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123Y1 - 다용도 분쇄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123Y1
KR200387123Y1 KR20-2005-0009062U KR20050009062U KR200387123Y1 KR 200387123 Y1 KR200387123 Y1 KR 200387123Y1 KR 20050009062 U KR20050009062 U KR 20050009062U KR 200387123 Y1 KR200387123 Y1 KR 2003871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double cup
hook
safet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용석
Original Assignee
설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용석 filed Critical 설용석
Priority to KR20-2005-0009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1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1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1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쇄용기 하단에 수직으로 나사산이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봉을 형성하고, 분쇄용기의 삽입봉을 몸체 상단에 형성된 삽입홈을 통해 삽입한 후 몸체 하단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체결함으로써 마른 곡물류, 과일 등을 분쇄한 후 분쇄용기 내부에 이물질이나 세균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 구성은 분쇄기에 있어서,내주면 하단의 걸림턱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외주면 하단에, 내부에 나사산을 가진 다수의 원통형 삽입봉이 형성된 분쇄용기와,상기 다수의 원통형 삽입봉을 삽입하기 위해 몸체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과,상기 몸체 하단부에서 다수의 원통형 삽입봉의 내면으로 나사체결을 하기 위한 체결구와,상기 분쇄용기에 부착된 상기 걸림턱의 볼록부에 회전하면서 걸려 끼워지기 위해 내부에 걸림턱의 오목부를 형성한 이중컵과,일면에 상기 분쇄용기 또는 이중컵의 뚜껑걸이에 걸리기 위한 뚜껑걸게가 형성되고, 타면 하단에 몸체의 손잡이 상단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계폐걸게를 형성하여 상기 이중컵 또는 분쇄용기와 밀폐되기 위한 뚜껑과,상기 손잡이의 측면에 형성되고 손으로 눌러 상기 계폐걸게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안전스위치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분쇄기{multipurpose mixer}
본 고안은 단단한 마른 곡류나 야채, 과일 등을 분쇄하는 다용도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이중컵과 분쇄용기에 오목부와 볼록부가 결합되고, 분쇄용기 저면이 분쇄기 몸체와 견고하게 나사체결로 형성되어서 분쇄할 때 모터회전중에 칼날,이중컵과 분쇄용기가 흔들리거나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분쇄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쇄용기(30)하부에 돌출걸림턱(31)을 형성하여 분쇄용기(30) 돌출걸림턱(31)과 이중컵(32)의 돌출거림턱(33)을 겹합하여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이중컵, 칼날, 뚜껑이 모터회전중에 이탈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중 대단히 불편하였다.
또한, 종래의 이중컵(32)은 원통형구조로서 분쇄용기(30)와 결합할 때 두손으로 이중컵(32)을 잡고 개폐하여야 함으로 사용이 불편하고, 사용후 이중컵을 이동시킬 때 이중컵이 이물질로 인하여 미끄러져 바닥에 떨어질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분쇄용기(30)바닥에 형성된 분쇄걸림턱(31) 사이에 이중컵(32)의 걸림턱(33)을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이 잘되지 않고, 불량이 발생하며 상호결합이 잘되지 않을 때는 모터의 밸런스까지 영향을 주어서 음식물분쇄가 제대로 되지 않는 현상이 자주 일어나며 분쇄용기와 이중컵과 결합하기 매우 불편한 구조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종래의 푸드믹서는 몸체(40)와 분쇄용기(30)가 일체형으로 십자나사(나사부)(26)로 체결되어 있어서 과일 등을 갈거나 마른 곡물류를 분쇄하고난 후 용기(30)내부로 돌출된 나사부(26)에 이물질이 끼어서 세척을 해도 십자나사 사이에 낀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이물질이 계속 끼어 있어서 불결스러운 것은 물론 세균발생까지 