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941Y1 - Fireplace of exposing type - Google Patents

Fireplace of exposing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941Y1
KR200384941Y1 KR20-2005-0006607U KR20050006607U KR200384941Y1 KR 200384941 Y1 KR200384941 Y1 KR 200384941Y1 KR 20050006607 U KR20050006607 U KR 20050006607U KR 200384941 Y1 KR200384941 Y1 KR 200384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place
combustion
firewood
room
e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60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현진
Original Assignee
정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진 filed Critical 정현진
Priority to KR20-2005-0006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94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941Y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06Mounting of closed stoves in a firepl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8Air heat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출형 벽난로에 관한 것으로, 실내의 벽면에 후면부가 맞닿아 설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각 측면과 상부면에서 발산 및 방출되는 연소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실내로 유입되어 운전비 및 난방비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벽면 내부에 별도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설치에 따른 설치비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벽난로의 상부에 가습장치가 구비되어 난로에서 발산 및 방출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난방과 가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노출형 벽난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구성은, 내부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의 연소로 인해 연소열을 발생시키는 소정크기의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전면부에 개, 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투명재질의 도어와, 그 상부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 연료가 적층됨과 동시에 연소된 재를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그릴과, 상기 그릴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는 재를 수납하기 위한 재받이부와, 연소 시 발생되는 연기, 가스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소통으로 구성되는 벽난로에 있어서, 양 측면 소정위치에 다수개의 열 발산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가습장치가 구비되며, 후면부가 실내의 벽면에 맞닿는 케이싱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osed fireplace, the rear part is abutted on the wall of the room is installed so that the combustion heat emitted and emitted from each side and the top surface can be introduced into the room more effectively to reduce operating and heating costs as well as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space is not formed inside the interior wall, installation cost can be reduc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A humidifier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fireplace to simultaneously perform heating and humidification using the heat of combustion emitted and emitted from the stove. In order to provide an open fireplace that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a combustion chamber of a predetermined size to generate a heat of combustion due to the combustion of solid fuel such as firewood or firewood, and hinged to the front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be opened and closed Transparent doors and solid fuel such as firewood and firewood are stacked on top In the fireplace composed of a grill for discharging the burned ash to the bottom, a ash tray for accommodating the ash discharged to the lower through the grill, and a combustion tank for discharging smoke, gas, etc. generated during combustion to the outside. In this case,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hol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both sides, and a humidifier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thereof, and a rear side portion is provided with a casing in contact with a wall surface of the room.

Description

노출형 벽난로{Fireplace of exposing type}Fireplace of exposing type

본 고안은 벽난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벽면에 후면부가 맞닿아 설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각 측면과 상부면에서 발산 및 방출되는 연소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실내로 유입되어 운전비 및 난방비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벽면 내부에 별도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설치에 따른 설치비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벽난로의 상부에 가습장치가 구비되어 난로에서 발산 및 방출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난방과 가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노출형 벽난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place, more specifically, the rear part is made to be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room, the heat of combustion emitted and emitted from each side and the top surface can be introduced into the room more effectively to reduce operating and heating costs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installation can be reduced by not forming a separate space inside the interior wall, and a humidification device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fireplace to simultaneously perform heating and humidification using combustion heat emitted and emitted from the stove. It's about an exposed fireplace.

일반적으로, 벽난로는 건물이나 가옥의 거실 등의 실내 벽면에 매립설치되며,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태움으로써 발생되는 연소열을 실내로 발산 및 방출시킴으로써 겨울철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장치이다.In general, the fireplace is embedded in the interior wall of the living room, such as a building or a house, is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indoor room in the winter by dissipating and dissipating the heat of combustion generated by burning solid fuel such as firewood or firewood.

최근 들어, 이러한 벽난로는 겨울철을 제외한 계절에 실내 장식으로 사용되며, 이로 인해 실내 분위기를 한 층 돋보이게 하는 인테리어적인 측면으로 사용되고 있다.Recently, such a fireplace is used as an interior decoration in seasons other than winter season, and thus is used as an interior aspect to enhance the indoor atmosphere.

