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069Y1 -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069Y1
KR200387069Y1 KR20-2005-0008088U KR20050008088U KR200387069Y1 KR 200387069 Y1 KR200387069 Y1 KR 200387069Y1 KR 20050008088 U KR20050008088 U KR 20050008088U KR 200387069 Y1 KR200387069 Y1 KR 200387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er
ball
main body
odor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수
Original Assignee
박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수 filed Critical 박종수
Priority to KR20-2005-0008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0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0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구의 개구 연부면에 배치되고 판면에 상기 하수구와 연통하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배수구와 연통하는 배수구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하수구를 형성하는 직경이 상이한 배관들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복수의 배관체결부와; 상기 본체부의 배수구와 상기 배관체결부의 배수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수구를 통해 물은 배수하되, 악취의 역류를 저지하는 악취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배수를 원활하게 하면서도 하수구 내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하수구를 형성하는 대형, 중형 및 소형의 배관 모두에 적절하게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Device which is prevented ill-smelling of a drainage}
본 고안은,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를 원활하게 하면서도 하수구 내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하수구를 형성하는 대형, 중형 및 소형의 배관 모두에 적절하게 장착할 수 있어 호환성이 증대될 수 있는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공 빌딩이나 가정집 등의 화장실 바닥을 보면 물을 배수하기 위한 하수구가 갖춰져 있다. 화장실의 규모에 따라 하수구를 형성하는 배관은 상이한데, 보통 대형, 중형 및 소형의 배관으로써 하수구를 형성하게 된다. 참고로 대형은 87 mm 의 배관을 사용하며, 중형 및 소형은 67 mm, 57 mm 의 배관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하수구에는 하수구를 통해서 물은 배수하되, 기타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수단으로 덮개가 설치된다. 덮개는 보통 다공성 철판으로 되어 강도를 유지하면서 상기의 기능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단순하게 덮개만을 설치할 경우, 이물질을 걸러낼 수가 있기는 하지만 하수구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방지할 수는 없다. 이에,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68593 및 20-037084호에는 물을 용이하게 배수하되, 하수구 내의 악취가 역류하여 화장실 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기술들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개시된 문헌을 포함하여 종래기술들을 보면, 실제로 악취가 역류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본연의 배수 기능에는 상당한 문제를 보인다. 특히, 공지된 기술들의 경우에는 하수구를 형성하는 대형, 중형 및 소형의 배관 중 어느 하나에만 국한하여 설치할 수 있어 호환성이 극히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를 원활하게 하면서도 하수구 내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하수구를 형성하는 대형, 중형 및 소형의 배관 모두에 적절하게 장착할 수 있어 호환성이 증대될 수 있는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하수구의 개구 연부면에 배치되고 판면에 상기 하수구와 연통하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배수구와 연통하는 배수구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하수구를 형성하는 직경이 상이한 배관들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복수의 배관체결부와; 상기 본체부의 배수구와 상기 배관체결부의 배수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수구를 통해 물은 배수하되, 악취의 역류를 저지하는 악취방지부를 포함하는,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악취방지부는, 상기 복수의 배관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배구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볼과; 상기 볼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수구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상기 볼이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수구로 물을 배수하는 배수공을 형성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볼을 향한 판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볼을 향해 소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리브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경사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볼이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배관체결부 중 어느 하나의 배수구에는 상기 볼을 해당 배수구로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덮개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덮개에는 상기 걸름망의 판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복수의 배수용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와 그 상부에 배치되는 덮개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는, 크게 판상의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하부에 마련되어 하수구를 형성하는 직경이 상이한 배관들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복수의 배관체결부(11~13)와, 악취의 역류를 저지하는 악취방지부(20)를 갖는다.
