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124Y1 -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124Y1
KR200384124Y1 KR20-2005-0004491U KR20050004491U KR200384124Y1 KR 200384124 Y1 KR200384124 Y1 KR 200384124Y1 KR 20050004491 U KR20050004491 U KR 20050004491U KR 200384124 Y1 KR200384124 Y1 KR 200384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urrent
unit
load
tri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이티
Priority to KR20-2005-0004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1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1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02M1/083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for the ignition at the zero crossing of the voltage or the curr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3Modifications for switching at zero cross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8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 H03K17/795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controlling bipolar transistors
    • H03K17/7955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controlling bipolar transistors using photo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가 개시된다. 접속단자부는 복수의 접속단자로 구성되며, 교류전원과 부하가 직렬연결된다. 영점검출부는 교류전원의 영점을 검출하여 영점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칭부는 소정의 트라이악 제어신호를 기초로 부하의 온오프 절환동작을 수행한다. 전원공급부는 부하로의 전원공급이 단절되는 시간동안 교류전류을 정류하여 소정 레벨의 직류전류를 출력한다. 제어부는 교류전원과 부하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부하에 대한 전원공급명령이 입력되면 영점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점검출신호에 대응하는 트라이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의 온오프 절환동작을 제어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보다 많은 양의 전류를 회로에 공급할 수 있고, 교류전원과 직류 전원의 전기적인 절연을 통한 회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for switch}
본 고안은 스위치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크장치, 홈 오토메이션장치, 홈 방범/방재장치 등에 사용되는 다기능 원격제어 스위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장치, 홈 오토메이션장치, 홈 방범/방재장치 등의 장치들에는 단순한 장치의 온오프상태의 절환기능뿐만 아니라 스위치동작의 원격제어, 장치상태에 따른 장치의 온오프여부에 대한 판단, 장치상태정보의 수집/보고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구현된 다기능 스위치가 사용된다. 다기능 원격제어 스위치는 능동적인 스위칭동작 및 장치의 제어를 위해 장치의 온오프동작만을 수행하는 스위치에 비해 보다 큰 용량의 전원의 공급을 요구한다. 이와 같은 다기능 원격제어 스위치에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 기존에는 별도의 전원선을 추가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과 회로 개폐용 스위치 선만을 사용한 콘덴서 충전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건물과 가옥의 구조가 매립형 스위치에 회로 개폐를 위한 두개의 선밖에 시공되어 있지 않으므로, 기존 건물에 별도의 전원선을 추가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원선을 추가로 시공하여야 한다. 또한, 신축건물의 경우에도 별도의 전원선을 추가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위치용 전원선을 추가하여야 하므로 건축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반적인 전기전자 회로의 전원 공급을 위해서는 Line과 Neutral이라는 전원 공급선을 필요로 하는데 대부분의 댁내 또는 건물 내부의 조명등용 스위치에는 회로 개폐를 위한 Line이나 Neutral중 하나의 선만 배선되어 있다. 하나의 선만을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단순 기능성 스위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원공급방식은 콘덴서 충전방식이다. 도 1에는 콘덴서 충전방식을 사용한 전원공급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콘덴서 충전방식을 사용한 전원공급회로는 부하인 실내등이 소등되어 있을 때는 부하의 고유저항값에 의하여 제한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부하인 실내등이 점등되어 있을 때는 교류전원의 위상각을 적절히 이용하여 회로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나 이러한 콘덴서 충전방식은 10mA이하의 적은 전류를 공급하는 용도로는 사용될 수 있으나, 수 10mA 내지 100mA 정도의 많은 전류를 공급해야 하는 다기능 스위치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조명등용 교류전원과 회로에서 사용되는 직류전원이 절연(isolation)이 되어 있지 않으므로, 과전압, 과전류 발생시 회로가 파손되는 문제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 시에 효율이 낮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회로 개폐용 스위치 선만을 이용하여 다기능 원격제어 스위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안정적으로 만들어 내는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는, 복수의 접속단자로 구성되며, 교류전원과 부하가 직렬연결되는 접속단자부; 상기 접속단자부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영점(zero crossing point)을 검출하여 영점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영점검출부; 소정의 트라이악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부하의 온오프 절환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부하로의 전원공급이 단절되는 시간동안 상기 접속단자부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류을 정류하여 소정 레벨의 직류전류를 출력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접속단자부에 상기 교류전원과 부하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부하에 대한 전원공급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영점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점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트라이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온오프 절환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접속단자부를 통해 공급되는 제1교류전류을 정류하여 제1직류전류를 출력하는 제1정류기; 상기 제1직류전류에 의해 구동되어, 전압은 높고 전류는 낮은 제1상태와 전압은 낮고 전류는 높은 제2상태 사이를 반복적으로 스위칭하여 제2교류전류를 생성하는 스위칭소자; 상기 제2교류전류의 크기를 변화시켜 제3교류전류를 출력하는 트랜스포머; 및 상기 제3교류전류를 정류하여 제2직류전류를 출력하는 제2정류기;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보다 많은 양의 전류를 회로에 공급할 수 있고, 교류전원과 직류 전원의 전기적인 절연을 통한 회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로서 다기능 원격제어 스위치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고 스위치의 버튼 신호, 적외선 유선 무선 전력선 통신 등으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조명등, 환기장치 등의 부하를 개폐하는 회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200)는 접속단자부(210), 영점검출부(220), 스위칭부(230), 전원공급부(240), 및 제어부(250)를 구비한다.
