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100Y1 - Roping structure of elevator - Google Patents

Roping structure of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100Y1
KR200384100Y1 KR20-2005-0004160U KR20050004160U KR200384100Y1 KR 200384100 Y1 KR200384100 Y1 KR 200384100Y1 KR 20050004160 U KR20050004160 U KR 20050004160U KR 200384100 Y1 KR200384100 Y1 KR 200384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elevator
hoistway
elevator car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16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종대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4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10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100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7Shoes, sli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에 관한 것으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용 박형 권상기를 카와 중첩이 되지 않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소정 구조로 로핑을 행하여 대용량 엘리베이터에서도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를 최소화 함과 아울러 충분한 오버헤드 높이를 확보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엘리베이터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승강로의 벽면과 인접한 소정 지점에는 엘리베이터 카와 중첩되지 않도록 박형권상기가 설치되고; 상기 박형권상기가 설치된 벽면 및 그와 대응되는 벽면과 인접한 지점에는 각각 제 1전환풀리 및 제 2전환풀리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권상기에 권취된 로프의 일측은 엘리베이터 카 하부 일측의 제 1현수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제 1전환풀리 및 제 2전환풀리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엘리베이터 카 하부 타측의 제 2현수풀리를 경유하여 승강로 상부의 제 1히치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승강로의 상부 소정 지점에는 제 3전환풀리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권상기에 권취된 로프의 타측은 균형추 상부 일측의 제 3현수풀리를 지나 상기 제 3전환풀리를 경유한 후 상기 균형추 상부 타측의 제 4현수풀리를 지나 승강로 상부의 제 2히치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roping structure, in which an elevator thin hoisting machine without a machine room is placed in a state in which it is not overlapped with a car, so that the roping is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structure to minimize the height of the elevator car even in a large elevator and provide sufficient overhead height. In order to provide an elevator roping structure to ensure that the elevator device can be installed more efficiently, a thin hoist is install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elevator car at a predetermined point adjacent to the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The first switch pulley and the second switch pulley are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where the thin hoist is installed and adjacent to the wall surface corresponding thereto, and one side of the rope wound on the hoist is connected to the first suspension pulley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car.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switch pulley and the second switch pulley sequentially via the second suspension pulley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elevator car is fixed to the first hitch plate of the hoistway; At the upper predetermined point of the hoistway, the third switching pulley is installed, and the other side of the rope wound on the hoisting machine passes the third suspension pulley on one side of the counterweight through the third switching pulley, and the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counterweigh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second hitch plate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past the four-row pulley.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ROPING STRUCTURE OF ELEVATOR}Roping Structure of Elevator {ROPING STRUCTURE OF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되어 승강로 내부의 일정 지점에 효율적으로 권상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rop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roping structure applied to an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machine room so that a hoist can be efficient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int inside a hoistway.

일반적으로, 각종 고층 건물의 내부에는 사람이나 화물 등의 수직방향 이동을 위하여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각종 고층 건물 내부의 일정지점에는 수직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을 위한 승강로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승강로가 형성된 건물의 각 층에는 상기 승강로를 매개로 수직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승객이 선택적으로 호출하여 승ㆍ하차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승강장이 구비된다.In general, the elevator device is installed inside the various high-rise buildings for vertical movement of people, cargo, etc. For this purpose, a lifting path for moving the elevator car in a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int inside the various high-rise buildings. On the other hand, each floor of the building on which the hoistway is formed is provided with a platform which allows passengers to selectively call up and drop off elevator cars moving vertically through the hoistway.

여기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건물의 승강로 내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한 쌍의 카 가이드레일 및 균형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는 상기 각각의 가이드레일에 가이드되면서 승강로 내부를 상하 이동하도록 설치된다.Here, a brief description of the elevator device, a pair of car guide rails and counterweight guide rails are installed in the hoistway of the build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elevator cars and counterweights are guided to the respective guide rails. It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inside the hoistway.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에는 상기 카 가이드레일 및 균형추 가이드레일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카 가이드슈(guide shoes) 및 균형추 가이드슈가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가이드레일 상단부 측에는 지지대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erweight is provided with car guide shoes and counterweight guide shoes, respectively, to be coupled to the car guide rail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respectively, and the support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each guide rail .

