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315Y1 - 기둥부재 설치용 기초 구조물 - Google Patents

기둥부재 설치용 기초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315Y1
KR200386315Y1 KR20-2005-0007372U KR20050007372U KR200386315Y1 KR 200386315 Y1 KR200386315 Y1 KR 200386315Y1 KR 20050007372 U KR20050007372 U KR 20050007372U KR 200386315 Y1 KR200386315 Y1 KR 200386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upport plate
ground
pillar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갑
정일권
Original Assignee
권순갑
정일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갑, 정일권 filed Critical 권순갑
Priority to KR20-2005-0007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3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3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07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 E04H12/2215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 E04H12/2223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둥부재 설치용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 강관(鋼管)의 하부에 나선형 날개가 형성되어 강관을 지반(地盤)에 박아 회전시키면 강관이 지반을 파고들면서 매설되어 매우 간편하게 기둥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은, 원통형 강관(10)의 하부에는 나선형 날개(11)가 형성되고, 강관(10)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판(20)의 중앙에는 다각형의 공구 결합공(21)이 형성되며, 지지판(20)의 사방에는 체결공(22)이 형성되고, 강관(10)을 회전시켜 지반에 매설한 후 기둥(30)의 하부 받침판(31)이 지지판(20)에 놓여지도록 하여 받침판(31)과 지지판(20)에 각각 뚫려진 체결공(32)(22)들에 볼트(41)와 너트(41a)를 체결하여 기둥(3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재 설치용 기초 구조물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기둥부재 설치용 기초 구조물{a precast structure for pillar}
본 고안은 기둥부재 설치용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 강관(鋼管)의 하부에 나선형 날개가 형성되어 강관을 지반(地盤)에 박아 회전시키면 강관이 지반을 파고들면서 매설되어 매우 간편하게 기둥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 신호등, 전주, 광고장치의 기둥들과 같이 각종 기둥부재를 가로(街路)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주로 지반을 굴착하여 앵커볼트가 용접된 철골 구조물을 지반에 매설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를 고정시킨 후 앵커볼트에 기둥의 받침판을 결합하여 너트로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를 매설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들이 일일이 시멘트, 모래, 자갈을 물로 반죽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번거로운 작업과정을 거쳐야하는 것이므로 작업의 효율을 높여줄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콘크리트의 양생(養生)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공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프리캐스트 구조의 콘크리트 기초를 미리 제작하여 두었다가 필요시 현장으로 운송한 후 지반에 매설하여 기둥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구조의 콘크리트 기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생(養生)된 콘크리트 덩어리의 중량이 무거워 운반작업이 어려울 뿐 아니라 지반을 굴착한 후 무거운 콘크리트 기초를 매설해야 하는 것이므로 작업의 효율을 높여줄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통형 강관(鋼管)의 하부에 나선형 날개가 형성되어 강관을 지반(地盤)에 박아 회전시키면 강관이 지반을 파고들면서 매설되어 매우 간편하게 기둥부재를 설치할 수 있는 기둥부재 설치용 기초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원통형 강관(10)의 하부에는 나선형 날개(11)가 형성되고, 강관(10)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판(20)의 중앙에는 다각형의 공구 결합공(21)이 형성되며, 지지판(20)의 사방에는 체결공(22)이 형성되고, 강관(10)을 회전시켜 지반에 매설한 후 기둥(30)의 하부 받침판(31)이 지지판(20)에 놓여지도록 하여 받침판(31)과 지지판(20)에 각각 뚫려진 체결공(32)(22)들에 볼트(41)와 너트(41a)를 체결하여 기둥(3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재 설치용 기초 구조물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통형 강관(10)의 하부에는 나선형 날개(11)가 형성되어 있고, 강관(10)의 상부에는 사각형의 지지판(20)이 용접되어 강관(10)과 지지판(20)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20)의 하부에는 삼각형의 리브(20a)를 용접하여 지지판(20)이 강관(10)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20)의 중앙에는 다각형의 결합공(21)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공(21)에는 공구(40)를 삽입하여 강관(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20)의 사방에는 체결공(22)이 뚫려져 있고, 강관(10)에 결합되는 기둥(30)의 받침판(31)에도 체결공(32)들이 뚫려져 있으며, 강관(10)의 상부에는 전선 인입공(13)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강관(10)을 펀칭하여 지반에 가볍게 박은 다음 의 지지판(20) 중앙에 형성된 다각형 결합공(21)에 다각형 공구(40)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강관(10)의 하부에 형성된 나선형 날개(11)가 지반을 파고들면서 진입되어 강관(10)이 지반에 매설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기둥(30)의 하부에 형성된 받침판(31)을 강관(10)의 상부 지지판(20) 위에 올려놓고 받침판(31)과 지지판(20)에 각각 뚫려진 체결공(32)(22)들에 볼트(41)를 삽입하여 너트(41a)를 조여주면 매우 간편하게 기둥(30)이 강관(10)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기둥(30)을 고정시키기 전에 강관(10)의 상부에 뚫려진 인입공(13)을 통해 전선(13a)을 삽입하여 기둥(30)의 내부에 배선된 전선과 연결하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강관(10)의 하부 주연부에 톱날 형상의 절삭날이 연속 반복된 요철부(12)가 형성되어 있고, 강관(10)이 회전되면 요철부(12)가 용이하게 지반에 파고들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강관(10)의 회전은 주로 동력(動力)에 의하여 회전되는 공구(40)를 사용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작업자들이 수동(手動)으로 공구(40)를 회전시켜 강관(10)을 지반에 매설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강관(10)의 회전방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강관(10)을 지반에 가볍게 박아놓고 다각형 공구(40)를 지지판(20)의 결합공(21)에 삽입한 후 강관(10)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강관(10)의 하부 나선형 날개(11)가 지반을 파고들면서 진입되어 강관(10)이 지반에 매설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고, 기둥(30)의 하부 받침판(31)을 강관(10)의 상부 지지판(20) 위에 올려놓고 받침판(31)과 지지판(20)에 각각 뚫려진 체결공(32)(22)들에 볼트(41)를 삽입하여 너트(41a)를 조여주면 매우 간편하게 기둥(30)이 강관(10)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강관(10)으로 구성된 기초 구조물의 지반 매설 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최소의 인원으로 신속하게 기둥을 설치하여 작업의 효율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 및 무거운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덩어리를 운반하여 설치하는 기타 번거로운 작업과정이 필요가 없는 것이므로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이 완벽하게 해소되어 기둥 설치작업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강관 11 : 날개
12 : 요철부 13 : 인입공
13a : 전선 20 : 지지판
20a : 리브 21 : 결합공
22, 32 : 체결공 30 : 기둥
31 : 받침판 40 : 공구
41 : 볼트 41a : 너트

