도가 크기 때문에 충분한 결합 강도가 보장된다. 또한, 제 2 세그먼트(40)가 부직포 섬유로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약간의 침투도를 가진다. 그 결과, 실시예 1 및 2의 특성들 사이의 중간 특성은 실시예 12에 따른 흡기 덕트에서 흡입 소음(배출음과 투과음)에 대하여 얻어진다.In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the engaging projection 32 is coupled to each through hole 42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30 and 40 are integrally engaged with each other. Therefore, since the strength of the first segment 30 is large in the intake duct, the intake duct can be joined with the partner member through the bracket without the need for other parts such as the joining bracket. In addition, since the strength of the engaging projection 32 is large, sufficient bonding strength is ensured.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egment 40 is made of nonwoven fabric, it has a slight penetration. As a result, an intermediate characteristic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Examples 1 and 2 is obtained for the intake noise (exhaust sound and transmission sound) in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결합 돌기(32)와 관통 구멍(42)에 기초한 기계적인 결합 수단이 실시예 12에서 서로 제 1 및 제 2 세그먼트(30, 40)를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될지라도, 열간 코킹이 사용될 수도 있는데, 여기에서 제 1 세그먼트(30)의 플랜지 부분(31)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34)는 관통 구멍(42)내로 삽입되고, 돌출부(34)의 헤드는 용융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돌출부(41)와 결합된다.Although mechanical joining means based on the engaging projection 32 and the through hole 42 are used to join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30, 40 with each other in the twelfth embodiment, hot caulking may be used, where A protrusion 34 protruding from the flange portion 31 of the first segment 3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2, the head of the protrusion 34 is melted and the flange protrusion 41 as shown in FIG. 13. Combined with.

다르게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세그먼트(40)는 몰드내에 배열되고, 제 2 세그먼트(40)와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관통 구멍(42)을 관통하는 결합부(35)는 주입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그 다음에, 제 1 세그먼트(30)는 제 2 세그먼트(40)상에 놓여지고 제 1 및 제 2 세그먼트(30, 40)가 결합부(35)를 통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진동 용접에 의해 결합부(35)에 용접된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4, the second segment 40 is arranged in a mold, and the engaging portion 35 integrally engaged with the second segment 40 and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42 is injected. It is formed by molding. The first segment 30 is then placed on the second segment 40 and joined by vibratory welding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30, 40 can be joined to each other via the joining portion 35. It is welded to the part 35.

이와는 달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서로 연통하는 관통 구멍은 제 1 및 제 2 세그먼트(30, 40)가 서로 결합될 때 플랜지 부분(31, 41)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은 관통 구멍에 클립 등을 삽입하여 이루어 진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s formed in the flange portions 31 and 41 when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30 and 40 are joined to each other, and the joining is performed by attaching a clip or the like to the through hole. It is done by inserting.

더욱이, 커플링 구조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플링 구조에 있어서, 제 1 세그먼트(30)의 플랜지부(31)로 돌출되는 복수의 가요성 핀 보스(36)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 스트립(37)과 결합 구멍(38)은 플랜지부(31)의 전방 단부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힌지 부분(39)은 핀 보스(36)와 결합 구멍(38) 사이에 형성된다. 핀 보스(36)가 관통 구멍(42)에 삽입된 후에, 플랜지 부분(31)의 전방 단부는 결합 구멍(38)이 핀 보스(36)와 결합되도록 힌지 부분(39)에서 180°외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그 결과, 제 2 세그먼트(40)의 플랜지 부분(41)은 제 1 세그먼트(30)의 플랜지 부분(31)에 의해 외측으로 지지되어 있고, 이 때문에 제 1 및 제 2 세그먼트(30, 40)는 서로 결합된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structure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 In the coupling structure, a plurality of flexible pin bosses 36 protruding into the flange portion 31 of the first segment 30 are formed at intervals as shown in FIG. 15. Further, the protruding strip 37 and the engaging hole 38 are formed i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31. In addition, the hinge portion 39 is formed between the pin boss 36 and the engagement hole 38. After the pin boss 36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2, the front end of the flange portion 31 is bent 180 ° outward from the hinge portion 39 so that the engagement hole 38 engages with the pin boss 36. It is. As a result, the flange portion 41 of the second segment 40 is supported outward by the flange portion 31 of the first segment 3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30, 4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커플링 구조에 따라서, 돌출 스트립(37)은 커플링의 타이트도가 향상되도록 플랜지 부분(31)상에 플랜지 부분(41)을 가압하도록 작용하고, 플랜지 부분(31)은 제 2 세그먼트(40)의 플랜지 부분(41)의 단부 표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및 제 2 세그먼트(30, 40)사이의 경계를 통하여 흡기 덕트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upling structure, the protruding strip 37 acts to press the flange portion 41 on the flange portion 31 so that the tightness of the coupling is improved, the flange portion 31 being the second segment 40. The end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41 of the can completely cov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intake duct through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30 and 40.