접속단자부(210)는 복수의 접속단자(P1, P2)로 구성되며, 교류전원과 부하가 연결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200)와 부하(LAMP)는 직렬로 연결된다.
영점검출부(220)는 접속단자부(210)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영점(zero crossing point)를 검출한다. 영점검출부(220)는 영점검출기(U2), 복수의 저항(R1, R2), 및 포토커플러(SO1)로 구성된다. 영점검출기(U2)는 교류전원의 위상이 0가 되는 시점에 소정의 영점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그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영점검출기(U2)로부터 출력된 영점검출신호는 저항(R1)을 거쳐 포토커플러(SO1)에 입력된다. 포토커플러(ISO1)는 교류회로부분과 직류회로부분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면서 영점검출신호를 직류회로부분으로 전달한다. 포토커플러(ISO1)의 직류회로부분에는 동작전원(VCC)에 접속되어 있는 저항(R2)이 연결되어 있으며, 포토커플러(ISO1)를 통해 교류회로부분으로부터 직류회로부분으로 전달된 영점검출신호는 제어부(250)로 입력된다. 제어부(250)로 입력된 영점검출신호는 추후 제어부(250)에 의한 트라이악(QA1)의 제어에 사용된다.
스위칭부(230)는 제어부(25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기초로 부하(LAMP)의 온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스위칭부(230)는 트라이악(QA1), 저항(R3), 포토커플러(ISO2), 저항(R4)로 구성된다. 트라이악(QA1)은 포토커플러(ISO2)를 통해 제어부(250)로부터 입력되는 트라이악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부하(LAMP) 및 전원공급부(240)에 선택적으로 교류전원을 공급한다. 트라이악(QA1)과 포토커플러(ISO2)사이에 위치하는 저항(R3)은 포토커플러(ISO2)를 통해 전달된 제어신호의 레벨을 트라이악(QA1)에 적합하도록 조정한다. 포토커플러(ISO2)는 직류회로부분과 교류회로부분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면서 트라이악 제어신호를 직류회로부분으로부터 교류회로부분으로 전달한다.
전원공급부(240)는 트라이악(QA1)이 오프되어 있는 동안에 입력받은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스위칭 전원공급장치(200)에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트라이악(QA1)이 온되어 있는 동안에는 진원공급부(240)으로 교류전원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부(240)는 브리지정류회로(D2), 복수의 콘덴서(C1, C2, C3), 스위칭소자(U1), 트랜스포머(TF), 및 다이오드(D5)로 구성된다. 브리지정류회로(D2)의 네개 단자(a, b, c, d) 중 두개 단자(a, b)는 트라이악(QA1)의 양단에 연결되고, 나머지 두개 단자(c, d)는 개패시터(C1)의 양단에 연결된다. 브리지정류회로(D2)와 병렬연결된 평활콘덴서(C1)는 정류된 전류의 리플을 제거하며, 평활콘덴서(C1)에 의해 평활화된 전류는 스위칭소자(U1)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트랜스포머(TF)의 1차측으로부터 2차측으로 전달된다. 트랜스포머(TF)의 2차측으로 전달된 전류는 정류다이오드(D2)와 평활콘덴서(C3)에 의해 안정적인 직류전원으로 변환되어 출력콘덴서(C3)를 통해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200)에 직류전원(VCC)를 공급한다.
