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588Y1 -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588Y1
KR200385588Y1 KR20-2005-0007453U KR20050007453U KR200385588Y1 KR 200385588 Y1 KR200385588 Y1 KR 200385588Y1 KR 20050007453 U KR20050007453 U KR 20050007453U KR 200385588 Y1 KR200385588 Y1 KR 200385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gnetic contactor
detachable
fram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4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74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5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5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서, 부품 및 생산 공정을 저감시켜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기기의 적용범위를 확대 시킬 수 있는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본체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점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단자를 갖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에 도선이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합되되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접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 HAVING DETACHABLE TERMINAL CONNECTING DEVICE}
본 고안은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 및 생산 공정을 저감시켜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기기의 적용범위를 확대 시킬 수 있는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와 함께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 ; MS)를 구성하여 모터 등의 과부하 및 소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기기이다.
이러한 전자접촉기는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전자석부와 접점부가 설치되어 있어서, 전자석의 코일 양단에 전원이 인가되어 접점부의 접점이 폐로되면서 전원측 회로가 부하측 회로와 연결되어 부하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전자석 코일 양단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접덤부의 접점이 개로되면 부하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원방제어와 집중제어가 이루어진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전자접촉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전자접촉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프레임(10)과, 상기 본체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회로를 직접 차단하거나 접속함에 따라 전기회로를 개로 또는 폐로 상태로 전환하는 접점부(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접점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석부(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된 점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전원측단자(20)와 부하측단자(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전자접촉기에는 주회로 또는 기타 다른 설비와의 접속을 위한 도선이 각 단자(전원측단자와 부하측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단자접속장치(30)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 단자접속장치(30)는 크게 스크류(31) 및 너트(32)로 구성되는 스크류터미널(33)을 이용하는 방식과 러그터미널(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종래 전자접촉기의 경우에는 도선에 연결되는 단자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그에 적합한 전자접촉기를 각각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전자접촉기의 경우에는 단자와 도선을 접속/고정시키기 위한 단자접속장치(30)가 본체프레임(10)에 일체로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종래에는 단자접속장치(30)의 분류에 따라 전자접촉기를 제작할 시 단순히 단자접속장치(30)만 교체하여 제작하지 못하고 본체프레임(10)을 포함한 전자접촉기 전체를 별도로 제작해야 했던 바, 이에 따라 부품 및 생산공정이 증가되어 원가가 상승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배선이 용이하지 못하고 적용범위의 한계를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부품 및 생산 공정을 저감시켜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기기의 적용범위를 확대 시킬 수 있는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접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단자를 갖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에 도선이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합되되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접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단자가 수용되기 위한 복수개의 단자수용부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프레임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프레임과, 상기 각 단자수용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터미널과, 절연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각 단자수용부의 상부를 복개하도록 상기 단자프레임에 결합되는 안전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단자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에 탄성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되되 상기 각 단자의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막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덮개는 선택적으로 상기 단자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프레임과 상기 안전덮개 중 어느 일측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홈에 탄성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덮개와 상기 단자프레임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단자프레임과 상기 안전덮개 중 상하 방향을 따라 어느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다른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단자수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홈과, 상기 절연홈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단자프레임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안전커버에 형성되는 절연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단자수용부의 개구된 전면 높이는 상기 스크류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접속장치는, 상기 각 단자가 수용되기 위한 복수개의 단자수용부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프레임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프레임과, 상기 단자수용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러그(lug)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로서, 단자접속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130)를 