즉, 연소실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도어가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강화 유리 등의 투명 유리로 이루어짐으로써 연소실 내에서 연소되는 장작이나 땔감 등이 연소되는 모습을 외부로 노출되어 시각적인 효과를 얻도록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실내 장식용으로 쓰여 실내 분위기를 한 층 돋보이게 하는 등 인테리어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In other words, the door provided in the front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is made of transparent glass such as tempered glass, except for the edge portion, so that the firewood or firewood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obtain a visual effect. In addition, it is used for interior decoration and is very useful in interior aspects such as enhancing the indoor atmosphere.

이렇게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장치로서의 벽난로에는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하여 그 내부에 소정크기 및 소정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연소실이 형성되고, 연소실의 하부면에는 그 상부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 연료를 쌓을 수 있도록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연소실에서 연소된 재 등을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그릴이 구비되며, 그릴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는 재 등을 수거하여 폐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재받이부가 구비되고, 연소실을 통하여 연소되는 장작 또는 땔감 등의 고체 연료에서 발생되는 연기, 가스, 그을음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원통형상체 형상의 연도 및 연소통이 연설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us, a fireplace as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a room is provided with a combustion chamber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a predetermined area therein for burning solid fuel such as firewood or firewood, and a solid such as firewood or firewoo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Not only is it possible to accumulate fuel, there is a grill for discharging ash, etc.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to the bottom, and a ash receiving unit for collecting and discarding the ash discharged to the lower through the grill is disposed, the combustion chamber It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the flue and the combustion cylinder of the cylindrical body shape for discharging the smoke, gas, soot and the like generated from the solid fuel such as firewood or firewood burned through the outside.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벽난로는 그 후면부를 포함하는 상당 부분이 실내 벽면의 내측에 매설됨으로써 그 전면부만이 실내로 노출되게 이루어진다. 즉, 실내 벽면 내측에 벽난로의 후면부를 포함하는 상당 부분이 매립되기 위하여 그에 대응되는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고, 공간 내부에 벽난로의 후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수개의 벽돌을 쌓은 후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시킴으로써 대략 벽난로의 후면부가 안착되기 용이한 형상으로 만든 다음 벽난로를 설치하여 전면부만이 실내로 노출되도록 설치하였다.In the fireplace having such a structure, a substantial part of the fireplace including the rear part is embedded inside the interior wall so that only the front part is exposed to the interior. That is, in order to fill a substantial part including the rear part of the fireplace inside the interior wall,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size is formed, and after stacking a plurality of bricks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ar part of the fireplace inside the space and curing by injecting concrete By making the shape of the rear part of the fireplace easy to settle, the fireplace was installed so that only the front part was exposed to the room.

여기서, 벽난로의 상부면에는 연소실에서 연소 시 발생되는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 연료의 가스, 연기, 그을음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연도 및 연소통이 구비되어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eplace is provided with a flue and a combustion cylinder to discharge the gas, smoke, soot, etc. of the solid fuel such as firewood or firewood generated during combus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to the outside to discharge the harmful ga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to the outside Is done.

이러한 종래의 벽난로는 실내 벽면에 매립설치 시 벽난로의 상당 부분이 매립되기 위한 상당한 형태 및 크기의 공간을 필요로 하며, 그 내부에 벽난로의 후면부에서 발생되는 열의 손실을 감소시키고자 벽돌을 쌓아 설치한 후 벽난로의 후면부를 벽돌과 근접되게 설치하도록 이루어졌으나, 벽난로를 실내의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에 실내 벽면에 상당 크기의 공간 확보를 위한 내부 공사를 진행하여야 하는 등 작업이 번거롭고, 벽난로의 각 측면 및 상부면에서 발산 및 방출되는 연소열이 실내로 유입되기 곤란하다는 등 상당량의 열 손실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열 효율이 현저히 저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conventional fireplaces require a considerable form and size of space for a large part of the fireplace to be embedded in the interior wall, and there is a stack of bricks to reduce the heat loss generated in the rear part of the fireplace. Afterwards, the rear part of the fireplace was installed to be close to the brick, but since the separate space for installing the fireplace on the wall of the room must be secured, the work such as the internal construction to secure a considerable amount of space on the interior wall is required. It is cumbersome, and a considerable amount of heat loss occurs such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heat of combustion emitted and emitted from each s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eplace to enter the room, which cause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rmal efficiency.

