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958Y1 -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 Google Patents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3958Y1 KR200383958Y1 KR20-2005-0005165U KR20050005165U KR200383958Y1 KR 200383958 Y1 KR200383958 Y1 KR 200383958Y1 KR 20050005165 U KR20050005165 U KR 20050005165U KR 200383958 Y1 KR200383958 Y1 KR 20038395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block
- vegetation
- block body
- groove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204 segreg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70295 Serpent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266 hiber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69350 Anu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4158 Lampy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73256 Phragmite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422 Rhododendr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19 seques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하천의 식생과 인접 제방을 보호하고 하천과 제방이 물리적으로 격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호간을 연통시키며 제방 측의 흙이 하천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하상 옹벽 블록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외관을 갖는 블록 본체; 및 상기 블록 본체의 정면 측상부와 배면 측하부에 양단부가 각각 위치되어 전고후저(前高後低) 형상을 가지며, 상기 블록 본체의 좌, 우측면에 각각 상호 대칭되면서 함몰 형성되는 식생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하상 옹벽 블록은 동, 식물의 식생을 모두 보존하며 제방의 흙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초본류, 관목류 등의 원활한 성장을 돕고 별도의 공정 없이 축조 후 옹벽을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한다.
Description
<종래기술의 문헌 정보>
1. 공개특허 제2004-46148호.
2. 등록실용신안 제367338호.
3. 공개특허 제2004-68064호.
본 고안은 하천의 식생과 인접 제방을 보호할 수 있는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제방의 흙이 하천으로 유동되는 것을 막고 하천의 식생을 보다 효율적으로 보존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한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하천과 제방 사이에 개재되어 위 제방의 붕괴 또는 도괴를 방지하며, 하천과 제방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상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지표면에 내린 비나 눈의 일부는 그 지표면이나 수면에서 증발하고, 다른 일부는 식물체를 거쳐 증산(蒸散)되며, 또 다른 일부는 지하수가 된다. 그 나머지인 표류수는 사면에서 최대 경사의 방향을 따라 유동하게 되는데, 하천은 이때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물길과 이 물길에서의 유동인 하류를 합한 것이다. 즉, 하천은 육지 표면에서 대체로 일정한 유로를 가지는 유수의 계통이다.
하천의 인접 법면에 형성되는 제방은 그 하천의 물을 일정 유로 내로 제한하여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고 폭풍, 해일 등의 자연재해로부터 하천과 인접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조성된 토목 구조물이다. 원시하천은 그 물길의 양측을 따라 범람 평원 사이의 경계에 퇴적에 의한 토사력(土砂礫)이 형성되어 자연제방이 발생하는 수가 있다. 그러나 근래에는 주로 토사 등을 적층하여 제방과 하천을 분리하거나 또는 장소나 목적에 따라 잔디, 석축, 콘크리트 등의 호안(護岸) 공작물로써 인공제방과 같은 옹벽을 조성하고 있다. 즉, 통상적인 호안 옹벽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돌을 축조하여 석축(石築)을 형성하거나, 또는 하상 옹벽용 블록을 축조하면서 동시에 콘크리트를 적절히 타설하는 방법을 취한다.
그런데 석축 또는 콘크리트 옹벽 등으로 축조된 호안 옹벽은 하천을 단순하게 수로화하여 물고기와 같은 동,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지 못하므로, 이와 같은 문제는 하천의 생태계를 붕괴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에 따라 하천을 자연제방이 형성된 자연형 하천으로 복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자연형 하천은 근래의 이상기후(엘리뇨 등)의 영향으로 인한 빈번한 기습 집중호우 등에 취약하며, 최소한의 인위적인 작업만을 요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원하는 옹벽을 형성하기가 어렵고 그 형성기간도 길다.
대안으로써, 식생 블록은 단기간 내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시공이 간편하며 하천의 식생도 보존할 수 있으므로 하천 옹벽 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며, 이러한 식생 블록을 이용한 하상 옹벽 블록은 다양하게 변형된 여러 실시 예도 주지되어 있다.
