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906Y1 -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906Y1
KR200383906Y1 KR20-2005-0004618U KR20050004618U KR200383906Y1 KR 200383906 Y1 KR200383906 Y1 KR 200383906Y1 KR 20050004618 U KR20050004618 U KR 20050004618U KR 200383906 Y1 KR200383906 Y1 KR 200383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laser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직
Original Assignee
김용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직 filed Critical 김용직
Priority to KR20-2005-0004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9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9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28Arrangements for preventing distortion of, or damage to, presses or parts thereof
    • B30B15/287Arrangements for preventing distortion of, or damage to, presses or parts thereof preventing unintended ram movement, e.g. using blo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12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Abstract

레이저 발,수광다이오드의 레이저 조사 및 수광방향을 상하, 좌우로 조절하는 것을 매우 용이하게 함으로써 정확한 레이저의 조사 및 수광이 이루어져 기능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조절작업이 매우 쉽고 편리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안전장치는, 소정길이를 갖는 한쌍의 지지바(11,12)와, 상기 한쪽 지지바(11)의 일측끝단에 설치되어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와, 상기 한쪽 지지바(11)의 타측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13)에서 조사된 레이저를 수광하는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와, 상기 양쪽 지지바(11,12)의 대향면에 설치되어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13)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빛을 조사각에 대응하여 일정 각도로 다단 반사시켜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가 수광하도록 하는 한쌍의 반사경(15,16)과,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의 레이저 조사방향을 좌우, 상하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발광측 방향조절기구(20)와, 상기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의 레이저 수광방향을 좌우, 상하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광측 방향조절기구(3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SAFETY DEVICE USING LASER FOR PRESS MACHINE}
본 고안은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의 조사방향 및 수광방향을 좌우 및 상하로 소정각도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레이저의 조사 및 수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와 같은 위험기계에는 감응식 방호장치 즉, 적외선을 이용한 근접감지장치를 사용하여 방호장치를 작동시키는 구성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이와같은 적외선 방호장치는 통상 일측부에 발광 및 수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적외선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타측에 반사경을 설치하여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사된 빛이 반사경에 반사되어 수광 다이오드로 유입되면, 위험기계로 인체를 포함한 각종 물체 등의 접근이 없음으로 인지하고, 인체나 물체로 인해 적외선이 차단되면 위험기계로의 접근이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하여 방호장치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적외선 감응식 방호장치는 적외선 감지센서 장치가 발광 및 수광 다이오드로 구성됨은 물론, 대부분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넓은 면적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적외선 감지센서를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장치가 기구적으로 복잡할 뿐만아니라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또 적외선 수광형식은 발광부(즉,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광선이 직선성을 갖지 않고 확산되는 형태로 조사되므로 수광부(즉, 수광 다이오드)에서 감지할 때, 다른 발광부에서 발생된 빛까지 이중으로 감지하게 되어 감지 불능 영역이 발생하므로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를 특허출원 제10-2003-0035818호로서 제안한 바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10-2003-0035818호는, 코히어런스(결맞음), 방향성 및 초점성을 갖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프레스등의 위험기계로 근접되는 인체 및 각종 물체가 감지되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위험기계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재해를 완벽히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인체 근접감지를 통해 위험기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방호장치로써의 신뢰성과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하나의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와 수광 다이오드, 2개의 반사경을 이용하여 다단으로 반사시키는 방식을 통해 넓은 지역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구조의 단순함을 통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는, 레이저 발광다이오드와 레이저 수광다이오드를 상하로 소정각도 조절하여 레이저의 조사방향과 수광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레이저의 조사 및 수광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구성은 구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레이저의 조사방향 및 수광방향을 좌우로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지바를 분리하고 전체를 이동시켜 조절한 후, 다시 고정해야 하므로, 조절이 매우 힘들고 번거로우며, 레이저 발광다이오드의 조사방향과 레이저 수광다이오드의 수광방향을 별개로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레이저의 조사방향과 수광방향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조절기의 구성도, 작업자가 직접 나사봉을 회전시켜 수작업으로 조절하도록 된 것이므로, 조절작업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레이저 발,수광다이오드의 레이저 조사 및 수광방향을 상하, 좌우로 조절하는 것을 매우 용이하게 함으로써 정확한 레이저의 조사 및 수광이 이루어져 기능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조절작업이 매우 쉽고 편리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위험기계의 소정위치에서 소정거리를 두고 동일 높이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소정길이를 갖는 한쌍의 지지바와, 상기 한쪽 지지바의 