또한, 벽난로의 후면 및 양 측면에서 발산 및 방출되는 연소열 및 잔열에 의하여 벽난로의 후면부 및 양 측면과 소정거리 근접되게 설치되는 벽돌이 타거나, 실내 벽면 내부에 부식이 발생하는 등 건축물의 안전에 영향을 끼치는 등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due to combustion heat and residual heat emitted and emitted from the rear and both sides of the fireplace, bricks installed near the rear side and both sides of the fireplace are burned or corrosion is generated in the interior walls. There was a structural problem such as.

한편, 종래의 벽난로는 단순히 연료를 연소시켜 연소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난방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실내 온도 상승에 따른 실내 공기의 건조 및 이로 인한 호흡 장애, 피부 질환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습기를 추가로 구입하여 설치하여야 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fireplace is made to perform only the function of heating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room by simply burning the fuel to generate combustion heat to solve the drying of the indoor air and the resulting breathing disorder, skin disease, etc.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room temperature In order to purchase additional humidifiers had to be installed.

이렇게 난방과는 별도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습기를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나, 가습기의 추가 구입으로 인해 비용이 증대된다는 비용적인 측면 및 가습기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는 공간확보 측면의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control the humidity in the room separately from the heating, a separate humidifier was purchased and used. However, the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additional purchase of the humidifier, and the space for securing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humidifier. There was a problem.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내의 벽면에 후면부가 맞닿아 설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각 측면과 상부면에서 발산 및 방출되는 연소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실내로 유입되어 운전비 및 난방비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벽면 내부에 별도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설치에 따른 설치비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벽난로의 상부에 가습장치가 구비되어 난로에서 발산 및 방출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난방과 가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실내를 난방함과 동시에 실내를 쾌적한 습도로 유지할 수 있는 노출형 벽난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rear part is abutt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room is installed so that the combustion heat emitted and emitted from each side and the upper surface more effectively flow into the room to reduce operating and heating costs In addition to the reduction, installation space can be reduc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by not forming a separate space inside the interior wall. A humidifier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eplace to use heating and heating by using the heat of combustion emitted and emitted from the st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posed fireplace that can simultaneously perform humidification and keep the room at a comfortable humidity while heating the room.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의 연소로 인해 연소열을 발생시키는 소정크기의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전면부에 개, 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투명재질의 도어와, 그 상부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 연료가 적층됨과 동시에 연소된 재를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그릴과, 상기 그릴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는 재를 수납하기 위한 재받이부로 구성되는 벽난로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의 후방에 일정공간을 확보한 케이싱을 마련하고, 이 케이싱 양 측면 소정위치에 다수개의 열 발산공이 형성되고, 이 케이싱의 상측에 가습장치가 구비되며, 이 케이싱의 후면부가 실내의 벽면에 맞닿아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ustion chamber of a predetermined size that generates combustion heat due to the combustion of solid fuel such as firewood or firewood, and is hinged to the front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be opened and closed. It is composed of a transparent door, a grill for discharging the burned ash to the bottom while stacking solid fuel such as firewood or firewood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a ash tray for accommodating the ash discharged to the bottom through the grill. In the fireplace, a casing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mbustion chamber,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hol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both sides of the casing, and a humidifier is provided on the casing, and a rear portion of the casing is provi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be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room.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습장치가 벽난로의 케이싱 상부면 내부 적소에 형성되는 소정크기의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물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을 갖는 가습통과; 판체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심측에 소정형상의 주입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주입공의 주변 적소에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수개의 가습공이 관통형성되는 덮개; 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humidifying device is a predetermined size of the recess groove is formed in place in the casing upper surface of the fireplace; A humidification passag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groove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 receiving water therein; A cover which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as a predetermined injection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humidification holes are formed at regular positions or irregularly in a peripheral position of the injection hole; It includes.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노출형 벽난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노출형 벽난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노출형 벽난로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osed firep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posed firep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an exposed firep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Perspective view.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노출형 벽난로(1)는 일반적인 벽난로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연료가 연소되어 소정온도의 연소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연소실(5)이 소정크기로 형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exposure type firepla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mbustion chamber 5 for generating combustion hea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burning fuel such as firewood or firewood in the interior as in a general fireplace. Is formed.

