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715Y1 - 에어 볼 리프터 - Google Patents

에어 볼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715Y1
KR200384715Y1 KR20-2005-0004878U KR20050004878U KR200384715Y1 KR 200384715 Y1 KR200384715 Y1 KR 200384715Y1 KR 20050004878 U KR20050004878 U KR 20050004878U KR 200384715 Y1 KR200384715 Y1 KR 200384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iston
cylinder
assembled
ball l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주
Original Assignee
정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주 filed Critical 정석주
Priority to KR20-2005-0004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7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7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25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having spherical roll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 볼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윗면이 개구되어 실린더를 이루는 하우징과, 일단에 구면상의 안착홈을 가지고 하우징내에 조립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의 안착홈에 배열되는 다수의 베어링볼 및 베어링볼들 위에 얹혀지는 롤링볼과, 롤링볼의 상단이 상측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피스톤의 상측으로 조립되는 커버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 일단으로부터 내측의 실린더로 공압통로를 구비하는 에어 볼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측이 일체로 폐쇄되어 있고, 하우징의 상측으로는 하우징의 실린더 내경보다 적은 내경을 가지는 스토퍼가 조립되어 이 스토퍼의 내경 하단이 피스톤의 상승 한계점으로 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고, 용이한 조립성과 기밀 유지가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 볼 리프터{air ball lifter}
본 고안은 중량물을 적재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이동시키는 것이 자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임의의 방향으로 간편하게 이송시키고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에어 볼 리프터(air ball lift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 볼 리프터의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실린더 내에서의 기밀 유지가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에어 볼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볼 리프터는 각종 제품의 생산라인이나 대형 물류시스템 등에서 중량물을 적은 힘으로 임의방향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킴과 동시에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금형의 경우 무거운 금속을 사용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각 부품들의 가공 전이나 후 또는 조립시 그 이동이 대단히 어려운 바, 상측으로 돌출된 구체 즉, 롤링볼이 구비된 장치를 설치하여 간단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에는 볼 트랜스퍼가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볼 트랜스퍼는 롤링볼이 항상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물품의 이동시에만 사용된다.
이러한 볼 트랜스퍼에 더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는 롤링볼이 선택적으로 돌출 또는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물품의 이동과 적재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에어 볼 리프터로서 종래 알려진 에어 볼 리프터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종래의 에어 볼 리프터는, 윗면이 개구되어 실린더(2)를 이루는 하우징(1)과, 일단에 구면상의 안착홈(4)을 가지고 하우징(1)내에 조립되는 피스톤(3)과, 이 피스톤(3)의 안착홈(4)에 배열되는 다수의 베어링볼(5) 및 베어링볼들 위에 얹혀지는 롤링볼(6)과, 롤링볼(6)의 상단이 상측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피스톤(3)의 상측으로 조립되는 커버(7)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우징(1)의 외측 일단으로부터 내측의 실린더로 공압통로(8)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상기 하우징(1)은 하측이 개구되어 이 하측을 통해 피스톤 유닛을 삽입 설치하게 되고, 개구된 하측으로 O-링(12)을 가지는 마개(9)를 조립하여 기밀을 유지하고 있으며, 하우징의 내경이 이루는 실린더 내벽은 다수의 단턱을 형성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상측의 단턱(10)은 피스톤(3)의 상승 한계점으로 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3'은 실린더(2)와 피스톤(3)의 밀착을 위한 O-링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한 단위의 에어 볼 리프터를 도 3에서와 같이 측방으로 다수 연결하여 하측의 기판(11)에 안착시켜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에어 볼 리프터는 실린더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하측이 개구된 형태로 제작하여 조립 후 폐쇄토록 하고 있어서, 그 구성이 복잡하고 조립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였으며, 실린더 내의 기밀 유지에 어려움이 있고, 부품 수의 증가로 인한 제작비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에어 볼 리프터의 하우징과 피스톤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도 실린더 내의 기밀 유지가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에어 볼 리프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에어 볼 리프터의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부품 수를 줄여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에어 볼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볼 리프터는, 윗면이 개구되어 실린더를 이루는 하우징과, 일단에 구면상의 안착홈을 가지고 하우징내에 