일측끝단에 설치되어 레이저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는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한쪽 지지바의 타측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에서 조사된 레이저를 수광하여 방호장치 제어부에서 감시신호로써 인지하도록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레이저 수광다이오드와, 상기 양쪽 지지바의 대향면에 설치되어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빛을 조사각에 대응하여 일정 각도로 다단 반사시켜 레이저 수광다이오드가 수광하도록 하는 한쌍의 반사경과, 상기 레이저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가 반사경에 다단 반사되어 정확하게 레이저 수광다이오드에 수광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레이저 발광다이오드의 레이저 조사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좌우방향 조절수단과, 레이저 조사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상하방향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발광측 방향조절기구를 포함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레이저 수광다이오드의 레이저 수광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좌우방향 조절수단과, 레이저 수광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상하방향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수광측 방향조절기구를 더욱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위험기계의 소정위치에서 소정거리를 두고 동일 높이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소정길이를 갖는 한쌍의 지지바(11,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쪽 지지바(11)의 상부에는 레이저 발진기(17)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는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13)에서 조사된 레이저를 수광하여 방호장치 제어부(18)에서 감시신호로써 인지하도록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쪽 지지바(11,12)의 대향면에는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13)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빛을 조사각에 대응하여 일정 각도로 다단 반사시켜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가 수광하도록 하는 한쌍의 반사경(15,16)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가 반사경(15,16)에 다단 반사되어 정확하게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에 수광되도록 하는 레이저 방향조절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레이저 방향조절기구는,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를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조절가능하게 하는 발광측 방향조절기구(20)와,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를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조절가능하게 하는 수광측 방향조절기구(30)로 구성된다.
발광측 방향조절기구(20)는, 레이저 조사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좌우방향조절수단과, 레이저 조사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상하방향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좌우방향조절수단은, 지지바(11)내에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가 설치되는 내측브라켓(21)을 구비하고, 지지바(11)와 내측브라켓(21) 사이에 복수개의 수평방향 가이드축(22)을 설치하여 내측브라켓(21)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며, 내측브라켓(21)에 일단이 나사맞춤되어 지지바(11)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나사봉(23)을 소형의 전동모터(24)로 정,역회전시키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하방향조절수단은, 내측브라켓(21)에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를 수평축(25)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자유롭게 설치하고,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의 후단부에 일단이 나사맞춤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나사봉(26)을 소형의 전동모터(27)로 정,역회전시키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동모터(24,27)은 감속기를 부착한 모터를 사용하여 나사봉(23,26)을 저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수광측 방향조절기구(30)는, 레이저 수광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좌우방향조절수단과, 레이저 수광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상하방향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좌우방향조절수단은, 지지바(11) 내에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가 설치되는 내측브라켓(31)을 구비하고, 지지바(11)와 내측브라켓(31) 사이에 복수개의 수평방향 가이드축(32)을 설치하여 내측브라켓(31)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며, 내측브라켓(31)에 일단이 나사맞춤되어 지지바(11)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나사봉(33)을 소형의 전동모터(34)로 정,역회전시키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하방향조절수단은, 내측브라켓(31)에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를 수평축(35)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자유롭게 설치하고,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의 후단부에 일단이 나사맞춤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나사봉(36)을 소형의 전동모터(37)로 정,역회전시키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동모터(34,37)은 감속기를 부착한 모터를 사용하여 나사봉(33,36)을 저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와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를 일측 지지바(11)의 상단과 하단부에 각각 설치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와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의 위치를 상호 바꾸어 설치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스등 위험기계의 소정위치에서 소정거리를 두고 동일 높이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바(11,12)는 도면상 ㄷ자형상을 갖도록 도시하였는데, 이는 외부 빛이 유입되어 반사경(15,16)에 반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로인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같은 외부 빛의 유입이 없다면 판상 또는 사각본체 형상을 가져도 무관하다.
또한, 상기 지지바(11,12)의 대향면에 설치된 반사경(15,16)은,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에서 발생되는 레이저 빛이 조사각에 대응하여 일정 각도로 다단 반사되는데, 상기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의 조사각도와 반사경(15,16)의 길이에 따라 각각의 반사경(15,16)에서 반사되는 횟수(즉, 다단반사 횟수)가 결정되어진다.
