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922Y1 - 스터드볼트 체결용 핸들 - Google Patents

스터드볼트 체결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922Y1
KR200385922Y1 KR20-2005-0007551U KR20050007551U KR200385922Y1 KR 200385922 Y1 KR200385922 Y1 KR 200385922Y1 KR 20050007551 U KR20050007551 U KR 20050007551U KR 200385922 Y1 KR200385922 Y1 KR 200385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or
stud bolt
present
eccentric groov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욱
Original Assignee
에이원마린테크 주식회사
박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원마린테크 주식회사, 박재욱 filed Critical 에이원마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7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9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9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4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ring jaw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25B23/10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using mechanical gripping means
    • B25B23/103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using mechanical gripping means for gripping threaded stu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터드볼트(B)를 회전시켜 체결하는 공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중심에서의 거리가 반복적으로 변화되는 편심홈(25)을 적어도 일단에 구비하는 몸체(20); 상기 몸체(20)의 편심홈(25)의 넓은 공간부에 각각 수용되고,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접촉자(40); 및 상기 접촉자(40)가 편심홈(25) 상에서 이동하며 몸체(20)를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예로 상기 지지수단은 접촉자(40)의 양단에 걸리도록 걸림턱(35)이 구비된 커버(30)를 사용한다. 본 고안의 변형예로 상기 지지수단은 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접촉자(40)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는 홀더(50)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보트의 선외기와 같이 작업 공간이 좁은 장치에서도 사용이 용이하고, 하나의 공구로 복수의 스터드볼트 규격에 적용할 수 있어서 활용성이 높다.

