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226Y1 - Paste machine and noodle manufaturing apparatus therewith - Google Patents

Paste machine and noodle manufaturing apparatus there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226Y1
KR200384226Y1 KR20-2005-0003892U KR20050003892U KR200384226Y1 KR 200384226 Y1 KR200384226 Y1 KR 200384226Y1 KR 20050003892 U KR20050003892 U KR 20050003892U KR 200384226 Y1 KR200384226 Y1 KR 200384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kneading
machine
container
noo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8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치원
Original Assignee
권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치원 filed Critical 권치원
Priority to KR20-2005-0003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22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226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6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horizontally-mounted mixing or kneading tools; Worm or screw mix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05Tools
    • A21C1/1415Shafts; Hea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분을 반죽하는 반죽기 및 이 반죽기를 이용하여 생면을 제조하는 생면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곡물을 반죽하는 반죽기(10)와; 상기 반죽기(10)로부터 반죽물(P)을 공급받으며, 이 반죽물(P)을 가압하여 판상으로 공급하는 사출기(20)와; 상기 사출기(20)에서 공급되는 판상의 반죽물(P)을 수직으로 분할하여, 국수를 성형하는 국수성형기(30) 및; 상기 국수성형기(30)에서 성형된 국수를 가압하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40);를 포함한다. 이때, 반죽기(10)는 곡분용 투입도어(12a) 및, 반죽을 배출하는 배출도어(12b)를 갖는 밀폐된 반죽통(12)과; 상기 반죽통(12)에 투입된 곡분의 반죽을 위하여, 준비된 배합수를 반죽통(12)에 공급하는 배합수공급유닛과; 상기 반죽통(1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돌출된 복수개의 교반날개(16a)를 가지며, 회전하면서 반죽통(12)의 곡분 및 배합수를 반죽하여 반죽물을 생성하는 교반축(16)과; 상기 교반축(16)을 축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반죽통(12)의 반죽물(P)을 즉석에서 강제로 숙성시키는 숙성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ading machine for kneading grain flour and a cotton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reparing raw noodles using the dough. The present invention, kneading machine 10 for kneading grains; An injection machine (20) which receives the dough (P) from the dough machine (10) and pressurizes the dough (P) to supply the plate (P); Noodle molding machine 30 for vertically dividing the plate-shaped dough (P) supplied from the injection machine 20, to form noodles; And a cutter 40 for pressing the noodle shaped by the noodle forming machine 30 and cutting the noodle. At this time, the dough machine 10 is a closed dough container having a powder input door 12a, and the discharge door 12b for discharging the dough; A blending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prepared blending water to the kneading container 12 for kneading of the flour added to the kneading container 12; It is rota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kneading container 12, and has a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16a) protrud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tirring to knead the flour and blending water of the kneading container 12 while rotating to produce a dough A shaft 16;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stirring shaft 16 to an axis center; And aging means for forcibly aging the dough (P) of the dough container 12 on the spot.

Description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PASTE MACHINE AND NOODLE MANUFATURING APPARATUS THEREWITH}Kneading machine and raw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the kneading machine {PASTE MACHINE AND NOODLE MANUFATURING APPARATUS THEREWITH}

본 고안은 곡분을 반죽하는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곡분을 자동으로 반죽할 뿐만 아니라, 이 반죽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생면을 제조하는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ading machine for kneading flour and a raw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the kneading machine, which not only automatically kneads the flour, but also automatically prepares raw noodles using the dough, and a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the kneading machin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반죽기는 교반스크류가 설치된 반죽통에 조미료가 가미된 곡분이 물과 함께 투입되면 작동한다. 이때, 교반스크류는 회전하면서 곡분을 물과 함께 반죽하여 페이스트상태의 반죽물을 생성한다. 이렇게, 반죽물이 생성되면, 운전자는 반죽통에서 반죽물을 꺼내고, 이 반죽물을 방망이 형태의 홍두깨로 전개한 후, 전개된 반죽물을 롤 형태로 만든 다음, 이 롤을 칼로 잘라서 국수 형태의 생면을 제조한다. 물론, 반죽기에서 생성된 반죽물로 국수 이외의 빵이나 과자를 제조할 경우에는, 반죽물을 이에 적합하게 가공한다.In general, the kneading machine is operated when the flour with seasoning is added to the kneading bowl in which the stirring screw is installed together with water. At this time, the stirring screw is rotated to knead the flour with water to form a paste in the past. In this way, when the dough is produced, the driver takes out the dough from the kneader, spreads the dough into bat-shaped red beans, makes the rolled dough into rolls, and then cuts the roll with a knife to form noodles. Prepare raw noodles. Of course, when bread or confectionery other than noodles is produced from the dough produced in the dough machine, the dough is processed accordingly.

한편, 생면을 자동으로 제조하는 일반적인 생면제조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반죽기에서 반죽물이 자동으로 생성되면, 이 반죽물을 압연롤러가 자동으로 가압하여 판상으로 성형한다. 이때, 압연롤러의 하부에 설치된 나사산 형태의 커팅날을 갖는 커팅샤프트는, 판상으로 배출되는 반죽을 여러 가닥으로 분할하면서 국수 형태의 생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운전자나 운전자 이외의 사람이, 이러한 국수 형태의 생면을 칼로 필요한 길이 만큼 절단한 후, 절단된 생면을 조리하거나 즉석 조리가 가능하도록 포장한다.On the other hand, a general raw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raw noodles, when the dough is automatically generated in the kneader as described above, the rolling roller is automatically pressed to form a plate shape. At this time, the cutting shaft having a screw-shaped cutting blad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olling roller, while dividing the dough discharged into the plate into a number of strands to provide a noodles in the form of noodles. Therefore, the driver or a person other than the driver cuts the noodles in the form of noodles with a knife, and then prepares the cut raw noodles or packs them for instant cooking.

그러나, 전술한 일반적인 반죽기는 곡분이 물에 의해서만 결합되고, 숙성 과정은 거치지 않으므로, 점성이 미흡한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general kneader has a problem in that the flour is only bound by water, and the aging process is not performed, and thus the viscosity is insufficient.

또한, 전술한 반죽기를 이용하는 전술한 생면제조장치는, 반죽기에 의하여 숙성되지 않고 전혀 익혀지지 않은 생반죽으로 생면으로 제조하므로, 조리자는 생면을 완전하게 익히기 위하여 보다 많은 조리시간을 소요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조리된 생면의 점성이 미흡하여 졸깃졸깃한 맛을 즐길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또한, 전술한 생면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생면은, 반죽이 건조 과정을 거치지 못하므로, 점성이 더욱 미흡한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raw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above-mentioned kneader, because it is made from raw dough that is not matured and not cooked at all, the cooker must not only take more cooking time to fully cook raw noodles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viscousness of the cooked raw noodles is insufficient, and it is not possible to enjoy the taste. In addition, the raw noodles produced by the above-mentioned raw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because the dough does not go through a dry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iscosity is more insufficient.

특히, 이러한 생면이 즉석 우동이나 자장면과 같은 즉석 생면제품에 적용될 경우, 면의 조리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졸깃졸깃한 맛도 즐길 수 없으므로, 소비자로부터 외면을 당하는 문제가 야기된다.In particular, when such raw noodles are applied to instant raw noodle products such as instant udon or jajangmyeon, not only does the cooking time of the noodles take much time, but also does not enjoy the sizzling taste, causing a problem of being faced away from the consumer.

이에 더하여, 전술한 생면제조장치는, 운전자나 운전자 이외의 사람이, 생면을 필요한 길이로 일일이 절단하여야 하므로, 생면제조장치에 반드시 생면을 절단하는 사람을 상주시켜야 하는 문제도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raw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has a problem that a person who cuts the raw noodles must always reside in the raw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because a driver or a person other than the driver must cut the raw noodles one by on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반죽을 습식으로 가열하거나 반죽을 밀폐된 상태에서 팽창 및 수축시켜서, 반죽을 즉석에서 강제로 숙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숙 상태의 반죽을 제공할 수 있는 반죽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또한, 반죽물의 반죽시 반죽물에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죽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heating the dough wet or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dough in a sealed state, it is possible to forcibly ripen the dough on the fly, as well as the sof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ough machine capable of providing dough.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dough machine that can prevent bubbles from forming in the dough during kneading of the dough.

