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752Y1 - 도어 개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752Y1
KR200383752Y1 KR20-2004-0035603U KR20040035603U KR200383752Y1 KR 200383752 Y1 KR200383752 Y1 KR 200383752Y1 KR 20040035603 U KR20040035603 U KR 20040035603U KR 200383752 Y1 KR200383752 Y1 KR 200383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ntrol device
door opening
user
clos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혁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이지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인텍(주) filed Critical 이지인텍(주)
Priority to KR20-2004-0035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7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2Comprising means fo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l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인증 수단으로 지문 데이터, 또는 비밀 번호 데이터를 선택하며, 리모트 콘트롤러로 원격에서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제1 인증 정보를 유지하는 인증 정보 저장부, 소정의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형으로 입력되는 제2 인증 정보를 수집하는 제2 인증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인증 정보의 유형을 선택 받는 선택부, 상기 제2 인증 정보의 유형에 대응되는 제1 인증 정보와 상기 제2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정보 판단부, 및 상기 인증 정보의 비교 결과, 일치할 경우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를 열림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 개폐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사용자 인증 과정을 하나 이상의 과정으로 수행하여 보다 확실한 보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 개폐 제어 장치{DEVICE FOR CONTROLLING DOOR OPEN/CLOSE}
본 고안은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인증 수단으로 지문 데이터, 또는 비밀 번호 데이터를 선택하며, 리모트 콘트롤러로 원격에서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람들은 도어(door)를 개폐하기 위한 다양한 인증 수단을 휴대하거나, 비밀 번호를 암기한다. 상기 도어는 자동차, 집, 건물, 및 금고 등 무수히 많은 곳에 설치되어 잠금 장치가 부착되어있다. 이러한 잠금 장치는 상기 인증 수단 또는 소정의 문자열로 구성된 비밀 번호로 열림/닫힘 상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수단 또는 소정의 문자열은 소정의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암기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인증 수단은 분실할 경우에 상기 잠금 장치는 타인에 의해서 열림/닫힘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비밀 번호는 상기 사용자가 항상 암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상기 잠금 장치에 상기 비밀 번호를 입력할 경우, 타인에게 노출될 가능성도 크게 존재한다.
또한, 상기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형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없어 상기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장치 또는 비밀 번호 등의 인증 수단을 항상 휴대하여야 한다. 따라서, 인증 수단의 일부를 분실 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잠금 장치의 열림/닫힘 상태의 제어를 전혀 수행할 수 없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잠금 장치의 열림/닫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항상 잠금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잠금 장치의 열림/닫힘 상태를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잠금 장치와 떨어진 지역에 위치하거나, 또는 원격지에서 상기 잠금 장치의 열림/닫힘 상태를 제어하는 것은 아직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로 남아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 개폐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사용자 인증 과정을 하나 이상의 과정으로 수행하여 보다 확실한 보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어 개폐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인증 형태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여, 보다 편리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 이상의 인증 형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증 형태를 만족하는 경우에 도어 개폐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열림/닫힘 상태 제어를 수행하게 설정함으로써 비밀 번호 분실, 개인 식별 카드의 분실 등의 상황에서도 열림/닫힘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리모트 콘트롤러를 사용하여 도어 개폐 도어 개폐 제어 장치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제1 인증 정보를 유지하는 인증 정보 저장부, 소정의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형으로 입력되는 제2 인증 정보를 수집하는 제2 인증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인증 정보의 유형을 선택 받는 선택부, 상기 제2 인증 정보의 유형에 대응되는 제1 인증 정보와 상기 제2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정보 판단부, 및 상기 인증 정보의 비교 결과, 일치할 경우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를 열림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100)는 인증 정보 저장부(101), 제2 인증 정보 수집부(102), 선택부(103), 인증 정보 판단부(104), 제어부(105), 타이머 수단(106), 디스플레이 수단(107), 스피커 수단(10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인증 정보 저장부(101)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10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제1 인증 정보를 유지한다.