또,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의 소정 지점에는 모터와 로프풀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권상기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로프풀리에 권취된 로프를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로프에 연결된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를 각각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n elevator hoist having a motor and a rope pulley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elevator device, and the motor is selectively driven by the control of an elevator control panel according to a user's button operation to move the rope wound on the rope pulley. And thereby raise or lower the elevator car and counterweight,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ope.

한편, 최근에 엘리베이터 장치를 건물에 설치하는데 있어서는 상기 엘리베이터 권상기 및 제어반 등이 설치되는 기계실을 제거함으로서 건물의 건축시에 별도의 기계실을 설계 및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해소함과 더불어, 건물의 증축 및 엘리베이터 유지보수 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가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in installing an elevator device in a building, by eliminating the machine room in which the elevator hoisting machine and the control panel are installed, the problem of having to design and install a separate machine room at the time of building construction, as well as the expansion of the building and the elevator There is a growing trend to install an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machine room that can easily perform maintenance work.

도 1은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로핑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종래 방식의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10)의 용량이 17인승 이상이 되는 대용량인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권상기(30)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그에 따른 제작단가 및 전력소모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권상기(30)가 엘리베이터 카(10)와 중첩되게 되는 구조이므로 그 설치를 위한 오버헤드를 확보해야만 하여 보다 높은 엘리베이터 카(10) 상부의 공간부를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FIG. 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levator roping structure applied to an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conventional machine room. In the conventional method, when the capacity of the elevator car 10 is 17 seats or more, it is shown in FIG. As the volume of the elevator hoist 30 increases, the production cost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elevator hoist 30 increase, and the installation of the hoist 30 overlaps with the elevator car 10. There is a problem that needs to secure the overhead for a higher space in the upper elevator car 10 needs.

한편,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441043호(등록일자; 2004년 07월 09일)를 통하여, 일측이 개방된 대략 그릇 형상의 대경 몸체 중앙에 외측으로 소경 몸체가 돌출 형성되고 이 소경 몸체의 내측 중앙부에 회전축이 돌출되며 대경 몸체의 내주면상에 다수의 회전자가 결합되는 한편 이 대경 몸체의 외주면상에 브레이크 디스크가 돌출 형성된 회전자 프레임과; 상기 회전자 프레임의 회전축상에 끼워지게 중앙부에 주축이 형성되고 그 외주부에 단면 형상이 "ㄷ" 자 형상을 갖는 회전자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를 포함하는 대경 몸체의 외주부가 수용되고 회전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자가 설치되는 고정자 프레임과; 상기 소경 몸체의 외주면에 그 중앙부가 끼워져 회전자 프레임상에 체결되는 권상 시브와; 상기 주축의 외주면과 소경 몸체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자 프레임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재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측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를 제동시키는 브레이크장치와;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엔코더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용 박형 권상기"를 출원한바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pplicant through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0441043 (registration date; July 09, 2004), the small diameter body is protruded to the outside in the center of the large-diameter body of the shape of one side open and the inside of the small diameter body A rotor frame having a rotating shaft protru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and a plurality of rotor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rge diameter body, and a brake disc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rge diameter body; The main shaft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to be fitt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rotor fram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portion of the large diameter body including the rotor is accommodated by forming a rotor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c” shape in cross section at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thereof. A stator frame having a stator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or frame; A hoisting sheave, the center portion of which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mall-diameter body and fastened onto the rotor frame; A bear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shaf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body to rotatably support the rotor frame; A brake device for braking the brake disc by a control signal provided on the brake disc side; It has applied for an "thin hoist for elevator" including an encoder installed at the end of the rotating shaft.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본 고안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용 박형 권상기를 카와 중첩이 되지 않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소정 구조로 로핑을 행하여 대용량 엘리베이터에서도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를 최소화 함과 아울러 충분한 오버헤드 높이를 확보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엘리베이터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speed elevator elevator in a state in which the thin hoist for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is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car in a predetermined structu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roping structure that minimizes the height of the car and secures sufficient overhead height to install the elevator device more efficient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는, 승강로의 벽면과 인접한 소정 지점에는 엘리베이터 카와 중첩되지 않도록 박형권상기가 설치되고; 상기 박형권상기가 설치된 벽면 및 그와 대응되는 벽면과 인접한 지점에는 각각 제 1전환풀리 및 제 2전환풀리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권상기에 권취된 로프의 일측은 엘리베이터 카 하부 일측의 제 1현수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제 1전환풀리 및 제 2전환풀리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엘리베이터 카 하부 타측의 제 2현수풀리를 경유하여 승강로 상부의 제 1히치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승강로의 상부 소정 지점에는 제 3전환풀리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권상기에 권취된 로프의 타측은 균형추 상부 일측의 제 3현수풀리를 지나 상기 제 3전환풀리를 경유한 후 상기 균형추 상부 타측의 제 4현수풀리를 지나 승강로 상부의 제 2히치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ope structur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hin winding machine is installed so as not to overlap the elevator car at a predetermined point adjacent to the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The first switch pulley and the second switch pulley are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where the thin hoist is installed and adjacent to the wall surface corresponding thereto, and one side of the rope wound on the hoist is connected to the first suspension pulley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car.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switch pulley and the second switch pulley sequentially via the second suspension pulley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elevator car is fixed to the first hitch plate of the hoistway; At the upper predetermined point of the hoistway, the third switching pulley is installed, and the other side of the rope wound on the hoisting machine passes the third suspension pulley on one side of the counterweight through the third switching pulley, and the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counterweigh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second hitch plate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past the four-row pulley.