본체부(10)는 평평한 판상체로써, 그 면적은 하수구의 개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악취방지장치를 하수구에 배치할 경우, 본체부(10)는 하수구의 개구 연부면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본체부(10)에는 하수구와 연통하는 메인배수구(10a)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배관체결부(11~13)는 본체부(10)의 하부에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수구를 형성하는 배관들은 각기 대형, 중형 및 소형의 배관(L,M,S 도 3 참조)으로 나뉠 수 있는데, 대형은 87 mm 의 배관(L)을 사용하며, 중형(M) 및 소형(S)은 67 mm, 57 mm 의 배관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들의 배관(L,M,S)은 화장실의 규모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는데, 본 악취방지장치의 경우, 복수의 배관체결부(11~13)가 각각 대형, 중형 및 소형의 배관(L,M,S)에 끼워질 수 있는 서로 다른 체적(단면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크기의 배관일지라도 본 악취방지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호환성이 증대되는 이점을 갖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배관체결부를 본체부(10)의 하측으로부터 제1 내지 제3배관체결부(11~13)라 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제1 내지 제3배관체결부(11~13)에 형성된 배수구를 각각 제1 내지 제3배수구(11a~13a)라 하기로 한다.
악취방지부(20)는 본체부(10)의 메인배수구(10a)와 제1 내지 제3배관체결부(11~13)의 제1 내지 제3배수구(11a~13a) 사이에 배치되어, 하수구를 통해 물은 배수하되 하수구에서 발생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악취방지부(20)는, 제1 및 제2배수구(11a,12a) 사이에 배치되어 제2배수구(12a)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볼(21)과, 볼(21)의 상부공간인 본체부(10)와 제1배수구(11a) 사이에 마련되는 걸름망(23)을 포함한다.
볼(21)은 배수되는 물에 의한 부력으로 쉽게 부상할 수 있고 배수가 완료되면 자중에 의해 다시 제2배수구(12a)를 차폐할 수 있는 정도의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중량을 갖는 것으로 채용된다.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탁구공이 될 수 있다.
제2배수구(12a)의 연부면에는 제2배수구(12a)의 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부상한 볼(21)이 자중에 의해 낙하할 경우, 경사진 안내부(22)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제2배수구(12a)의 개구를 정확하게 차폐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할 때, 걸름망(23)은, 볼(21)의 상부에 배치되어 하수구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볼(21)이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판부(24)와, 판부(24)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하수구로 물을 배수하는 배수공(25a)을 형성하는 플랜지부(25)를 갖는다.
볼(21)을 향한 판부(24)의 외주면에는 볼(21)을 향해 소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리브(24a)가 더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21)은 연장리브(24a) 내의 종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때, 연장리브(24a)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판부(24)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재질이 이용될 수도 있다. 판부(24)가 수평상태로 배치되는데 반해 플랜지부(25)는 경사배치된다. 따라서 배수의 효과를 배가시킨다.
한편, 본체부(10)의 상측에는 본체부(10)에 대해서는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본체부(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덮개(30)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의 대부분은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사출될 수 있는데 반해, 덮개(30)는 그 강성을 고려하여 내부식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30)에는 복수개의 배수용 관통공(30a)이 형성되어 있다. 배수용 관통공(30a)의 형태는 원형을 포함하여 삼각형, 사각형, 별형, 혹은 마름모형 등의 어떠한 것을 적용하여도 좋다. 다만, 배수용 관통공(30a)으로 인해서 외부에서 걸름망(23)이 보일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름망(23)의 판부(24) 영역에 해당하는 덮개(30)의 중앙역역(C)에는 배수용 관통공(30a)을 형성하지 않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의 동작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내지 제3배관체결부(11~13)를 하수구를 형성하는 대형, 중형 및 소형의 배관(L,M,S)에 맞게 끼운다. 그런 다음, 본체부(10)의 상부로 덮개(30)를 설치한다. 덮개(30)를 제외한 설치상태는 도 3과 같다.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하수구를 통해 물이 배수된다. 배수되는 물은 최초, 덮개(30)의 배수용 관통공(30a)을 통해 흐른 후, 본체부(10)의 메인배수구(10a)를 통과한다. 그런 다음, 걸름망(23)의 플랜지부(25)에 형성된 배수공(25a)을 통해 하향한다. 이 때, 이물질은 덮개(30)와 걸름망(23)에 의해 걸려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된 물이 제1 및 제2배관체결부(11,12)의 제1 및 제2배수구(11a,12a) 내의 공간으로 유입되면, 유입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서 볼(21)이 부상한다(도 4의 화살표 참조). 부상하는 볼(21)에 의해 제2배수구(12a)의 개구가 개방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배수구(11a,12a) 내의 공간으로 유입된 물은 제2 및 제3배수구(12a,13a)를 통해 하수구로 배수될 수 있다. 이 때, 볼(21)은 그 상부에 위치한 걸름망(23)의 판부(24)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는 못하며, 연장리브(24a)에 의해서도 반경방향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는다.
