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932Y1 -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932Y1
KR200386932Y1 KR20-2005-0008842U KR20050008842U KR200386932Y1 KR 200386932 Y1 KR200386932 Y1 KR 200386932Y1 KR 20050008842 U KR20050008842 U KR 20050008842U KR 200386932 Y1 KR200386932 Y1 KR 200386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inclined surface
connection portion
formwork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철
Original Assignee
한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철 filed Critical 한영철
Priority to KR20-2005-0008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9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9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 E04G13/06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for stairs or ste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는, 계단참의 저면을 형성하는 계단참부재와 계단경사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경사면부재를 구비하는 계단 성형용 거푸집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계단참부재의 일단부 및 경사면부재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계단참연결부와 경사면연결부를 가지는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계단참연결부는, 그 계단참연결부의 끝면이 상기 계단참부재의 일단부의 끝면과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계단참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경사면연결부는, 그 경사면연결부의 끝면이 상기 경사면부재의 일단부의 끝면과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경사면부재에 고정되며, 콘크리트가 상기 거푸집에 타설될 때, 그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상기 계단참연결부의 상면 및 경사면연결부의 상면이 접촉되며, 상기 계단참연결부의 상면은 상기 경사면연결부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진 점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A connecting member for mold of stairway}
본 고안은 계단 성형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에 의하여 성형되는 계단참의 저면과 계단경사부의 저면의 교선이 매끄럽지 않게 성형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층의 건물을 건축할 때, 상기 건물의 각 층을 연결하는 통로인 계단을 형성한다. 상기 계단은 계단경사부와 계단참으로 구성된다. 상기 계단경사부의 저면은 지면에 대해 기울어진 평면으로 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계단의 각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단참은, 그 위쪽에 있는 계단경사부와 그 아래쪽에 있는 계단경사부를 연결하고, 지면에 대해 평행한 부분이다.
상기 계단(10)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은,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참(11)의 저면(111)을 성형하는 계단참부재(20)와 계단경사부(12)의 저면(121)을 형성하는 경사면부재(30)를 구비하고 있으며, 경사면부재(30)의 상측에는 계단(10)의 각 단을 성형하기 위한 복수의 막이판(미도시)이 마련된다.
상기 계단참부재(20) 및 막이판이 설치된 경사면부재(30)의 양측에 벽면측 거푸집(미도시)과 난간측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하여 거푸집을 완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계단참(11), 계단경사부(12), 계단(10)의 각 단을 성형하기 위한 공간에 콘크리트가 흘러들어가 계단(10)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성형된 콘크리트가 굳으면 거푸집을 제거하고, 콘크리트가 굳어 형성된 계단(10)을 다듬질하고, 계단(10)에 난간을 설치하는 등의 마무리 작업을 통해 계단(10)을 완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계단 성형 거푸집의 재료로 사용되는 계단참부재(20)와 경사면부재(30)가 각각 직육면체의 나무 판재와 각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연결부위의 각도가 맞지 않아 틈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경사면부재(30)를 계단 경사각도에 맞춰 설치하면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참부재(20)와 경사면부재(30)가 마주하는 부분에서 끝면의 각도 불일치로 인한 틈이 생긴다. 또한, 계단 성형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시공오차로 인해, 계단참부재(20)와 경사면부재(30) 간에 틈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계단 성형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상기 계단참부재(20)와 상기 경사면부재(30) 사이의 틈으로 콘크리트가 흘러들어간다. 이로 인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10)의 계단참(11)의 저면(111)과 계단경사부(12)의 저면(121)의 교선이 매끄럽지 않게 되고, 그 부위에 돌출부(13)가 형성된다. 따라서 다듬질 과정에서 이 돌출부(13)를 깎아내고 다시 미장처리를 해야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계단참부재(20)에 맞닿게 되는 경사면부재(30)의 일단을 그 경사각도에 맞게 깎아내는 방법을 고려할 수도 있으나, 이 역시 시간과 인력을 필요로 하므로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경사각도에 맞춰 경사면부재(30)를 마련하는 경우에도 계단 성형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오차는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참부재(20)와 경사면부재(30)의 연결부위 상면에 금속판(60)을 덮어준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도 채용되고 있다. 