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푸드믹서는 고성능모터와 날카로운 칼날을 구성하고, 안전을 위해 손잡이(35) 상단에 수동 스위치를 장착하고, 뚜껑(34)을 닫을 때 뚜껑접촉면(28)을 손잡이 상단에 형성된 수동스위치의 스위치노브(27)에 접촉하여 작동스위치를 눌러서 모터를 구동하는 것으로 뚜껑(34)이 열리면 모터구동이 정지되는 방식으로, 뚜껑의 패킹이 헐렁할 경우 분쇄기 사용중 이중컵(32)과 분쇄용기(30)의 이탈현상이 생겨나고, 칼날이 뛰어나와 사고위험이 발생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분쇄기의 스위치의 구성은 손잡이(35) 상단에 형성된 박스속에 수동스위치를 넣고 스위치 노브(27)가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어서 뚜껑(34)을 닫지않고, 다른 기구나 손 등이 스위치 노브(27)에 접촉되었을 경우 모터가 구동함으로서 어린이들의 손가락에 심한 상처를 입게 되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고자 개량 안출한 것으로, 분쇄용기 하단에 수직으로 나사산이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봉을 형성하고, 분쇄용기의 삽입봉을 몸체 상단에 형성된 삽입홈을 통해 삽입한 후 몸체 하단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체결함으로써 마른 곡물류, 과일 등을 분쇄한 후 분쇄용기 내부에 이물질이나 세균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이중컵 외부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의 오목부와 분쇄용기 내부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의 볼록부가 형성됨으로써, 이중컵을 돌려서 체결할 때 이중컵의 오목부가 분쇄용기의 볼록부에 삽입되어 이중컵의 흔들림과 칼날의 이탈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뚜껑일면에 뚜껑걸게와 뚜껑타면에 눌림면이 형성되어 분쇄용기나 이중컵의 뚜껑고리에 뚜껑걸게를 걸고 눌림면의 하단에 형성된 개폐걸게를 몸체의 손잡이 상단에 형성된 삽입홈에 밀어넣어, 개폐걸기의 돌출부가 시소형태로 안전스위치레버의 삽입홈에 걸려 뚜껑이 닫히게 됨으로서 모터회전중에 칼날, 이중컵의 이탈현상을 방지하고, 이중컵뚜껑을 열때 안전스위치레버를 하단으로 눌러 조작하여 뚜껑의 개폐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분쇄기에 있어서,
내주면 하단의 걸림턱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외주면 하단에, 내부에 나사산을 가진 다수의 원통형 삽입봉이 형성된 분쇄용기와,
상기 다수의 원통형 삽입봉을 삽입하기 위해 몸체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몸체 하단부에서 다수의 원통형 삽입봉의 내면으로 나사체결을 하기 위한 체결구와,
상기 분쇄용기에 부착된 상기 걸림턱의 볼록부에 회전하면서 걸려 끼워지기 위해 내부에 걸림턱의 오목부를 형성한 이중컵과,
일면에 상기 분쇄용기 또는 이중컵의 뚜껑걸이에 걸리기 위한 뚜껑걸게가 형성되고, 타면 하단에 몸체의 손잡이 상단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계폐걸게를 형성하여 상기 이중컵 또는 분쇄용기와 밀폐되기 위한 뚜껑과,
상기 손잡이의 측면에 형성되고 손으로 눌러 상기 계폐걸게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안전스위치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계폐걸기는 측면에 돌출부가 구성되고, 안전스위치를 밀고 들어가는 동시에 상기 안전스위치레버의 배면에 형성된 요홈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은 청소를 하거나, 조각난 음식을 물을 넣기 위해 뚜껑의 중앙 하단에 걸기홈을 형성하고, 상부에 걸기가 형성된 삽입관이 걸기홈에 회전하여 착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눌림면의 하단에 좌,우로 형성되어 사람이나 기구의 접촉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커버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요부분의 분해사시도로 분쇄기의 몸체(1)에 다수의 삽입홈(22)이 형성되고, 분쇄용기(2)의 내부에 걸림턱(17)의 볼록부(3)가 형성되고, 외부 하단에 다수의 삽입봉(4)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분쇄용기(1)의 걸림턱(17)의 볼록부(3)에 이중컵(6)의 외부 하단에 부착된 걸림턱(18)의 오목부(7)를 회전하면서 체결하기 위해 이중컵(6)의 일단은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10)의 일면에는 분쇄용기(2) 또는 이중컵(6)의 뚜껑걸이(9)에 걸리기 위한 뚜껑걸게(13)가 형성되고, 타면 하단에 몸체(1)의 손잡이(21) 상단의 안전스위치삽입홈(15)에 삽입되는 계폐걸게(20)를 형성하여 이중컵(6) 또는 분쇄용기(2)와 뚜껑(10)이 견고하게 밀폐되도록 형성되어있다.