그리고, 상기 연소실(5)의 전면부에는 개, 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도어(20)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20)는 연소실(5) 내에서 연소되는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 연료가 연소되는 모습이 외부로 노출 및 보여짐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갖을 수 있도록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강화 유리 등의 투명 유리로 구비된다.In addition, a front door 20 of the combustion chamber 5 is provided with a door 20 which is hinged to be opened and closed. The door 20 is a solid fuel such as firewood or firewood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5. The remaining part is provided with transparent glass such as tempered glass so as to have a visual effect by being exposed and shown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도어(20)의 전면 일측 적소에는 도어(20)의 개, 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도어 손잡이(21)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door handle 21 for facilitat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2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door 20.

한편, 상기 연소실(5) 내부의 하부에는 그 적소에 다수개의 슬롯이 관통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금속재질의 그릴(30)이 구비되며, 상기 그릴(30)에 의하여 그릴(30)의 상부에서 연소되는 연료가 재로 바뀐 상태에서 그릴(30)에 관통형성되는 슬롯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5) is provided with a grill grill 30 made of a metal material so that a plurality of slots are formed in the appropriate place, the fuel burn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grill 30 by the grill 30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slot formed in the grill 30 in the state changed to ash.

즉, 그릴(30)의 상부면에서 연소되는 장작이나 땔감 등의 연료가 연소되어 재로 바뀐 다음 상기 그릴(30)의 적소에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슬롯을 통하여 그릴(30)의 하부면에서 연소실(5)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That is, a fuel such as firewood or firewood bur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30 is burned and changed to ash, and then a combustion chamber (at the lower surface of the grill 30 through a plurality of slots formed therethrough in place of the grill 30) 5) will fall to the bottom.

이렇게 그릴(30)의 슬롯을 통하여 하부로 낙하하는 연소된 재를 보다 용이하게 수납하여 폐기하기 위해 상기 연소실(5)의 하부에는 재를 수납하기 위한 재받이부(40)가 구비된다.In order to more easily store and discard the combusted ash falling down through the slot of the grill 30 in this way, the low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5 is provided with a ash receiving part 40 for accommodating the ash.

상기 재받이부(40)는 일반적인 서랍의 구조와 유사하게 이루어지며, 그 전면부에는 재받이부(40)에 수납 및 수거된 재를 폐기할 때에 상기 재받이부(40)를 벽난로(1)에서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재받이부 손잡이(41)가 구비된다.The ash tray 40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a general drawer,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ash tray 40 is dispos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ash tray 40 when the ashes stored and collected in the ash tray 40 are disposed of. In order to easily remove from the back handle 41 is provided.

한편, 상기 벽난로(1)의 후면부에는 연소실(5)에서 장작 및 땔감의 연소로 인해 발산 및 방출되는 연소열을 원할하게 외부로 전달하고 연소실(5)의 외면이 직접적으로 외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케이싱(10)이 마련되고, 이 케이싱 양 측면 적소에 소정형상의 열 발산공(11)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portion of the fireplace (1) is a casing to smoothly transfer the heat of combustion and emission due to the combustion of firewood and firewood in the combustion chamber (5) to the outsid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5)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outside (10) is provided, and the heat dissipation hole 11 of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in the both sides of this ca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벽난로(1) 케이싱(10) 양 측면 소정위치에 다수개의 열 발산공(11)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부면 및 전면에 열 발산공(11)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holes 11 are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both sides of the fireplace 1, casing 10, but heat dissipation holes 11 may be formed on the top and front surfaces thereof. .