그러나 식생을 보호하면서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블록을 이용한 하상 옹벽은 비교적 우수한 공법으로 인지되어 있는 반면, 다른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각각 종래의 하상 블록을 이용한 옹벽 축조 예를 보이는 측면도 및/또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5 내지 도 17에 있어서 각 도면에는 상호간에 일부 중복되는 부호가 명기되어 있으나, 이는 각 종래기술의 해당 공보에 첨부된 도면을 인용함으로써 일부 부호가 우연히 중복된 것이다. 따라서 각 도면에 명시된 부호들은 그 도면에 한정되는 부호로써 그 도면 내의 기술구성만을 지칭하는 것일 뿐, 여타의 다른 도면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혀둔다.
도 15에 도시된 공개특허 제2004-46148호가 제안하는 식생 옹벽 공법은, 하상과 제방 사이에 하천으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계단형으로 식생 블록(100,100′)을 축조하고, 식생 블록(100,100′)으로부터 후방으로 충분한 간격을 두고 방사시트(부직포)(502,502′)를 포설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블록(100,100′) 상단 전방에는 그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초목류(505)가 생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위 공개특허 제2004-46148호는 초목류(505)의 뿌리가 착근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식생을 확보하고 있다.
여기서, 도 15의 미설명 도면부호 501은 기초콘크리트, 503은 돌, 506은 앵커블록, 110은 철근을 각각 지칭하고, M.W.L.은 중수위(Middle Water Level)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식생 옹벽 공법은 어류의 식생이 모두 배제되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식생 블록에 형성된 식생용 공간은 식생 공간을 위하여 필요 불가결한 기술수단이었으나 이를 통하여 토사가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위 공개특허 제2004-46148호는 부직포(502,502′)를 통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부직포(502,502′)는 결과적으로 블록(100,100′)과 제방을 격리함으로써 동, 식물의 식생확보에 오히려 역행하는 요소이다. 예컨대, 홍수 시 개구리나 뱀 또는 곤충류 등이 동면 등을 위하여 제방의 토사 속으로 진입할 경우, 이 부직포는 이 진입을 방해하는 걸림돌이다. 따라서 종래의 하천은 동물들의 동면 등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없어 이러한 동물들이 그 개체수가 감소하거나 멸종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위 공개특허 제2004-46148호는 제방 둑이 경사진 곳에서만 옹벽 시공이 가능하므로 직벽형의 하천에는 적용될 수 없다. 그리고 위 부직포(502,502′) 그 자체는 수년이 지나면 수명을 다하여 변질/부패하므로 다량의 토사가 하천 쪽으로 유출될 뿐만 아니라, 근본적으로 부직포가 식물과 토양을 격리시켜 식물의 성장을 저해하게 된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도 16에 도시된 등록실용신안 제367338호는 반원형 홈(410)과 “ㄷ”형의 홈(420)이 형성된 H형 제방블록(400)을 제안하였다. 이 제방블록(400)을 이용한 옹벽 공법은 수중 어류의 보호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대체로 시공이 간편하다.
여기서, 도 16의 미설명 도면부호 100은 하천, 300은 기초콘크리트, 430은 체결홀, 440은 체결핀을 나타낸다.
그러나 위 등록실용신안 제367338호가 제안하는 옹벽 공법은 위 공개특허 제2004-46148호의 부직포에서 한층 더 나아가 하천을 제방블록(400)에 의해 제방(200)으로부터 완전하게 격리시키고 있다. 또한, 제안된 제방블록(400)은 그 독특한 형상으로 인하여 교차 축조되지 못하고 일자형으로 축조될 수밖에 없는데, 그렇다면 축조된 제방블록(400) 중 최하단의 제방블록에는 그 상부에 가지런히 축조된 제방블록들의 모든 하중이 가해진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옹벽 블록이 구조적으로 불완전하므로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17에 도시된 하천 옹벽은 또다른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제2004-68064호에 개시되었다. 이 하천 옹벽은 하천의 제방(200) 양측에 설치되는 역“T”형 옹벽(300)의 전면에 굴곡패널(400)을 설치하여 이 굴곡패널(400)과 위 옹벽(300) 사이에 식생 공간을 확보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300)이 앞서 기술한 하천과 제방의 격리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또한, 하천의 수위가 높다면 옹벽(300)의 높이 또한 이와 병행하여 높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이 옹벽(300)의 좌굴(buckling)이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수위가 높아질수록 옹벽(300)의 높이가 높아져야 하고 응력관계상 단면적과 비체적이 증가되어야 하므로 시공이 어려워지고 비용도 증가된다. 비록 위 옹벽(300)이 하천의 수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하천에 적용된다 하더라도, 시공시 부가적으로 반드시 굴곡패널(400)을 연속 시공해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시공이 어렵고 공기도 길어지며 식생 공간도 상대적으로 작다. 또한, 굴곡패널(400)을 연속 배설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수적으로 채택되는데, 이 체결부재는 내식성을 가져야 한다. 그러하지 아니한다면 체결부재의 부식으로 인해 하천 수질이 오염될 수 있으며 굴곡패널(400)의 체결력이 저하된다.