흡기 덕트의 일부분이 실시예 12에서와 같은 부직포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부직포 섬유에 의해 점유된 면적 대 흡기 덕트의 전체에 대한 비율은 흡기 덕트 길이의 1/4 이하와 흡기 덕트 외주 길이의 1/4 이하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직포 섬유에 의해 점유된 면적은 복수의 부분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흡기 덕트가 제 1 세그먼트와 복수의 제 2 세그먼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 2 세그먼트에 의해 점유된 각 면적의 합이 덕트의 길이 방향 및 외주 방향으로의 상기한 조건을 만족한다면 양호하다.In the case where a part of the intake duct is formed of the nonwoven fabric as in Example 12, the ratio of the area occupied by the nonwoven fiber to the total of the intake duct is not more than 1/4 of the intake duct length and the intake duct outer peripheral length. It is desirable to make less than 1/4 of. Also, the area occupied by the nonwoven fibers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portions. In this case, the intake duct is constituted by the first segment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egments, and the sum of the respective areas occupied by the plurality of second segments is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cond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uct. If satisfied, it is good.

본 고안에 따른 흡기 덕트에 있어서, 간단하고 값싼 구조로 흡입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쓰로틀 등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고속 엔진 속도에서 충분한 양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In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take noise with a simple and inexpensive structure. In addition, since no throttle or the like is used, a sufficient amount of air can be supplied at a high engine speed.

더욱이, 전체의 흡기 덕트가 가열 가압 성형에 의해 부직포 섬유로 형성될 때, 흡기 덕트는 덕트가 복잡한 3차원 형상을 가질지라도 단일 성형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 결과, 흡기 덕트는 외경 치수가 정확하게 되고, 단가가 저렴하고 중량이 가볍다. 더욱이, 내부 외표면은 주조로 성형 할 수 있다. 그 결과, 내부 외표면의 표면 거칠기의 정도는 매우 미세하고 공기 침투 저항이 증가하는 결함이 없다.Moreover, when the entire intake duct is formed of nonwoven fibers by hot press molding, the intake duct can be manufactured in a single forming process even though the duct has a complicated three-dimensional shape. As a result, the intake duct is accurate in outer diameter, inexpensive, and light in weight. Moreover, the inner outer surface can be molded by casting. As a result, the degree of surface roughness of the inner outer surface is very fine and there is no defect that the air penetration resistance increases.

또한, 강도는 소프트 및 하드 부분의 위치 또는 사이즈를 변경하여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이 때문에 흡기 덕트는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특성을 가지도록 제공된다.In addition, the strength can be freely adjusted by changing the position or size of the soft and hard parts, and for this reason, the intake duct is provided to hav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더욱이, 강도는 가요성 부분의 위치 또는 사이즈를 변경하여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흡기 덕트는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특성을 가지도록 제공된다.Moreover, the strength can be freely adjusted by changing the position or size of the flexible portion, whereby the intake duct is provided to have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험예에서의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in a test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시험예에서 배출구 소리의 음압과 주파수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nd pressure and the frequency of the outlet sound in the test example.

도 3은 시험예에서 투과음 음압과 주파수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nd pressure and the transmitted sound pressure in the test example.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흡기 덕트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흡기 덕트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 따른 흡기 덕트내에서 발생되는 흡입음의 음압과 주파수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nd pressure and the frequency of the suction sound generated in the intake ducts according to Examples 1, 2 and Comparative Example 1. FIG.

도 7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 따른 흡기 덕트내에서 발생되는 투과음의 음압과 주파수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7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und pressure and frequency of transmitted sound generated in the intake ducts according to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 1. FIG.