조립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의 안착홈에 배열되는 다수의 베어링볼 및 베어링볼들 위에 얹혀지는 롤링볼과, 롤링볼의 상단이 상측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피스톤의 상측으로 조립되는 커버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 일단으로부터 내측의 실린더로 공압통로를 구비하는 에어 볼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측이 일체로 폐쇄되어 있고, 하우징의 상측으로는 하우징의 실린더 내경보다 적은 내경을 가지는 스토퍼가 조립되어 이 스토퍼의 내경 하단이 피스톤의 상승 한계점으로 되도록 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종래에 비해 조립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실린더 내의 견고한 기밀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에어 볼 리프터의 제작성 향상과 원가절감 등에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하우징의 실린더 하측으로 공압통로가 수평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그 중간에서 실린더와 연통하는 분출구가 형성되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볼 리프터의 일례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그 조립 단면도이며, 도 6은 다수의 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볼 리프터는, 내부에 실린더(22)를 구성하는 하우징(21)과, 롤링볼(26)을 탑재하여 하우징(21)내의 실린더(22)에 조립되는 피스톤(23)와, 피스톤(23)와 롤링볼(26) 사이에 개재되어 롤링볼(26)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는 다수의 베어링볼(25)과 롤링볼(2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피스톤(23)의 상측으로 조립되는 커버(27) 및 피스톤(23)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승 한계점을 형성하는 스토퍼(29)로 구성된다.
하우징(21)은 내부에 하단이 막힌 원통형의 실린더(22)가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의 양 측으로 외부로부터 연통하는 공압통로(30)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23)은 실린더(22)의 내벽에 밀착되는 형태로 되고, 외주연 일단에 기밀 유지를 위하여 O-링(31)이 조립되어 있고, 윗면은 구면상의 안착홈(24)으로 되고, 이 안착홈(24)에 다수의 베어링볼(25)들이 촘촘히 배열된 뒤 베어링볼(25) 위에 롤링볼(26)이 얹혀진다. 피스톤(23)의 저면에는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중간에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실린더(22)의 바닥면과 밀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피스톤(23)의 상측으로는 커버(27)가 조립되는데, 이 커버(27)는 피스톤(23)과 견고하게 조립되면서 롤링볼(2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 노출 슬롯(33)이 형성되어 이 노출 슬롯(33)을 통해 롤링볼(26)의 상단이 일부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스토퍼(29)는 그 외곽이 하우징(21)의 외곽과 동일한 크기로 되어 하우징(21)의 상측에서 나사(34)에 의해 밀착 조립되는데, 스토퍼(29)의 내경은 실린더(22)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어서 스토퍼(29)의 내경 하단이 실린더(22) 내벽의 단턱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는 곧 피스톤(23)의 상승 한계점으로 된다.
그리고, 공압의 공급이 해제된 상태에서 롤링볼(26)의 최 상단은 스토퍼(29)의 윗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이렇게 구성된 한 단위의 에어 볼 리프터가 도 6에서와 같이 공압통로(30)가 서로 연결되도록 측방으로 연속 연결하여 기판(40)에 의해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마지막 유닛의 공압통로는 일측에만 형성되고, 최초의 유닛에는 공압 연결용 나사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공압통로(30)를 통해 공압이 공급되면, 피스톤(23)은 스토퍼(29)의 하단에 접촉될 때까지 상승하게 되고, 롤링볼(26)은 그 상단부가 일부 스토퍼(29)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얹혀지는 물품이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한, 공압이 제거되면, 피스톤(23)은 하강하여 롤링볼(26)도 하강하므로 얹혀지는 물품은 스토퍼(29)의 윗면에 적재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하우징을 단순하게 제작할 수 있어서 기밀의 유지가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조립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면서도 안정적인 동작 상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하우징(51)의 측면으로 형성되는 공압통로(60)이 실린더(52)의 하측으로 위치토록 형성하고, 실린더(5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공압통로(60)에 연결되는 분출구(61)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상기 도 7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에어 볼 리프터를 다수 연결하여 설치한 것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와 같이, 측면으로 연속하여 연결되는 공압통로(60)가 각 실린더를 거치지 않고 직접 연결됨으로서 각 실린더에서 피스톤(53)의 동작이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 피스톤(53)의 하측으로부터 공압을 제공하여 피스톤의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하우징이나 피스톤 및 커버 등의 형상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하우징(21)의 하단이 일체로 폐쇄되도록 하고, 하우징의 상측으로 스토퍼(29)를 조립 구성함으로써 그 구성을 단순화하여 용이한 조립이 이루어지면서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 - 종래 에어 볼 리프터의 일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 - 상기 도 1의 결합 단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볼 리프터의 일실시예로서의 분리 사시도
도 4 - 상기 도 3의 결합 단면도
도 5 - 상기 도 4의 연속 결합 단면도
도 6 -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볼 리프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7 - 상기 도 6의 연속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하우징 22 ; 실린더
23 ; 피스톤 24 ; 안착홈
25 ; 베어링볼 26 ; 롤링볼
27 ; 커버 29 ; 스토퍼
30 ; 공압통로 31 ; O-링
40 ; 기판