비록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종래의 여러 다른 하상 옹벽 블록들은 각각 그 블록 내부에 다양한 식생공간을 형성하여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옹벽 블록들은 제방의 토사와 연통되지 아니하여 예컨대 가뭄 시 식물이 고사함으로써 진정한 식생공간을 확보하지 못하였고, 위 고사한 식물은 미관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종래의 옹벽 블록들은 식물의 식생공간을 확보할 수는 있었으나, 동물의 식생공간은 확보하지 못하였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하상 옹벽 블록들은 스스로 간과하였거나 해결할 수 없었던 여러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기술로는 해결하기 곤란하였거나 불가능하였던 문제점들을 감안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광의적인 목적은 주지, 공지되지 않아 전혀 새롭거나 또는 공지, 공용의 것에 비하여 보다 적은 구성으로도 향상된 효과를 얻는 식생 보호용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고안의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고안은 하천과 제방을 연통시켜 위 하천과 제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동, 식물의 식생을 모두 확보 및 보존할 수 있으며, 제방 측의 흙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하상 옹벽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본 고안의 목적은 초본류, 관목류 등의 식물이 블록에 의해 그 생장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상 옹벽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본 고안의 목적은 축조된 블록들의 높은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하상 옹벽 블록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넷째, 본 고안은 제조와 시공이 간편하며 직벽형, 경사형 호안에 공히 적용될 수 있는 하상 옹벽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된 목적들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언급되지 아니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들은 아래에 기재된 내용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목적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위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하상 옹벽 블록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외관을 갖는 블록 본체; 및 상기 블록 본체의 정면 측상부(側上剖)와 배면 측하부(側下剖)에 양단부가 각각 위치되어 전고후저(前高後低) 형상을 가지며, 상기 블록 본체의 좌, 우측면에 각각 상호 대칭되면서 함몰(陷沒)되어 형성되는 식생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블록 본체의 상면 일부에 하향으로 인입 형성되는 요홈; 및 상기 요홈에 대응되게 상기 블록 본체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요홈에 끼워 맞춰지는 돌기;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각각 상기 요홈이 종(縱) 요홈(12b)과 횡(橫) 요홈(12a)으로, 상기 돌기가 상기 종 요홈과 횡 요홈에 각각 끼워지는 종 돌기와 횡 돌기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블록 본체의 정면 하부에서 내측으로 인입 형성되는 반타원형의 안내홈;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안내홈은 상기 블록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 블록 본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블록 본체의 배면에서 내측으로 인입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홈;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식생홈은 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일 예로써, 상기 식생홈이 상기 블록 본체의 정면에서 배면을 향하여 점차 단면적이 감소되는 테이퍼(taperd)형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 블록 본체의 어느 하나의 측면부에서 내측으로 인입 형성되는 끼움홈; 및 상기 블록 본체의 다른 하나의 측면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 끼움되는 끼움부; 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상 옹벽 블록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외관을 갖는 블록 본체; 및 상기 블록 본체의 정면 상부와 배면 하부를 관통하여 전고후저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뿔대형 식생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는 공지/공용의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것이므로, 도면에 도시되고 이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 예로써 설명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와 구성 및 작용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이루는 각 부를 지칭하기 위하여 제시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본 고안이 속한 업계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각 