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398Y1 - 옹벽블록 - Google Patents

옹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398Y1
KR200387398Y1 KR20-2005-0008110U KR20050008110U KR200387398Y1 KR 200387398 Y1 KR200387398 Y1 KR 200387398Y1 KR 20050008110 U KR20050008110 U KR 20050008110U KR 200387398 Y1 KR200387398 Y1 KR 200387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upling
retaining wall
flow path
wal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일성
Original Assignee
황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일성 filed Critical 황일성
Priority to KR20-2005-0008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3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면과 하면에 다면체인 둘레면으로 양측이 열린 유로홈을 형성함과 상면과 하면을 관통는 토사채움부를 형성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하면에 결합돌기에 진입하는 결합홈을 형성한 구성과, 상기 상면의 유로홈과 하면의 유로홈, 그리고 결합홈과 결합돌기는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한 대칭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적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결합되는 결합구조를 이루어 조적이 용이하며, 유로홈이 형성되어 조적 후 토사채움부에 부가하여 생태계의 식생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의 유로홈과 하면의 유로홈, 그리고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대향되는 위치인 대칭구조로 형성되어 옹벽블록들이 자동정렬이 되면서 구축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Description

옹벽블록{Block for breast wall}
본 고안은 소하천의 호안, 제방 뚝, 도로의 사면, 절개지 또는 방조제 등을 안정시키기 위한 구조물을 구축하는데 사용되는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개의 연결부재 없이 구축과 구축을 위한 위치결정이 가능함은 물론 구축 후 배수기능과 어류들이 안주하거나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블록은 소하천의 호안, 제방 뚝, 도로의 사면, 절개지 또는 방조제 등의 경사면인 법면의 토사 유실로 인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정화를 목적으로 구축하는 것으로서, 옹벽블록의 배면을 뒷채움 재료인 콘크리트 몰탈 또는 토사를 이용하여 옹벽블록을 지반과 연결하면서 축조하였다.
이러한 옹벽블록은 그 재질을 자연석 또는 대량생산이 가능한 단위체로 형상화된 콘크리트블록 등을 사용하나, 자연석은 외관이 미려하나 불규칙한 형상으로 축조의 어려움이 있으며, 콘크리트블록은 축조시 위치결정의 어려움과 축조 후 설치면이 주변환경과 차단되어 설치지역의 식생물이 생존 할 수 없는 등의 생태계 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아울러 설치면의 배수가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아 설치면의 수압에 의한 붕괴될 위험성이 있는 등의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옹벽블록의 조적 후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개의 연결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조적과정에서 조적하고자 하는 위치를 결정하고 적층되는 옹벽블록의 전체적인 형태를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소하천의 호안, 제방 뚝, 도로의 사면, 절개지 또는 방조제 등을 안정시키기 위한 구조물을 구축하는데 사용되는 옹벽블록에 결합구조를 부가하여 별개의 연결부재 없이 구축과 구축을 위한 용이한 위치결정 및 구축 후 배수기능과 어류들이 안주하거나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옹벽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과 하면에 다면체인 둘레면으로 약측이 열린 유로홈을 형성함과 상면과 하면을 관통는 토사채움부를 형성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하면에 결합돌기에 진입하는 결합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한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한 대칭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 상면의 유로홈과 하면의 유로홈은 상호 대향대는 위치에 형성한 대칭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은 본 고안의 옹벽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1은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2a 도2b는 옹벽블록들을 구축하는 과정의 측면도, 도3은 옹벽블록들을 구축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상면(210)과 하면(220)에 다면체인 둘레면(240)으로 양측이 열린 유로홈(212)(222)을 형성함과 상면(210)과 하면(220)을 관통는 토사채움부(230)를 형성한 몸체(200), 및 상기 몸체(200)의 상면(210)에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214)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00)의 하면(220)에 결합돌기(214)에 진입하는 결합홈(224)을 형성한 구성과, 상기 상면(210)의 유로홈(212)과 하면(220)의 유로홈(222), 그리고 결합홈(224)과 결합돌기(214)는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한 대칭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적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결합돌기(214)와 결합홈(224)이 결합되는 결합구조를 이루어 조적이 용이하며, 유로홈(212)(222)이 형성되어 조적 후 토사채움부(230)에 부가하여 생태계의 식생공간이 형성되며, 상면(210)의 유로홈(212)과 하면(220)의 유로홈(222), 그리고 결합홈(224)과 결합돌기(214)가 대향되는 위치인 대칭구조로 형성되어 옹벽블록(100)들이 자동정렬이 되면서 구축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고안에 적용한 옹벽블록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옹벽블록(100)은 둘레면(240)이 다면체이며 상면(210)과 하면(220)을 갖는 형상이며, 25mm 이하 정도의 크기를 갖는 쇄석과 고강도시멘트(또는 고로슬래그시멘트), 물, 혼화제 등을 혼합하여 진동다짐으로 성형한 공극률 15% 이상을 유지하고 압축강도 150kgf/㎤ 이상을 나타내는 다공질콘크리트 제품이다.