다음, 물의 배수가 완료되면 부상했던 볼(21)이 자중에 의해 하향한다. 하향하면서 제2배수구(12a)의 연부면에 형성된 안내부(22)에 의해 안내되면서 다시 제2배수구(12a)의 개구를 차폐하게 되는 도 3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처럼 볼(21)이 제2배수구(12a)의 개구를 차폐하기 때문에 하수구에서 발생한 악취는 역류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배수를 원활하게 하면서도 하수구 내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하수구를 형성하는 대형, 중형 및 소형의 배관(L,M,S) 모두에 적절하게 장착할 수 있어 호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배관체결부(11~13)가 3개로 형성되어 있지만 하수구를 형성하는 배관의 종류가 더 세분화된다면 이에 해당하게 더 많이 형성될 수도 있고, 혹은 2개 이하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배관의 단면적은 전술한 치수를 반드시 따를 필요는 없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볼(21)이 제2배수구(12a) 영역에 배치되어 있지만, 제1 및 제3배수구(11a~13a) 영역으로 볼(21)을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안내부(22)라든지 그 상측의 걸름망(23) 역시 그 배치가 변경되어야 함은 두말할 여지가 없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배수를 원활하게 하면서도 하수구 내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하수구를 형성하는 대형, 중형 및 소형의 배관 모두에 적절하게 장착할 수 있어 호환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와 그 상부에 배치되는 덮개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부 10a : 메인배수구
11~13 : 제1 내지 제3배관체결부 20 : 악취방지부
21 : 볼 22 : 안내부
23 : 걸름망 24 : 판부
24a : 연장리브 25 : 플랜지부
30 : 덮개

Claims (6)

  1. 하수구의 개구 연부면에 배치되고 판면에 상기 하수구와 연통하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배수구와 연통하는 배수구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하수구를 형성하는 직경이 상이한 배관들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복수의 배관체결부와;
    상기 본체부의 배수구와 상기 배관체결부의 배수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수구를 통해 물은 배수하되, 악취의 역류를 저지하는 악취방지부를 포함하는,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방지부는,
    상기 복수의 배관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배구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볼과;
    상기 볼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수구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상기 볼이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수구로 물을 배수하는 배수공을 형성하는 플랜지부를 갖는 걸름망을 포함하는,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을 향한 판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볼을 향해 소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리브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경사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이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배관체결부 중 어느 하나의 배수구에는 상기 볼을 해당 배수구로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덮개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덮개에는 상기 걸름망의 판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복수의 배수용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KR20-2005-0008088U 2005-03-24 2005-03-24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KR200387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088U KR200387069Y1 (ko) 2005-03-24 2005-03-24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088U KR200387069Y1 (ko) 2005-03-24 2005-03-24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069Y1 true KR200387069Y1 (ko) 2005-06-17

Family

ID=4368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088U KR200387069Y1 (ko) 2005-03-24 2005-03-24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0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0674890B1 (ko) 배수구
KR100784857B1 (ko) 유티 오수받이
KR200385876Y1 (ko) 욕실바닥용 봉수트랩의 개선구조
KR200387069Y1 (ko)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200403172Y1 (ko)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KR200409407Y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KR20140005618A (ko) 부력식 악취방지 배수트랩
KR20110015189A (ko) 악취 방지용 맨홀
JP2015101871A (ja) 排水口の捕集構造
KR100712963B1 (ko) 배수관용 소음 및 역유입 방지장치
KR100739365B1 (ko) 배수트랩
JP2006265971A (ja) 流水ボールオーバーフロー管の逆流防止構造
KR20160081050A (ko) 플로우트 볼을 갖는 일자형 배수트랩 및 이를 구비한 싱크대
KR200257186Y1 (ko) 악취방지용 부표가 장착된 배수트랩
KR2002659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JP3569842B2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を用いた浴室構造
JPS6014865Y2 (ja) 集合排水トラップ
KR100715122B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200218248Y1 (ko) 집수정
JPS636289Y2 (ko)
KR200415802Y1 (ko) 배수구
KR200388665Y1 (ko) 배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