부를 이루는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모든 도면에 걸쳐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가 사용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상 옹벽 블록을 보이는 사시도로, 도 1의 (a)는 하향 사시도, (b)는 및 상향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 내지 도 7은 각각 도 1의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하상 옹벽 블록은 블록 본체(10)와 식생홈(11a,1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위 식생홈(11b,11a)이 각각 위 블록 본체(10)의 좌, 우측면에 인입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위 블록 본체(10)는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을 가지며, 축조시 정면이 하천을 향하고 배면이 제방을 향한다. 이 블록 본체(10)의 좌, 우측면에는 식생홈(11b,11a)이 상호 대칭되도록 인입 형성되는데, 이 식생홈(11a,11b)은 선단부와 후단부는 각각 위 블록 본체(10)의 정면 측상부(側上剖)와 배면 측하부(側下剖)에 위치된다. 따라서 위 식생홈(11a,11b)은 전고후저(前高後低) 형상을 가지며, 그 경사각은 바람직하게는 위 블록 본체(10)의 측면에서 수평에 대하여 30 내지 45°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위 식생홈(11a,11b)은 반 원통(半 圓筒)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축조 후 외력(하중)에 견디고 응력을 고루 분산시키기 위함이나, 이 식생홈(11a,11b)의 형상은 반 원통형으로 한정되지는 아니할 것이다. 단, 식생홈(11a,11b)의 선단부 단면적은 블록 본체(10)의 후단부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전체적으로 식생홈(11a,11b)은 선단부에서 후단부를 향하여 단면적이 점차 감소되는 테이퍼(taperd)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식생홈(11a,11b)의 형성 예는 동, 식물의 식생 공간을 제공하고, 동시에 블록 본체(10)의 배면에 접하는 제방의 흙 등이 식생홈(11a,11b)을 통하여 하천으로 유입되지 아니하기 위하여 채택되는 기술구성이다. 즉, 식생홈(11a,11b)이 전, 후방의 고저차가 없이 수평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전저후고(前低後高)형으로 형성된다면, 식생공간은 확보될 수 있으나 제방의 흙이 식생홈(11a,11b)을 통하여 하천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식생홈(11a,11b)이 위와 같이 전고후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블록 본체(10)의 상면부에는 요홈(12a,12b)이 인입 형성된다. 위 요홈(12a,12b)은 바람직하게는 종 요홈(12b) 및 횡 요홈(12a)으로 구획되어 분할 형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횡 요홈(12a)은 블록 본체(10)의 상면 중심을 가로질러 형성되며, 종방향 종 요홈(12b)은 이에 수직하게 수개가 등간격으로 균등하게 분할 형성된다.
블록 본체(10)의 저면부에는 상기 요홈(12a,12b)에 대응하는 돌기(17a,17b)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돌기(17a,17b)는 각각 상기 종 요홈(12b)과 횡 요홈(12a)에 대응하는 종방향 종 돌기(17b)와 횡방향 횡 돌기(17a)로 분할 형성된다. 위 돌기(17a,17b)와 요홈(12a,12b)은 수개의 블록 본체(10)가 적층될 시 그 적층되는 블록 본체(10)의 상, 하부에서 각각 상호 끼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블록 본체(10)가 더욱 확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블록 본체(10)의 하부 정면에는 안내홈(13)이 인입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안내홈(13)은 전체적으로 반 타원(半 楕圓) 형상을 가지며, 그 인입 깊이는 각각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중앙으로부터 좌, 우측을 향하여 점차 감소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 안내홈(13)은 블록 본체(10)의 하부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블록이 교차 축조될 시 식생홈(11a,11b)의 직상에 안내홈(13)이 위치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한편, 블록 본체(10)의 어느 한 측면에는 바(bar) 형상의 끼움홈(14)이 인입 형성되고, 다른 한 측면에는 위 끼움홈(14)에 끼움되는 끼움부(15)가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하면, 블록 본체(10)의 우측면에 끼움홈(14)이 인입 형성되었으며, 끼움부(15)는 블록 본체(10)의 좌측면에 돌출 형성되었다. 여기서, 위 끼움홈(14)과 끼움부(15)는 식생홈(11a,11b)과 교차되어 형성되는데, 이때 식생홈(11a,11b)의 형성이 우선한다. 즉, 식생홈(11a,11b)은 끼움홈(14)과 끼움부(15)에 의해 단락되지 아니하고 블록 본체(10)의 정면으로부터 후면에 걸쳐 끊김 없이 일관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블록 본체(10)의 배면에는 접촉홈(16)이 인입 형성된다. 이 접촉홈(16)은 블록 본체(10)의 배면에서 내측을 향하여 소정 깊이로 인입 형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D”형상을 가지며, 수개가 분할 형성된다. 블록 본체(10)의 배면은 제방을 향하는 바, 위 접촉홈(16)의 형성은 블록 본체(10)와 제방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위 기술구성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하상 옹벽 블록의 시공 예를 살펴본다.