이러한 옹벽블록(100)의 몸체(200)는 상면(210)과 하면(220)에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이러한 결합구조는 상면(210)에 결합돌기(214)를 형성하고, 하면(220)에 결합돌기(214)와 대향되는 위치에 대칭구조로 결합돌기(214)가 진입하는 결합홈(224)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돌기(214)와 결합홈(224)은 토사채움부(230)를 지점으로 양측에 형성된 구조를 이루나, 이러한 위치 및 개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결합돌기(214)와 결합홈(224) 간에 대향되는 대칭위치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함으로서, 결합구조의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몸체(200)의 상면(210)과 하면(220)에는 유로홈(212)(222)이 상호 대향되는 위치, 즉 상면(210)의 유로홈(212)과 하면(220)의 유로홈(222)이 상호 대향되는 위치인 대칭구조로 형성하여 조적 후 유로홈(212)(222)들이 생태계의 식생 공간인 관로를 이루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유로홈(212)(222)은 토사채움부(230)를 지점을 결합돌기(214)와 결합홈(224)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를 이루나, 이러한 위치 및 개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면(210)의 유로홈(212)과 하면(220)의 유로홈(222) 간에 대향되는 위치에 둘레면(240)측으로 양측이 열린 구조를 이룸으로서 생태계의 식생공간으로 그 실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옹벽블록(100)을 법면에 놓는 최초의 배열과정에서 둘레면(240)으로 열린 유로홈(212)(222)이 기준점이 되어 배열을 위한 위치결정이 용이함은 물론 옹벽블록(100)들이 엇갈려 적층되는 과정은 상면(210)의 결합돌기(214)에 하면(220)의 결합홈(224)이 진입하여 조적 시 위치결정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조적 후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옹벽블록(100)의 상면(210)과 하면(220)에 형성한 유로홈(212)(222)의 양측이 둘레면(240)측으로 열린구조를 이루고, 상면(210)의 유로홈(212)과 하면(220)의 유로홈(222) 간에 대향되는 위치인 대칭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조적 후 상면(210)의 유로홈(212)과 하면(220)의 유로홈(222)이 관로를 이루어 생태계 생존을 위한 식생공간으로 형성된다.
또한 엇갈력 조적된 옹벽블록(100)들은 옹벽블록(100)의 둘레면(240)의 일부면이 밀착 상태를 유지하지 않아 측면간에 이격거리(L)가 형성됨으로서, 이격거리 (L)사이의 하부에 놓여진 옹벽블록(100)은 토사채움부(230)를 포함한 유로홈(212)(222)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에 외부로 노출된 토사채움부(230)를 포함한 유로홈(212)(222)의 일부가 식물 및 어류가 이동 및 생존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어 조적된 옹벽블록(100) 전체가 생태계의 생종 공간으로 이용되는 환경친화적인 구조물로의 기능을 갖게된다.
한편 본 고안은 평면상에서 둘레면(240), 그리고 단면상에서 유로홈(212)(222), 결합돌기(214)와 결합홈(224)의 형상이 각을 이루는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타원형, 원형 등의 형상이어도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즉, 엇갈려 조적되는 옹벽블록(100)의 둘레면(240)이 밀착상태에서 하부에 놓여진 옹벽블록(100)의 일부를 포함한 토사채움부(23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는 형상이면 실시가 가능하고, 결합돌기(214)와 결합홈(224)의 상호 결합시에 전후 방향으로 지지력이 확보되는 형상이면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은 옹벽블록이 엇갈리면서 조적되는 과정에서 둘레면으로 양측이 열린상면과 하면에 형성한 유로홈에 의해 생태계의 생종공간이 확보되고, 상호 결합구조인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해 조적시에 위치 결정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안정된 적층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밀착된 옹벽블록들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인해 토사채움부를 포함한 유로홈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고 유로홈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됨으로서 노출된 토사채움부, 유로홈 등이 식생물이 정착 및 활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제공되어 환경친화적인 구조물로의 기능을 갖게되는 이점도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1 내지 도3은 본 고안의 옹벽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1은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2a, 도2b는 옹벽블록의 구축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3은 옹벽블록을 구축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옹벽블록 200 : 몸체
210 : 상면 212, 222 : 유로홈
214 : 결합돌기 220 : 하면
224 : 결합홈 230 : 토사채움부