또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를 하거나, 조각난 음식을 물을 넣기 위해 뚜껑(10)의 중앙 하단에는 걸기홈(50)을 형성하고, 상부에 걸기(51)가 형성된 삽입관(16)을 걸기홈(50)에 회전하여 착탈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10)의 타면 하단에 형성된 계폐걸게(20)의 측면에 돌출부(23)가 구성되어, 돌출부(23)가 안전스위치(12)를 밀고 들어가는 동시에 안전스위치레버(14)의 배면에 형성된 요홈(19)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a와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쇄용기(2)와 분쇄기 몸체(1)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몸체(1)의 상단면에 다수의 삽입홈(22)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22)을 통해 분쇄용기(2)의 외부 하단에 형성된 다수의 원통형 삽입봉(4)을 삽입한 후, 몸체(1)의 저면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구(5)를 삽입봉(4)의 내주를 따라 나사 체결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분쇄용기(2)의 삽입봉(4)이 분쇄기 몸체(1)와 견고하게 나사체결로 형성되어서 분쇄할 때 모터회전중에 칼날, 분쇄용기(2), 이중컵(6)이 흔들리거나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고, 과일 등을 갈거나 마른 곡물류를 분쇄하고난 후 분쇄용기(2)내부에 이물질이 끼지 않아 세균발생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중컵(6)과 분쇄용기(2)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중컵(6)의 오목부(7)가 분쇄용기(2)의 내면 하단에 다수의 걸림턱(17)으로 구성된 볼록부(3)에 삽입되어있고, 분쇄용기(2)의 하단에 다수의 삽입봉(4)이 몸체(1)의 삽입홈(22)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결합되어있다.
또한, 분쇄용기(2)와 몸체(1)의 체결은 몸체(1)의 하단에서 나사나 볼트와 같은 체결구(5)를 삽입봉(4)의 내주에 따라 삽입하여 체결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몸체(1)에 장착된 분쇄용기(2)와 이중컵(6)을 체결하기 위해 먼저, 이중컵(6)의 손잡이(8)를 잡고 분쇄용기(2)의 접촉면(24)에 접촉할 때까지 이중컵(6)을 아래로 삽입하고, 다음 손잡이(8)를 돌려서 분쇄용기(2) 내부에 장착된 걸림턱(17)의 볼록부(3)에 이중컵(6) 걸림턱(18)의 오목부(7)를 안착시켜 체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손잡이(8)을 이용해 이중컵(6)을 돌려서 분쇄용기(2)와 체결할 때 이중컵(2)의 오목부(7)가 분쇄용기(2)의 볼록부(7)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서 분쇄기 운전 중에 이중컵(6)의 흔들림이 없어지며, 각종 칼날 이탈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5a,b,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뚜껑(10)과 몸체(1)의 손잡이(21)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분쇄용기(2)에 이중컵(6)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5b는 분쇄용기(2)에 뚜껑(10)을 닫을 때 개폐걸게(20)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5c는 이중컵(6)에 뚜껑(10)을 닫을 때 개폐걸게(20)의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과류, 과일 등의 분쇄물을 넣고, 분쇄기의 뚜껑(10)을 닫을 때에 먼저 뚜껑(10)의 일면에 형성된 뚜껑걸게(13)를 분쇄용기(2)나 이중컵(6)의 뚜껑걸이(9)에 걸려 끼우고 난 후 뚜껑(10)의 타면에 형성된 눌림면(11)을 누르면 눌림면(11)의 하단에 시소모양으로 형성된 계폐걸게(20)가 안전스위치(12)가 삽입된 안전스위치삽입홈(15)에 삽입되는 동시에 안전스위치(12)가 계폐걸게(20)의 힘에 눌려 하단으로 내려가고, 이때 계폐걸게(20)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23)가 안전스위치레버(14)의 배면에 형성된 요홈(19)에 끼워져 뚜껑(10)이 견고하게 닫히는 것이다. 