제1 인증 정보는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열림/닫힘 상태의 제어가 허가된 사용자가 사전에 입력하며, 본 고안에 따른 제1 인증 정보는 지문 데이터, 또는 비밀 번호 데이터이고, 상기 나열한 제1 인증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를 고유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인증 정보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홍체의 특성을 이용한 인증 정보, 및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한 성문 데이터를 상기 제1 인증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손가락을 거치하고, 상기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을 분석하며, 지문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지문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본 고안의 특허성과 무관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로 소정의 비밀 번호를 입력하고,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는 소정의 저장 수단에 상기 비밀 번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비밀 번호는 소정의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인증 정보 수집부(102)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형으로 입력되는 제2 인증 정보를 수집한다.
제2 인증 정보는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101)를 제어하려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인증 정보로서, 사전에 입력되어 유지되는 상기 제1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유형이다.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101)는 상기 제2 인증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2 인증 정보의 유형을 알려줄 수 있다. 제2 인증 정보 수집부(102)는 상기 제1 인증 정보의 유형에 따라, 상기 제2 인증 정보를 입력 받는 소정의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인증 정보 수집부(102)는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인증 정보 수집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인증 정보 수집부는 지문 패턴 추출부(201), 비밀 번호 입력 수단(202), 인증 정보 수신 모듈(20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지문 패턴 추출부(201)는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모듈이며, 하나 이상의 광원 수단, 촬상부, 이미지 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지문 패턴 추출부(201)에 손가락을 거치할 경우, 상기 광원 수단은 하나 이상의 광원을 상기 손가락으로 조사한다. 상기 손가락으로부터 반사된 상기 광원은 상기 촬상부로 반사되고, 이미지의 형태로 소정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지문 패턴을 추출한다. 상기 지문 패턴을 소정의 신호처리를 통하여 지문 데이터로 변환되고, 최종적인 제1 인증 정보로 생성한다. 상기 지문 데이터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고유 식별 정보로서 평생 불변이며 또한 동일한 지문을 소유한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비밀 번호 입력 수단(202)은 사용자로부터 비밀 번호 데이터를 입력 받는 모듈이다. 상기 비밀 번호는 하나 이상의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적용되는 인증 수단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비밀 번호 입력 수단(202)은 하나 이상의 키패드, 터치 스크린, 또는 음성 인식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통해 소정의 비밀 번호를 말할 경우, 상기 음성 인식 모듈에서 음성 인식 과정을 수행하고, 소정의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입력 받은 전기적 신호의 비밀 번호와 같은 유형의 인증 정보로 작용될 수 있다.
인증 정보 수신 모듈(203)은 소정의 통신 모듈로서, 소정의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제2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상기 인증 정보 수신 모듈과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또는 RF(radio frequency)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 제2 인증 정보를 입력하고,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인증 정보 수신 모듈(203)로 송신한다.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지문 패턴 추출부(201), 비밀 번호 입력 수단(2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지문 패턴 추출부(201)가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에 포함되어 구성될 경우에는 통신 데이터의 부하를 고려하여, 지문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지문 패턴을 추출하여 상기 지문 패턴만을 인증 정보 수신 모듈(203)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선택부(103)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인증 정보의 유형을 선택 받는다.
사용자는 상기 선택부로 제2 인증 정보를 상기 지문 데이터로 설정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할 것인지 아니면, 상기 비밀 번호 데이터로 인증 과정을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 수신 모듈을 통해 제2 인증 정보를 수신할 것인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는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부는 제2 인증 정보를 지문 데이터, 및 비밀 번호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가 제2 인증 정보로써 지문 데이터 및 비밀 번호 데이터를 모두 입력해야 하고, 상기 지문 데이터 및 비밀 번호 데이터가 상기 제1 인증 정보와 대응될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다.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인증 정보를 지문 데이터, 또는 비밀 번호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가 제2 인증 정보로써 지문 데이터 또는 비밀 번호 데이터 중에서 하나 이상을 입력해야 하고, 상기 지문 데이터와 비밀 번호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2 인증 정보가 상기 제1 인증 정보와 대응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인증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인증 정보를 지문 데이터, 또는 비밀 번호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가 제2 인증 정보로써 지문 데이터와 비밀 번호 데이터 중에서 하나만 입력하고, 상기 지문 데이터 와 비밀 번호 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제2 인증 정보만을 입력하여 상기 제1 인증 정보와 비교한다.
