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334Y1 -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334Y1
KR200387334Y1 KR20-2005-0001633U KR20050001633U KR200387334Y1 KR 200387334 Y1 KR200387334 Y1 KR 200387334Y1 KR 20050001633 U KR20050001633 U KR 20050001633U KR 200387334 Y1 KR200387334 Y1 KR 200387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furniture
pipe
sterilization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형우
Original Assignee
(주)아이비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비디자인 filed Critical (주)아이비디자인
Priority to KR20-2005-0001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3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3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칸으로 구획된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가구의 각 구획칸의 판벽에 관통형성된 살균탈취제 배출구와, 상기 각 배출구를 연결하여 상호 연통시키는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과, 상기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 내에 마련된 살균탈취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가구의 각 구획실과 연통하도록 설치된 배관을 통해 살균탈취제의 살균탈취입자를 각 구획실에 모두 공급할 수 있게 되어, 각 구획실마다 개별적으로 살균탈취제를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가구 내부의 공간효율성도 향상된다.

Description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sterilizer and deodorizer for a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 탈취, 습기 및 먼지제거에 탁월한 탈취제를 물품을 보관하는 가구로 공급하여 가구 내에 존재하는 각종 세균, 먼지 및 냄새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가구내의 공기를 청정하게 할 수 있는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나 이불 등을 넣어 보관하는 옷장이나 이불장, 식기류를 넣어 보관하는 주방용가구, 약재를 보관하기 위한 약장 등 각종 물품을 넣어 보관하기 위한 가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구에 있어, 특히 목재로 제조된 가구가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편안한 질감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선호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구는 단순히 물품을 넣어 보관하는 기능을 가질 뿐 항습, 항균 등의 기능을 만족시킬 수 없었다.
이에, 가구의 항습, 항균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옷장의 경우에는 의류의 냄새 및 습기 제거를 하기 위해 옷장 안에 나프탈렌과 습기제거제 등을 투입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나프탈렌(C10H8)은 식물성 섬유와 같은 의류나 목재가구 등에 기생하는 좀의 번식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었으나 그 냄새가 좋지 않고 또한 의류에 냄새가 배어들어 외출시 바로 옷을 착용하기 어려웠다.
그리고, 상기 습기제거제는 주성분으로 염화칼슘(CaCl2)을 다량 함유한 제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염화칼슘은 공기와 접하면서 습기를 흡습하는 특성이 탁월한 반면에 일정기간 사용 후에는 수명이 다하여 교체하여야 되므로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의 습기제거제는 가구내부의 구획칸마다 각각 설치해야 하므로 다량의 습기제거제를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과 번거로움이 있으며, 가구 내부의 일정 공간을 차지하므로 공간효율성이 떨어진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구의 각 구획실과 연통하도록 설치된 배관을 통해 살균탈취제의 살균탈취입자를 각 구획실에 모두 공급할 수 있는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칸으로 구획된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구의 각 구획칸의 판벽에 관통형성된 살균탈취제 배출구와, 상기 각 배출구를 연결하여 상호 연통시키는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과, 상기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 내에 마련된 살균탈취제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은 통형상의 직선배관과, 상기 직선배관과 직교하게 연통형성되며 상기 각 살균탈취제 배출구와 접속되는 다수의 분기배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은 단계적으로 지름이 작아지도록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벤츄리 형상의 벤츄리 배관과, 상기 벤츄리 배관과 직교하게 연통형성되며 상기 각 살균탈취제 배출구와 접속되는 다수의 분기배관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내에 마련되는 음이온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탈취제는 상기 음이온 발생기의 음이온인 것이 효과적이다.