그리고,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반죽기를 이용하여 생면을 제조할 뿐만 아니라, 제조된 생면을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생면이나 생면으로 제조되기 전의 반죽물을 적당한 상태로 건조시킬 수 있는 생면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manufactures raw noodles using the dough machine as described above, but also automatically cuts the prepared raw noodles, and prepares raw noodles that can dry the dough before being prepared into raw noodles or raw noodles in a suitable stat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device.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반죽기는, 조미료가 가미된 곡분을 투입하는 투입도어 및, 투입된 곡분이 반죽되면, 이를 배출하는 배출도어를 가지며, 사방이 밀폐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반죽통과; 상기 반죽통에 투입된 곡분의 반죽을 위하여, 준비된 배합수를 반죽통에 공급하는 배합수공급유닛과; 상기 반죽통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돌출된 복수개의 교반날개를 가지며, 회전하면서 반죽통의 곡분 및 배합수를 반죽하여 반죽물을 생성하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을 축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반죽통의 반죽물을 즉석에서 강제로 숙성시키는 숙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nea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put door for inputting the seasoned grain flour, and an input door for discharging the added flour, when the kneaded powder is kneaded, the four sides are sealed to keep airtight Kneading through; A compounding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prepared compounding water to the dough container for kneading of the flour added to the dough container; A stirring shaft rota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kneading barrel and having a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knead the flour and the blended water of the kneading barrel while rotating;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stirring shaft to an axi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ging means for forcibly aging the dough of the dough container on the fly.

여기서, 상기 반죽통은, 상기 배출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개폐부재는 예컨대, 상기 배출도어에 일체로 연결되고, 신축하면서 배출도어를 개폐시키는 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kneading container,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door; further includes. Suc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example,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door, and can be configured as a cylind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door while stretching.

그리고, 상기 숙성수단은 예컨대, 상기 반죽통의 반죽물이 증숙되도록, 고온의 스팀을 반죽통에 공급하는 스팀공급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숙성수단은 예컨대, 상기 반죽통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서, 반죽통의 반죽물을 팽창 및 수축시키면서, 반죽물의 기포를 제거하는 동시에 반죽물을 숙성시키는 진공유닛;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또 달리, 상기 숙성수단은 예컨대, 상기 스팀공급유닛 및 진공유닛을 혼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And, the aging means, for example, the steam supply unit for supplying a high temperature steam to the kneading, so that the dough in the kneading can be steamed. Alternatively, the aging means, for example, by forcibly discharging the air in the kneading chamber, while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kneading material of the kneading machine, while removing the air bubbles of the kneading material at the same time; may comprise a; have. Alternatively, the aging means may be configured by mixing the steam supply unit and the vacuum unit, for example.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생면제조장치는, 전술한 상기 반죽기와; 상기 반죽기로부터 반죽물을 공급받으며, 이 반죽물을 가압하여 판상으로 공급하는 사출기와; 상기 사출기에서 공급되는 판상의 반죽물을 수직으로 분할하여, 국수를 성형하는 국수성형기 및; 상기 국수성형기에서 성형된 국수를 가압하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gh machine described above; An injection machine receiving the dough from the dough machine and pressurizing the dough to supply the dough; A noodle molding machine for vertically dividing the plate-like dough supplied from the injection machine to shape noodle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utter to press the noodle molded in the noodle molding machine, cut into a set length.

여기서, 상기 사출기는 예컨대, 상기 반죽기로부터 반죽물이 투입되고, 일측에는 투입된 반죽물을 배출시키는 동시에, 반죽물을 판상으로 성형하는 장방형의 배출공을 갖는 사출호퍼와; 상기 사출호퍼에 수평방향으로 내장되어, 회전하면서 사출호퍼에 투입된 반죽물을 상기 사출호퍼의 배출공으로 밀어내는 사출스크류 및; 상기 사출스크류를 구동시키는 스크류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injection machine, for example, the dough is fed from the kneading machine, one side discharges the injected dough and at the same time, the injection hopper having a rectangular discharge hole for molding the dough into a plate shape; An injection screw which is embedded in the injection hopp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rotates the dough injected into the injection hopper into the discharge hole of the injection hopp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screw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injection screw.

그리고, 상기 국수성형기는 예컨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서로 외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평행을 취하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판상의 반죽물을 국수 형태로 분할하는 나사산 형태의 커팅날을 갖는 한쌍의 커팅샤프트 및; 상기 커팅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샤프트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nd, the noodle molding machine is, for example, a case; A pair of cutting shafts having a screw-shaped cutting blade which is rotatably fixed while taking parallels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case, and divides the plate-shaped dough into noodles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haft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cutting shaft.

또한, 상기 커터는 예컨대, 상기 국수성형기에서 성형된 국수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에 대향상태로 수평 설치되어, 타측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며, 편축회전시 일단부가 지지롤러에 밀착하면서 성형된 국수를 절단하는 평판날 및; 상기 평판날을 편축회전시키는 편축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tter, for example, and a support roller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noodles formed in the noodle molding machine; A flat blade installed horizontally opposite to the support roller, the shaft being rotated about the other side, and cutting the shaped noodles while one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roller when the shaft is rotat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single-axis rotation means for single-axis rotation of the plate blade.

이때, 본 고안의 생면제조장치는, 상기 반죽기나 사출기에 의한 반죽물을 판상의 상태로 가압하면서 재차 반죽하여 상기 커터로 공급하는 압연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At this time, the raw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further comprise a rolling mill for kneading again and supplying to the cutter while pressing the dough by the kneading machine or the injection machine in a plate-like state.

이에 더하여, 본 고안의 생면제조장치는, 상기 사출기나 국수성형기에 의한 반죽물을 상기 커터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도 있다.In addition, the raw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ing conveyor for transferring the dough by the injection machine or the noodle molding machine to the cutter; it is also necessary to include a configuration.

이러한,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어, 상기 사출기나 국수성형기에서 공급되는 반죽물을 지그제그 형태로 왕복시키면서 이송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경사를 갖는 경사컨베이어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conveying conveyo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tack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transfer the dough supplied from the injection machine or the noodle molding machine while reciprocating in the form of a zigzag. Alternatively, the transfer conveyor may be configured as an inclined conveyor having a slope.

아울러, 본 고안의 생면제조장치는, 상기 사출기나 국수성형기에 의한 반죽물에 공기를 송풍하여, 반죽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comprise a dryer; by blowing air to the dough by the injection machine or the noodle molding machine, to dry the dough.

이러한, 상기 건조기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공기를 송풍하여, 이송컨베이어상의 반죽물을 건조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uch a drye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low air into the transfer conveyor to dry the dough on the transfer convey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반죽기 및 생면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압연기 및 국수성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a dough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ough making apparatus having the dough machine as follows, the accompanying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gh and a cotton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olling mill and the noodle forming machine shown in FIG.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생면제조장치는, 곡분을 반죽하는 반죽기(10)와; 이 반죽기(10)로부터 반죽물(P)을 공급받으며, 이 반죽물(P)을 가압하여 판상으로 공급하는 사출기(20)와; 이 사출기(20)에서 공급되는 판상의 반죽물(P)을 수직으로 분할하여, 국수를 성형하는 국수성형기(30) 및; 이 국수성형기(30)에서 성형된 국수를 가압하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4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gh kneader (10) for kneading flour; An injection machine 20 which receives the dough P from the dough machine 10 and pressurizes the dough P and supplies it to the plate; Noodle molding machine 30 for vertically dividing the plate-shaped dough (P) supplied from the injection machine 20, to shape the noodles; And a cutter 40 for pressing the noodle shaped by the noodle forming machine 30 and cutting the noodle.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기(10) 및 사출기(20) 사이에 설치되어, 반죽기(10)의 반죽물(P)을 재차 반죽하여 사출기(20)에 공급하는 2차반죽기(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전술한 반죽기(10) 및 2차반죽기(20'), 그리고 사출기(20)는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F)을 통하여 동일체로 설치된다. 이때, 반죽기(10)와 2차반죽기(20') 및 사출기(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에 수직으로 순차 설치된다.In addition, as shown, it is installed between the kneading machine 10 and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20, further kneading the dough (P) of the kneading machine 10 again to supply to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20, the second dough 20 ' Include. Here, the above-described kneader 10 and the secondary dough dough 20 ', and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20 are installed in the same body through the frame (F) as shown. At this time, the dough machine 10, the secondary dough dough 20 'and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20 are sequentially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frame (F) as shown.

이에 더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기(10)나 사출기(20)에 의한 반죽물(P)을 판상의 상태로 가압하면서 재차 반죽하여 전술한 커터(40)로 공급하는 압연기(50) 및; 전술한 사출기(20)나 국수성형기(30)에 의한 반죽물(P)을 전술한 커터(40)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6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the rolling mill 50 for kneading again while pressing the dough P by the kneading machine 10 or the injection machine 20 in a plate-like state and supplying it to the cutter 40 described above; Transfer conveyor 60 for transferring the dough (P) by the above-mentioned injection machine 20 or the noodle molding machine 30 to the cutter 40 described above; further includes.