도 8은 실시예 4 에 따른 흡기 덕트내에서 사용되는 PET 섬유의 단면도이다.8 is a sectional view of a PET fiber used in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9는 비교예 2에 따른 흡기 덕트내에 사용되는 PET 섬유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ET fibers used in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 FIG.

도 10은 비교예 5에 따른 흡기 덕트를 도시한 주요 부분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5. FIG.

도 11은 주요부의 분해도를 포함하는 실시예 6에 따른 흡기 덕트의 단면도이다.11 is a sectional view of an intake duct according to Embodiment 6 including an exploded view of the main part.

도 12는 실시예 12에 따른 흡기 덕트의 단면도이다.12 is a sectional view of an intake duct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도 13은 실시예 12에 따른 다른 양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단면도이다.FIG. 13 is a 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FIG.

도 14는 실시예 12에 따른 흡기 덕트의 다른 양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단면도이다.14 is a 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도 15는 제 1 및 제 2 세그먼트가 서로 결합되지 않은 실시예 12에 따른 흡기 덕트의 다른 양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단면도이다.FIG. 15 is a 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are not joined to each other; FIG.

도 16은 실시예 12에 따른 흡기 덕트의 다른 양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단면도이다.16 is a 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도 17은 에어 클리너와 함께 실시예 7에 따른 흡기 덕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ake duct according to Example 7 with an air cleaner.

도 18은 본 고안의 실시예 8에 따른 흡기 덕트의 사시도이다.1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ake duct according to Embodiment 8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고안의 실시예 9에 따른 흡기 덕트의 사시도이다.1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ake duct according to Embodiment 9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고안의 실시예 10에 따른 흡기 덕트의 사시도이다.2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ake duct according to Embodimen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0에 따른 흡기 덕트의 사시도이다.2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ake duct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1에 따른 흡기 덕트의 사시도이다.2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ake duct according to Embodiment 1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흡기 덕트가 파트너 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 11에 따른 흡기 덕트를 도시한 주요부의 단면도이다.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n intake duct according to Embodiment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intake duct is coupled to a partner member. FIG.

도 24는 돌출부를 단면으로 부분적으로 도시한 본 고안의 실시예 11에 따른 흡기 덕트의 다른 양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protrusion partially shown in cross section.

도 2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흡기 덕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6은 막힘 방지층의 예시도이며, (A)는 흡기 덕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취한 단면도이며, 도 (B)는 커버만을 단면도로 도시한 흡기 덕트의 측면도이다.FIG. 26 is an exemplary view of a clogging prevention layer, (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ake duct, and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 시편 2 : 아크릴 수지 파이프1: test piece 2: acrylic resin pipe

3 : 방음벽 4 : 스피커3: soundproof wall 4: speaker

5 : 마이크로폰 6 : 흡기 덕트5: microphone 6: intake duct

10 : 코어물질 11 : 코팅층10 core material 11 coating layer

Claims (28)