제어부(250)는 스위치에 구비된 버튼의 동작에 따른 부하(LAMP)의 점멸제어신호, 적외선·유선·무선·전력선 통신 등으로부터 부하(LAMP)의 점멸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영점검출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영점검출신호에 대응하는 트라이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트라이악(QA1)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레벨 조절신호 또는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200)의 소비전류값에 대응하여 트라이악 제어신호의 펄스폭을 조절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200)에 직렬로 부하(LAMP)가 직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스위치의 모든 기능은 초기상태를 유지한다. 초기상태는 부하(LAMP)의 온오프용 스위치 버튼은 오프상태이고 외부로부터 스위치용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경우, 제어부(250)로부터 스위칭부(2430)로 트라이악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포토커플러(ISO2)는 동작하지 않는다. 포토 커플러(ISO2)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트라이악(QA1)은 턴오프(Turn OFF) 상태이다. 도 3의 (1)번 그림은 트라이악(QA1)의 턴오프(Turn OFF)시 트라이악(QA1) 양단의 교류전원 파형이다. 트라이악(QA1) 양단의 교류전원 파형은 부하에 의해 제한되는 전류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교류 전원 파형과 동일하다. 트라이악(QA1)의 턴오프(Turn OFF)시 부하(LAMP)의 고유 저항값에 의하여 제한되는 전류가 전원공급부(240)에 공급된다. 이 전류는 전원공급부(240)의 브리지정류기(D2)와 평활콘덴서(C1)에 의해 정류된다. 정류된 전원은 스위칭소자(U1)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트랜스포머(TF)의 1차측 전원을 2차측으로 전달되며, 정류다이오드(D2)와 평활콘덴서(C3)에 의해 스위치 회로용 직류전류로서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200)의 직류전원으로 제공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200)에 전원이 공급되어 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제어부(250)는 스위치에 구비된 버튼의 동작에 따른 부하(LAMP)의 점멸제어신호, 적외선·유선·무선·전력선 통신 등으로부터 부하(LAMP)의 점멸제어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50)는 영점검출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영점검출신호를 기초로 파악된 교류전원의 영점(Zero Crossing point)에 맞추어 트라이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230)에 제공한다. 도 3의 (2)번 그림은 영점검출신호의 파형이다. 제어부(250)로부터 스위칭부(230)로 입력된 트라이악 제어신호는 포토커플러(ISO2)를 동작시키고 포토커플러(ISO2)는 트라이악(QA1)을 턴온(Turn ON) 시킨다.
한편, 도 3의 (3)번 그림은 영점검출신호를 기초로 부하의 제한 전류와 스위치 회로의 소비전류를 감안하여 제어부(250)가 생성한 트라이악 제어신호로서 T1은 트라이악(QA1)의 턴온(Turn ON) 시간이고, T2는 트라이악(QA1)의 턴오프(Turn OFF) 시간이다. T1과 T2의 길이는 부하의 제한 전류와 스위치 회로의 소비전류에 따라 제어부(250)에 의해 조절된다. 트라이악(QA1)의 턴오프 시간(T2)의 조절을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200)는 스위치 회로의 소비전류 측정장치(미도시)를 부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50)는 소비전류 측정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치 회로의 소비전류값에 따라 트라이악(QA1)의 턴오프 시간(T2)을 조절하기 위해 아래의 표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라이악(QA1)이 각각의 소비전류값에 대응하는 턴오프 시간(T2)을 갖도록 하는 트라이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표 1에는 스위치 회로의 소비전류별로 트라이악(QA1)의 턴오프 시간(T2)의 변화에 따른 직류전압 변동량이 기재되어 있다.
번호 스위치소비전류(㎃) 턴오프 시간(T2)의 에 따른 직류전압 변동량
T0 T0-240㎲ T0-480㎲ T0-720㎲
1 104 10.76 10.90 10.99 11.08
2 95 10.90 11.07 11.18 11.25
3 87 11.07 11.29 11.36 11.46
4 79 11.13 11.34 11.58 11.71
5 70 11.56 11.73 11.85 12.00
6 61 11.82 12.05 12.19 12.30
7 51 12.20 12.37 12.48 12.58
8 42 12.56 12.69 12.81 12.90
표 1에서 T0는 트라이악(QA1)의 턴오프 시간(T2)에 대한 기본값으로 1.2㎳로 주어진다. 표 1을 참조하면, 스위치 회로의 소비전류가 10㎃ 증가할 때마다 트라이악(QA1)의 턴오프 시간(T2)를 240㎲씩 줄이면 DC 12V의 일정한 전압레벨(출력전압 변동율을 ±5%로 제한하는 경우)을 갖는 출력전원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출력전류의 조정은 부하(LAMP)의 점등시 트라이악(QA1)의 턴오프 시간(T2), 회로 소비전류, 전원공급장치의 효율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도 3의 (4)번 그림은 트라이악(QA1)에 의해 제어되는 부하 구동용 전원 파형으로 ①번 영역(즉, 점선 내부의 파형)은 부하를 제어하는 교류 파형이고, ②번 영역은 트라이악(QA1) 양단의 파형으로 이 신호는 전원공급부(240)의 브리지정규기(D2)에 공급되는 파형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는 스위칭 방식을 사용하여 스위치 회로에 공급하는 직류전원을 출력한다. 이 때, 스위칭 방식의 전원공급장치가 종래의 Linear 또는 콘덴서 충전방식보다 효율이 높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 4에는 종래의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전원공급장치의 전류제한회로가 Linear 전원공급장치용 프랜스포머이고, 세개의 다이오드(D2, D3, D4)를 제외하면 도 4에 도시된 전원공급장치는 Linear 전원공급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이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전류제한회로가 저항, 인덕터, 콘덴세,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FET 등의 수동소자로 구성되면 도 4에 도시된 전원공급장치는 콘덴서 충전방식을 채용한 전원공급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이 된다.
