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914Y1 - 회수철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회수철 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4914Y1 KR200384914Y1 KR20-2005-0005166U KR20050005166U KR200384914Y1 KR 200384914 Y1 KR200384914 Y1 KR 200384914Y1 KR 20050005166 U KR20050005166 U KR 20050005166U KR 200384914 Y1 KR200384914 Y1 KR 20038491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cket
- pulley
- box
- motors
- ir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with lifting beams, e.g. slewable beams, carrying load-engaging elements, e.g. magnets, hoo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2—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andling workpieces, e.g. ingots, which require to be supported temporarily within, or withdrawn from, a treatment chamber, e.g. tong cranes, soaking-pit cranes, stripper cranes
- B66C17/14—Tong cranes with means for moving article-pushers relative to the to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4—Devices for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olley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물공장에서 발생되는 회수철(return cast iron)과 같은 것을 특정 장소로 운반하여 배출시키는 이송장치에 관련되는 것이며, 이동의 안정성을 추구하고 무인화 및 재질별로 선별함으로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를 위해, 레일과 직접 연결되며 동력을 제공하는 2개의 모터가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모터 중 어느 하나의 모터와 와이어에 의해 구속되는 도르레와; 상기 도르레가 설치되는 브라켓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좌우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오목한 홈을 가진 걸림턱이 내측으로 돌출되어져 있고, 측면에는 다수의 롤러가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연결되며 개폐되는 도어를 갖춘 버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회수철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주물공장과 같은 곳에서 주물제작 후 발생되는 회수철(return cast iron)을 재활용하기 위해 재질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련되는 것이며, 이동중에 버켓이 흔들리지 않는 구조이며 특정지점으로 이동후 버켓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에도 도어의 개폐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작업효율이 뛰어난 회수철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건이나 입자상의 분쇄물을 이동시킬 때 천정에 설치되는 크레인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천정에 매달린 크레인을 고속 운전하게 되면 매달린 물체가 흔들려 안전에 큰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특정의 용기에 분쇄물을 담아 크레인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흔들림 때문에 고속운전이 불가능하고 용기를 클램핑하는 것과 용기의 도어를 개폐하는 것은 분리되어 있어 복잡한 구조로 되는 것이 불가피하였다.
한편, 크레인을 사용치않는 경우에는 컨베이어를 지하로 설치하여 다종의 회수철을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운반시켜 전기로에 장입하도록 하며, 또는 일정용기에 담아 지게차로 운반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종류의 회수철이 혼합되므로 원하는 재질의 용탕을 얻기가 어렵게 되고 별도의 정련과정을 거쳐야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동시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버켓의 개폐가 도어 및 회수철의 자중에 의해 열릴 수 있도록 하는 폐주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회수철을 각 재질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며 협소한 공장 내부의 데드스페이스(dead space)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천정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버켓을 운반하는 이송장치에 있어서, 레일과 직접 연결되며 동력을 제공하는 2개의 모터가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모터 중 어느 하나의 모터와 와이어에 의해 구속되는 도르레와; 상기 도르레가 설치되는 브라켓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좌우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오목한 홈을 가진 걸림턱이 내측으로 돌출되어져 있고, 측면에는 다수의 롤러가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연결되며 개폐되는 도어를 갖춘 버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철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구동부의 하부에 수직 아래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가이드봉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봉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부재에는 개구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철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버켓은 회수철이 수용되는 박스와; 상기 박스의 상단부에 전후방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박스의 좌우측에 미끄럼봉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미끄럼부재와; 상기 미끄럼부재의 외측면 중심부에 걸림턱에 맞닿게 돌출되는 걸림봉과; 상기 걸림봉의 좌우측으로 베어링에 의해 상기 미끄럼부재와 연결되는 로드와; 박스의 하부에서 힌지결합되며 일단부는 상기 로드와 베어링에 의해 연결되는 도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철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고안에 따른 회수철 이송장치는 기본적으로 천정에 레일이 설치되며 버켓에 회수철을 공급하는 수단과 버켓에 담긴 회수철을 배출시킬 배출스테이션이 마련되어져야 한다.
이하 상기 회수철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되는 도1은 회수철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나타내며 도2는 측면도에 해당된다.
본 고안에 따른 회수철 이송장치는 크게 구동부(100), 도르레(200), 수평부재(300), 수직부재(400) 그리고 버켓(500)으로 구성되며, 상기 버켓은 수직부재와 착탈된다.