상기 금속판(60)에 의해 계단참부재(20)와 경사면부재(30)의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막아 콘크리트가 새나가지 않게 되고, 계단참(11)의 저면(111)과 계단경사부(12)의 저면(121)의 교선에 돌출부(13)가 발생하는 것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판(60)의 두께로 인하여 계단참(11)의 저면(111)과 계단경사부(12)의 저면(121)에 금속판(60)의 부피만큼 함몰부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다시 공사 마무리 과정에서 함몰부의 단차가 발생하는 부분을 깎아 주고 미장처리를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금속판(60)을 얇게 만드는 방법도 있으나, 이 경우 금속판(60)의 강도가 약해져서 시공 중에 상당한 주의를 요하게 되고, 부주의로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 계단(10)의 형상도 변형되므로 재활용할 수 없게 된다. 통상 수회 재활용하게 되는 계단성형용 거푸집으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한 문제점이 있다. 즉, 금속판(60)을 두껍게 만들면 미관상의 문제로 인해 마무리 작업에 시간, 인력, 비용이 추가로 요구되고, 금속판(60)을 얇게 만들면 쉽게 변형이 생겨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계단의 성형시 계단참의 저면과 계단경사부의 저면의 교선에 돌출부가 발생하지 않고, 그 교선이 매끄럽게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계단 형성 후 추가적인 다듬질과 같은 후처리를 할 필요가 없어서, 시간, 비용,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는, 계단참의 저면을 형성하는 계단참부재와 계단경사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경사면부재를 구비하는 계단 성형용 거푸집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계단참부재의 일단부 및 경사면부재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계단참연결부와 경사면연결부를 가지는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계단참연결부는, 그 계단참연결부의 끝면이 상기 계단참부재의 일단부의 끝면과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계단참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경사면연결부는, 그 경사면연결부의 끝면이 상기 경사면부재의 일단부의 끝면과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경사면부재에 고정되며, 콘크리트가 상기 거푸집에 타설될 때, 그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상기 계단참연결부의 상면 및 경사면연결부의 상면이 접촉되며, 상기 계단참연결부의 상면은 상기 경사면연결부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진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성형 거푸집의 주요부위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40)는, 계단참(11)의 저면(111)을 형성하는 계단참부재(20)와 계단경사부(12)의 저면(121)을 형성하는 경사면부재(30)를 구비하는 계단 성형용 거푸집에 사용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40)의 설명에 앞서, 상기 계단참부재(20)와 상기 경사면부재(30)를 구비하는 계단 성형 거푸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계단참부재(20)는 상판(21)과 지지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계단참부재(20)의 상판(21)은 그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상기 지지부(22)는 상기 상판(21)의 저면에 고정되어 이 상판(21)이 콘크리트의 무게로 인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지지부(22)가 상기 계단참부재(20)의 상판(21)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2)는 상기 연결부재(4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로 상기 계단참부재(20)의 상판(21)에 대하여 연장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부재(30)는 상판(31)과 지지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경사면부재(30)의 상판(31)은 그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상기 지지부(32)는 상기 상판(31)의 저면에 고정되어 이 상판(31)이 콘크리트의 무게로 인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지지부(32)가 상기 경사면부재(30)의 상판(31)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32)는 상기 연결부재(4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로 상기 경사면부재(20)의 상판(31)에 대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상기 연결부재(4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40)는, 상기 계단참부재(20)의 일단부와 상기 경사면부재(30)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그 몸체(41)는 계단참연결부(42)와 경사면연결부(43)를 가지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40)의 몸체(41)는, 사각 평판의 중심부가 꺾여 있는 형상이며, 그 꺾임에 의해 발생하는 모서리부(44)는 이 사각평판의 길이 방향(즉 계단의 폭방향)의 변과 평행하다. 상기 몸체(41)의 꺾이는 모서리부(44)를 중심으로, 한쪽은 상기 계단참연결부(42), 다른 한쪽은 상기 경사면연결부(43)가 된다. 한편,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는 상기 연결부재(40)의 계단참연결부(42)의 상면(421) 및 경사면연결부(43)의 상면(431)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몸체(41)의 꺾인 형상으로 인해, 상기 계단참연결부(42)의 상면(421)과 상기 경사면연결부(43)의 상면(431)은 서로 경사져 있으며, 그 경사각은 상기 계단참(11)의 저면(111)과 상기 계단경사부(12)의 저면(121)이 이루는 각과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41)의 길이는 성형하고자 하는 계단(10)의 폭과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41)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소재로 되어 있어, 시공 중에 떨어뜨리거나 딱딱한 물건에 부딪혀도 쉽게 변형되지 않으므로 여러 차례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41)는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생산성 면에서 좋다.