삭제
상기 음이온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음이온 발생기의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동작 스위치와, 상기 동작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음이온 발생기가 동작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더 포함하여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음이온 발생기의 동작을 온오프하거나 특정 시간에만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살균탈취제 공급배관의 각 분기배관에 설치된 댐퍼 및 댐퍼 구동모터와, 상기 각각의 댐퍼 구동모터가 상기 전원공급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이컴은 상기 동작 스위치의 선택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소정의 댐퍼 구동모터를 동작시켜 해당 살균탈취제 배출구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살균탈취제의 공급 구조도이고, 도 2의 도 1의 가구의 살균탈취제의 공급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1) 내부에는 각기 상이한 너비를 갖는 칸으로 구획된 다수개의 구획칸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가구(1)내의 구획된 각 구획칸에 살균탈취제의 한 종류인 음이온을 공급하는 살균탈취제 배출구(8)를 마련하고, 살균탈취제 배출구(8)를 가구(1)의 상부판면에 설치하고 살균탈취제 배출구(8)를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10)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붙박이 장이나 씽크대와 같은 가구는 상판면이 천정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한 후 천정과 가구사이를 본딩(bonding)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공간효율을 위해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10)을 씽크대 또는 붙박이장과 같은 가구의 상부와 천정의 이격공간에 배치하였다.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10)은 통형상의 직선배관과, 직선배관과 직교하게 연통형성되며 가구의 각 구획실의 살균탈취제 배출구(8)와 접속되는 다수의 분기배관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10)의 구조에 의해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10)의 내부에 음이온 발생기(5)를 배치하면 음이온이 분사됨에 따라 배관을 따라 이동하여 각 구획실로 공급된다.
음이온 발생기(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을 이루는 방전대응극(36a)들 사이에 뾰족한 침으로 구성된 방전극(36b)들이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방전대응극(36a) 내부에 장착된 방전극(36b)이 코로라 방전을 일으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한편, 미세한 먼지나 불순물이 강제 전리되면서 포집되어 흡착제거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AC 900V의 출력전압을 배전압회로에 의하여 30배정도를 승압시키면 2만5천 볼트 이상의 전압이 발생되고, 보호저항을 통하여 뾰족한 침으로 구성된 출력프로브인 방전극(36b)에 가해진다. 2만5천 볼트 이상의 전압을 가하여 방전대응극(36a)과 방전극(36b)에 음전압을 걸면 고에너지 공정(high energy process)에 의해 일정전압 이상에서 공기층의 절연이 파괴되어 방전전류가 급증하게 된다. 이러한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음전기를 띤 전자가 전리를 일으킬 수 있을 정도의 에너지를 갖고 고속으로 공기 중에 방출되어 공기를 음이온화시킨다. 특히 출력프로브인 방전극(36b)을 뾰족하고 날카롭게 형성하면 무딘 면보다는 날카로운 면에서 더욱 많은 전자가 방출되고 이렇게 방출된 전자는 산소분자와 결합하여 음이온화된 산소를 생성하며, 음이온화된 산소는 유해전자파의 제거, 먼지 및 세균을 흡착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시키고, 정전기를 제거하는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이온은 담배의 연기나 불쾌한 냄새를 분해, 소취하고, 살균작용에 의한 공기오염을 방지하고, 곰팡이의 발생방지와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음이온 발생기(5)의 동작 제어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스위치(11)의 온오프에 따라 마이컴(12)이 이를 감지하여, 전원공급부(14)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시간주기로 음이온 발생기(5)에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이에 따라 음이온 발생기(5)는 일정 시간동안 동작하거나 일정 시간 주기로 동작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구(1)의 살균탈취제의 공급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의 가구의 살균탈취제의 공급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의 실시예는 가구의 모든 구획칸에 음이온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구획칸에만 음이온을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1)내에 구획된 각 구획칸에 음이온을 공급하는 살균탈취제 배출구(5)를 마련하고, 살균탈취제 배출구(5)를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10)으로 연결하여 가구(1)의 상부면에 설치한다. 