즉, 실시예에 의한 생면제조장치는, 반죽기(10), 사출기(20), 국수성형기(30) 및 커터(40)를 포함한다. 그리고, 2차반죽기(20')와 압연기(50) 및 이송컨베이어(60)를 더 포함한다.That is, the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dough machine 10, an injection machine 20, a noodle forming machine 30 and a cutter 40. In addition, the secondary dough 20 'and the rolling mill 50 and the conveying conveyor 60 further includes.

여기서, 이러한 생면제조장치의 구성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configuration of such a surface manufacturing apparatus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반죽기(10)는 도 1의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통(12)과; 배합수공급유닛과; 교반축(16)과; 회전수단 및; 숙성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배합수공급유닛, 교반축(16), 회전수단 및 숙성수단은 후술되는 컨트롤러(C)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된다.First, the dough machine 10, as shown enlarged at the bottom of Figure 1, the kneading container 12; A compound water supply unit; A stirring shaft 16; Rotating means; It includes; aging means. At this time, the mixing water supply unit, the stirring shaft 16, the rotation means and the aging means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C) to be described later.

반죽통(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이 밀폐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박스형태를 취한다. 그리고, 상·하부에는 조미료가 가미된 곡분을 투입하는 투입도어(12a) 및, 투입된 곡분이 반죽되면 이를 배출하는 배출도어(12b)를 갖는다. 이때, 배출도어(12b)에는 자동으로 배출도어(12b)를 개폐하는 도시된 바와 같은 개폐부재를 설치한다. 이러한, 개폐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가 배출도어(12b)에 일체로 연결되고, 본체는 반죽통(12)을 감싸는 프레임(F)에 연결되어, 신축하면서 배출도어(12b)를 개폐시키는 실린더(CR)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kneading container 12 takes the form of a box in which four sides are sealed to maintain airtightness. And, the upper and lower has an input door (12a) for injecting the powdered seasoning, and the discharge door (12b) for discharging when the added flour is kneaded. At this time, the discharge door 12b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as shown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door 12b. This, opening and closing member, as shown, the ro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door (12b),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frame (F) surrounding the kneading container 12, stretch and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door (12b) Cylinder CR.

배합수공급유닛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통(12)에 연통되어 외부의 연수를 반죽통(12)에 공급하는 연수파이프(14a)이다. 이러한, 연수파이프(14a)는 미도시된 펌프를 갖는 연수저장탱크에 연결되거나, 이와 달리 미도시된 상수도에 연결된다. 이때, 연수파이프(14a)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배합수공급유닛은 연수파이프(14a) 및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배합수공급유닛은 반죽을 위하여 준비한 배합수를 반죽통(12)에 공급한다.The blended water supply unit is a soft water pipe 14a which communicates with the dough container 12 and supplies external soft water to the dough container 12 as shown. Such a soft water pipe 14a is connected to a soft water storage tank having a pump not shown, or alternatively to a tap water not shown. At this time, the soft pipe 14a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as shown. That is, the compound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 soft water pipe 14a and a valve. In conclusion, the compounding water supply unit supplies the compounding water 12 prepared for the dough to the dough container (12).

교반축(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통(1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고정되며, 외주면에는 돌출된 복수개의 교반날개(16a)를 갖는다. 이러한, 교반축(16)은 회전하면서 반죽통(12)에 투입된 곡분 및 배합수를 교반한다. 따라서, 반죽통(12)의 내부에는 반죽물(P)이 생성된다.As shown, the stirring shaft 16 is rotatably horizontally fixed inside the kneading chamber 12 and has a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16a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stirring shaft 16 rotates, stirring the flour and the compounded water injected into the kneading container 12. Therefore, the kneading material P is produced in the kneading container 12.

이러한, 교반축(16)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은 반죽기모터(M1)이다. 물론, 반죽기모터(M1)는 도시된 바와 같은 풀리 및 벨트에 의하여 교반축(16)과 연결된다.The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stirring shaft 16 is a kneader motor M1 as shown. Of course, the kneader motor (M1) is connected to the stirring shaft 16 by the pulley and the belt as shown.

숙성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은 스팀공급유닛 및 진공유닛이다. 스팀공급유닛은 도시된 바와 같은 고온의 스팀을 제공하는 스팀기(S) 및; 이 스팀기(S)를 반죽통(12)에 연결하는 스팀파이프(SP)이다. 이때, 스팀파이프(SP)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스팀공급유닛은 스팀기(S)와 스팀파이프(SP) 및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팀공급유닛은 반죽통(12)에 스팀기(S)의 스팀을 공급하여, 반죽통(12) 내의 반죽물(P)을 즉석에서 강제로 증기숙성, 즉 증숙시킨다. 따라서, 반죽물(P)은 증숙에 의하여 반숙될 뿐만 아니라 점성이 강화된다. 물론, 반죽물(P)은 곡분이 익혀짐에 따라 분말 형태에서 겔 형태로 변환하면서 점성이 강화된다.The aging means is a steam supply unit and a vacuum unit as shown. Steam supply unit is a steamer (S) for providing a high temperature steam as shown; It is a steam pipe SP which connects this steamer S to the kneading container 12.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steam pipe (SP)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as shown. That is, the steam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eamer (S), steam pipe (SP) and the valve. Such a steam supply unit supplies steam of the steamer S to the kneading container 12, thereby forcibly steaming, ie, steaming the kneaded material P in the kneading container 12 on the fly. Therefore, the dough P is not only softened by steaming but also hardened. Of course, the dough (P) is viscous as it is converted from the powder form to the gel form as the flour is cooked.

숙성수단인 진공유닛은 도시된 바와 같은 진공펌프(V) 및; 이 진공펌프(V)를 반죽통(12)에 연결하는 진공파이프(VP)를 포함한다. 이때, 진공파이프(VP)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진공유닛은 진공펌프(V)와 진공파이프(VP) 및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유닛은 반죽통(12)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서, 반죽통(12)의 반죽물(P)을 팽창 및 수축시키면서 반죽물(P)의 기포를 제거하는 동시에 반죽물(P)을 숙성시킨다. 즉, 반죽물(P)은 진공유닛의 진공에 의하여 내부의 기포가 강제로 제거되는 동시에, 팽창 및 수축되면서 즉석에서 강제로 숙성된다. 따라서, 반죽물(P)은 진공숙성에 의하여 점성이 강화된다.The vacuum unit as the aging means is a vacuum pump (V) as shown; It includes a vacuum pipe (VP) for connecting the vacuum pump (V) to the dough container (12). At this time, the vacuum pipe VP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as shown. That is, the vacuum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vacuum pump (V), a vacuum pipe (VP) and a valve. The vacuum unit forcibly discharges the air in the kneading container 12 to remove the bubbles of the kneading material P while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kneading material P of the kneading container 12, and at the same time, kneading material P Mature. That is, the dough (P) is forcibly removed by the vacuum of the vacuum unit at the same time, while being expanded and contracted forcibly aged immediately. Therefore, the dough P is strengthened in viscosity by vacuum aging.

이렇게 구성된 반죽기(10)는 도시된 바와 달리 별개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반죽기(10)를 도시된 바와 같은 생면제조장치에서 별개로 분리하여, 독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us configured dough machine 10 can be used separately from the illustrated. That is, the kneading machine 10 can be separated separately from the raw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as shown, and can be used arbitrarily.

컨트롤러(C)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할 내용을 입력시키는 키보드 및, 이 키보드로 입력되는 내용을 현시하는 디스플레이, 그리고 타이머(미도시)를 갖는다. 이때, 키보드는 온/오프(ON?OFF) 스위치를 갖는다. 물론, 컨트롤러(C)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갖는다. The controller C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F as shown, and has a keyboard for inputting content to be controlled,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content input by the keyboard, and a timer (not shown). In this case, the keyboard has an ON / OFF switch. Of course, the controller C has a program for control.

이러한, 컨트롤러(C)는 배합수공급유닛의 연수파이프(14a)에 설치된 밸브나 상수도 또는 연수저장탱크의 펌프에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러(C)는 스팀기(S)나 스팀파이프(SP) 또는 진공펌프(V) 또는 진공파이프(VP)에 설치된 밸브에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때, 컨트롤러(C)는 타이머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이들을 제어한다. 물론, 컨트롤러(C)는 반죽기(10)에 도시된 바와 달리, 스팀공급유닛이나 진공유닛 중 하나만 설치된 경우, 설치된 부재만을 제어하도록 연결된다.그리고, 컨트롤러(C)는 반죽통(12)에 마련된 실린더(CR)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후술되는 사출기(20), 국수성형기(30), 커터(40), 압연기(50), 이송컨베이어(60) 및 건조기(70)의 작동도 제어한다.The controller C is connected to a valve installed in the soft water pipe 14a of the compound water supply unit, or to a pump of a water supply or soft water storage tank, and controls their opera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C is connected to a valve installed in the steamer S, the steam pipe SP or the vacuum pump V or the vacuum pipe VP, and controls their operation. At this time, the controller C controls them according to the time set by the timer. Of course, the controller (C), unlike shown in the kneader 10, when only one of the steam supply unit or the vacuum unit is installed, is connected to control only the installed member. And, the controller (C) is provided in the kneading container 12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CR.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20, the noodle forming machine 30, the cutter 40, the rolling mill 50, the transfer conveyor 60, and the dryer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also controlled.