여기서, 상기 연소실(5)에서 연소 시 발생되는 연기, 가스, 그을음 등을 배출시키기 위한 연소통(50)이 상기 벽난로(1)의 상부면에 관통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소통(50) 내에는 연소실(5)에서 발생되는 연기, 가스, 그을음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팬 또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mbustion cylinder 50 for discharging the smoke, gas, soot, etc. generated during combus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5 is preferably install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eplace 1, the combustion cylinder 50 The insid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an or on-off valve for sucking the smoke, gas, soot and the like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5 to discharge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이 벽난로(1)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연소통(50)의 단부가 건물의 굴뚝 등과 연결되어 연기, 가스, 그을음 등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an end portion of the combustion cylinder 5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eplace 1 is connected to the chimney of the building and the like to discharge smoke, gas, and soot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벽난로(1)의 상부에는 가습장치(60)가 구비되며, 상기 가습장치(60)는 벽난로(1)의 상부면 내부 적소에 형성되는 소정크기의 안착홈(61)과 상기 안착홈(6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물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을 갖는 가습통(63)과 판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습통(63)의 상부에 구비되고, 중심측에 소정형상의 주입공(67)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주입공(67)의 주변 적소에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수개의 가습공(69)을 갖는 덮개(65)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art of the fireplace (1) is provided with a humidifier (60), the humidifier (60) is a seating groove 61 and the seating groove of a predetermined siz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eplace (1). 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61),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and a humidification cylinder 63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water therein,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umidification cylinder 63, The injection hole 67 of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through, and is composed of a cover 65 having a plurality of humidification holes 69 at regular or irregular positions in the peripheral position of the injection hole 67.

여기서, 상기 가습통(63)은 그 중심부에 후술하는 연소통이 설치되기 위하여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umidification cylinder 63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in order to install a combustion cylinder described later in the center thereof.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통(63)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홈(61)상에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ication tube 63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on the seating groove 61 consists of a plurality.

그리고, 상기 주입공(67)은 가습통(63)에 가습을 위하여 물을 공급할 경우 주입공(67)을 통하여 물을 주입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주입공(67)을 통하여 주입된 물은 가습통(63)에 수납되어 있다가 벽난로(1)의 연소열에 의해 수증기로 변환된 후 다수개의 가습공(6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And, the injection hole 67 is made to inject water through the injection hole 67 when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ication tank 63 for the humidification, the water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67 is a humidification barrel It is stored in the (63) is converted to water vapor by the combustion heat of the fireplace (1) is mad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plurality of humidifying holes (69).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65)에 형성되는 주입공(67) 및 가습공(69)이 구별되게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가습공(69)을 통하여 가습통(63)에 물을 주입한 후 주입공(67)을 통하여 수증기가 발산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덮개(65)에 형성되는 주입공(67) 및 가습공(69)이 각각의 역할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각각의 역할을 바꿔서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hole 67 and the humidification hole 69 formed in the cover 65 are provided to be distinguished, but the water is injected into the humidification container 63 through the humidification hole 69. After that, the water vapor may be diverg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67. That is, the injection hole 67 and the humidification hole 69 formed in the cover 65 can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respective roles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regardless of each role.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공(69)이 슬롯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수증기의 배출이 용이하다면 상기 가습공(69)이 소정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ication hole 69 is formed in a slot shape, but if the discharge of water vapor is easy, the humidification hole 69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or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shapes. Do.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벽난로(1)의 상부 내부에 안착홈(6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61)에 가습을 위한 물이 수납되기 위한 가습통(63)이 구비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안착홈(61)에 가습통(63)이 구비되지 않고 안착홈(61)에 직접적으로 가습을 위한 물을 공급하여 벽난로(1)의 연소열에 의해 가습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ating groove 61 is formed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fireplace 1, and the humidifying tub 63 is provided to receive water for humidification in the seating groove 61. Although it is made, the humidifying barrel 63 is not provided in the seating groove 61, it is also possible to be humidified by the combustion heat of the fireplace (1) by supplying water for humidification directly to the seating groove (61).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노출형 벽난로(1)의 사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the exposed firepla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어 손잡이(21)를 이용하여 벽난로(1)의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실(5)의 전면에 힌지결합된 도어(20)를 개방시킨 다음, 상기 연소실(5)의 하부에 구비되는 그릴(30)의 상부면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 연료를 투입한 후 불을 붙인다.First, the door 20, which is hinged to the front of the combustion chamber 5 formed inside the fireplace 1, is opened using the door handle 21, and then a grill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5 30) Put solid fuel such as firewood or firewood on the upper surface and light it.