먼저, 정지(整地) 작업된 하천(100)의 하상에 본 고안의 블록 본체를 직렬로 배열하여 착설한다. 필요에 따라, 지반 보강을 위하여 최하단 블록이 위치되는 하상면에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기초콘크리트 타설은 선택적으로 채택되는데, 이는 최하단 블록 본체(10)의 돌기(17a,17b)가 하상 내부로 인입되면서 밀착되어 위 돌기(17a,17b)에 의해 그 설치된 상태가 지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계속하여, 최하단 블록들의 상단에 동일한 블록들을 축조하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단의 블록이 교차되도록 축조한다. 즉, 블록의 양 측면이 그 상단에 축조된 블록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축조 방법은 종래의 가장 일반적이고 통상적인 벽돌 축조 방법과 동일하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블록을 원하는 높이로 축조하면 옹벽이 완성된다. 블록 축조시, 각 블록들 사이에 모르타르(mortar)를 충진하여 각 블록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나, 이는 선택적이다. 그 이유는 각 블록들의 요홈(12a,12b)에 그 상단에 위치하는 블록의 하단 돌기(17a,17b)가 끼움 고정되고, 역시 동일하게 좌, 우로 인접된 블록들은 끼움홈(14)에 끼움부(15)가 끼움 고정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구조적으로 전체가 일체된 옹벽을 형성하므로 모르타르를 충진할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기 때문이다.
이하 이렇게 축조된 옹벽의 특징을 살펴본다.
횡으로 블록이 결합될 시, 각각의 블록의 좌, 우측면에 형성된 반 원통형의 식생홈(11b,11a)은 각각 그 인접되는 블록에 형성된 식생홈(11a,11b)과 대면함으로써 하나의 일체된 식생홀(11)을 형성하게 된다. 식생홈(11a,11b)이 반 원통형으로 형성되면 위 식생홀(11)은 자연스럽게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 식생홀(11)은 전고후저형이며 선단부가 하천(100)을 향하고 후단부가 제방(200)을 향하게 되어 고저차를 가지므로, 제방(200)의 토양이 하천 쪽으로 유입될 수 없다. 옹벽 축조시 부가적으로, 예컨대 집중호우가 발생될 경우 식생홀(11)을 통하여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 식생홀(11)에 자갈을 충진할 수 있다. 이렇게 구축된 옹벽은 이 식생홀(11)을 통하여 식물의 뿌리가 제방(200)에 착근됨으로써 옹벽이 제방(200)에 더욱 확고하게 고정되는 별도의 효과가 얻어진다.
한편, 안내홈(13)은 블록 본체(10)의 중앙부 하단에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이 축조됨으로써 형성되는 식생홀(11)은 초본류 등의 생장공간으로 이용되는데, 이 초본류가 식생홀(11)의 상부로 성장할 시 그 식생홀(11)의 상부에 위치되는 옹벽 블록에 의해 기하학적으로 성장이 걸림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바람직하게는 안내홈(13)을 블록의 중앙부에 형성하게 함으로써 식생홀(11)의 직상에 안내홈(13)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안내홈(13)이 충분히 깊게 블록 내측으로 인입됨으로써, 초본류, 관목류 등의 식물이 식생홀(11)을 통하여 성장할 시 이 안내홈(13)의 인입된 소정 공간을 통하여 초기 성장이 안내됨으로써 성장이 걸림되는 것을 막고 원활한 성장을 돕는 것이다.
한편, 옹벽의 배면에 위치하는 접촉홈(16)들은 옹벽과 제방(20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옹벽이 제방(200)에 더욱 확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두 식생홈(11a,11b)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식생홀(11)은 초본류의 식생공간을 제공하면서도 제방(200)의 흙이 하천(1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식생홀(11)을 통하여 하천(100)과 제방(200)이 연통되는 효과를 얻는다. 이 식생홀(11)이 초본류의 식생공간으로 이용되지 아니한다면, 이 식생홀(11)은 어류 등의 서식공간, 피난공간, 산란공간 등으로 활용될 수 있어 초본류와 동물의 식생이 모두 확보되는 효과를 얻으므로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유익하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상 옹벽 블록을, 도 12는 도 11의 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축조 예를 각각 나타낸다.