다음, 2차반죽기(20')는 도 1의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스크류(24') 및, 반죽배출공(22a')을 갖는 호퍼이다. 이때, 반죽배출공(22a')은 적어도 하나의 원형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2차반죽기(20')는 전술한 반죽기(10)에서 반죽물(P)이 공급되면 교반스크류(24')를 이용하여, 이 반죽물(P)을 재차 교반하면서 전방의 반죽배출공(22a')으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반죽물(P)은 반죽배출공(22a')을 통하여, 가래떡과 같은 형태를 취하면서 하부의 사출기(20)로 공급된다. 이때, 교반스크류(24')는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모터(M2')에 의하여 회전한다. 물론, 구동모터(M2')는 풀리 및 벨트에 의하여 교반스크류(24')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동모터(M2')는 전술한 컨트롤러(C)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되도록 구성한다.Next, the secondary dough dough 20 'is a hopper having a stirring screw 24' and a dough discharge hole 22a 'as shown in an enlarged view at the bottom of FIG. At this time, the dough discharge hole (22a ') is preferably formed in at least one circular hole. When the dough (P) is supplied from the above-described kneader (10), the secondary dough (20 ') uses the stirring screw (24') to stir the dough (P) again while discharging the dough in the front. To 22a '. Therefore, the dough P is supplied to the lower injection molding machine 20 while taking the form of a rice cake through the dough discharge hole 22a '. At this time, the stirring screw 24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M2' as shown. Of course, the drive motor M2 'is connected to the stirring screw 24' by the pulley and the belt. Such a driving motor M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C described above.

그 다음, 사출기(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호퍼(22)와; 사출스크류(24) 및; 스크류구동수단;을 포함한다. Then, the injection machine 20, as shown in Figure 1, the injection hopper 22; Injection screw 24; It includes a screw driving means.

사출호퍼(22)는 반죽기(10)로부터 반죽물이 투입되고, 일측에는 투입된 반죽물(P)을 배출시키는 동시에, 반죽물(P)을 판상으로 성형하는 장방형의 배출공(22a)을 갖는다.The injection hopper 22 has a rectangular discharge hole 22a into which the kneaded material is fed from the kneader 10, and at one side discharges the kneaded material P, and simultaneously forms the kneaded material P into a plate shape.

이때, 사출호퍼(22)의 배출공(22a) 상부에는 도 2의 좌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두께조절부재를 마련한다. 이러한, 두께조절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호퍼(22)에 수직으로 승강하는 승강판(22b) 및; 이 승강판(22b) 및 사출호퍼(22)에 나사결합되는 롱볼트(22c);를 포함한다. 따라서, 롱볼트(22c)를 돌리게 되면, 승강판(22b)은 승강하면서 배출공(22a)의 폭을 조절한다. 이에 따라, 배출공(22a)에서 배출되는 반죽물(P)의 두께는 조절된다. 즉, 롱볼트(22c)는 사출호퍼(22)에서 제자리 회전하는 리드스크류이다. 물론, 승강판(22b)은 롱볼트(22c)의 회전시, 롱볼트(22c)의 피치를 따라 승강한다.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hole (22a) of the injection hopper 22 is provided with a thickness adjusting member as shown in the upper left of FIG. This, the thickness adjusting member is a lifting plate (22b) to be vertically elevated to the injection hopper 22, as shown; And a long bolt 22c screwed to the elevating plate 22b and the injection hopper 22. Therefore, when the long bolt 22c is turned, the lifting plate 22b moves up and down to adjust the width of the discharge hole 22a.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dough P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22a is adjusted. That is, the long bolt 22c is a lead screw rotating in place in the injection hopper 22. Of course, the lifting plate 22b moves up and down along the pitch of the long bolt 22c when the long bolt 22c is rotated.

사출스크류(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호퍼(22)에 수평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회전하면서 2차반죽기(20')에서 공급되는 반죽물(P)을 사출호퍼(22)의 배출공(22a)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반죽물(P)은 배출공(22a)에 의하여 판상으로 배출된다.As shown, the injection screw 24 is rotatably fixed to the injection hopper 22 in a horizontal state, and rotates the dough P supplied from the secondary dough 20 'while rotating the injection hopper 22. Push out to the discharge hole 22a. Therefore, the dough P is discharged to the plate shape by the discharge hole 22a.

스크류구동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형기모터(M2)이다. 이러한, 성형기모터(M2)는 도시된 바와 같은 풀리 및 벨트에 의하여 사출스크류(24)에 연결된다. 이때, 성형기모터(M2)는 전술한 컨트롤러(C)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한다.The screw drive means is a molding machine motor M2 as shown in FIG. The molding machine motor M2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screw 24 by a pulley and a belt as shown. At this time, the molding machine motor (M2) is configured t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C) described above.

이어서, 압연기(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기(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압연기(52)와; 후술되는 제3컨베이어(66) 및 커터(40) 사이에 설치되는 제2압연기(54) 및; 커터(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3압연기(56);을 포함한다. 즉, 압연기(50)는 복수개로 구성된다. 하지만, 압연기(50)는 필요에 따라, 도시된 바와 달리 하나로만 구성되거나, 더 많이 구성될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 the rolling mill 50 includes a first rolling mill 52 installed below the molding machine 20; A second rolling mill 54 installed between the third conveyor 66 and the cutter 40 to be described later; It includes; a third rolling mill 56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tter (40). That is, the rolling mill 50 is comprised from several pieces. However, the rolling mill 50 may be composed of only one, or may be configured more than the illustrated, if necessary.

여기서, 압연기(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롤러(50a) 및; 이 롤러(50a)를 구동시키는 압연기모터(M5);를 포함한다. 물론, 압연기모터(M5)는 도시된 바와 같은 풀리 및 벨트에 의하여 롤러(50a)에 연결되며, 전술한 컨트롤러(C)에 의하여 제어된다. 그리고, 한쌍의 롤러(5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에 의하여 서로 동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한쌍의 롤러(50a)는 동시에 회전하면서 압연을 실시한다.Here, the rolling mill 50, as shown in Figures 2 and 3, and a pair of roller (50a); And rolling mill motor M5 for driving the roller 50a. Of course, the rolling mill motor M5 is connected to the roller 50a by a pulley and a belt as shown,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C described above. Then, the pair of rollers 50a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by a belt as shown in FIG. 3. Therefore, the pair of rollers 50a are rolled while rotating at the same time.

이러한, 압연기(50)는 롤러(50a)를 이용하여, 성형기(20)에서 공급되는 판상의 반죽물(P)을 평평하게 가압한다. 이때, 반죽물(P)은 가압되면서 재차 반죽되는 효과를 얻는다. 따라서, 강제숙성 및 반숙된 반죽물(P)은 점성이 더욱 강화된다.Such a rolling mill 50 presses flatly the plate-shaped dough P supplied from the shaping | molding machine 20 using the roller 50a. At this time, the dough (P) is pressed again to obtain the effect of kneading. Therefore, the forced maturation and the ripened dough (P) is more viscous.

계속해서, 이송컨베이어(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기(20)의 전방에 설치된 압연기(50)에 마주하는 제1컨베이어(62)와; 이 제1컨베이어(62)에 연결되는 제2컨베이어(64) 및; 이 제2컨베이어(64) 및 전술한 제3압연기(56)를 연결하는 제3컨베이어(66);를 포함한다. 즉, 이송컨베이어(60)는 복수개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이송컨베어어(60)는 필요에 따라, 도시된 바와 달리 하나로 구성되거나 더 많이 구성될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 the transfer conveyor 60 includes a first conveyor 62 facing the rolling mill 50 provided in front of the molding machine 20; A second conveyor 64 connected to the first conveyor 62; And a third conveyor 66 connecting the second conveyor 64 and the third rolling mill 56 described above. That is, the conveyance conveyor 60 is composed of a plurality. However, such a transfer conveyor 60 may be configured as one or more than shown, if necessary.

이때, 이송컨베이어(60)는 전술한 컨트롤러(C)에 의하여 제어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베이어모터(M6)에 의하여 구동한다. 그리고, 이송컨베이어(60)는 도 1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쉬벨트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transfer conveyor 60 is driven by the conveyor motor (M6) as shown in Figures 1 and 2, which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C) described above. And, the conveying conveyor 60 has a mesh belt as shown in the upper portion of FIG.