자동차의 외측 공기 흡입구와 엔진의 흡입구 매니폴드 사이에 배열된 흡기 덕트에 있어서,An intake duct arranged between an outside air intake of an automobile and an intake manifold of an engine, 상기 흡기 덕트가 덕트벽을 가지며, 상기 흡기 덕트벽의 적어도 일부분이 통기성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섬유의 주조 몸체(성형체)로 형성되고, 상기 덕트벽은 자체 침투도(permeability)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intake duct having a duct wall,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take duct wall is formed of a cast body of a fiber made of a nonwoven fabric having breathability, and the duct wall has a self permeability. Intake duc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조 몸체 1 ㎡당 침투도는 98 Pa의 압력차를 가진 공기의 경우에 6,000 ㎥/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permeability per m 2 of the casting body is in the intake duct,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6,000 m 3 / h in the case of air having a pressure difference of 98 P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주조 몸체 1 ㎡당 침투도는 98 Pa의 압력차를 가진 공기의 경우에 4,200 ㎥/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Intake duct per 1 m 2 of the casting body,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4,200 m 3 / h in the case of air having a pressure difference of 98 Pa.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주조 몸체 1 ㎡당 침투도는 98 Pa의 압력차를 가진 공기의 경우에 0 ㎥/h 보다 크고 3,000 ㎥/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permeability per m 2 of the casting body is greater than 0 m 3 / h and less than 3,000 m 3 / h in the case of air having a pressure difference of 98 P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직포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nonwoven fabric is intake 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ermoplastic resin fi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덕트벽의 전체는 상기 주조 몸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entire intake duct wall is formed by the casting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덕트벽의 전체는 상기 주조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직포 섬유는 융점을 달리하는 고융점 섬유(제 1섬유) 보다 낮은 융점을 가진 저융점 열가소성 수지인 저융점 섬유(제 2섬유)와 고융점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저융점 섬유 대 상기 부직포 섬유의 비율은 상기 고융점 섬유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entire duct wall is formed of the cast body, and the nonwoven fiber is a low melting point fiber (second fiber) and a low melting point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lower melting point than a high melting point fiber (first fiber) having different melting points. An intake duct comprising a thermoplastic resin, wherein the ratio of the low melting fiber to the nonwoven fiber is higher than the high melting fiber.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저융점 섬유 대 상기 부직포 섬유의 용적비는 20 내지 50%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volume ratio of said low melting point fiber to said nonwoven fiber is in the range of 20 to 50%.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저융점 섬유의 융점은 150 내지 170℃의 범위이고, 상기 고융점 섬유의 융점은 220 내지 26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melting point of the low melting fiber is in the range of 150 to 170 ℃, the melting point of the high melting point fiber is intake 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220 to 260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덕트벽의 전체는 상기 주조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직포 섬유는 고융점 열가소성 수지의 코어 물질로 구성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물질보다 낮은 융점을 가진 저융점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코어 물질의 표면상에 적용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entirety of the duct wall is formed of the cast body, and the nonwoven fiber comprises a thermoplastic resin composed of a core material of a high melting point thermoplastic resin and has a lower melting point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core material and on the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Intake duct comprising a coating layer applied to.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저융점 섬유의 융점은 150 내지 170℃의 범위이고, 상기 고융점 섬유의 융점은 220 내지 26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melting point of the low melting fiber is in the range of 150 to 170 ℃, the melting point of the high melting point fiber is intake 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220 to 260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조 몸체에는 방수층인 기능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casting body has an intake duc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functional layer that is a waterproof lay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조 몸체에는 막힘 방지층인 기능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casting body has an intake 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functional layer which is an anti-clogging layer. 자동차의 외측 공기 흡입구와 엔진의 흡입구 매니폴드 사이에 배열된 흡기 덕트에 있어서,An intake duct arranged between an outside air intake of an automobile and an intake manifold of an engine, 합성 수지로 형성된 주조 몸체(성형체)로 구성된 제 1 세그먼트와,A first segment composed of a cast body (molded bod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통기성을 갖는 부직포 섬유로 형성된 주조 몸체에 의해 구성된 제 2 세그먼트를 구비하고,A second segment formed by a cast body formed of breathable nonwoven fibers, 상기 제 1 및 제 2 세그먼트는 실린더를 형성하도록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 And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cylinder.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 1 세그먼트는 결합 돌기를 가지고,The first segment has a coupling protrusion, 상기 제 2 세그먼트는 관통 구멍을 가지며,The second segment has a through hole,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세그먼트가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되도록 관통 구멍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 And the engaging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 1 세그먼트는 돌출부를 가지며,The first segment has a protrusion, 상기 제 2 세그먼트는 관통 구멍을 가지며,The second segment has a through hole,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통 구멍내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의 헤드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관통 구멍과 결합되도록 제조되도록 용융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세그먼트는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head of the protrusion is melted to manufacture the protrusion to engage with the through hole, and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 2 세그먼트는 관통 구멍을 가지며, 수지로 제조된 결합 부분은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결합 부분과 상기 제 1 세그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세그먼트가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되도록 서로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 The second segment has a through hole, and a joining portion made of resin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and the joining portion and the first segment are mutually integrat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are integrally joined to each other. Intake duct, characterized in that welded.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 1 세그먼트는 유연성을 가진 핀보스와, 힌지 부분과, 결합 구멍과 상기 힌지 부분의 외측에 형성된 돌출 스트립을 가지며,The first segment has a flexible pin boss, a hinge portion, a coupling hole and a protruding strip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hinge portion, 상기 제 2 세그먼트는 관통 구멍을 가지며,The second segment has a through hole, 상기 핀보스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통과하고, 상기 힌지 부분은 상기 핀보스가 상기 결합 구멍에 결합되도록 굴곡지어 있고, 여기에서 상기 돌출 스트립은 상기 제 1 및 제 2 세그먼트가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세그먼트상에 상기 제 2 세그먼트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 The pin boss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hinge portion is bent such that the pin boss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wherein the protruding strip allows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to b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pressurize said second segment onto said first segment. 자동차의 외측 공기 흡입구와 엔진의 흡입구 매니폴드 사이에 배열된 흡기 덕트에 있어서,An intake duct arranged between an outside air intake of an automobile and an intake manifold of an engine, 상기 흡기 덕트가 형상 유지성을 갖는 하드 부분과 진동을 흡수하는 소프트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부분들은 압축 성형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를 포함하는 통기성을 갖는 부직포 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intake duct having a hard portion having shape retention and a soft portion for absorbing vibrations, wherein the portions are formed of breathable nonwoven fabric including a thermoplastic resin binder by compression molding.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부직포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nonwoven fabric is intake 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ermoplastic resin fiber.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하드 부분은 직선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hard portion extends in a straight line.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하드 부분은 상기 흡기 덕트가 연장된 방향에 실제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hard portion is form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take duct extends.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하드 부분은 상기 흡기 덕트가 연장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hard portion is an intake duc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take duct extends.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파트너 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부분은 상기 하드 부분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An intake 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partner member is formed in the hard portion. 제 2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결합 부분의 압축도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Intake 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ion of the coupling portion is higher. 자동차의 외측 공기 흡입구와 엔진의 흡입구 매니폴드 사이에 배열된 흡기 덕트에 있어서,An intake duct arranged between an outside air intake of an automobile and an intake manifold of an engine, 상기 흡기 덕트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구비하고, 통기성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는 대향하는 측면상에 플랜지 부분을 가진 실제적으로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압축 성형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의 상기 플랜지 부분은 상기 세그먼트가 실린더로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되고, 변형 가능한 부분(flexible portion)은 상기 플랜지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 The intake duct comprises a plurality of segments, each segment of breathable nonwoven fabric comprising thermoplastic resin binders by compression molding to have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with flange portions on opposite sides, The flange portion of the segment is couple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segment is formed into a cylinder, and a flexible portion is provid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제 2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변형 가능 부분은 톱니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여기에서 산형상과 계곡 형상이 연속적으로 교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deformable portion is formed in a sawtooth shape, wherein the intake 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ain shape and the valley shape alternately continuously. 제 2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변형 가능 부분은 상기 플랜지 부분 이외의 다른 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덕트.The deformable portion is provided in a portion other than the flange portion.
KR20-2005-0007175U 1998-04-09 2005-03-17 Suction Duct KR20038747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175U KR200387474Y1 (en) 1998-04-09 2005-03-17 Suction 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8-00097585 1998-04-09
JPJP-P-1998-00153133 1998-06-02
JPJP-P-1998-00168893 1998-06-16
KR20-2005-0007175U KR200387474Y1 (en) 1998-04-09 2005-03-17 Suction Duc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977A Division KR100674125B1 (en) 1998-04-09 1999-03-25 Suction Du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474Y1 true KR200387474Y1 (en) 2005-06-17