Claims (3)

  1. 상면(210)과 하면(220)에 다면체인 둘레면(240)으로 양측이 열린 유로홈(212)(222)을 형성함과 상면(210)과 하면(220)을 관통는 토사채움부(230)를 형성한 몸체(200), 및
    상기 몸체(200)의 상면(210)에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214)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00)의 하면(220)에 결합돌기(214)에 진입하는 결합홈(224)을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200)의 상면(210)과 하면(220)에 형성한 결합돌기(214)와 결합홈(224)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한 대칭구조인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몸체(200) 상면(210)의 유로홈(212)과 하면(220)의 유로홈(222)은 상호 대향대는 위치에 형성한 대칭구조인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록.
KR20-2005-0008110U 2005-03-24 2005-03-24 옹벽블록 KR200387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110U KR200387398Y1 (ko) 2005-03-24 2005-03-24 옹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110U KR200387398Y1 (ko) 2005-03-24 2005-03-24 옹벽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398Y1 true KR200387398Y1 (ko) 2005-06-17

Family

ID=4368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110U KR200387398Y1 (ko) 2005-03-24 2005-03-24 옹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3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890Y1 (ko) 어소형 식생 옹벽블록
KR200387398Y1 (ko) 옹벽블록
CN209260649U (zh) 一种直立式l型多孔生态护岸
CN202359724U (zh) 一种砌块及多功能墙体
CN207714265U (zh) 一种高稳定性绿化护坡结构
KR20060069386A (ko) 토목구축물용 블록 및 토목구축물용 블록 부품
KR200279944Y1 (ko) 소파기능을 가진 옹벽식 호안구조
KR20090003963A (ko) 내진 식생블록
KR200406139Y1 (ko)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옹벽블록
KR100477033B1 (ko) 생태 안정화 블록
KR200249172Y1 (ko) 환경친화적 중력식 보강토 식재옹벽블록
KR200185859Y1 (ko) 생태 안정화 블록
CN109113023A (zh) 挡护砌块、邻水土壤挡护结构及生态沟渠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KR20060095089A (ko)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CN203891041U (zh) 中字形护坡混凝土砌块
CN212477598U (zh) 一种水利建设工程生态护坡
CN101660303A (zh) 一种护坡砖及利用其构筑河道斜坡的方法
KR20110005277U (ko) 식생옹벽블록
KR200327407Y1 (ko) 식물자생용 호안블럭
KR200387371Y1 (ko) 하상 옹벽 블록
KR100997520B1 (ko) 우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식생블럭
KR100796317B1 (ko) 조경 블럭
KR200386587Y1 (ko) 환경식생 호안블럭
KR100376947B1 (ko) 식물의 생육이 가능한 콘크리트 수로 및 그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