Description

스터드볼트 체결용 핸들 {Handle for fastening stud bolt}
본 고안은 스터드볼트 체결용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보트의 선외기와 같이 작업 공간이 좁은 장치에서도 사용이 용이한 스터드볼트 체결용 렌치에 관한 것이다.
봉의 양측단에 나사를 지니는 스터드볼트는 일측 나사를 기계의 몸체 등에 단단하게 끼워 놓고 사용하는 볼트로서 기계장치나 건설현장에서 주로 장탈착이 빈번한 곳에 사용한다. 일예로 경정용 보트의 구동원인 선외기에서 실린더블록과 하우징의 결합에도 스터드볼트가 사용된다.
도 1에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제1985-0001568호의 "스터드 볼트 조립공구"에 의하면 『선단에 스터드 볼트에 나합되는 나사공(2)이 형성된 소켓(1)과 후단에 회전공구에 연결하는 사각홈(3)이 형성된 아답터(4)를 한쌍의 걸림턱(5)(5')과 (6)(6')로써 유격을 가지고 연동되도록 대향시키고 드라이브 나사(7)와 나사공(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8)에 보조원판(9)(9')과 보올(10)을 개합하고, 드라이브나사(7)를 아답터(4)에 삽탈가능한 핀(11)으로 고정하여서 된 스터드볼트 조립공구.』가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구는 후단에서 일반 공구를 삽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두께가 커서 작업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하나의 치수에 국한되므로 치수별로 다양하게 구비해야 하며, 마모가 쉬운 보조원판을 별도 관리하면서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이 초래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트의 선외기와 같이 작업 공간이 좁은 장치에서도 사용이 용이한 스터드볼트 체결용 렌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서 하나의 공구로 복수의 스터드볼트 규격에 적용할 수 있으면서 내구성도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스터드볼트를 회전시켜 체결하는 공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중심에서의 거리가 반복적으로 변화되는 편심홈을 적어도 일단에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편심홈의 넓은 공간부에 각각 수용되고,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접촉자; 및 상기 접촉자가 편심홈 상에서 이동하며 몸체를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예로서, 상기 지지수단은 접촉자의 양단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구비된 커버를 사용한다.
본 고안의 변형예로서, 상기 지지수단은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접촉자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는 홀더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용 핸들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확대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스터드볼트(B)를 회전시켜 체결하는 공구에 관련되며, 특히 공압이나 전기력을 사용하지 않는 수공구에 보다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스패너 또는 렌치와 같은 일자 형태의 몸체(20)를 기반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몸체(20)는 상기 회전중심에서의 거리가 반복적으로 변화되는 편심홈(25)을 적어도 일단에 구비한다. 도 3에 예시하는 것처럼 동일한 회전중심으로부터 4개의 곡면이 반복적으로 이어지도록 한다. 각각의 곡면은 회전중심까지의 이격거리가 일정한 비율로 변화되며, 상호 최소 및 최대 이격거리가 이어지는 부분도 곡면으로 처리한다. 편심홈(25)의 주변으로 다수의 지점에 태핑 가공하여 동일한 규격의 볼트공(22)을 형성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접촉자(40)가 상기 몸체(20)의 편심홈(25)의 넓은 공간부에 각각 수용된다. 접촉자(40)는 스터드볼트(B)에 접촉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분이므로 고강도와 내마모성을 요한다. 예를 들어 고하중용 니들베어링 또는 그에 상응하는 압축강도를 지닌 소재를 사용한다. 반드시 금속에 국한되지 않으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접촉자(40)가 편심홈(25) 상에서 이동하며 몸체(20)를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구비된다. 접촉자(40)는 몸체(20)의 회전에 따라 스터드볼트(B)와 접촉 또는 해제되며 짧은 거리를 왕복하는데, 어느 위치에 있거나 몸체(20)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지수단이 필요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예에 따른 접촉자의 지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접촉자의 지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본 고안의 지지수단은 접촉자(40)의 양단에 걸리도록 걸림턱(35)이 구비된 커버(30)를 사용한다. 몸체(20) 상에서 하나의 편심홈(25)에 대하여 양면으로 커버(30)를 결합하는데, 도 4는 하측의 커버(30)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다. 접촉자(40)는 양단에 축봉(45)이 있는 형태를 사용하고, 커버(30)의 걸림턱(35)은 축봉(45)보다 약간 낮은 높이로 한다. 접촉자(40)가 커버(30)의 내면으로 1~2㎜ 정도 노출되도록 축봉(45)의 직경보다 접촉자(40)의 직경을 충분히 크게 한다. 걸림턱(35)의 형성 길이는 접촉자(40)의 이동 거리보다 약간 크게 한다. 이에 따라 접촉자(40)는 축봉(45)의 일측에서 편심홈(25)에 접하고 타측에서 걸림턱(35)에 접한 상태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이동한다.
도 5에서, 본 고안의 지지수단은 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접촉자(40)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는 홀더(5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서 X-X′의 위치를 절개한 상태이다. 홀더(50)는 직경이 가늘고 탄성을 지니는 선재를 이용하여 ㄷ자 형태로 형성하며 양단을 다시 구부려 접촉자(40)의 회전 중심에 삽착한다. 접촉자(40)는 회전 중심에 축봉(45) 대신에 홈을 지니는 형태를 사용한다. 도시처럼 홀더(50)는 몸체(20)의 외면을 감싸면서 접촉자(40)를 회전 및 이동 가능하도록 지자하는데, 접촉자(40)의 이동을 구속하지 않도록 홀더(50)의 이동 경로에 해당하는 충분한 크기의 홈이 몸체(20) 상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홀더(50)를 사용하는 경우 상하의 커버(30)를 생략해도 스터드볼트(B)의 체결/해제 작동에는 영향이 없으나 커버(30)를 장착하여 홀더(50)를 보호하는 것이 내구성을 향상하는 측면에서 좋다. 반면에 커버(30)의 걸림턱(35)은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을 나타내는 도식도로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다소 과장하여 나타낸다.
도 6a에서, 스터드볼트(B)의 나사가 없는 중간부에 몸체(20)를 끼우고 회전하면 접촉자(40)가 편심홈(25)의 좁은 부분으로 이동하여 마찰력이 증가되므로 스터드볼트(B)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체결된다. 몸체(20)를 반대로 돌리면 접촉자(40)가 부호 40′처럼 편심홈(25)의 넓은 부분으로 이동하므로 상호 접촉이 해제되고 몸체(20)를 뺄 수 있다. 만일 스터드볼트(B)를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몸체(20)를 반대로 뒤집은 상태에서 스터드볼트(B)에 삽착하고 회전한다. 이 과정에서 접촉자(40)는 커버(30)에 지지되어 몸체(20)를 이탈하지 않는다.
도 6b에서, 몸체(20)의 상하면에 부채꼴로 형성되는 홈(20a)을 이용하여 홀더(50)가 설치되고 홀더(50)의 내측단에 접촉자(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접촉자(40)에서 홀더(50)가 삽착되는 부분의 홀은 직경을 충분하게 크게 하여 접촉자(40)의 회전 이동을 구속하지 않도록 한다. 스터드볼트(B)를 체결/해제하는 작동은 전술한 도 6a와 동일하다.
상기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몸체(20)의 양단에 서로 다른 크기의 편심홈(25)을 구비하여 2종류 이상의 스터드볼트(B) 규격에 적용할 수 있다. 일측 편심홈(25)에 대한 접촉자(40)는 4개 이상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래칫(rachet)은 일방향의 회전만을 선택하는 수단으로서 좁은 공간에서의 체결/해체 작업시 활용도가 매우 높다. 본 고안의 편심홈(25)을 지닌 몸체(20)는 이러한 래칫과 연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스터드볼트(B)를 회전시켜 체결하는 공구에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환봉 형태의 물품을 회전시키는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보트의 선외기와 같이 작업 공간이 좁은 장치에서도 사용이 용이하고, 하나의 공구로 복수의 스터드볼트 규격에 적용할 수 있어서 활용성이 높다.
도 1은 종래의 스터드볼트 체결용 공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용 핸들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확대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예에 따른 접촉자의 지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접촉자의 지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을 나타내는 도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몸체 25: 편심홈
30: 커버 32: 볼트공
35: 걸림턱 40: 접촉자
45: 축봉 50: 홀더