상기 선택부는 상기 비밀 번호 입력 수단과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키패드, 터치 스크린, 및 음성 인식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증 정보 판단부(104)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2 인증 정보를 상기 제1 인증 정보와 비교하고, 대응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상기 제2 인증 정보를 지문 데이터로 선택한 경우, 사전에 저장 되어있는 지문 데이터의 제1 인증 정보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지문 데이터를 비교한다. 상기 제1 인증 정보와 상기 제2 인증 정보는 소정의 패턴 매칭 등을 이용하여, 비교하고,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인증 정보를 비밀 번호 데이터로 선택한 경우, 제1 인증 정보 중에서 비밀 번호 데이터와 상기 제2 인증 정보로 입력된 비밀 번호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어부(105)는 상기 제1 인증 정보와 제2 인증 정보의 비교 결과, 일치할 경우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를 열림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가 닫힘 상태로 존재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인증 정보를 입력 받을 경우,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는 열림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열림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일례로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가 열림 상태일 경우, 상기 제2 인증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인증될 경우,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를 닫힘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2 인증 정보가 상기 제1 인증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105)는 현재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에서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인증 정보가 상기 제1 인증 정보와 일치할 경우,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하고, 소정의 타이머 수단(106)이 동작하게 된다. 타이머 수단(106)은 소정의 타임 아웃 조건을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상기 동작 이후에 수시로 확인한다. 상기 확인 과정은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동작하고, 이는 선택부(103)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도어 개폐 제어 장치가 열림 상태로 유지될 경우,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무단으로 출입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타이머 수단이 이를 제어한다.
상기 타임 아웃 조건의 일례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1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열림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열림/닫힘 상태의 전환에 따른 명령이 전달되지 않을 경우 1분 후에 상기 타이머 수단은 제어부(105)로 닫힘 상태로의 전환 명령을 전달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는 닫힘 상태로 전환되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열림/닫힘 상태의 전환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107), 또는 소정의 스피커 수단(108)으로 상기 사용자로 알려준다.
디스플레이 수단(108)은 LCD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열림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동작하는 타임 아웃 조건의 남은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ON/OFF는 상기 선택부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하며, 상기 스피커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표시되는 현재 내용을 보조하여 동작할 수 있다. 스피커 수단(108)의 ON/OFF는 상기 선택부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스피커 수단은 현재 제2 인증 정보로 입력되는 인증 수단이 지문 데이터인지 비밀 번호 데이터인지를 사용자로 알려 줄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선택부를 통해 설정하며, 사용자가 상기 제2 인증 정보를 비공개로 설정할 경우, 공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을 원하는 사용자는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제2 인증 정보의 형태를 사전에 알고 있어야 하며, 적합한 제2 인증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인증 정보를 알고 있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원천 봉쇄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내부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는 제1 인증 정보를 유지한다(단계(301)). 상기 제1 인증 정보는 사용자가 사전에 입력한 정보이며, 상기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 또는 비밀 번호 데이터이다. 상기 제1 인증 정보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유일하게 식별 가능한 정보이며 어떠한 유형의 정보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유형의 정보와 동일한 유형의 정보를 입력 받는 소정의 인증 수단이 포함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단계(302)에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열림/닫힘 상태를 제어하는 소정의 제2 인증 정보의 유형을 결정한다. 상기 제2 인증 정보의 일례로 지문 데이터 또는 비밀 번호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는 제2 인증 정보의 유형으로 지문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비밀 번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지문 데이터와 비밀 번호 데이터를 동시에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지문 데이터와 비밀 번호 데이터가 동시에 설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문 데이터 또는 비밀 번호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인증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지문 데이터와 상기 비밀 번호 데이터가 모두 제1 인증 정보와 일치할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인증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사용자가 제2 인증 정보의 유형과 더불어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열림/닫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소정의 사용자는 제2 인증 정보를 입력한다(단계(303)). 