상기 계단참연결부(42)는 상기 계단참부재(20)의 상판(21)의 두께와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단참연결부(42)에는 상기 계단참부재(20)에 상기 지지부(22)가 설치된 간격에 맞춰, 복수의 결합공(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연결부(43)는 상기 경사면부재(30)의 상판(31)의 두께와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연결부(43)에는 상기 경사면부재(30)에 상기 지지부(32)가 설치된 간격에 맞춰, 복수의 결합공(46)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40)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계단참부재(20)와 상기 경사면부재(30)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계단참연결부(42)의 끝면은 상기 계단참부재(20)의 상판(21) 끝면과 마주하게 되고, 상기 경사면연결부(43)의 끝면은 상기 경사면부재(30)의 상판(31) 끝면과 마주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0)는, 계단참부재(20)의 연장된 지지부(22) 및 경사면부재(30)의 연장된 지지부(32) 위에 놓이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40)의 계단참연결부(42)는, 상기 결합공(45)을 관통하여 지지부(22)에 박히는 못들(5)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40)의 아래쪽에 위치한 상기 계단참부재(20)의 지지부(22)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40)의 경사면연결부(43)는, 상기 결합공(46)을 관통하여 지지부(32)에 박히는 못들(6)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40)의 아래쪽에 위치한 상기 경사면부재(30)의 지지부(32)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계단참부재(20), 상기 연결부재(40), 상기 경사면부재(30)를 결합한 후 벽면거푸집, 난간거푸집, 막이판 등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타설된 콘크리트는 상기 연결부재(40)의 계단참연결부(42)의 상면(421) 및 경사면연결부(43)의 상면(431)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계단참(11)의 저면(111)과 상기 계단경사부(12)의 저면(121)의 교선은 상기 연결부재(40)의 모서리부(44)에 의해 돌출부 없이 매끄럽게 성형된다. 따라서 돌출부를 제거하고 계단의 저면을 매끄럽게 하는 마무리 공정이 필요 없게 된다. 한편, 상기 계단참(11)의 저면(111)은 상기 계단참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40)의 계단참연결부(42)에 의해 성형되고, 상기 계단경사부(12)의 저면(121)은 상기 경사면부재(30)와 상기 연결부재(40)의 경사면연결부(43)에 의해 성형된다. 타설된 콘크리트가 굳은 후 상기의 거푸집을 제거하면 계단(10)이 완성된다.
도 5 및 도 6에서는 경사면부재(30)의 위쪽에 위치한 계단참부재(20)와 이 경사면부재(30)가 연결되는 경우의 연결부재(40)에 대해 설명하고 도시하였다. 그러나, 경사면부재(30)의 아래쪽에 위치한 계단참부재(20)와 이 경사면부재(30)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부재(40)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40)를 포함하는 계단 성형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타설된 콘크리트는 상기 연결부재(40)의 계단참연결부(42)의 상면(421) 및 경사면연결부(43)의 상면(431)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계단참(11)의 저면(111)과 상기 계단경사부(12)의 저면(121)의 교선은 상기 연결부재(40)의 모서리부(44)에 의해 돌출부 없이 매끄럽게 성형된다.