따라서, 분쇄중에 칼날, 이중컵(6)과 뚜껑(10)의 이탈현상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분쇄기를 운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d는 분쇄용기(2)에서 뚜껑(10)을 개방할 때 개폐걸게(20)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5e는 이중컵(6)에서 뚜껑(10)을 개방할 때 개폐걸게(20)의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뚜껑(10)을 개방할 때 안전스위치레버(14)를 하단으로 눌러 조작하면 안전스위치레버(14)가 후퇴하고 이때 안전스위치레버(14)의 배면에 형성된 요홈(19)에 걸려있던 계폐걸게(20)의 돌출부(23)가 안전스위치레버(14)와 이탈하여 뚜껑(10)이 열리고, 손으로 뚜껑(10)을 간단히 개방하는 것으로 분쇄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8) 상단의 안전스위치삽입홈(15)에 안전스위치(12)가 삽입되고, 뚜껑(10)의 눌림면(11) 좌,우 하단에 안전스위치(12)의 보호커버(25)를 형성하여 안전스위치(12)의 노브에 기구나 어린이 손가락 등이 접촉할 수 없게 돼 분쇄기의 오동작을 제어하고 안전하게 분쇄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고안의 계폐걸기의 크기는 뚜껑을 효과적으로 계폐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숙련기술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인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고안의 다용도 분쇄기는 분쇄용기의 삽입봉이 분쇄기 몸체와 견고하게 나사체결로 형성되어서 분쇄할 때 모터회전중에 칼날, 분쇄용기, 이중컵이 흔들리거나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고, 과일 등을 갈거나 마른 곡물류를 분쇄하고난 후 분쇄용기 내부에 이물질이 끼지 않아 세균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을 이용해 이중컵을 돌려서 분쇄용기와 체결할 때 이중컵의 오목부가 분쇄용기의 볼록부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이중컵의 흔들림이 없어지며, 각종 칼날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계폐걸게는 안전스위치가 삽입된 안전스위치삽입홈에 삽입되는 동시에 안전스위치가 계폐걸게의 힘에 눌려 하단으로 내려가고, 이때 계폐걸게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안전스위치레버의 배면에 형성된 요홈에 끼워져 뚜껑이 견고하게 닫히는 것이다. 따라서, 분쇄중에 칼날, 이중컵과 뚜껑의 이탈현상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분쇄기를 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뚜껑을 개방할 때 안전스위치레버를 하단으로 눌러 조작하면 안전스위치레버가 후퇴하고 이때 안전스위치레버의 배면에 형성된 요홈에 걸려있던 계폐걸게가 안전스위치레버와 이탈하여 뚜껑이 열리고, 손으로 뚜껑을 간단히 개방하는 것으로 분쇄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분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요부가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삽입관이 뚜껑하단의 걸기홈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3b는 본 고안의 분쇄용기와 분쇄기 몸체와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이중컵과 분쇄용기의 체결상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b, c, d, e는 본 고안의 분쇄기의 뚜껑과 몸체 손잡이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1. 40 몸체 2. 30 분쇄용기
3. 볼록부 4. 삽입봉
5. 체결구 6. 32 이중컵
7. 오목부 8. 손잡이(이중컵)
9. 뚜껑걸이 10. 34 뚜껑
11. 눌림면 12. 안전스위치
13. 뚜껑걸게 14. 안전스위치레버
15. 안전스위치삽입홈 16. 삽입관
17. 18. 31. 33 걸림턱 19. 요홈
20. 계폐걸게 21. 35 손잡이(몸체)
22. 삽입홈 23. 돌출부
24. 접촉면 25. 보호커버
26. 나사부 27. 스위치노브
28. 뚜껑접촉면 50. 걸기홈
51. 걸기

Claims (4)

  1. 분쇄기에 있어서,
    내주면 하단의 걸림턱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외주면 하단에, 내부에 나사산을 가진 다수의 원통형 삽입봉이 형성된 분쇄용기와,
    상기 다수의 원통형 삽입봉을 삽입하기 위해 몸체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몸체 하단부에서 다수의 원통형 삽입봉의 내면으로 나사체결을 하기 위한 체결구와,
    상기 분쇄용기에 부착된 상기 걸림턱의 볼록부에 회전하면서 걸려 끼워지기 위해 내부에 걸림턱의 오목부를 형성한 이중컵과,
    일면에 상기 분쇄용기 또는 이중컵의 뚜껑걸이에 걸리기 위한 뚜껑걸게가 형성되고, 타면 하단에 몸체의 손잡이 상단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계폐걸게를 형성하여 상기 이중컵 또는 분쇄용기와 밀폐되기 위한 뚜껑과,