도시된 하상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10′)는 위 기술된 블록 본체와 큰 차이는 없으나, 블록 본체(10′)의 양 측면에 식생홈이 없고 식생홀(11′) 자체가 중앙부에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 식생홀(11′)은 위 식생홈(11a,11b), 식생홀(11)과 같이 전고후저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테이퍼(taperd)진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블록 본체(10′)는 위 기술된 블록 본체(10)에 비하여 제조하기가 다소 어렵다는 불리함이 있으나, 두 식생홈(11a,11b)을 맞추어야 하는 노력을 요하지 아니하므로 위 블록 본체(10)의 축조 방법에 비하여 시공이 간단하고 시공 기간도 짧아진다. 또한, 두 식생홈(11a,11b)의 맞댐 위치가 이격되어 식생홀(11)의 형상이 변경될 염려도 없다.
마지막으로, 위 실시 예는 직벽형 옹벽에 대하여 기술되었으나, 본 고안의 옹벽 블록은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으로도 축조가 가능하다. 이때의 축조 방법은, 블록 본체(10,10′)를 축조하되 상단의 블록 본체(10,10′)를 이격시켜 종 요홈(12b)과 종 돌기(17b)만을 감합함으로써 상단의 블록 본체(10,10′)를 제방(200) 측으로 보다 가깝게 축조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에 관하여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 예로써 제시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본 고안은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술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 제시된 기술사상이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인데, 이는 본 고안이 제시하는 기술사상 및 기술구성에 귀속된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하상 옹벽 블록은 식생홀에 생장하는 철쭉, 싸리나무 등의 초본류 또는 관목류의 뿌리가 제방의 토사와 옹벽 블록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제방과 옹벽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키며 상호 간의 결속력을 높인다.
또한, 수면 아래의 수중에 잠긴 옹벽 부위에서는 본 고안의 식생홈(홀)에 갈대 등의 수생식물이 생장하면서 천연적인 어초를 제공하게 되어 어류의 서식공간으로써 우수한 수중환경을 제공하고, 수면 위의 옹벽 부위에서는 화초류 및 관목 등이 생장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됨으로써 하천 공원을 연출하고 미려한 미관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조성된 식물군은 반딧불 등의 곤충류의 서식을 유도하게 되어 더욱 친환경적이며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고, 이 식물군에 의해 집중호우시 유속을 감속시키는 효과를 얻어 빠른 유속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하천 바닥면의 침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옹벽 상부에서는 관목류 등이 생장하여 자연적인 난간이 얻어지며, 본 고안이 도로나 철로 등의 제방에 적용될 경우 식생홈(홀)에 생장하는 관목류 등에 의해 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막고, 방음 효과를 얻는다.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되는 옹벽은 하천과 제방을 식생홈(홀)으로써 연통시켜 동, 식물의 식생이 모두 확보되고 보존되면서도 제방 측의 흙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옹벽 블록에 형성된 안내홈은 초본류, 관목류 등의 생장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생장을 돕고, 옹벽 블록의 각 면에 형성된 접촉홈, 끼움부, 돌기 등은 축조된 블록들을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되게 하여 옹벽의 내구성을 높인다.
또한, 옹벽 블록에 형성된 안내홈(홀)은 개구리나 뱀 등의 동면 공간으로의 통로로써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고안은 식물과 동물 모두의 식생이 확보, 보존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상 옹벽 블록을 보이는 사시도.