여기서, 제1 및 제3컨베이어(62, 66)는 제2컨베이어(64) 및 제3압연기(56)의 설치높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를 갖는다. 그리고, 제2컨베이어(64)는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을 갖는다. Here, the first and third conveyors 62 and 66 have a slope as shown,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econd conveyor 64 and the third rolling mill 56. And, the second conveyor 64 is horizontal as shown.

이때, 제2컨베이어(64)는 도 2의 상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제2컨베이어(64)는 체인(CH)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복수개의 스프로킷(SP)을 제각각으로 갖는다. 이러한, 제2컨베이어(64)의 스프로킷(SP) 중 하나의 스프로킷(SP)에는 전술한 컨베이어모터(M6)가 체인(CH')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2컨베이어(64)는 컨베이어모터(M6)에 의하여 한꺼번에 작동한다. 이에 따라, 제2컨베이어(64)는 판상의 반죽물(P)을 지그제그 형태로 이송하면서 제3컨베이어(66)에 공급한다. 이렇게, 제2컨베이어(64)가 반죽물(P)을 지그제그 형태로 이송하도록 구성한 이유는, 후술되는 건조기(70)를 이용하여, 반죽물(P)을 용이하게 건조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veyor 64 is configured to be stack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an enlarged upper portion of FIG.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yors 64 each have a plurality of sprockets SP that are connected and rotated by a chain CH. The above-described conveyor motor M6 is connected to one of the sprockets SP of the second conveyor 64 by a chain CH '. Therefore,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yors 64 are operated at once by the conveyor motor M6. Accordingly, the second conveyor 64 supplies the plate-like dough P to the third conveyor 66 while being transferred in the zigzag form. The reason why the second conveyor 64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dough P in the zigzag form is to easily dry the dough P using the dryer 70 described later.

다시 계속해서, 건조기(70)는 도 1의 상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62)상에 이격설치된 브로워나, 제2컨베이어(64)의 일측에 세워진 송풍팬이다. 이러한, 건조기(70)는 전술한 컨트롤러(C)의 제어에 의하여, 이송컨베이어(60)상의 반죽물(P)에 공기를 송풍한다. Subsequently, the dryer 70 is a blow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veyor 64 or a blower spaced apart on the first conveyor 62, as shown in an enlarged view at the top of FIG. Such a dryer 70 blows air to the dough P on the conveying conveyor 60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C mentioned above.

이때, 건조기(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60)상에 설치되거나, 이송컨베이어(60)와 이격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건조기(70)는 이송컨베이어(60) 이외의 제2반죽기(20')나 사출기(20) 또는 압연기(50)나 국수성형기(30)를 포함하는 커터(40)에 바람을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건조기(70)는 제1컨베이어(62)의 상부 뿐만 아니라, 하부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제3컨베이어(66)에도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yer 70 may be installed on the transport conveyor 60 as shown, or may b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transport conveyor 60. On the contrary, the dryer 70 supplies air to the cutter 40 including the second dough 20 'or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20 or the rolling mill 50 or the noodle forming machine 30 other than the conveying conveyor 60. It may be installed. In addition, the dryer 70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as well as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veyor 62. Of course, it can also be installed in the third conveyor (66).

연속해서, 국수성형기(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2)와; 한쌍의 커팅샤프트(34) 및; 이 커팅샤프트(34)를 회전시키는 샤프트회전수단;을 포함한다.Subsequently, the noodle molding machine 30 includes a case 32, as shown in FIG. A pair of cutting shafts 34; It includes; the shaft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cutting shaft 34.

이때, 한쌍의 커팅샤프트(34)는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2)의 내부에 서로 외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평행을 취하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커팅샤프트(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 형태의 커팅날(34a)을 갖는다. 따라서, 커팅샤프트(34)는 회전하면서, 판상의 반죽물(P)을 국수 형태로 분할한다.At this time, the pair of cutting shaft 34 is rotatably fixed while taking a parallel in the state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side the case 32, as shown enlarged in FIG. As shown, the cutting shaft 34 has a cutting edge 34a in the form of a threa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fore, the cutting shaft 34 rotates to divide the plate-shaped dough P into noodles.

샤프트회전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형기모터(M3)이다. 이러한, 성형기모터(M3)는 풀리 및 벨트에 의하여 커팅샤프트(34)에 연결되며, 전술한 컨트롤러(C)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된다.The shaft rotating means is a molding machine motor M3 as shown in FIG. This, the molding machine motor (M3) is connected to the cutting shaft 34 by a pulley and a belt,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C) described above.

여기서, 케이스(32)의 상부, 즉 커팅샤프트(34)의 상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압연기(56)를 설치한다. 그리고, 케이스(32)의 하부, 즉 커팅샤프트(34)의 하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40)를 설치한다. 이때, 제3압연기(56)의 롤러(5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기모터(M3)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물론, 성형기모터(M3) 및 롤러(50a)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벨트를 연결한다.Here, the third rolling mill 56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32,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cutting shaft 34 as shown in FIG. 3. In addition, the cutter 4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32,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cutting shaft 34 as shown in FIG. 3. At this time, the roller 50a of the third rolling mill 56 is configured to rotate by the molding machine motor M3 as shown. Of course, the connecting belt as shown is connected to the molding machine motor (M3) and the roller (50a).

마지막으로, 커터(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국수성형기(30)의 케이스(32) 하부에 일체로 설치된다. 이러한 커터(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수성형기(30)에서 성형된 국수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42)와; 이 지지롤러(42)에 대향상태로 수평 설치되어, 타측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는 평판날(44) 및; 이 평판날(44)을 편축회전시키는 편축회전수단;을 포함한다.Finally, as described above, the cutter 40 is integrally installed under the case 32 of the noodle molding machine 30. This cutter 40, as shown in Figure 3, the support roller 42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noodles formed in the noodle molding machine 30; A flat blade 44 which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support roller 42 in a state of opposing, and which rotates uniaxially about the other side; Includes; single-axis rotation means for uniaxially rotating the plate blade 44.

여기서, 지지롤러(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2)에 수평설치되며, 평판날(44)과 평행을 유지한다. 그리고, 평판날(44)은 편축회전시, 도 4의 하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지지롤러(42)에 밀착된다. 따라서, 평판날(44)은 국수성형기(30)에서 성형된 국수를 절단한다.Here, the support roller 42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case 32 as shown, and is maintained in parallel with the flat blade (44). Then, the flat blade 4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roller 42 at one end, as shown enlarged in the lower portion of Figure 4 during the uniaxial rotation. Therefore, the flat plate 44 cuts the noodles molded in the noodle forming machine 30.

이때, 평판날(44)을 회전시키는 편축회전수단은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커터기모터(M4)이다. 이러한, 커터기모터(M4)는 도시된 바와 같은 풀리 및 벨트에 의하여 평판날(44)에 연결되며, 전술한 컨트롤러(C)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된다.At this time, the uniaxial rotation means for rotating the flat blade 44 is a cutter motor (M4) as shown in enlarged in FIG. The cutter motor M4 is connected to the flat blade 44 by a pulley and a belt as shown, and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C described above.

이러한, 평판날(44)은 커터기모터(M4)에 의하여 회전속도가 결정되며, 국수는 이러한 평판날(44)의 회전속도에 의하여 절단 길이가 결정된다. 즉, 평판날(44)이 빨리 회전될 경우에는 국수가 짧게 절단되며, 평판날(44)이 느리게 회전될 경우에는 국수가 길게 절단된다.Such, the blade speed 44 is determined by the rotation speed of the cutter motor (M4), the noodles are cut length is determined by the rotation speed of the flat blade (44). That is, when the plate blade 44 rotates quickly, the noodles are cut short, and when the plate blade 44 rotates slowly, the noodles are cut long.