    상기 손잡이의 측면에 형성되고 손으로 눌러 상기 계폐걸게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안전스위치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분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폐걸기는 측면에 돌출부가 구성되고, 안전스위치를 밀고 들어가는 동시에 상기 안전스위치레버의 배면에 형성된 요홈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분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청소를 하거나, 조각난 음식을 물을 넣기 위해 뚜껑의 중앙 하단에 걸기홈을 형성하고, 상부에 걸기가 형성된 삽입관이 걸기홈에 회전하여 착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분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면의 하단에 좌,우로 형성되어 사람이나 기구의 접촉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커버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분쇄기.
KR20-2005-0009062U 2005-04-01 2005-04-01 다용도 분쇄기 KR2003871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062U KR200387123Y1 (ko) 2005-04-01 2005-04-01 다용도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062U KR200387123Y1 (ko) 2005-04-01 2005-04-01 다용도 분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466A Division KR100767454B1 (ko) 2005-04-01 2005-04-01 다용도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123Y1 true KR200387123Y1 (ko) 2005-06-17

Family

ID=4368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062U KR200387123Y1 (ko) 2005-04-01 2005-04-01 다용도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1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7424B2 (en) Removable food processing tool support system for blenders, food processors, grinders and similar apparatus
JP5460899B2 (ja) 食物処理システム
KR200465636Y1 (ko) 일회용 용기용 믹서기 유니트 및 믹서기 유니트의 안전커버
US4582265A (en) Garlic crusher and/or mincer
ITTO20030191U1 (it) Dispositivo contenitore sminuzzatore ricaricabile per prodotti alimentari a blocchi interi da erogarsi in forma grattugiata, a filetti o a scaglie.
KR200497038Y1 (ko) 착즙기
KR101805033B1 (ko) 식재료 분쇄 장치
KR200387123Y1 (ko) 다용도 분쇄기
KR100767454B1 (ko) 다용도 분쇄기
KR101632395B1 (ko) 믹서기용 칼날 연결구
KR200493484Y1 (ko) 착즙기
JP2000325242A (ja) 食品粉砕装置
KR200474168Y1 (ko) 다각 믹서기
KR101497218B1 (ko) 수동 블렌더
KR200397272Y1 (ko) 핸드 쥬서기
US20230081848A1 (en) Semi-automatic machine for crushing and for collecting outside frozen food substances for a subsequent food use of said food substances
KR100789417B1 (ko) 다기능 분쇄기
KR200497316Y1 (ko) 착즙기
KR200494287Y1 (ko) 착즙기
FR2725383A1 (fr) Appareil menager a couteau rotatif, tel qu'un hachoir
US20210113021A1 (en) Spice or other substance grinding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substance containers
KR101476975B1 (ko) 핸드믹서기의 결합구조
US20240180368A1 (en) Hopper for vertical juicer
KR100766550B1 (ko) 통깨 파쇄기
KR19980072112A (ko) 믹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