그리고, 도 1의 실시예에 추가된 구성으로서,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10)의 분기배관 부분에 각각 댐퍼와 댐퍼 구동모터(25~28)를 마련하여, 원하는 구획칸에 선택적으로 음이온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댐퍼와 댐퍼 구동모터의 설치위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각 구획칸측 살균탈취제 배출구(8)를 개폐하도록 댐퍼와 댐퍼 구동모터를 장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의 음이온 발생기(5)와 댐퍼의 동작 제어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구획실로 음이온이 공급되도록 선택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21)와, 제1 내지 제4 댐퍼를 구동시키는 각각의 구동모터(25~28)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4)와, 전원공급부(24)와 제1 내지 제4 댐퍼 구동모터(25~28)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29)와, 동작 스위치(21)의 선택상태에 따라 스위칭부(29)를 제어하는 마이컴(22)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 내지 제4 댐퍼 구동모터(25~28)는 전원공급부(24)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댐퍼가 닫히도록 하고 전원이 공급되면 댐퍼가 열리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 스위치(21)의 온오프에 따라 마이컴(22)이 이를 감지하여 스위칭부(29)를 제어함으로써 제1 내지 제4 댐퍼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한다. 그러면, 제1 내지 4 댐퍼 중 해당 구획실의 댐퍼가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음이온이 공급되도록 선택된 구획실에만 음이온이 공급된다. 여기서, 동작 스위치(21)는 각 구획실의 댐퍼 구동 모터를 각각 온오프시키기 위한 다수의 온오프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이컴(22)은 타이머(23)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시간주기로 음이온 발생기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24)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음이온 발생기(5)는 일정 시간동안 동작하거나 일정 시간 주기로 동작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 구조도이다. 도 6은 음이온 발생기의 음이온의 확산양이 가구(51)의 각 구획공간으로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벤츄리 형상의 살균탈취제 공급배관(60)을 도시한 것으로서, 살균탈취제 공급배관(60)은 단계적으로 지름이 작아지도록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벤츄리 형상의 벤츄리 배관과, 벤츄리 배관과 직교하게 연통형성되며 각 살균탈취제 배출구와 접속되는 다수의 분기배관으로 구성된다. 도 6과 같이 살균탈취제 공급배관을 벤츄리 형상으로 하면, 살균탈취제 공급배관(60)을 따라 음이온의 확산양이 동일해져서 음이온 발생기(미도시)로부터 멀게 위치한 가구(51)의 각 구획칸의 배출구(58)로 공급되는 음이온의 양이 거의 동일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붙박이장이나 씽크대와 같은 가구에 구획된 구획실에 상술한 살균탈취 기능을 하는 음이온이 공급되도록, 각 구획실에 살균탈취제 배출구와 각 살균탈취제 배출구를 연결하는 살균탈취제 공급배관을 마련하고,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 내부의 일측에 음이온 발생기를 마련하여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을 통해 각 구획실에 음이온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구획실에 음이온을 공급시에 일정 시간동안에만 또는 일정 시간 주기로 음이온이 공급되도록 하여 음이온의 공급시간(음이온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각 구획실의 살균탈취제 배출구를 개폐하는 댐퍼가 각각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하여 원하는 구획실에만 음이온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음이온의 공급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살균탈취제를 음이온발생기의 음이온인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숯이나 공기청정기능을 갖는 방향제를 본 고안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에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살균탈취제가 공급배관의 최단측 관로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살균탈취제를 가구의 최단측 구획칸에 마련된 살균탈취제 배출구에 설치하고 배출구에 송풍장치를 설치하여, 송풍장치에 의해 음이온의 확산을 촉진하여 가구의 최단측 구획칸 뿐만 아니라 살균탈취제 공급배관을 통해 다른 구획칸들에 공급되도록 살균탈취제 공급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살균탈취제의 한 종류인 음이온 발생기를 공급배관의 최단측에 설치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공급배관을 가구의 하부로 연장하여 설치하고, 가구의 공급배관의 입구측에 살균탈취제를 설치하여, 음이온 발생기와 같이 주기적으로 청소가 필요한 살균탈취제를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가능하게 살균탈취제 공급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서술하지 않았으나 살균탈취제 배출구에 개구크기 조절기구(예를 들어, 탬파)를 설치하여 음이온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가구의 각 구획칸 별로 음이온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가구의 각 구획실과 연통하도록 설치된 배관을 통해 살균 탈취제 발생기에서 발생된 살균탈취제의 살균탈취입자를 각 구획실에 모두 공급할 수 있게 되어, 각 구획실마다 개별적으로 살균탈취제를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가구 내부의 공간효율성도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살균탈취제의 공급 구조도,