구비한 전자접촉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프레임(110)과,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회로를 직접 차단하거나 접속함에 따라 전기회로를 개로 또는 폐로 상태로 전환하는 접점부(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접점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석부(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내부에 설치된 접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전원측단자 및 부하측단자(120,121)와, 상기 각 단자(120,121)에 도선이 접속될 수 있도록 본체프레임(110)에 결합되되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접속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각 단자(120,121)는 스크류터미널(133) 접속용 단자로서, 일측에는 스크류가 통과 될 수 있도록 그 두께 방향을 따라 스크류 통과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접속장치(130)는 주회로 또는 기타 다른 설비와의 접속을 위한 도선이 각 단자(전원측단자와 부하측단자)(120,1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바, 각 단자(120,12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전면 및 상향 개구된 복수개의 단자수용부(132)를 구비하여 본체프레임(110)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프레임(131)과, 스크류(133a) 및 너트(133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각 단자수용부(132)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터미널(133)과, 절연 재질로 형성되어 각 단자수용부(132)의 상부를 복개하도록 단자프레임(131)에 결합되는 안전덮개(13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자프레임(131)의 후방에는 복수개의 결합돌기(131a)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본체프레임(110)에는 상기 각 결합돌기(131a)가 수용될 수 있도록 결합홈(111a)이 형성되어 있는 바, 전술 및 도시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홈(111a)이 본체프레임(110)의 각 단자(120,121) 사이에 절연을 위해 형성된 절연막(111)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여타 위치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결합돌기(131a)가 결합홈(111a)에 탄성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131a)와 결합홈(111a)은 반원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덮개(135)는 작업자의 신체가 단자(120,121)에 접촉됨에 따른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각 단자수용부(132)의 상부를 복개하는 방식으로 본체프레임(110)에 결합되는 바, 이때 상기 안전덮개(135)는 선택적으로 단자프레임(13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안전덮개(135)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체결돌기(135a)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단자프레임(131)에는 상기 각 체결돌기(135a)가 수용될 수 있도록 체결홈(13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돌기(135a)와 체결홈(131b)은 전술한 결합돌기(131a)와 결합홈(111a)처럼 탄성 결합될 수 있도록 반원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와 같은 안전덮개(135)와 단자프레임(131)의 결합은 가이드수단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는 바, 상기 가이드수단은 단자프레임(131)의 상면에 그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돌기(135b)와, 상기 각 가이드돌기(135b)가 수용될 수 있도록 안전덮개(135)의 저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홈(131c)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단자수용부(132)의 사이에는 절연홈(131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전덮개(135)의 저부에는 절연홈(131d)에 수용됨과 아울러 단자프레임(131)의 전면으로 소정 구간 돌출되게 절연바(135c)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각 단자수용부(132) 간의 절연성이 향상 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각 단자수용부(132)의 개구된 전면 높이는 상기 스크류(133a)가 너트(133b)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을 시 스크류(133a)가 단자수용부(1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크류(133a)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각 단자수용부(132)의 개구된 전면 높이는 안전덮개(135)의 전면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135d는 스크류(133a)를 체결시키기 위한 공구가 단자수용부(13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안전덮개(135)의 상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이고, 131e는 본체프레임(110)의 절연막(111)이 수용될 수 있도록 단자프레임(131)의 배면에 형성되는 수용홈이다.
한편, 첨부한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체프레임(110)의 내부에 설치된 접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전원측단자와 부하측단자(120,121)에 도선이 접속될 수 있도록 본체프레임(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접속장치(130)에 러그(lug)터미널(133)을 적용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각 단자(120,121)는 러그터미널(133) 접속용 단자로서, 스크류터미널(133) 접속용 단자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접속장치(130)는, 각 단자(120,121)가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단자수용부(132)를 구비하여 본체프레임(110)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프레임(131)과, 상기 단자수용부(132)의 내부에 구비되는 러그터미널(13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자프레임(131)의 후방에는 복수개의 결합돌기(131a)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본체프레임(110)에는 상기 각 결합돌기(131a)가 수용될 수 있도록 결합홈(111a)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때 상기 결합돌기(131a)가 결합홈(111a)에 탄성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131a)와 결합홈(111a)은 반원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러그터미널(133)은 상기 단자수용부(132)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133b) 및 이 지지부(133b)에 의해 지지되는 스크류(133a)와, 상기 스크류(133a)의 조작에 따라 연동되며 각 단자수용부(132)의 내부에 수용되는 단자(120,121)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작동부(133c) 및 제 2작동부(133d)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러그터미널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아울러 상기 러그터미널(133)이 적용된 단자접속장치(130)를 제외한 여타 구성 부분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130)를 구비한 전자접촉기는 단자(120,121)와 도선을 접속/고정시키기 위한 단자접속장치(130)가 선택적으로 본체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함으로써, 단자접속장치(130)의 분류에 따라 전자접촉기를 제작할 시 본체프레임(110)을 포함한 전자접촉기 전체를 별도로 제작해야 할 번거로움 없이 단순히 단자접속장치(130) 및 각 단자(120,121)만을 교체하여 제작할 수 있게 한다.