한편, 전술한 반죽기(10)의 교반축(16), 제2반죽기(20)의 교반스크류(24'), 사출기(20)의 사출스크류(24), 압연기(50)의 롤러(50a), 국수성형기(30)의 커팅샤프트(34) 및, 커터(40)의 지지롤러(42) 및 평판날(44), 그리고 반죽통(12) 및 각종 호퍼(20', 22, 22')는 테프론으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반죽물(P)과 접촉하는 기기의 표면에는 테프론 코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러한 구성요소에 반죽물(P)이 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irring shaft 16 of the kneading machine 10, the stirring screw 24 'of the second dough machine 20, the injection screw 24 of the injection machine 20, the roller 50a of the rolling mill 50, The cutting shaft 34 of the noodle forming machine 30, the support roller 42 and the flat blade 44 of the cutter 40, the kneading container 12 and the various hoppers 20 ′, 22, 22 ′ are Teflon. It is preferable to coat with. That is, it is preferable to apply Teflon coating to the surface of the device in contact with the dough (P). This is to prevent the dough (P) from adhering to these component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생면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반죽기(10)의 투입도어(12a)를 열고, 조미료가 가미된 곡분을 투입한 후, 투입도어(12a)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컨트롤러(C)의 키보드를 조작하여 배합수 양 및 스팀공급시간, 그리고 진공시간을 설정한 후, 생면제조장치를 온(ON) 시킨다.As shown in FIG. 1, the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opens the dosing door 12a of the kneader 10, and then adds the seasoned flour to the dosing door 12a. ) Seal. Then, after operating the keyboard of the controller (C) to set the amount of mixing water, the steam supply time, and the vacuum time, the raw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is turned ON.

이에 따라, 배합수공급유닛은 설정된 양만큼의 배합수를 반죽기(10)의 반죽통(12)에 공급한다. 그리고, 반죽기(10)는 반죽기모터(M1) 및 교반축(16)을 작동시켜서, 약 2 내지 3분 동안 반죽을 실시한다. 이어서, 반죽이 완료되어 반죽기(10)에 덩어리 형태의 반죽물(P)이 생성되면, 스팀공급유닛은 반죽기(10)에 약 120℃의 스팀을 약 2 내지 4분 동안 공급한다. 이때, 반죽물(P)은 반숙되면서 강제로 숙성되어, 보다 강한 점성을 갖는다.Accordingly, the compounding water supply unit supplies the compounding water of the set amount to the dough container 12 of the dough machine 10. And, the kneader 10 operates the kneader motor (M1) and the stirring shaft 16, and performs the dough for about 2 to 3 minutes. Subsequently, when the dough is completed and the dough P in the form of lumps is produced in the dough machine 10, the steam supply unit supplies steam of about 120 ° C. to the dough machine 10 for about 2 to 4 minutes. At this time, the dough P is ripened forcibly while being softened, and has a stronger viscosity.

계속해서, 스팀의 공급이 완료되면, 진공유닛은 진공펌프(V)를 작동시켜서 약 2 내지 3분 동안 반죽기(10)를 진공시킨다. 이때, 반죽물(P)은 진공에 의하여 팽창하며, 진공이 완료되면 다시 수축한다. 물론, 반죽물(P)은 팽창 및 수축되면서 강제로 숙성되어, 점성이 더욱 강화된다.Subsequently, when the supply of steam is completed, the vacuum unit operates the vacuum pump V to vacuum the kneader 10 for about 2 to 3 minutes. At this time, the dough (P) is expanded by the vacuum, and shrinks again when the vacuum is completed. Of course, the dough (P) is forcibly aged while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viscosity is further enhanced.

이렇게, 반죽물(P)의 숙성이 완료되면, 반죽기(10)의 하부에 설치된 실린더(CR)가 신축하면서 반죽기(10)의 배출도어(12b)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반죽물(P)은 하부의 2차반죽기(20')에 공급된다. 이때, 2차반죽기(20')는 구동모터(M2')에 의하여 교반스크류(24')가 회전하면서 반죽물(P)을 재차 반죽하는 동시에, 반죽을 반죽배출공(22a')으로 배출한다. 따라서, 2차반죽기(20')에서 배출되는 반죽물(P)은 하부의 사출기(20)로 투입된다.Thus, when the maturing of the dough (P) is completed, the cylinder (CR)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ough machine 10 is stretched to open the discharge door (12b) of the dough machine 10. Accordingly, the dough (P) is supplied to the lower secondary dough 20 '. At this time, the secondary kneading 20 'kneads the dough P again while the stirring screw 24'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M2 ', and discharges the dough into the dough discharge hole 22a'. . Therefore, the dough P discharged from the secondary dough 20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injection molding machine 20.

연속해서, 사출기(20)는 사출기모터(M2)에 의하여 사출스크류(24)가 회전하면서, 반죽물(P)을 사출호퍼(22)의 배출공(22a)으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덩어리 형태의 반죽물(P)은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변환되면서 배출된다. Subsequently, the injection machine 20 discharges the dough P into the discharge hole 22a of the injection hopper 22 while the injection screw 24 is rotated by the injection machine motor M2. Accordingly, the dough P in the form of agglomerate is discharged while being converted into a plate as shown in an enlarged view in FIG. 2.

이러한, 판상의 반죽물(P)은 하부의 제1압연기(52)로 공급되며, 제1압연기(51)는 이 판상의 반죽물(P)을 다시 약간 가압하여, 제1컨베이어(62)로 공급한다. 그리고, 제1컨베이어(62)는 이 판상의 반죽물(P)을 제2컨베이어(64)로 공급한다. 이때, 제1컨베이어(62)상의 반죽물(P)은, 상부에 설치된 건조기(70)에 의하여 냉각되는 동시에 건조된다.This, the plate-shaped dough (P) is supplied to the lower first rolling mill 52, the first rolling mill 51 presses the plate-shaped dough (P) again slightly, to the first conveyor (62). Supply. The first conveyor 62 supplies the plate-shaped dough P to the second conveyor 64. At this time, the dough P on the first conveyor 62 is cooled by the dryer 70 provided in the upper part and dried.

이렇게, 냉각 및 건조된 반죽물(P)은 제2컨베이어(64)에 의하여 지그제그 형태를 취하면서, 제3컨베이어(66)에 공급된다. 이때, 제2컨베이어(64)상의 반죽물(P)은, 일측에 이격설치된 건조기(70)에 의하여 다시 건조된다.Thus, the cooled and dried dough (P) is supplied to the third conveyor 66, taking the form of a zigzag by the second conveyor (64). At this time, the dough P on the second conveyor 64 is dried again by the dryer 70 spaced apart from one side.

그리고, 제3컨베이어(66)에 공급된 반죽물(P)은 제2압연기(54)에 공급되어 다시 한번 압연된 후, 제4압연기(56)로 공급된다. 이러한, 제4압연기(56)는 반죽물(P)을 마지막으로 압연하여, 판상의 반죽물(P)을 약 10mm 이하의 두께로 가공한 후, 이 반죽물(P)을 국수성형기(30)로 공급한다.Then, the dough P supplied to the third conveyor 66 is supplied to the second rolling mill 54 and rolled once again, and then supplied to the fourth rolling mill 56. The fourth rolling mill 56 finally rolls the dough P, and after processing the plate-like dough P to a thickness of about 10 mm or less, the dough P is subjected to the noodle forming machine 30. To supply.

이어서, 국수성형기(30)는 커팅샤프트(34)를 이용하여, 판상의 반죽물(P)을 국수 형태로 세단한 후, 커터(40)로 공급한다. 그리고, 커터(40)는 평판날(44)을 회전시켜서 지지롤러(42)에 지지된 국수 형태의 반죽물(P)을 커팅한다. 따라서, 커팅된 반죽물(P)은 작업대(W)에 공급된다.Subsequently, the noodle molding machine 30 uses the cutting shaft 34 to cut the plate-shaped dough P in the form of noodle and then supplies it to the cutter 40. Then, the cutter 40 rotates the flat blade 44 to cut the noodle-shaped dough (P) supported by the support roller 42. Therefore, the cut dough P is supplied to the work table W. FIG.

이와 같이 생면이 국수형태로 완성되면, 작업자는 이 국수를 조리하거나 즉석식품으로 포장하면 된다. 그리고, 생면의 제조가 완전히 완료되면 컨트롤러(C)를 오프(OFF) 시켜서 생면제조장치의 작동을 종료시킨다.여기서, 전술한 생면제조장치의 구성요소들은 컨트롤러(C)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된다.When the raw noodles are completed in the form of noodles in this way, the worker can cook the noodles or wrap them in instant food. When the production of the raw noodles is completely completed, the controller C is turned off to terminate the operation of the raw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Here, the components of the aforementioned raw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C.

한편, 전술한 제2반죽기(20')와 압연기(50) 및 이송컨베이어(60)는 필요에 따라 생략이 가능한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반죽기(10) 및 사출기(20)를 프레임(F)에 설치하고, 이 사출기(20)의 하부에 국수성형기(30) 및 커터(40)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면 된다. 즉, 프레임(F)에 반죽기(10), 사출기(20), 국수성형기(30) 및 커터(40)를 순차적으로 설치한다. 이러한 경우, 사출기(20)에서 형성되는 판상의 반죽물(P)은 곧바로 국수성형기(30)에서 국수 형태로 세단된 후, 커터(40)에 의하여 커팅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second dough (20 '), rolling mill 50 and the conveying conveyor 60 can be omitted as necessary. In this case, of course, the dough machine 10 and the injection machine 20 may be installed in the frame F, and the noodle molding machine 30 and the cutter 40 may be sequentially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jection machine 20. That is, the kneading machine 10,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20, the noodle molding machine 30 and the cutter 40 are sequentially installed in the frame F. In this case, the plate-shaped dough P formed in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20 is immediately cut in the form of noodles in the noodle forming machine 30, and then cut by the cutter 40.