한편,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는 레이저 발진기(17)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는 레이저 빛(예를 들어 인체에 피해를 주지 않토록 1.3∼1.4㎛ R)을 일정 출력, 예를들어 1-2W을 상대방 지지바(12)의 반사경(16)측으로 조사하게 되고,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는 상기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에서 발사되어 반사경(15,16)들을 통해 다단으로 반사되어 도달되는 레이저 빛을 수광하여 방호장치 제어부(18)에서 감시신호로써 인지하도록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와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는 상호 위치를 바꾸어 설치하여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와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를 대향면에 각각 반사경(15,16)이 구비된 한쌍의 지지바(11,12)중 어느 일측 지지바(11)의 상단 또는 하단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레이저 방향조절기구(20,30)를 적절히 조절하여 레이저 빛의 조사각 및 수광각을 조절한 다음, 레이저 발진기(17)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에서 발생된 빛이 도 1과 같이 양쪽 지지바(11,12)의 대향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반사경(15,16)을 통해 지그제그식로 다단 반사된 후, 최종적으로 상기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로 수광되어 방호장치 제어부(18)로 입력되므로 비교적 넓은 영역도 무감지 영역이 없으면서도 외부 빛의 간섭없이 정확히 감시해 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레이저는 단일성과 코히어런스, 방향성 및 초점성을 갖게 되므로 위험기계로 근접되는 인체 및 각종 물체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데, 만약 인체의 일부나 각종 물체등이 위험기계로 근접되어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에서 발사되어 반사경(15,16)들을 통해 지그제그로 다단 반사되던 레이저가 어느 일정 영역에서 차단되면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에서 레이저 빛을 수광하지 못하게 되므로 방호장치 제어부(18)에서 이를 인식하고 도시 생략된 방호장치를 구동시켜 위험기계의 계속적인 구동 자체를 차단시키게 되므로 위험기계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재해를 완벽히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와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는 각각의 방향조절기구(20,30)에 의해 조사방향 및 수광방향을 조절하여 정확한 조사 및 수광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의 조사방향조절 동작은, 전동모터(24)를 구동시켜 나사봉(23)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 나사봉(23)에 일측이 나사맞춤된 내측브라켓(21)이 나사봉(23)을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하의 가이드축(22)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모터(24)로 나사봉(23)을 정,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내측브라켓(21)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써 내측브라켓(21)에 설치된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를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동모터(27)를 구동시켜 나사봉(26)을 정,역회전시키게 되면, 이 나사봉(26)에 일측이 나사맞춤된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가 수평축(25)을 중심으로 화살표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게 되므로,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의 조사방향조절 동작도,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와 마찬가지로, 전동모터(34)를 구동시켜 나사봉(33)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 나사봉(33)에 일측이 나사맞춤된 내측브라켓(31)이 나사봉(33)을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하의 가이드축(32)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모터(34)로 나사봉(33)을 정,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내측브라켓(31)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써 내측브라켓(31)에 설치된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를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동모터(37)를 구동시켜 나사봉(36)을 정,역회전시키게 되면, 이 나사봉(36)에 일측이 나사맞춤된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가 수평축(35)을 중심으로 화살표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게 되므로,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와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가 좌우, 상하방향으로 조절되므로 레이저 빛의 조사각 및 수신각을 사용자 또는 설치자가 임의로 조절하여 레이저 빛의 다단 반사횟수 및 그 영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레이저의 조사 및 수광 기능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에 의하면, 단일성과 코히어런스, 방향성 및 초점성을 갖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위험기계로 근접되는 인체 및 각종 물체를 감지하는 방식을 채택하므로써, 위험기계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재해를 완벽히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인체 근접감지를 통해 위험기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방호장치로써의 신뢰성과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와 수광 다이오드 및 2개의 반사경을 이용하여 다단으로 반사시키는 방식을 통해 넓은 지역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설치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구조의 단순함을 통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발,수광다이오드의 레이저 조사 및 수광방향이 상하, 좌우로 조절됨으로써 정확한 레이저의 조사 및 수광이 이루어져 기능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조절작업이 매우 쉽고 편리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 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 안전장치의 발광측 방향조절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 안전장치의 발광측 방향조절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 안전장치의 수광측 방향조절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 안전장치의 수광측 방향조절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 : 지지바 13 : 레이저 발광다이오드