Claims (2)

  1. 원통형 강관(10)의 하부에는 나선형 날개(11)가 형성되고, 강관(10)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판(20)의 중앙에는 다각형의 공구 결합공(21)이 형성되며, 지지판(20)의 사방에는 체결공(22)이 형성되고, 강관(10)을 회전시켜 지반에 매설한 후 기둥(30)의 하부 받침판(31)이 지지판(20)에 놓여지도록 하여 받침판(31)과 지지판(20)에 각각 뚫려진 체결공(32)(22)들에 볼트(41)와 너트(41a)를 체결하여 기둥(3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재 설치용 기초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10)의 상부에는 전선 인입공(13)이 형성되고, 강관(10)의 하부 주연부에는 톱날 형상의 절삭날이 연속 반복된 요철부(12)가 형성되어 강관(10)이 회전되면 요철부(12)가 용이하게 지반에 파고들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재 설치용 기초 구조물.
KR20-2005-0007372U 2005-03-18 2005-03-18 기둥부재 설치용 기초 구조물 KR200386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372U KR200386315Y1 (ko) 2005-03-18 2005-03-18 기둥부재 설치용 기초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372U KR200386315Y1 (ko) 2005-03-18 2005-03-18 기둥부재 설치용 기초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315Y1 true KR200386315Y1 (ko) 2005-06-10

Family

ID=4929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372U KR200386315Y1 (ko) 2005-03-18 2005-03-18 기둥부재 설치용 기초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3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069B1 (ko) 2008-09-11 2009-06-30 (주) 대도솔라텍 태양광 모듈 거치대의 기초파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069B1 (ko) 2008-09-11 2009-06-30 (주) 대도솔라텍 태양광 모듈 거치대의 기초파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985B1 (ko) 안정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지주 정착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JP2014001542A (ja) 支柱設置用基礎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885131B1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4011210A (ja) 風力発電施設用主塔
JP3203114U (ja) ポール用基礎構造
KR20170089357A (ko) 태양전지모듈용 지지구조물
KR102103485B1 (ko) 가설 방음벽, 가설울타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33013B1 (ko) 커넥터 볼트 조립식 흙막이 벽체용 엄지말뚝, 이를 이용한흙막이 벽체와 콘크리트 지하 벽체의 연결구조 및 그연결시공방법
KR101114840B1 (ko) 보강 지주조립체
KR200386315Y1 (ko) 기둥부재 설치용 기초 구조물
KR20110137644A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45403Y1 (ko) 시설물 지주 고정용 베이스 장치
KR101474736B1 (ko) 가로등의 기둥 고정장치
KR200479516Y1 (ko) 구조물 지지용 나선형 지지대
KR100645024B1 (ko) 기둥부재 고정용 프리캐스트 구조물
CN208633670U (zh) 一种可周转多功能围挡结构
KR100343970B1 (ko) 지상고정용 철주 받침대의 지하 매설 방법
KR101934363B1 (ko) 가로등 시공을 위한 기초구조물
KR200253363Y1 (ko) 지주고정기구
KR200375997Y1 (ko) 기둥부재 고정용 프리캐스트 구조물
KR20100042446A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3210102U (ja) 支柱の風圧横回転及び沈下防止構造
KR20160035243A (ko) 철판 콘크리트 기초
JP2007146468A (ja) 支線ブロック設置方法および支線ブロック
KR100463752B1 (ko) 스크류 앵커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