Claims (3)

  1. 스터드볼트(B)를 회전시켜 체결하는 공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중심에서의 거리가 반복적으로 변화되는 편심홈(25)을 적어도 일단에 구비하는 몸체(20);
    상기 몸체(20)의 편심홈(25)의 넓은 공간부에 각각 수용되고,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접촉자(40); 및
    상기 접촉자(40)가 편심홈(25) 상에서 이동하며 몸체(20)를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볼트 체결용 핸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접촉자(40)의 양단에 걸리도록 걸림턱(35)이 구비된 커버(30)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볼트 체결용 핸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접촉자(40)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는 홀더(50)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볼트 체결용 핸들.
KR20-2005-0007551U 2005-03-21 2005-03-21 스터드볼트 체결용 핸들 KR200385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551U KR200385922Y1 (ko) 2005-03-21 2005-03-21 스터드볼트 체결용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551U KR200385922Y1 (ko) 2005-03-21 2005-03-21 스터드볼트 체결용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922Y1 true KR200385922Y1 (ko) 2005-06-03

Family

ID=4368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551U KR200385922Y1 (ko) 2005-03-21 2005-03-21 스터드볼트 체결용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9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5516B1 (en) Modular stamped parts transfer gripper
EP3345728B1 (en) Hand-held tool and clamping device thereof
CN1126642C (zh) 工具把,尤其是螺丝刀把
EP1207023A1 (en) Gripper provided with workpiece holding tips which can be mounted on the gripper jaws in two orientations
PL216387B1 (pl) Sposób i narzędzie do dokręcania lub odkręcania złącza
CN106863165B (zh) 切割或压缩工具
US5933935A (en) Retainer ring tool
KR20160082325A (ko) 유압 공구
KR200385922Y1 (ko) 스터드볼트 체결용 핸들
JP4060586B2 (ja) 締付け工具
US20150151348A1 (en) Pivoting jaw and motor-actuable handheld apparatus
CN103978427A (zh) 夹具
CN108188970B (zh) 继电器拆卸工具
KR19990040168A (ko) 걸림수단을 갖는 몽키 스패너
JPH03196977A (ja) パワーレンチ
RU2095214C1 (ru) Съемник электродов точечной сварочной машины
US4296552A (en) Cutting and splitting tool
WO2017122217A1 (en) Multi purpose hand tool
JP2017047485A (ja) 軸取付部材抜き工具用補助具
JP3144459U (ja) 吊りボルト用取付け治具
EP1415773B1 (en) Gripper
AU2014305944A1 (en) Apparatus for tightening threaded fasteners
CN213946267U (zh) 一种内六方塑料扳手
KR200285734Y1 (ko) 기어풀러
CN215358285U (zh) 一种多功能扳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