다른 한편, 전술한 반죽기(10)를 생면제조장치와 별개로 사용할 경우에 대한 반죽기(10)의 작동은, 전술한 생면제조장치의 작동으로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dough machine 10 for the case of using the above-described dough machine 10 separately from the raw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tton manufacturing apparatus,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Therefore,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y modifying, it is natural that the modification of the shape and structure belong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반죽기는, 숙성수단이 반죽을 즉석에서 강제로 숙성시키므로, 점성이 강화된 반죽물을 제공하는 효과 있다. 특히, 숙성수단이 스팀공급유닛 일 경우, 반죽물을 반숙 상태로 공급하므로, 생면의 조리시간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숙성수단이 진공유닛일 경우, 반죽물 및 생면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점성이 강화된 생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The kne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ging means is forcibly aging the dough on the fly, it is effective to provide a viscosity-enhanced dough. In particular, when the ripening means is a steam supply unit, since the dough is supplied in a semi-mature state, the cooking time of raw noodles can be greatly reduced. When the ripening means is a vacuum unit, bubbles are formed in the dough and raw noodles. Since it does not occur,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raw noodles with enhanced viscosity.

그리고, 이러한 반죽기를 갖는 본 고안의 생면제조장치는, 반죽기의 반죽물이 국수 형태로 세단되면, 이 국수 형태의 반죽물을 커터가 알맞은 길이로 자동 절단하므로, 생면을 절단하기 위한 인력을 배제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And, the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dough machine, when the dough material of the dough machine is cut in the form of noodles, since the cutter automatically cuts the dough in the form of a suitable length, to eliminate the manpower for cutting raw noodles There is also an effect.

또한, 생면제조장치는, 건조기가 스팀에 의하여 가열된 반죽물을 냉각시키는 동시에 알맞은 상태로 건조시키므로, 생면의 점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raw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has an effect of further strengthening the viscosity of the raw noodles since the dryer cools the dough heated by steam and at the same time dries in a suitable stat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반죽기 및 생면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neader and a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압연기 및 국수성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lling mill and a noodle molding machine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반죽기 12 : 반죽통10: kneader 12: kneading bin

16 : 교반축 20 : 사출기16: stirring shaft 20: injection machine

22 : 사출호퍼 24 : 사출스크류22: injection hopper 24: injection screw

30 : 국수성형기 32 : 케이스30: noodle molding machine 32: case

34 : 커팅샤프트 40 : 커터34: cutting shaft 40: cutter

42 : 지지롤러 44 : 평판날42: support roller 44: flat blade

50 : 압연기 60 : 이송컨베이어50: rolling mill 60: transfer conveyor

70 : 건조기70: dryer

Claims (19)

곡분을 반죽하는 반죽기에 있어서, In the kneader kneading flour, 곡분을 투입하는 투입도어(12a) 및, 투입된 곡분이 반죽되면, 이를 배출하는 배출도어(12b)를 가지며, 사방이 밀폐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반죽통(12)과;An input door 12a for injecting grain flour and a dough door 12b for discharging the input grain flour, and a discharge door 12b for discharging the grain flour; 상기 반죽통(12)에 투입된 곡분의 반죽을 위하여, 준비된 배합수를 반죽통(12)에 공급하는 배합수공급유닛과; A blending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prepared blending water to the kneading container 12 for kneading of the flour added to the kneading container 12; 상기 반죽통(1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돌출된 복수개의 교반날개(16a)를 가지며, 회전하면서 반죽통(12)의 곡분 및 배합수를 반죽하여 반죽물을 생성하는 교반축(16)과;It is rota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kneading container 12, and has a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16a) protrud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tirring to knead the flour and blending water of the kneading container 12 while rotating to produce a dough A shaft 16; 상기 교반축(16)을 축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stirring shaft 16 to an axis center; 상기 반죽통(12)의 반죽물(P)을 즉석에서 강제로 숙성시키는 숙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Kneading means comprising a; aging means for forcing the dough (P) of the dough container (12) on the fly forci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통(12)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ough container 12, 상기 배출도어(12b)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며,Further comprising;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door (12b),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배출도어(12b)에 일체로 연결되고, 신축하면서 배출도어(12b)를 개폐시키는 실린더(C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e cylinder (CR)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door (12b),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door (12b) while stretching; Knea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ging means, 상기 반죽통(12)의 반죽물(P)이 증숙되도록, 고온의 스팀을 반죽통(12)에 공급하는 스팀공급유닛;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 A steam supply unit for supplying hot steam to the kneading container 12 so that the kneading material P of the kneading container 12 is steamed; Knea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반죽통(12)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서, 반죽통(12)의 반죽물(P)을 팽창 및 수축시키면서, 반죽물(P)의 기포를 제거하는 동시에 반죽물(P)을 숙성시키는 진공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By forcibly discharging the air of the dough container 12, while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dough (P) of the dough container 12, while removing the air bubbles of the dough (P) at the same time to mature the dough (P) Knead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vacuum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수단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ging means, 상기 반죽통(12)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서, 반죽통(12)의 반죽물(P)을 팽창 및 수축시키면서 반죽물(P)을 숙성시키는 진공유닛;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A vacuum unit for forcibly discharging the air of the dough container 12 to mature the dough P while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dough P of the dough container 12; Knea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곡분을 이용하여 생면을 제조하는 생면제조장치에 있어서,In the cotton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roducing raw noodles using the flour, 배합수를 이용하여 투입된 곡분을 반죽하고, 반죽된 반죽물(P)을 즉석에서 강제로 숙성시키는 반죽기(10)와;A kneading machine (10) for kneading the added flour using the blended water and forcing the kneaded dough (P) to be aged on the fly; 상기 반죽기(10)로부터 반죽물(P)을 공급받으며, 이 반죽물(P)을 가압하여 판상으로 배출하는 사출기(20)와;An injection machine (20) which receives the dough (P) from the dough machine (10), pressurizes the dough (P) and discharges it into a plate; 상기 사출기(20)에서 공급되는 판상의 반죽물(P)을 수직으로 분할하여, 국수를 성형하는 국수성형기(30) 및;Noodle molding machine 30 for vertically dividing the plate-shaped dough (P) supplied from the injection machine 20, to form noodles; 상기 국수성형기(30)에서 성형된 국수를 가압하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And a cutter (40) for pressing the noodle shaped by the noodle forming machine (30) and cutting the noodle into a predetermined length.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기(10)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ough machine 10, 곡분을 투입하는 투입도어(12a) 및, 투입된 곡분이 반죽되면, 이를 배출하는 배출도어(12b)를 가지며, 사방이 밀폐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반죽통(12)과;An input door 12a for injecting grain flour and a dough door 12b for discharging the input grain flour, and a discharge door 12b for discharging the grain flour; 상기 반죽통(12)에 투입된 곡분의 반죽을 위하여, 준비된 배합수를 반죽통(12)에 공급하는 배합수공급유닛과; A blending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prepared blending water to the kneading container 12 for kneading of the flour added to the kneading container 12; 상기 반죽통(1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돌출된 복수개의 교반날개(16a)를 가지며, 회전하면서 반죽통(12)의 곡분 및 배합수를 반죽하여 반죽물을 생성하는 교반축(16)과;It is rota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kneading container 12, and has a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16a) protrud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tirring to knead the flour and blending water of the kneading container 12 while rotating to produce a dough A shaft 16; 상기 교반축(16)을 축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stirring shaft 16 to an axis center; 상기 반죽통(12)의 반죽물(P)을 즉석에서 강제로 숙성시키는 숙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Raw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aging means for forcing the dough (P) of the dough container (12) on the fly forcibl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통(12)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ough container 12, 상기 배출도어(12b)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며,Further comprising;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door (12b),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배출도어(12b)에 일체로 연결되고, 신축하면서 배출도어(12b)를 개폐시키는 실린더(C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e cylinder (CR)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door (12b),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door (12b) while stretching; Raw noodles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수단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ging means, 상기 반죽통(12)의 반죽물(P)이 증숙되도록, 고온의 스팀을 반죽통(12)에 공급하는 스팀공급유닛;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 A steam supply unit for supplying hot steam to the kneading container 12 so that the kneading material P of the kneading container 12 is steamed; Raw noodles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반죽통(12)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서, 반죽통(12)의 반죽물(P)을 팽창 및 수축시키면서, 반죽물(P)의 기포를 제거하는 동시에 반죽물(P)을 숙성시키는 진공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By forcibly discharging the air of the dough container 12, while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dough (P) of the dough container 12, while removing the air bubbles of the dough (P) at the same time to mature the dough (P) Cotton manufactur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vacuum un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수단은,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ging means, 상기 반죽통(12)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서, 반죽통(12)의 반죽물(P)을 팽창 및 수축시키면서 반죽물(P)을 숙성시키는 진공유닛;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A vacuum unit for forcibly discharging the air of the dough container 12 to mature the dough P while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dough P of the dough container 12; Raw noodles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기(20)는,According to claim 6, The injection machine 20, 상기 반죽기(10)로부터 반죽물(P)이 투입되고, 일측에는 투입된 반죽물(P)을 배출시키는 동시에, 반죽물(P)을 판상으로 성형하는 장방형의 배출공(22a)을 갖는 사출호퍼(22)와;The dough (P) is introduced from the kneading machine (10), the discharge hopper having a rectangular discharge hole (22a) for molding the dough (P) into a plate shape while discharging the injected dough (P) on one side ( 22); 상기 사출호퍼(22)에 수평방향으로 내장되어, 회전하면서 사출호퍼(22)에 투입된 반죽물(P)을 상기 사출호퍼(22)의 배출공(22a)으로 밀어내는 사출스크류(24) 및;An injection screw 24 embedded in the injection hopper 22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rotating the dough P injected into the injection hopper 22 into the discharge hole 22a of the injection hopper 22 while rotating; 상기 사출스크류(24)를 구동시키는 스크류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And a screw drive means for driving the injection screw (2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국수성형기(30)는,According to claim 6, The noodle molding machine 30, 케이스(32)와;A case 32; 상기 케이스(32)의 내부에 서로 외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평행을 취하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판상의 반죽물(P)을 국수 형태로 분할하는 나사산 형태의 커팅날(34a)을 갖는 한쌍의 커팅샤프트(34) 및;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side the case 32 while being rotatably fixe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s a thread-shaped cutting edge 34a for dividing the plate-shaped dough P into noodles. A pair of cutting shafts 34; 상기 커팅샤프트(34)를 회전시키는 샤프트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And a shaft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cutting shaft (3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40)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utter 40, 상기 국수성형기(30)에서 성형된 국수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42)와;A support roller 42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noodle shaped in the noodle forming machine 30; 상기 지지롤러(42)에 대향상태로 수평 설치되어, 타측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며, 편축회전시 일단부가 지지롤러(42)에 밀착하면서 성형된 국수를 절단하는 평판날(44) 및;A flat blade 44 installed horizontally in an opposite state to the support roller 42 to rotate uniaxially about the other side, and cut the shaped noodles while one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roller 42 during single-axis rotation; 상기 평판날(44)을 편축회전시키는 편축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And a single-axis rotating means for single-axis rotating the plate blade (44).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반죽기(10)나 사출기(20)에 의한 반죽물(P)을 판상의 상태로 가압하면서 재차 반죽하여 상기 커터(40)로 공급하는 압연기(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The rolling mill 50 for kneading again while supplying the dough (P) by the kneading machine 10 or the injection machine 20 in a plate-like state and supplied to the cutter 40;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사출기(20)나 국수성형기(30)에 의한 반죽물(P)을 상기 커터(40)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And a conveying conveyor (60) for conveying the dough (P) by the injection machine (20) or the noodle forming machine (30) to the cutter (40). 제 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이송컨베이어(60)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어, 상기 사출기(20)나 국수성형기(30)에서 공급되는 반죽물(P)을 지그제그 형태로 왕복시키면서 이송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The conveying conveyor 60 is stacked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th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transport while reciprocating the dough (P) supplied from the injection machine 20 or the noodle forming machine 30 in a zigzag form Cotton noodle manufacturing device.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사출기(20)나 국수성형기(30)에 의한 반죽물(P)에 공기를 송풍하여, 반죽물(P)을 건조시키는 건조기(70);를 더 포함하며,And a dryer (70) for drying the dough (P) by blowing air into the dough (P) by the injection machine (20) or the noodle forming machine (30). 상기 건조기(7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60)에 공기를 송풍하여, 이송컨베이어(60)상의 반죽물(P)을 건조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생면제조장치. The dryer (70) is a cotton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dry the dough (P) on the conveying conveyor 60 by blowing air to the conveying conveyor (60).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사출기(20)나 국수성형기(30)에 의한 반죽물(P)에 공기를 송풍하여, 반죽물(P)을 건조시키는 건조기(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면제조장치.And a dryer (70) for blowing air to the dough (P) by the injection machine (20) or the noodle molding machine (30) to dry the dough (P).
KR20-2005-0003892U 2005-02-14 2005-02-14 Paste machine and noodle manufaturing apparatus therewith KR20038422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892U KR200384226Y1 (en) 2005-02-14 2005-02-14 Paste machine and noodle manufaturing apparatus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892U KR200384226Y1 (en) 2005-02-14 2005-02-14 Paste machine and noodle manufaturing apparatus therewith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884A Division KR20060091364A (en) 2005-02-14 2005-02-14 Paste machine and noodle manufaturing apparatus therewi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226Y1 true KR200384226Y1 (en) 2005-05-12