바람직하게, 상기 엘리베이터 카 하부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현수풀리는 상기 권상기의 시브와 거의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지지대의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suspension pulleys installed below the elevator car are arranged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heave of the hoist,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support can be minimized.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슈는 카주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guide shoe is located in the car main so as to minimize the height of the elevator car.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에 현수풀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분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에서 엘리베이터 카에 가이드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분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oping structur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oping structur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car in the roping structur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spension pulley is installed, Figure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shoe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car in the rope structur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는, 승강로(40) 내부의 소정 지점에 엘리베이터 권상기(30)가 설치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승강로(40) 내부 벽면과 인접한 소정 위치에는 엘리베이터 카(10)와 중첩되지 않는 지점에 박형권상기(3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권상기(30)에 권취된 로프(38)는 모터에 축하중 및 구동 토르크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4:1 로핑 구조가 적용된다.The roping structur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levator apparatus having no machine room in which the elevator hoist 3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int inside the hoistway 40, and for this purpose, a predetermined position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hoistway 40 is provided. In the state in which the thin hoist 30 is installed at a point which does not overlap with the elevator car 10, the rope 38 wound on the hoist 30 is 4: 1 roping so as to reduce the axial torque and the driving torque in the motor. The structure is applied.

이를 위해, 상기 박형권상기(30)가 설치되는 벽면과 인접한 지점에는 제 1전환풀리(32)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박형권상기(30)가 설치되는 벽면과 대응되는 벽면과 인접한 지점에는 제 2전환풀리(34)가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10) 하부의 일측 및 타측에는 상기 박형권상기(30)의 시브와 상호 평행한 상태를 이루도록 각각 제 1현수풀리 및 제 2현수풀리(12a,12b)가 설치된다.To this end, a first switch pulley 32 is installed at a point adjacent to the wall surface on which the thin hoist 30 is installed, and a second switch is provided at a point adjacent to the wal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wall on which the thin hoist 30 is installed. The pulley 34 is installed, and the first suspension pulley and the second suspension pulley 12a and 12b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car 10 to be in parallel with the sheave of the thin hoist 30, respectively. Is installed.

이에 따라, 상기 박형권상기(30)의 시브에 권취되는 로프(38)의 일측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제 1현수풀리(12a)를 경유하여 그 상측에 설치된 상기 제 1전환풀리(32)를 경유함과 아울러, 그와 대응되는 지점에 설치된 제 2전환풀리(34)를 경유한 후 그 하측의 엘리베이터 카(10) 하부 타측에 설치된 제 2현수풀리(12b)를 경유한 상태에서 그 단부가 승강로 상부에 구비되는 제 1히치 플레이트(40a)에 고정 설치되게 된다.Accordingly, one side of the rope 38 wound on the sheave of the thin winding machine 30 is the first switch installed on the upper side via the first suspension pulley 12a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car 10. After passing through the pulley 32 and via the second switching pulley 34 installed at the corresponding point, the second suspension pulley 12b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elevator car 10 is provided. In the state, the end is fixed to the first hitch plate 40a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또한, 상기 승강로(40) 상측의 소정 지점에는 제 3전환풀리(36)가 설치됨과 아울러, 균형추(20)의 상부 일측 및 타측에는 각각 제 3현수풀리(22a)와 제 4현수풀리(22b)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third switching pulley 36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int above the hoistway 40, and the third suspension pulley 22a and the fourth suspension pulley 22b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unterweight 20. Is installed.