14 : 레이저 수광다이오드 15,16 : 반사경
17 : 레이저 발진기 18 : 방호장치 제어부
20 : 발광측 방향조절기구 30 : 수광측 방향조절기구
21,31 : 내측브라켓 22,32 : 가이드축
23,26,33,36 : 나사봉 24,27,34,37 : 전동모터
25,35 : 수평축

Claims (4)

  1. 위험기계의 소정위치에서 소정거리를 두고 동일 높이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소정길이를 갖는 한쌍의 지지바(11,12)와,
    상기 한쪽 지지바(11)의 일측끝단에 설치되어 레이저 발진기(17)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는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와,
    상기 한쪽 지지바(11)의 타측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13)에서 조사된 레이저를 수광하여 방호장치 제어부(18)에서 감시신호로써 인지하도록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와,
    상기 양쪽 지지바(11,12)의 대향면에 설치되어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13)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빛을 조사각에 대응하여 일정 각도로 다단 반사시켜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가 수광하도록 하는 한쌍의 반사경(15,16)과,
    상기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가 반사경(15,16)에 다단 반사되어 정확하게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에 수광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의 레이저 조사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좌우방향 조절수단과, 레이저 조사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상하방향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발광측 방향조절기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의 레이저 수광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좌우방향 조절수단과, 레이저 수광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상하방향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수광측 방향조절기구(30)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측과 수광측 방향조절기구(20,30)의 좌우방향 조절수단은, 지지바(11)내에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와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가 설치되는 내측브라켓(21,31)와, 지지바(11)와 내측브라켓(21,31)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수평방향 가이드축(22,32)과, 상기 내측브라켓(21,31)에 일단이 나사맞춤되어 지지바(11)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나사봉(23,33)과, 상기 나사봉(23,33)을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소형의 전동모터(24,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측과 수광측 방향조절기구(20,30)의 상하방향조절수단은, 내측브라켓(21,31)에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와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를 각각 소정각도 회전자유롭게 설치하는 수평축(25,35)과, 레이저 발광다이오드(13)와 레이저 수광다이오드(14)의 후단부에 일단이 나사맞춤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나사봉(26,36)과, 이 나사봉(26,36)을 정,역회전시키는 소형의 전동모터(27,3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
KR20-2005-0004618U 2005-02-22 2005-02-22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 KR200383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618U KR200383906Y1 (ko) 2005-02-22 2005-02-22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618U KR200383906Y1 (ko) 2005-02-22 2005-02-22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906Y1 true KR200383906Y1 (ko) 2005-05-10

Family

ID=4368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618U KR200383906Y1 (ko) 2005-02-22 2005-02-22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9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201B1 (ko) 2016-06-28 2017-12-20 박성탁 프레스의 선행작동 안전장치
CN114325203B (zh) * 2022-01-12 2023-07-14 江苏本川智能电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改善测试压床安全的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201B1 (ko) 2016-06-28 2017-12-20 박성탁 프레스의 선행작동 안전장치
CN114325203B (zh) * 2022-01-12 2023-07-14 江苏本川智能电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改善测试压床安全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5835B2 (ja) レーザレーダ装置
EP0461235A1 (en) MACHINE PROXIMITY SENSOR.
JP5861532B2 (ja) レーザレーダ装置
KR101127297B1 (ko) 레이저 조사기의 회전기구
JP2012211831A (ja) レーザレーダ装置
JP2004526198A (ja) 平行ビームレーザーセンサーのための調節可能なミラー
CN1651932A (zh) 扫描测距仪
JP2009236774A (ja) 三次元測距装置
JP2008134163A (ja) 三次元測距装置
KR950005218B1 (ko) 컴퓨터용 무선입력장치
KR200383906Y1 (ko) 레이저를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
JP2020082318A (ja) ロボットの監視システム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JP2005121638A (ja) 光電子検出装置
JP5929675B2 (ja) レーザレーダ装置
JP6028050B2 (ja) 光電センサ及び監視領域内の物体の検出方法
JP2007309696A (ja) 表面検査ヘッド装置
AU2011252181B2 (en) Furniture having an electromotive adjustment means
JP2011214926A (ja) マルチ信号処理装置、測距装置、及びマルチ測距システム
JP4579321B2 (ja) 位置検出装置
JP2011169730A (ja) レーザ測定装置
JP5378479B2 (ja) 光電センサ及びその設定方法
JP5381583B2 (ja) 検知器および調整治具
KR102249842B1 (ko) 3차원 스캐너 장치
KR20200006999A (ko) 간소화된 검출을 이용한 라이다 장치 및 그 방법
EP1803989A1 (en) Safety light b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