즉 이와 같은 구조는 전자접촉기의 제작시 단자접속장치(130)의 분류에 관계없이 본체프레임(110) 및 그 내부에 수용되는 각종 부품 등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그에 따른 부품 및 생산공정을 저감시켜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은 물론 기기의 적용범위를 확대 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에 의하면, 도선 접속을 위한 전원접속장치가 본체프레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게 함으로써, 부품 및 생산 공정을 저감시켜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기기의 적용범위를 확대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자접촉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로서, 단자접속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본체프레임 111 : 절연막
111a : 결합홈 120,121 : 단자
130 : 단자접속장치 131 : 단자프레임
131a : 결합돌기 131b : 체결홈
131c : 가이드홈 131d : 절연홈
131e : 수용홈 132 : 단자수용부
133 : 스크류(러그)터미널 135 : 안전덮개
135a : 체결돌기 135b : 가이드돌기
135c : 절연바

Claims (15)

  1. 본체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접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단자를 갖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에 도선이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합되되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접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가 수용되기 위한 복수개의 단자수용부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프레임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프레임과, 상기 각 단자수용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터미널과, 절연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각 단자수용부의 상부를 복개하도록 상기 단자프레임에 결합되는 안전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단자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에 탄성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되되 상기 각 단자의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막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덮개는 선택적으로 상기 단자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프레임과 상기 안전덮개 중 어느 일측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홈에 탄성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덮개와 상기 단자프레임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단자프레임과 상기 안전덮개 중 상하 방향을 따라 어느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다른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수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홈과, 상기 절연홈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단자프레임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안전커버에 형성되는 절연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수용부의 개구된 전면 높이는 상기 스크류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단자좁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접속장치는, 상기 각 단자가 수용되기 위한 복수개의 단자수용부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프레임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프레임과, 상기 단자수용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러그(lug)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단자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에 탄성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KR20-2005-0007453U 2005-03-18 2005-03-18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KR200385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453U KR200385588Y1 (ko) 2005-03-18 2005-03-18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453U KR200385588Y1 (ko) 2005-03-18 2005-03-18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588Y1 true KR200385588Y1 (ko) 2005-05-31

Family

ID=43687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453U KR200385588Y1 (ko) 2005-03-18 2005-03-18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5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950Y1 (ko) 2008-12-04 2011-01-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단상 전용 전자접촉기
KR101093166B1 (ko) 2009-07-16 2011-12-12 주식회사 신원 비상전원공급부가 구비된 산업용 로봇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950Y1 (ko) 2008-12-04 2011-01-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단상 전용 전자접촉기
KR101093166B1 (ko) 2009-07-16 2011-12-12 주식회사 신원 비상전원공급부가 구비된 산업용 로봇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84493B1 (en) Electromagnetic relay
EP1174896B1 (en) Electromagnetic relay
US5081436A (en) Electromagnetic relay having an improved terminal structure
KR100333935B1 (ko) 전자접촉기
EP1290759B1 (de) Anschlussklemme
EP1772884B1 (en) Electromagnetic relay
EP1529302B2 (de) Elektrisches schaltgerät
EP2187420A2 (en) Relay with flip-flop spring
US7541900B2 (en) Module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contactor and corresponding reverser assembly
US11244798B2 (en) Connection unit
US8809712B2 (en) Switch case with partitioned passages
US7891987B2 (en) Electric junction box
KR200385588Y1 (ko) 분리 가능한 단자접속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JP2019009389A (ja) 電気機器及び分電盤
SK4792000A3 (en) Electric switch for devices
US7201586B2 (en) Housing for fastening of electrical and/or electronic power components to a circuit board
KR200382136Y1 (ko) 안전커버가 구비된 전자차페기
KR100507361B1 (ko) 전자접촉기
KR101922154B1 (ko) 전자접촉기
KR200247037Y1 (ko) 전자접촉기의 코일터미널 유동방지구조
KR102159960B1 (ko) 극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KR101045465B1 (ko) 회로차단기
JP4295599B2 (ja) スイッチ装置
CN219842936U (zh) 簧片结构及继电器
KR200261858Y1 (ko) 컷아웃스위치용 퓨즈홀더의 조작봉 안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