즉, 상기 버켓(500)은 회전되는 턴테이블(미도시) 위에 좌우로 2개가 놓여지며 어느 일측은 비어있고 다른 일측의 버켓에는 컨베이어를 거쳐 낙하되는 회수철이 채워진다. 회수철이 채워진 버켓(500)은 상기 수직부재(400)에 구비되는 걸림턱(410)에 맞닿아 도르레(200)가 상승하면 함께 상승되고 이동하여 배출스테이션에서 회수철을 배출시키고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와 빈 버켓을 턴테이블 위에 올려놓게 된다. 회수철을 배출시키는 사이에 또 하나의 버켓에는 회수철이 다시 채워지며 상기 턴테이블은 회전되어 빈 버켓과 채워진 버켓이 교체되고 다시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구동부(100)는 두개의 모터가 설치되어져 있고 상부의 제1모터(110)는 레일(10)을 따라 본 장치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 하부에 있는 제2모터(120)는 도르레(200)와 와이어(w)로 연결되어 상기 도르레를 승하강되게 한다.
상기 도르레(200)는 구동부(100)의 하부에 위치되며 와이어(w)의 일단부는 제2모터(120)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하우징(13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모터의 회전에 따라 도르레는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도르레(200)는 브라켓(210)에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210)은 수평부재(300)의 상면에 결합되어져 있다.
상기 수평부재(300)는 판상의 부재이며 그 좌우측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직부재(400)가 연결된다. 상기 수직부재(400)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걸림턱(410)이 돌출되어져 있고 상기 걸림턱(410)의 상면은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400)의 바깥 측면으로는 다수개의 롤러(420)가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져 있다.
상기 롤러(420)는 도르레(200)가 하강될 때 똑바로 수직하게 하강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안내봉(401)과 맞닿으면서 구름운동되는 것이며 상기 안내봉은 특정지점에 설치되어져 있다. 여기서 특정지점이라 함은 턴테이블이 설치된 곳과 배출스테이션이 있는 곳으로 도르레의 승하강이 필요한 곳을 말한다.
다음으로 버켓(5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버켓은 박스(510), 스토퍼(520), 미끄럼부재(530), 걸림봉(540), 로드(550) 및 도어(560)를 주요한 구성요소로 하며 상기 수직부재(4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410)이 버켓의 걸림봉(540)과 맞닿아 승하강되도록 한다.
박스(510)의 내부는 빈 공간이며 하부에 도어(560)가 형성되고 상단부 전후방에 스토퍼(520)가 돌출설치된다. 상기 스토퍼는 배출스테이션에서 회수철을 배출할 시에 지지플레이트(525)에 접촉되어 버켓이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박스(510)의 좌우측면에는 사각형상의 미끄럼부재(530)가 설치되는데 상기 미끄럼부재(530)는 미끄럼봉(535)과 구속되어 미끄럼봉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미끄럼부재(530)의 외측 중심부에는 걸림턱(410)에 맞닿게되는 걸림봉(540)이 돌출되어져 있고, 상기 걸림봉(540)의 좌우측으로 로드(550)가 베어링에 의해 미끄럼부재(530)와 연결된다.
박스(510)의 하부에는 두개의 도어(560)가 설치되며 일측은 박스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로드와 베어링으로 연결되어져 있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구동부(100)의 하부에 두개의 가이드봉(150)을 설치토록 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봉(15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부재(300)에 개구홀을 갖추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봉이 있음으로서 수평부재가 승하강될 때 가이드봉과 결합된 상태로 이동되므로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이것은 레일을 따라 본 장치가 고속으로 이동될 시에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회수철 이송장치의 작동원리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버켓의 걸림봉이 수직부재의 걸림턱에 맞닿아 최대 위치까지 상승하며 이후 레일을 따라 배출스테이션쪽 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동시에는 가이드봉이 수평부재의 개구홀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므로 흔들림이 방지되고 배출스테이션까지 이동되면 도3과 같은 과정으로 회수철을 배출시키게 된다.
즉, 배출스테이션까지 이동되어 정지된 후 도르레는 하강되므로 버켓을 포함한 수평부재, 수직부재도 하강된다. 버켓에 마련된 스토퍼가 지지플레이트에 맞닿게 되면 버켓은 더 이상 하강되지 않으나, 도르레는 계속 하강됨으로 수직부재도 하강된다. 따라서 수직부재의 걸림턱에 걸린 걸림봉과 연결된 미끄럼부재도 하강되며 이에 따라 로드 및 상기 로드에 연결된 도어가 열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스테이션은 여러개를 구비하며 따라서 재질별로 지정된 배출스테이션에서 버켓이 개폐되어 재질별 선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장치는 이동시 흔들림이 방지되고 따라서 고속운전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좋은 효과가 있고, 버켓의 개폐에 별도의 동력을 요하는 구조가 아니므로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효율적인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타 장치와 라인으로 연결되어 무인화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재질별로 회수철을 분리배출 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공간의 내부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며 지게차등을 사용치 않음으로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게되는 효과도 가진다.