그리고, 상기 박형권상기(30)의 시브에 권취되는 로프(38)의 타측은 상기 균형추(2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제 3현수풀리(22a)를 경유한 후 그 상측의 상기 제 3전환풀리(36)를 경유하고, 다시 그 하측의 균형추(20) 상부 타측에 설치된 제 4현수풀리(22b)를 경유한 상태에서 그 단부는 상기 승강로(4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2히치 플레이트(40b)에 고정 설치되게 된다.The other side of the rope 38 wound on the sheave of the thin winding machine 30 passes through the third suspension pulley 22a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unterweight 20, and the third switching pulley on the upper side thereof ( 2nd hitch plate 40b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40 in the state which passed through 36 and the 4th suspension pulley 22b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nterweight 20 below it again. It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 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 1현수풀리 및 제 2현수풀리(12a,12b)는 상기 박형권상기(30)의 시브와 대략 평행상태를 이루도록 배치가 되므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10)를 지지하는 지지대(14)의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suspension pulley and the second suspension pulley 12a, 12b installed below the elevator car 10 are arranged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heave of the thin hoist 30, the elevator car The height of the support 14 supporting the 10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10)를 엘리베이터 카 가이드레일에 걸어 맞출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이드슈(18)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10)의 카주(16) 내에 설치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카(10)의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guide shoe 18 provided to align the elevator car 10 with the elevator car guide rail is installed in the car head 16 of the elevator car 10. Accordingly, the elevator car 10 The height of the is configured to be minimized.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를 기계실이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하여 엘리베이터 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카(10)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 1현수풀리(12a) 및 제 2현수풀리(12b)가 상기 박형권상기(30)의 시브와 거의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카(10)의 지지대(14) 높이를 최소화(150mm 정도) 시킬 수가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로(40)의 충분한 피트 깊이 확보에도 매우 유리한 작용을 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권상기(30)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10)와 중첩되지 않는 승강로(40) 벽면에 설치되게 되므로, 상기 승강로(40)의 충분한 오버헤드 높이를 확보할 수도 있게 된다.First, when the elevator device is installed by applying a rope structur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n elevator device, the first suspension pulley 12a and the second suspension pulley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car 10. As the 12b is disposed to maintain a stat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heave of the thin hoist 30, the height of the support 14 of the elevator car 10 can be minimized (about 150 mm). In addition to having a sufficient pit depth of 40), the hoist 30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hoistway 40 that does not overlap the elevator car 10, so that the hoistway 40 has a sufficient overload. Head height can also be secured.

또, 상기 엘리베이터 카(10)의 가이드슈(18)는 엘리베이터 카(10)의 카주(16)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10)의 전체 높이를 낮출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guide shoe 18 of the elevator car 10 is located in the casing 16 of the elevator car 10, the overall height of the elevator car 10 can be lowered.

한편, 본 고안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 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modified embodiments other than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belongs to the claims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권상기에 권취되는 로프가 모터에 축하중 및 구동 토르크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4:1 로핑 구조로 이루어짐으로, 기존의 17인승 이하의 소용량 권상기를 기계실이 없는 20인승 이상의 대용량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ope wound on the hoist is made of a 4: 1 roping structure to reduce the motor during celebration and driving torque, the existing small capacity hoist of less than 17 seater does not have a machine room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pplied to a large-capacity elevator device more than 20 seats.

또한, 엘리베이터 가이드슈를 카주 내에 설치하는 등의 카 구조 변경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를 줄일 수가 있는 효과가 있음과 아울러, 권상기는 엘리베이터 카와 중첩되지 않는 승강로 벽면에 설치되므로, 충분한 오버헤드 높이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elevator car can be reduced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car, such as installing an elevator guide shoe in the car main, and the hoisting machine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hoistway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elevator car, thereby ensuring sufficient overhead height.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done.