Claims (3)

  1. 윗면이 개구되어 실린더를 이루는 하우징과, 일단에 구면상의 안착홈을 가지고 하우징내에 조립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의 안착홈에 배열되는 다수의 베어링볼 및 베어링볼들 위에 얹혀지는 롤링볼과, 롤링볼의 상단이 상측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피스톤의 상측으로 조립되는 커버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 일단으로부터 내측의 실린더로 공압통로를 구비하는 에어 볼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측이 일체로 폐쇄되어 있고, 하우징의 상측으로는 하우징의 실린더 내경보다 적은 내경을 가지는 스토퍼가 조립되어 이 스토퍼의 내경 하단이 피스톤의 상승 한계점으로 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볼 리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실린더 하측으로 공압통로가 수평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그 중간에서 실린더와 연통하는 분출구가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볼 리프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통로는 어느 일측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볼 리프터.
KR20-2005-0004878U 2005-02-23 2005-02-23 에어 볼 리프터 KR200384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878U KR200384715Y1 (ko) 2005-02-23 2005-02-23 에어 볼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878U KR200384715Y1 (ko) 2005-02-23 2005-02-23 에어 볼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715Y1 true KR200384715Y1 (ko) 2005-05-17

Family

ID=4368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878U KR200384715Y1 (ko) 2005-02-23 2005-02-23 에어 볼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71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58B1 (ko) 2008-07-25 2010-03-26 형제산업(주) 컨테이너 카용 에어롤 유니트
KR101397674B1 (ko) * 2012-07-30 2014-05-23 김석환 볼 트랜스퍼
KR101671125B1 (ko) * 2015-11-27 2016-10-3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터빈밸브 유압 액추에이터의 성능 시험장치
KR102303774B1 (ko) * 2021-03-18 2021-09-17 주식회사 별랑 회전이 가능한 물류이송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58B1 (ko) 2008-07-25 2010-03-26 형제산업(주) 컨테이너 카용 에어롤 유니트
KR101397674B1 (ko) * 2012-07-30 2014-05-23 김석환 볼 트랜스퍼
KR101671125B1 (ko) * 2015-11-27 2016-10-3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터빈밸브 유압 액추에이터의 성능 시험장치
KR102303774B1 (ko) * 2021-03-18 2021-09-17 주식회사 별랑 회전이 가능한 물류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4715Y1 (ko) 에어 볼 리프터
KR100393539B1 (ko) 게이트밸브
KR101057894B1 (ko) 차량의 엔진브레이크 장치
KR101234710B1 (ko) 게이트 밸브
KR101047658B1 (ko) 엔진브레이크 모듈
WO2009029805A3 (en) Fastener and assembly utilizing the same
JP2012067841A (ja) ゲートバルブ
CN106609758B (zh) 气体排出阀和具有气体排出阀的压缩机
JP2007278491A (ja) 直線運動スライダー用エンドプレート及びこのエンドプレートが採択された直線運動スライダー
KR20220145267A (ko) 공기압축기 실린더 내의 다공 피스톤 바디
US9447713B2 (en) Engine brake apparatus with rocker arm integrated actuator
US20090056659A1 (en) Direct-acting type valve lifter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KR20030068364A (ko) 볼플런저
US9573232B2 (en) Actuator and clamp device using same
US20060045768A1 (en) Oil-less air compressor
JPH07317761A (ja) 直線運動軸受の潤滑構造
KR20090058111A (ko) 앵글 진공 밸브
US6910409B2 (en) Oscillating actuator
CN107654485B (zh) 一种轴承式球铰
KR200390830Y1 (ko) 볼 트랜스퍼
US7001129B2 (en) Loadlock apparatus and structure for creating a seal between an elevator drive shaft and the loadlock chamber thereof
KR102384826B1 (ko) 다이어프램 밸브
WO2018143158A1 (ja) 切り替え弁
JP4711098B2 (ja) ゲートバルブ
KR20240074879A (ko) 전자 팽창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