도 1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철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 - 회수철 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3 - 버켓의 개폐원리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구동부 200 : 도르레
300 : 수평부재 400 : 수직부재
500 : 버켓
Claims (3)
- 천정에 설치되는 레일(10)을 따라 이동되면서 버켓을 운반하는 이송장치에 있어서,레일(10)과 직접 연결되며 동력을 제공하는 2개의 모터가 구비되는 구동부(100)와;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모터 중 어느 하나의 모터와 와이어에 의해 구속되는 도르레(200)와;상기 도르레가 설치되는 브라켓(210)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수평부재(300)와;상기 수평부재의 좌우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오목한 홈을 가진 걸림턱(410)이 내측으로 돌출되어져 있고, 측면에는 다수의 롤러(420)가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수직부재(400)와;상기 수직부재에 형성되는 걸림턱(410)에 연결되며 개폐되는 도어를 갖춘 버켓(5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철 이송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철 이송장치는,구동부(100)의 하부에 수직 아래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가이드봉(150)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봉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부재에는 개구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철 이송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500)은,회수철이 수용되는 박스(510)와;상기 박스의 상단부에 전후방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스토퍼(520)와;상기 박스의 좌우측에 미끄럼봉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미끄럼부재(530)와;상기 미끄럼부재의 외측면 중심부에 걸림턱에 맞닿게 돌출되는 걸림봉(540)과;상기 걸림봉의 좌우측으로 베어링에 의해 상기 미끄럼부재와 연결되는 로드(550)와;박스의 하부에서 힌지결합되며 일단부는 상기 로드와 베어링에 의해 연결되는 도어(5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철 이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5166U KR200384914Y1 (ko) | 2005-02-25 | 2005-02-25 | 회수철 이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5166U KR200384914Y1 (ko) | 2005-02-25 | 2005-02-25 | 회수철 이송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4914Y1 true KR200384914Y1 (ko) | 2005-05-23 |
Family
ID=4368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5166U KR200384914Y1 (ko) | 2005-02-25 | 2005-02-25 | 회수철 이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4914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3705B1 (ko) * | 2020-04-06 | 2020-09-08 | (주)두영이엔지 | 회수철 처리장치 |
-
2005
- 2005-02-25 KR KR20-2005-0005166U patent/KR20038491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3705B1 (ko) * | 2020-04-06 | 2020-09-08 | (주)두영이엔지 | 회수철 처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381091A (zh) | 一种新型提升机 | |
JP5468270B2 (ja) | 柱上変圧器の空ケース吊り装置 | |
CN103736579A (zh) | 一种提升式送料装置 | |
US4685673A (en) | Device for carrying the grab in slot machine cabinets | |
KR20240003852A (ko) | 작업자 보호를 위한 사용후 배터리 해체 작업 테이블 | |
CN105236055B (zh) | 一种立式垃圾压缩中转站的立箱装置 | |
KR200384914Y1 (ko) | 회수철 이송장치 | |
CN109733896B (zh) | 一种双导轨桶具翻转倾倒装置 | |
KR200423135Y1 (ko) | 승강반전장치 | |
CN102472584B (zh) | 用于定位原料篮的装置 | |
JP2009091138A (ja) | ペットボトルコンベア | |
CN209740233U (zh) | 一种链式升降倒料机 | |
JPS6116915B2 (ko) | ||
CN108499901A (zh) | 塑料箱分类设备及塑料箱分类方法 | |
KR100966813B1 (ko) | 에스피비 투입장치 | |
CN208495789U (zh) | 一种铁水运输小车 | |
CN207274741U (zh) | 粉末涂料提升装置 | |
JP2003012260A (ja) | スキップ装置 | |
CN217125910U (zh) | 一种提升机 | |
CN212831608U (zh) | 一种矿石开采用的运输装置 | |
JPS5933069A (ja) | 溶湯運搬装置 | |
CN211282943U (zh) | 机械加工上料输送装置 | |
KR100674081B1 (ko) | 회수철 처리시스템 | |
CN212832290U (zh) | 一种吊笼的防护装置 | |
CN212893705U (zh) | 一种便于下料的提升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