이렇게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 연료에 불을 붙인 다음 연소실(5)의 전면에 구비되는 도어(20)를 닫아 연소실(5)을 밀폐시킨다.In this way, the solid fuel such as firewood or firewood is ignited and the door 20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ombustion chamber 5 is closed to seal the combustion chamber 5.

상기와 같이 연소실(5)에서 연소되는 장작 및 땔감의 연기, 가스, 그을음 등은 연소실(5)의 상부측에 관통형성되는 연소통(5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연소실(5)에서 연소되는 장작이나 땔감 등의 연료를 태움으로써 발산 및 방출되는 연소열은 실내 벽면에 케이싱(10)의 후면부가 근접되게 설치되는 벽난로(1)의 전면부를 통하여 실내로 발산 및 유입될 뿐만 아니라, 케이싱(10) 양 측면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열 발산공(11) 및 주입공(67) 또는 가습공(69)을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실내로 발산 및 유입되며, 이로 인해 실내를 난방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moke, gas, and soot of the firewood and the firewood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5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bustion cylinder 50 formed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5 and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5. Combustion heat emitted and discharged by burning fuel such as firewood or firewood is not only radiated and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front part of the fireplace 1 installed near the rear part of the casing 10 on the interior wall, and the casing 10. ) Emitted and introduced into the room more easily through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holes 11 and injection holes 67 or humidification holes 69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both sides thereof, thereby heating the roo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출형 벽난로(1) 케이싱(10)의 후면부가 직접적으로 실내 벽면에 맞닿아 설치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노출형 벽난로(1)의 후면부를 감싸는 형상의 하우징(70)이 더 구비되고, 하우징(70)이 실내 벽면에 맞닿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part of the exposed fireplace (1) casing (10) is made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interior wall surface, the housing 70 of the shape surrounding the rear part of the exposed fireplace (1) is Furth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housing 70 is installed to abut the interior wall.

이때에는, 노출형 벽난로(1)에서 발산 및 방출되는 연소열을 실내로 발산시키기 위하여 하우징(70)의 양 측면 및 상부면에 열을 발산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also preferable to form a separate hole for dissipating heat on both side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70 in order to dissipate the heat of combustion emitted and emitted from the exposed fireplace (1) to the room.

한편, 노출형 벽난로(1) 케이싱(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습장치(60)의 덮개(65) 중심측에 관통형성되는 주입공(67)에 물을 주입하여 안착홈(61)에 결합되는 가습통(63)의 내부 공간에 물을 수납한다.Meanwhile, water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hole 67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cover 65 of the humidifier 60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casing 10 of the exposed fireplace 1 and coupled to the seating groove 61. Water is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humidification container 63.

그리고, 연소실(5)에서 발산 및 방출되는 연소열에 의하여 가습장치(60)의 가습통(63)에 수납되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킨다.Th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humidification tank 63 of the humidifier 60 is heated by the heat of combustion emitted and releas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5 to generate steam.