도 1은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로핑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levator roping structure applied to an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conventional machine room;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ping structur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ping structur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에 현수풀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분 측면도,4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 suspension pulley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car in the roping structur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에서 엘리베이터 카에 가이드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분 사시도이다.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guide shoe is installed in an elevator car in a rope structur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엘리베이터 카, 12a,12b: 제 1 및 제 2현수풀리, 10: elevator car, 12a, 12b: first and second suspension pulleys,

14: 지지대, 16: 카주, 14: support, 16: kaju,

18: 가이드슈, 20: 균형추, 18: guide shoe, 20: counterweight,

22a,22b: 제 3 및 제 4현수풀리, 30: 권상기, 22a, 22b: third and fourth suspension pulleys, 30: hoisting machine,

32: 제 1전환풀리, 34: 제 2전환풀리, 32: first transition pulley, 34: second transition pulley,

36: 제 3전환풀리, 38: 로프, 36: third transition pulley, 38: rope,

40: 승강로, 40a,40b: 제 1 및 제 2 히치 플레이트.40: hoistway, 40a, 40b: first and second hitch plates.

Claims (3)

승강로의 벽면과 인접한 소정 지점에는 엘리베이터 카와 중첩되지 않도록 박형권상기가 설치되고;At a predetermined point adjacent to the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a thin hoist is install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elevator car; 상기 박형권상기가 설치된 벽면 및 그와 대응되는 벽면과 인접한 지점에는 각각 제 1전환풀리 및 제 2전환풀리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권상기에 권취된 로프의 일측은 엘리베이터 카 하부 일측의 제 1현수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제 1전환풀리 및 제 2전환풀리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엘리베이터 카 하부 타측의 제 2현수풀리를 경유하여 승강로 상부의 제 1히치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The first switch pulley and the second switch pulley are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where the thin hoist is installed and adjacent to the wall surface corresponding thereto, and one side of the rope wound on the hoist is connected to the first suspension pulley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car.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switch pulley and the second switch pulley sequentially via the second suspension pulley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elevator car is fixed to the first hitch plate of the hoistway; 상기 승강로의 상부 소정 지점에는 제 3전환풀리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권상기에 권취된 로프의 타측은 균형추 상부 일측의 제 3현수풀리를 지나 상기 제 3전환풀리를 경유한 후 상기 균형추 상부 타측의 제 4현수풀리를 지나 승강로 상부의 제 2히치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At the upper predetermined point of the hoistway, the third switching pulley is installed, and the other side of the rope wound on the hoisting machine passes the third suspension pulley on one side of the counterweight through the third switching pulley, and the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counterweight. An elevator rop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second hitch plate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fter passing through the four-row pulle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엘리베이터 카 하부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현수풀리는 상기 권상기의 시브와 거의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지지대의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The first and second suspension pulleys installed below the elevator car are arranged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heave of the hoist, so that the height of the support can be minimiz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슈는 카주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핑 구조. The guide shoe is located in the car so that the height of the elevator car can be minimized.
KR20-2005-0004160U 2005-02-16 2005-02-16 Roping structure of elevator KR20038410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160U KR200384100Y1 (en) 2005-02-16 2005-02-16 Roping structure of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160U KR200384100Y1 (en) 2005-02-16 2005-02-16 Roping structure of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100Y1 true KR200384100Y1 (en) 2005-05-11

Family

ID=4368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160U KR200384100Y1 (en) 2005-02-16 2005-02-16 Roping structure of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10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36171A1 (en) Elevator renovation method
JP2004504239A (en) Elevator equipment using the smallest building space
WO2005121008A1 (en) Elevator apparatus
JP4934941B2 (en) Elevator equipment
CN107555289B (en) Refitting method of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and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JP2004083231A (en) Elevator device
CN112499440B (en) Machine-room-free elevator transformation method and machine-room-free elevator
CN101096254A (en) Lift installation
EP1687231B1 (en) Elevator suspension arrangement
JP2012520812A (en) Elevator hoisting device
KR200384100Y1 (en) Roping structure of elevator
JP3961718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4694507B2 (en) Elevator equipment
JP4677409B2 (en) Elevator equipment
JPWO2005068338A1 (en) Elevator hoisting machine
JP2007513847A5 (en)
WO2006040813A1 (en) Elevator apparatus
JPWO2005105652A1 (en) Elevator equipment
KR100697487B1 (en) Elevator equipment
JP4258178B2 (en) Elevator equipment
KR200272583Y1 (en) Elevating mechanism for parking system
WO2005121009A1 (en) Elevator apparatus
WO2005077804A1 (en) Elevator
JPH04213581A (en) Installation method for linear motor type elevator
JPWO2004101419A1 (en) Elevato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