먼저, Linear 전원공급장치는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여 1차측과 2차측의 권선비에 따라 출력 전원을 얻는 방식을 채용한다. 이 때, 입력 전압이 변할 경우 출력 전압이 큰 폭으로 변하므로 입력 전압의 변화폭을 예상하여 원하는 출력전압보다 높은 출력이 나오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DC 5V, 100mA의 안정된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DC 12V, 100mA의 출력이 나오도록 트랜스포머를 설계해야 한다. 트랜스포머가 이상적일 경우 출력은 1200mW이나 실제 출력은 500mW이므로 700mW가 소자의 열로 소비된다. 즉, 효율은 42%이다. 결국, Linear 전원공급장치는 트라이악이 턴온되었을 때의 입력전압이 현저히 낮아지므로 원하는 출력을 얻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Linear 전원공급장치는 입력전압변동이 작은 회로에 적합하다.
다음으로, 콘덴서 충전방식의 전원공급장치는 전압을 낮추기 위한 소자들(D2,D3,D4,U1)의 소비전류로 인해 Linear 전원공급장치보다 효율이 매우 낮다. 일반적인 경우 AC 110/220V가 Line과 Neutral 사이에 인가되므로 전류제한회로는 내부 소자(D2,D3,D4,U1)의 동작범위 내에서 적절히 제한되어 적은 양의 전류가 흐르도록 설계할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D1의 양단에 인가되는 AC전원을 AC 220V, 10mA로 전류제한회로에 인가하면 이 전원은 D1에 의해 정류되어 전압조정회로(D2,D3,D4,U1)에 전달된다. U1출력을 DC 5V, 10mA로 출력한다면 U1의 입력 전압은 DC 12V정도로 조정되어야 한다. 이 때, DC 12V를 제외한 잉여전압과 전류 10mA는 전류제한회로와 전압조정부(D2,D3,D4,U1)에 의해 열로 소모된다. 콘덴서 C1에 충전된 전류는 콘덴서의 용량에 따른 순시전류이므로 짧은 순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5V, 10mA를 출력하기 위해서 AC 220V, 10mA가 인가되므로 2150mW가 소비되고 효율은 2%정도이다. 한편, 트라이악의 턴온시에는 인가되는 전압이 낮아져 효율이 올라가나 기본적으로 수십 Volt 정도의 전압이 발생하도록 트라이악을 턴오프시키기 때문에 효율이 많이 높아지지는 않는다.