이렇게 발생되는 수증기는 상기 덮개(65)에 관통형성되는 각 가습공(69)을 통하여 상부로 배출된다.The water vapor generated in this way is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respective humidifying holes 69 formed through the cover 65.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노출형 벽난로(1)는 그 상부를 통하여 발생 및 배출되는 수증기를 통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의 기능이 수행될 뿐만 아니라, 난로(1) 케이싱(1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열 발산공(11)을 통하여 실내를 따뜻하게 하는 난방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By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exposed fireplace (1) is not only performs the function of humidification to control the humidity of the room through the steam generat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portion, the amount of the casing (10) of the stove (1).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hole (11) formed on the side is to play the role of heating to warm the room.

즉, 벽난로(1)의 상부에 가습장치(60)가 추가로 부가됨으로써 실내를 따뜻하게 하는 난방의 기능과 실내를 쾌적한 습도로 유지시켜주는 가습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벽난로(1)의 사용 시 별도의 가습기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연소실(5)내에서 연소되는 연료의 연소열 또는 잔열을 이용하여 난방과 가습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가습을 위한 위한 별도의 비용 및 연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 등 벽난로(1)의 이용범위를 확대함으로써 벽난로(1)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That is, by additionally adding a humidifier 60 to the top of the fireplace (1) can perform the function of heating to warm the room and the function of humidification to keep the room at a comfortable humidity at the same time use of the fireplace (1)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humidifier at the time, and heating and humidification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by using the heat of combustion or residual heat of fuel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5, so that no additional cost and fuel for humidification are required. By expanding the use range of the back fireplace (1) to provide a user convenience to use the fireplace (1).

한편, 상기 벽난로(1)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홈(61)의 하부에 내화재를 설치하여 벽난로(1)의 연소열이 가습통(63)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물이 서서히 증발되게 하거나, 부주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by installing a refractory material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groove 61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eplace (1) so that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fireplace (1)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humidification tank (63), water is gradually evaporated, or carelessly It is also desirable to be mad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자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가 가능하며, 이와 같은 변경 또한 본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Possible, such change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실내의 벽면에 후면부가 맞닿아 설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각 측면과 상부면에서 발산 및 방출되는 연소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실내로 유입되어 운전비 및 난방비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벽면 내부에 별도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설치에 따른 설치비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벽난로의 상부에 가습장치가 구비되어 난로에서 발산 및 방출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난방과 가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실내를 난방함과 동시에 실내를 쾌적한 습도로 유지할 수 있는 등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made so that the rear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room, the combustion heat radiated and emitted from each side and the upper surface is introduced into the room more effectively to reduce the operating cost and heating cost, Since no separate space is formed inside the interior wall, installation costs can be reduc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A humidifier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fireplace, and heating and humidification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by using combustion heat emitted and emitted from the stov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such as heating the room and maintaining the room at a comfortable humidity at the same tim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노출형 벽난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osed firep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노출형 벽난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posed firep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노출형 벽난로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posed firep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노출형 벽난로, 5 : 연소실,1: exposed fireplace, 5: combustion chamber,

10 : 케이싱, 11 : 열 발산공,10: casing, 11: heat dissipation hole,

20 : 도어, 21 : 도어 손잡이,20: door, 21: door handle,

30 : 그릴, 40 : 재받이부,30: grill, 40: ash tray,

41 : 재받이부 손잡이, 50 : 연소통,41: handle of the back portion, 50: combustion cylinder,

60 : 가습장치, 61 : 안착홈,60: humidification device, 61: seating groove,

63 : 가습통, 65 : 덮개,63: humidifier, 65: cover,

67 : 주입공, 69 : 가습공.67: injection hole, 69: humidifier.