Family

ID=4368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892U KR200384226Y1 (en) 2005-02-14 2005-02-14 Paste machine and noodle manufaturing apparatus therewi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226Y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578B1 (en) * 2015-05-15 2015-12-04 신화에프엠주식회사 Continuous mix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aste using countinous mixer
KR101868137B1 (en) * 2017-11-15 2018-06-18 최환희 Processed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dough sheet m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ereal processed food using the same
KR101888795B1 (en) * 2017-11-15 2018-08-14 최환희 Continuous extrusion type dough sheet molding machine and raw noodle manufactur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180113034A (en) 2017-04-05 2018-10-15 이주현 Wheat flouring device
KR102029592B1 (en) 2018-07-25 2019-11-08 이주현 Aged noodle manufacturing method using vacuum chamber and degassed water etc.
KR20200099338A (en) * 2019-02-14 2020-08-24 박재식 A cutting device of noodle making machine
KR20200104970A (en) * 2019-02-27 2020-09-07 주식회사 오리온 Cutting Apparatus and Mix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578B1 (en) * 2015-05-15 2015-12-04 신화에프엠주식회사 Continuous mix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aste using countinous mixer
KR20180113034A (en) 2017-04-05 2018-10-15 이주현 Wheat flouring device
KR101996715B1 (en) 2017-04-05 2019-10-01 이주현 Wheat flouring device
KR101868137B1 (en) * 2017-11-15 2018-06-18 최환희 Processed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dough sheet m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ereal processed food using the same
KR101888795B1 (en) * 2017-11-15 2018-08-14 최환희 Continuous extrusion type dough sheet molding machine and raw noodle manufactur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2029592B1 (en) 2018-07-25 2019-11-08 이주현 Aged noodle manufacturing method using vacuum chamber and degassed water etc.
KR20200099338A (en) * 2019-02-14 2020-08-24 박재식 A cutting device of noodle making machine
KR102156491B1 (en) * 2019-02-14 2020-09-15 박재식 A cutting device of noodle making machine
KR20200104970A (en) * 2019-02-27 2020-09-07 주식회사 오리온 Cutting Apparatus and Mix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242717B1 (en) * 2019-02-27 2021-04-21 주식회사 오리온 Cutting Apparatus and Mix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4226Y1 (en) Paste machine and noodle manufaturing apparatus therewith
US5126159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ough, particularly for paste products
US5186539A (en) Mixing kneader device and method for this production of dough, particularly for pasta
US6338867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aste products
JP2772200B2 (en) Method for producing pre-cooked cereal food
KR100987991B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rice noodl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987765B1 (en) Apparatus for fry laver
KR20060091364A (en) Paste machine and noodle manufaturing apparatus therewith
JP6443911B2 (en) Vacuum extrusion molding equipment for food
RU2370104C2 (en) Pasta production method
US52729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heet of dough
US51821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heet of dough
RU2005379C1 (en) Kneading device and dough paste production method
KR102665521B1 (en)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KR20200015130A (en) Rolling unit for tortilla dough
KR102050996B1 (en) Processed food including oat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hereof
JPS58190347A (en) Production of bread crumb
JPH0378981B2 (en)
KR102381820B1 (en) System for manufacturing rice cake
JP7029824B2 (en) Packaged food molding method and equipment
KR102592422B1 (en) Method for producing not hardened rice cake and rice cake produced by the same
RU2221454C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of macaroni products
KR101033110B1 (en) A flouring method of rice
JP7146304B2 (en) Wrapped food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JPH09154521A (en) Production of bread crum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