도 2의 도 1의 가구의 살균탈취제의 공급 제어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살균탈취제의 공급 구조도,
도 4는 도 3의 가구의 살균탈취제의 공급 제어블록도,
도 5는 음이온 발생기의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51 : 가구 5 : 음이온 발생기
8, 58 : 살균탈취제 배출구 10, 60 :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
11, 21 : 동작스위치 12, 22 : 마이컴
13, 23 : 타이머 14, 24 : 전원공급부
25~28 : 댐퍼구동모터 29 : 스위칭부

Claims (6)

  1. 다수의 칸으로 구획된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구의 각 구획칸의 판벽에 관통형성된 살균탈취제 배출구와,
    상기 각 배출구를 연결하여 상호 연통시키는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과,
    상기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 내에 마련된 살균탈취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은 통형상의 직선배관과, 상기 직선배관과 직교하게 연통형성되며 상기 각 살균탈취제 배출구와 접속되는 다수의 분기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은 단계적으로 지름이 작아지도록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벤츄리 형상의 벤츄리 배관과, 상기 벤츄리 배관과 직교하게 연통형성되며 상기 각 살균탈취제 배출구와 접속되는 다수의 분기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탈취제 공급 배관내에 마련되는 음이온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탈취제는 상기 음이온 발생기의 음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음이온 발생기의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동작 스위치와, 상기 동작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음이온 발생기가 동작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탈취제 공급배관의 각 분기배관에 설치된 댐퍼 및 댐퍼 구동모터와, 상기 각각의 댐퍼 구동모터가 상기 전원공급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이컴은 상기 동작 스위치의 선택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해당 댐퍼 구동모터를 동작시켜 해당 살균탈취제 배출구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
KR20-2005-0001633U 2005-01-19 2005-01-19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 KR200387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633U KR200387334Y1 (ko) 2005-01-19 2005-01-19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633U KR200387334Y1 (ko) 2005-01-19 2005-01-19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334Y1 true KR200387334Y1 (ko) 2005-06-17

Family

ID=43688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633U KR200387334Y1 (ko) 2005-01-19 2005-01-19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3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410A (ko) * 2016-02-05 2017-08-1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류 탈취 장치 및 탈취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410A (ko) * 2016-02-05 2017-08-1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류 탈취 장치 및 탈취 방법
KR101867393B1 (ko) 2016-02-05 2018-06-1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류 탈취 장치 및 탈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42893B (en) Storeroom and refrigerator
JP2002333265A (ja) 貯蔵庫及び冷蔵庫
KR200440865Y1 (ko) 탈취기능을 갖는 신발 살균 건조기
US20060096331A1 (en) Cleaning device for clothes
KR20210138196A (ko) 옷장용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JP5434180B2 (ja) プラズマ貯蔵装置
WO2011001455A1 (en) A compact electrical appliance for processing foods and differentiating and disinfecting kitchen waste
JP3689759B2 (ja) 冷蔵庫
JP2011200590A (ja) 除菌・消臭機能付き下駄箱
KR200387334Y1 (ko) 가구의 살균탈취제 공급장치
KR200404861Y1 (ko) 신발장
JP2005058743A (ja) イオン発生器内蔵型下駄箱
CN215840631U (zh) 一种医用消毒鞋柜
KR20000030560A (ko) 주방용품 살균건조기
JP3155540U (ja) 加圧式殺菌・消臭装置
KR200439633Y1 (ko) 플라즈마 클러스터 이온을 이용한 살균장치
KR200310513Y1 (ko) 살균 및 향기분사 가능한 가구
KR200400759Y1 (ko) 살균 탈취기능을 갖는 위생 신발장
JP3740044B2 (ja) 殺菌機能と消臭機能を有する収納庫
KR200358109Y1 (ko) 공기청정기능을 갖는 가구
KR200384497Y1 (ko) 습기 및 악취 제거장치
KR20010001592U (ko) 신발장
KR200373763Y1 (ko) 침대 매트리스의 자동 크리닝 장치
KR20040021145A (ko) 공기정화기 및 이를 장착가능한 붙박이형 신발장
CN213698150U (zh) 一种灭菌除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