이와 달리, 스위칭 방식을 채용한 전원공급장치는 수십~수백 KHz까지의 고주파 스위칭 주파수를 이용하는데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부(240)와 같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한 후 스위칭 소자(U1)에 의해 이루어지는 스위칭 동작인 cutoff(전압은 높고 전류는 없음)와 saturation(전압은 매우 낮고 전류는 매우 높음)을 반복하여 발생한 교류전력을 출력측에 전달하고 출력측은 정류와 평활 과정을 통하여 이를 직류로 변환한다. 이 때, 출력측의 전류소비에 따른 전압을 감지하여 소비전류가 클 경우 전압이 낮아지면 Saturation 시간을 늘리고, 소비전류가 줄어들어 전압이 정상을 회복하면 cutoff시키는 방법으로 일정한 출력전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스위칭 방식의 경우 스위칭 소자의 턴온/턴오프 시간을 조절하여 출력 전압을 유지하기 때문에 출력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소자의 전류 소비를 낮추어 높은 효율의 전력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위칭 방식의 효율은 65%~90%로 설계방법에 따라 다르나 종래의 전원공급장치보다 높은 효율을 올릴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Linear 방식이나 콘덴서 충전방식에 비해 효율이 좋은 스위칭모드 전원공급(Switching Mode Power Supply : SMPS)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전류를 회로에 공급할 수 있고, 교류전원과 직류 전원의 전기적인 절연을 통한 회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교류 전원과 직류전원의 절연을 통해 안전하고 높은 효율의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부하와 회로 전류의 관계를 고려한 전류 용량 조절을 통해 일반 스위치를 대체해서 사용할 때 제어기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별도로 추가 시공하는 어려움이 없이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덴서 충전방식을 사용한 전원공급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트라이악(QA1)의 턴오프(Turn OFF)시 트라이악(QA1) 양단의 교류전원 파형, 영점검출신호의 파형, 영점검출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트라이악 제어신호의 파형, 및 트라이악(QA1)에 의해 제어되는 부하 구동용 전원 파형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종래의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4)

  1. 복수의 접속단자로 구성되며, 교류전원과 부하가 직렬연결되는 접속단자부;
    상기 접속단자부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영점(zero crossing point)을 검출하여 영점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영점검출부;
    소정의 트라이악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부하의 온오프 절환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부하로의 전원공급이 단절되는 시간동안 상기 접속단자부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류을 정류하여 소정 레벨의 직류전류를 출력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접속단자부에 상기 교류전원과 부하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부하에 대한 전원공급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영점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점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트라이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온오프 절환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접속단자부를 통해 공급되는 제1교류전류을 정류하여 제1직류전류를 출력하는 제1정류기;
    상기 제1직류전류에 의해 구동되어, 전압은 높고 전류는 낮은 제1상태와 전압은 낮고 전류는 높은 제2상태 사이를 반복적으로 스위칭하여 제2교류전류를 생성하는 스위칭소자;
    상기 제2교류전류의 크기를 변화시켜 제3교류전류를 출력하는 트랜스포머; 및
    상기 제3교류전류를 정류하여 제2직류전류를 출력하는 제2정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레벨 조절신호 또는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의 소비전류값에 대응하여 상기 트라이악 제어신호의 펄스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의 소비전류값이 증가하면 상기 트라이악의 턴오프 시간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트라이악 제어신호의 펄스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점검출부 및 상기 스위칭부는 포토커플러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
KR20-2005-0004491U 2005-02-19 2005-02-19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 KR200384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491U KR200384124Y1 (ko) 2005-02-19 2005-02-19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491U KR200384124Y1 (ko) 2005-02-19 2005-02-19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124Y1 true KR200384124Y1 (ko) 2005-05-11

Family

ID=4368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491U KR200384124Y1 (ko) 2005-02-19 2005-02-19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1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830B1 (ko) 2006-01-12 2008-02-22 유영만 스위칭 장치
WO2011043599A2 (ko) * 2009-10-09 2011-04-14 Choi Byeonggwan 무선 및 터치 겸용 조명스위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830B1 (ko) 2006-01-12 2008-02-22 유영만 스위칭 장치
WO2011043599A2 (ko) * 2009-10-09 2011-04-14 Choi Byeonggwan 무선 및 터치 겸용 조명스위치장치
WO2011043599A3 (ko) * 2009-10-09 2011-09-09 Choi Byeonggwan 무선 및 터치 겸용 조명스위치장치
KR101117664B1 (ko) * 2009-10-09 2012-03-07 최병관 무선 및 터치 겸용 조명스위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7154B2 (en) Electrical circuit for delivering power to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P1483833B1 (en) Three-terminal, low voltage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ler ic
CA2521211C (e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capacitor input for a wide range of ac input voltages
JP295668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の切換運転回路
JP2917871B2 (ja) 無停電性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US6388902B1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WO2022007696A1 (zh) 一种低待机功耗照明电路及照明灯具
CN102971955A (zh) 具有减小的功率损失的电源系统、电子设备以及控制器
KR200384124Y1 (ko) 스위치용 전원공급장치
KR101514520B1 (ko) 전원 공급 장치
JP6513546B2 (ja) Led電源装置
CN211127146U (zh) 一种智能多路触摸单火开关的控制电路及开关
CN209930150U (zh) 温控腰带的电源电路
WO2022194400A1 (en) Dali power supply and current limiters for the same
EP13722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US voltage stress in a single-stage single switch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CA2325592C (en) Power supply with multiple ac input voltages
KR102661090B1 (ko) 하이브리드 스위치 제어 장치
KR102490634B1 (ko) 과열방지 기능 및 디밍시 역률보정 기능을 갖는 led 램프용 컨버터 회로
JP3008800B2 (ja) 直流ー直流変換器
CN212057491U (zh) 加热系统
Lohaus et al. An advanced control device for intelligent lighting in DLT-systems
JP200110374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898518A (ja) トランスレス直流電源回路
JP200813173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11207442A (zh) 加热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