이상, 본 고안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40)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계단참연결부(42)와 경사면연결부(43)는 서로 그 두께가 같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계단참연결부의 상판과 경사면부재의 상판의 두께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연결부재의 계단참연결부와 경사면연결부의 두께가 이에 따라 서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는 연결부재(40)의 계단참연결부(42)에 세개의 결합공(45)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재(40)의 경사면연결부(43)에 세개의 결합공(46)이 형성되어 있으나, 결합공(46)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40)의 몸체(41)는 알루미늄 소재뿐만 아니라 다른 금속으로 될 수도 있고 플라스틱 소재로 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계단 성형 거푸집에 연결부재를 추가함으로써 계단참의 저면과 계단경사부의 저면의 교선에 해당하는 모서리부에 돌출부나 함몰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공사 마무리 단계의 다듬질과 같은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간과, 비용, 인력의 사용을 절감하고 계단의 미감을 더욱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계단 성형 거푸집의 주요부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단 성형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다른 계단 성형 거푸집의 주요부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계단 성형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성형 거푸집의 주요부위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계단 성형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 성형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의 주요부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계단 11...계단참
12...계단경사부 20...계단참부재
30...경사면부재 40...연결부재
42...계단참연결부 43...경사면연결부

Claims (4)

  1. 계단참의 저면을 형성하는 계단참부재와 계단경사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경사면부재를 구비하는 계단 성형용 거푸집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계단참부재의 일단부 및 경사면부재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계단참연결부와 경사면연결부를 가지는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계단참연결부는, 그 계단참연결부의 끝면이 상기 계단참부재의 일단부의 끝면과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계단참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경사면연결부는, 그 경사면연결부의 끝면이 상기 경사면부재의 일단부의 끝면과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경사면부재에 고정되며,
    콘크리트가 상기 거푸집에 타설될 때, 그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상기 계단참연결부의 상면 및 경사면연결부의 상면이 접촉되며,
    상기 계단참연결부의 상면은 상기 경사면연결부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알루미늄 소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참연결부에는, 이 계단참연결부를 상기 계단참부재에 못으로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연결부에는, 이 경사면연결부를 상기 경사면부재에 못으로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
KR20-2005-0008842U 2005-03-31 2005-03-31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 KR200386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842U KR200386932Y1 (ko) 2005-03-31 2005-03-31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842U KR200386932Y1 (ko) 2005-03-31 2005-03-31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932Y1 true KR200386932Y1 (ko) 2005-06-16

Family

ID=4368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842U KR200386932Y1 (ko) 2005-03-31 2005-03-31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9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122B1 (ko) * 2016-06-01 2017-11-21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계단 시공용 거푸집 설치 구조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122B1 (ko) * 2016-06-01 2017-11-21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계단 시공용 거푸집 설치 구조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801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
KR200386932Y1 (ko) 계단 성형 거푸집용 연결부재
KR100695275B1 (ko) 계단구조 및 계단의 구축방법
US6883772B2 (en) Extensions for apertures in panels
CN217631063U (zh) 装饰模框以及构造物
KR200196692Y1 (ko) 계단 거푸집
KR200442878Y1 (ko) 재활용이 가능한 거푸집
KR100592657B1 (ko) 건축물 조립식 계단 장착구조
JP5385477B1 (ja) 上がり框及び床見切材
JPS6156740B2 (ko)
KR200209599Y1 (ko) 조립식 계단거푸집
JP2001012077A (ja) 階段構築用型枠
KR200241690Y1 (ko) 거푸집용 인코너틀
KR20170069315A (ko) 경량블록 일체형 리브 pc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JP6878128B2 (ja) 壁高欄同士の接合構造
KR200342757Y1 (ko) 콘크리트 옹벽 구축용 거푸집 연결구
JP2009144387A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の付属部材
KR200237651Y1 (ko) 콘크리트 계단 양생을 위한 유니트
KR200349962Y1 (ko) 슬라브타설용 거푸집 보조 브라켓
KR200349959Y1 (ko) 콘크리트 건물의 계단용 거푸집 구조
AU2003297053A1 (en) Re-usable non-metallic construction forming system
KR200427435Y1 (ko) 조립식 철골계단
KR20090059310A (ko) 천장 슬래브 패널과 결합되는 벽면 거푸집용 유로폼
KR101691624B1 (ko) 절곡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중공재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의 시공방법
KR200234131Y1 (ko) 프리패브 철근콘크리트 계단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