Family

ID=4368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175U KR200387474Y1 (en) 1998-04-09 2005-03-17 Suction Du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47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125B1 (en) Suction Duct
US8485153B2 (en) Air intake apparatus
JP5934709B2 (en) Air intake duct
JP4075658B2 (en) Intak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517595B2 (en) Intake duc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3508592B2 (en) Sound absorbing duct structure
JP2008248866A (en) Soundproof cover
JPS58217889A (en) Silencing flow path and its manufacture
JP3802267B2 (en) Intake pipe
US6622680B2 (en) Air intake du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10031136A (en) Sound absorbing cov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nd method of sound absorbing
JP4257552B2 (en) Air intake duct
US20040226772A1 (en) Air intake apparatus
JP3835117B2 (en) Intake du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452540B2 (en) Air cleaner
US20090166126A1 (en) Sound-damping air-conducting duc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sound-damping air-conducting duct
JP3802312B2 (en) Air intake duct
KR200387474Y1 (en) Suction Duct
JPH08207833A (en) Automobile engine under cover with sound absorbing function
JP2019191345A (en) Heat-resistant soundproof material for vehicle
JP2010275916A (en) Intake air duct
EP3798440A1 (en) Intake duct
JP2001012324A (en) Vehicular air intake duct
WO2000077386A1 (en) Intake manifol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17216824A1 (en) Air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