도 2 내지 도 7은 각각 도 1의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옹벽 축조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각각 본 고안의 축조된 옹벽을 보이는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상 옹벽 블록을 보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블록을 이용한 옹벽 축조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4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옹벽 축조 예를 보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5 내지 도 17은 각각 종래의 하상 블록을 이용한 옹벽 축조 예를 보이는 측면도 및/또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블록 본체 11a,11b : 식생홈
11,11′ : 식생홀 12a : 횡 요홈
12b : 종 요홈 13 : 안내홈
14 : 끼움홈 15 : 끼움부
16 : 접촉홈 17a : 횡 돌기
17b : 종 돌기 100 : 하천
200 : 제방
Claims (10)
- 하상 옹벽 블록에 있어서,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외관을 갖는 블록 본체(10); 및상기 블록 본체(10)의 정면 측상부와 배면 측하부에 양단부가 각각 위치되어 전고후저(前高後低) 형상을 가지며, 상기 블록 본체(10)의 좌, 우측면에 각각 상호 대칭되면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식생홈(11b,11a);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옹벽 블록.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블록 본체(10)의 상면 일부에 하향으로 인입 형성되는 요홈(12a,12b); 및상기 요홈(12a,12b)에 대응되게 상기 블록 본체(10)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요홈(12a,12b)에 끼워 맞춰지는 돌기(17a,17b);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옹벽 블록.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요홈(12a,12b)이 종(縱) 요홈(12b)과 횡(橫) 요홈(12a)으로 분할 형성되고,상기 돌기(17a,17b)가 상기 종 요홈(12b)과 횡 요홈(12a)에 각각 끼워지는 종 돌기(17a)와 횡 돌기(17b)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옹벽 블록.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블록 본체(10)의 정면 하부에서 내측으로 인입 형성되는 반타원형의 안내홈(13);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옹벽 블록.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안내홈(13)이 상기 블록 본체(10)의 중앙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옹벽 블록.
- 제1항에 있어서,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블록 본체(10)의 배면에서 내측으로 인입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홈(16);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옹벽 블록.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식생홈(11a,11b)이 반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옹벽 블록.
-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상기 식생홈(11a,11b)이 상기 블록 본체(10)의 정면에서 배면을 향하여 점차 단면적이 감소되는 테이퍼(taperd)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옹벽 블록.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블록 본체(10)의 어느 하나의 측면부에서 내측으로 인입 형성되는 끼움홈(14); 및상기 블록 본체(10)의 다른 하나의 측면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4)에 끼움되는 끼움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옹벽 블록.
- 하상 옹벽 블록에 있어서,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외관을 갖는 블록 본체(10′); 및상기 블록 본체(10′)의 정면 상부와 배면 하부를 관통하여 전고후저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뿔대형 식생홀(11′);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옹벽 블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5165U KR200383958Y1 (ko) | 2005-02-25 | 2005-02-25 |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5165U KR200383958Y1 (ko) | 2005-02-25 | 2005-02-25 |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5992A Division KR100671791B1 (ko) | 2005-02-25 | 2005-02-25 |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3958Y1 true KR200383958Y1 (ko) | 2005-05-10 |
Family
ID=43685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5165U KR200383958Y1 (ko) | 2005-02-25 | 2005-02-25 |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3958Y1 (ko) |
-
2005
- 2005-02-25 KR KR20-2005-0005165U patent/KR20038395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65467B1 (ko) | 에코-필라 사방댐 | |
KR200397518Y1 (ko) | 생태 식생옹벽블럭 | |
KR100671791B1 (ko) |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 |
KR20100065450A (ko) | 환경친화형 호안블록을 이용한 법면 시공방법 | |
KR200345937Y1 (ko) |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 |
KR200389264Y1 (ko) | 생태옹벽블록 | |
KR200383958Y1 (ko) |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 |
KR20050019569A (ko) | 돌망태 옹벽을 이용한 생태하천의 인공어초 구조물 | |
KR101170789B1 (ko) | 친환경 복합 사방댐 | |
KR200386573Y1 (ko) | 자연형 생태옹벽블럭 | |
KR200408078Y1 (ko) | 연결식 식생호안블록 | |
KR100709103B1 (ko) | 메가그린블럭 | |
KR200414869Y1 (ko) | 옹벽블록 | |
KR200402406Y1 (ko) | 다공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사면 보강용 친환경 옹벽블록 | |
KR100406812B1 (ko) | 격자형 망태블럭 | |
KR200356111Y1 (ko) | 호안블록 | |
KR100475103B1 (ko) |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및 그 시공방법 | |
KR100689662B1 (ko) | 하천의 녹지화용 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 | |
KR200413594Y1 (ko) |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 |
JP3357641B2 (ja) | 護岸ブロック | |
CN216864996U (zh) | 一种城市亲水生态河道 | |
CN217678882U (zh) | 一种用于城市河道的多功能直立生态护岸结构 | |
KR200419593Y1 (ko) | 메가그린블럭 | |
KR200290673Y1 (ko) | 벽체형 조립식 블록 | |
KR200333122Y1 (ko) | 하천식생용 수충블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503 Year of fee payment: 3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