Claims (3)

내부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의 연소로 인해 연소열을 발생시키는 소정크기의 연소실(5)과, 상기 연소실(5)의 전면부에 개, 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투명재질의 도어(20)와, 그 상부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 연료가 적층됨과 동시에 연소된 재를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그릴(30)과, 상기 그릴(30)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는 재를 수납하기 위한 재받이부(40)로 구성되는 벽난로에 있어서,A combustion chamber 5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at generates combustion heat due to combustion of solid fuel such as firewood or firewood, and a transparent door 20 which is hinged to a front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5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A solid fuel such as firewood or firewood is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a grill 30 for discharging the burned ash to the lower portion and a ash tray for accommodating the ash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through the grill 30 are provided. In the fireplace consisting of 40, 양 측면 소정위치에 다수개의 열 발산공(11)이 형성되고, 상부에 가습장치(60)가 구비되며, 후면부가 실내의 벽면에 맞닿는 케이싱(10)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벽난로.Exposed firepla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holes 11 are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both sides, a humidifier 6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a casing 10 having a rear portion abutting against the wall of the room.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습장치(60)가 벽난로(1)의 상부면 내부 적소에 형성되는 소정크기의 안착홈(61)과; A humidifying device (6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f a recess (61) formed in a proper position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eplace (1); 상기 안착홈(6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물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을 갖는 가습통(63)과; A humidifier (63)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recess (61)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water therein; 판체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심측에 소정형상의 주입공(67)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주입공(67)의 주변 적소에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수개의 가습공(69)이 관통형성되는 덮개(65);The cover 65 is formed in a plate shape, but the injection hole 67 of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side, and a plurality of humidification holes 69 are formed through or irregularly in a peripheral position of the injection hole 67.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벽난로.Exposed firepl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케이싱(10)을 감싸는 하우징(70)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벽난로.Exposed firepla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housing (70) surrounding the casing (10).
KR20-2005-0006607U 2005-03-11 2005-03-11 Fireplace of exposing type KR20038494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607U KR200384941Y1 (en) 2005-03-11 2005-03-11 Fireplace of exposing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607U KR200384941Y1 (en) 2005-03-11 2005-03-11 Fireplace of exposing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941Y1 true KR200384941Y1 (en) 2005-05-24

Family

ID=43686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607U KR200384941Y1 (en) 2005-03-11 2005-03-11 Fireplace of exposing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941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887Y1 (en) 2010-01-14 2012-04-20 최인상 Heat block plate for fireplace
KR200463204Y1 (en) * 2011-12-29 2012-10-22 유수봉 Traditional earthenware furnace having humidification function
KR101381913B1 (en) 2013-10-28 2014-04-17 유영호 Firepla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887Y1 (en) 2010-01-14 2012-04-20 최인상 Heat block plate for fireplace
KR200463204Y1 (en) * 2011-12-29 2012-10-22 유수봉 Traditional earthenware furnace having humidification function
KR101381913B1 (en) 2013-10-28 2014-04-17 유영호 Firepl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727B1 (en) Lumber stove
KR100679316B1 (en) A firewood boiler
CN201819268U (en) Stove device
KR101688583B1 (en) Stove
KR200384941Y1 (en) Fireplace of exposing type
KR200422299Y1 (en) a fireplace
US7234932B2 (en) Outdoor gas fireplace
KR910002622Y1 (en) Heating apparatus
KR102437889B1 (en) Air circulation typ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firewood stove
KR200349810Y1 (en) Fireplace
KR200294584Y1 (en) Air-curtain apparatus for fireplace
KR20150002292U (en) Pellet and firewood combination stove
JP2004061102A (en) Refuse incinerator
JP2018021738A (en) Heater
JP3219419U (en) Smokeless stove for cooking
KR20150140881A (en) The firewood boiler equip indoors
KR200249584Y1 (en) multi-burning type fireplace
KR100674165B1 (en) A stove having flat surface heating function
KR100582735B1 (en) the indoorair forced circulation hearth of outdoorair combustion type, which a spark-plug is attached to
KR101723483B1 (en) The stove to have a function of air curtain
KR200349809Y1 (en) Heater with humidifier
KR20140135353A (en) Firewood fireplace
KR100759037B1 (en) A fireplace
KR20060134634A (en) Fireplace
RU2087806C1 (en) Bath house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