도어 개폐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2 인증 정보를 분석하고, 제1 인증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304)). 상기 제1 인증 정보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2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단계(305))에 도어 개폐 제어 장치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일 경우, 열림 상태로 전환한다(단계(306)). 이와 동시에 도어 개폐 제어 장치는 소정의 타이머 수단이 동작되고, 타임 아웃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수시로 확인한다(단계(307)). 상기 타임 아웃 조건은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타임 아웃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는 열림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상기 타임 아웃 조건이 만족되는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는 닫힘 상태로 전환된다(단계(308)).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내부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고안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고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고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 개폐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사용자 인증 과정을 하나 이상의 과정으로 수행하여 보다 확실한 보안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 개폐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인증 형태를 하나 이상의 인증 형태로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여, 보다 편리한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인증 형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증 형태를 만족하는 경우에 도어 개폐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열림/닫힘 상태 제어를 수행하게 설정하므로써 비밀 번호 분실, 개인 식별 카드의 분실 등의 상황에서도 열림/닫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리모트 콘트롤러를 사용하여 도어 개폐 도어 개폐 제어 장치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인증 정보 수집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내부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도어 개폐 제어 장치
101: 인증 정보 저장부
102: 제2 인증 정보 수집부
103: 선택부
104: 인증 정보 판단부
105: 제어부
106: 타이머 수단
107: 디스플레이 수단
108: 스피커 수단

Claims (8)

  1.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제1 인증 정보를 유지하는 인증 정보 저장부;
    소정의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형으로 입력되는 제2 인증 정보를 수집하는 제2 인증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인증 정보의 유형을 선택 받는 선택부;
    상기 제2 인증 정보의 유형에 대응되는 제1 인증 정보와 상기 제2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정보 판단부; 및
    상기 인증 정보의 비교 결과, 일치할 경우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를 열림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증 정보 수집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문 데이터를 추출하는 지문 패턴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부로부터 선택 받은 상기 제2 인증 정보의 유형은 지문 데이터이고,
    상기 인증 정보 판단부는 상기 인증 정보 저장부에 유지되는 상기 제1 인증 정보와 상기 제2 인증 정보를 패턴 매칭하여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열림/닫힘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증 정보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비밀 번호를 입력 받는 비밀 번호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부로부터 선택 받은 상기 제2 인증 정보의 유형은 비밀 번호 데이터이고,
    상기 인증 정보 판단부는 상기 인증 정보 저장부에 유지되는 제1 인증 정보와 상기 제2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열림/닫힘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증 정보 수집부는 소정의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제2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 정보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증 정보는 상기 인증 정보 저장부에 유지되는 제1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열림/닫힘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증 정보와 제2 인증 정보의 비교에 따른 판단 절차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제1 인증 정보와 제2 인증 정보의 비교에 따른 판단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 안내하는 스피커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가 열림 상태에서 동작하는 타이머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 수단은 소정의 타임 아웃 조건을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소정의 주기에 따라 확인하며, 상기 타임 아웃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열림 상태를 닫힘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 번호 입력 수단은 하나 이상의 키패드, 터치 스크린, 음성 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 수신 모듈은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와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또는 RF(radio frequency)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
KR20-2004-0035603U 2004-12-15 2004-12-15 도어 개폐 제어 장치 KR200383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603U KR200383752Y1 (ko) 2004-12-15 2004-12-15 도어 개폐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603U KR200383752Y1 (ko) 2004-12-15 2004-12-15 도어 개폐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752Y1 true KR200383752Y1 (ko) 2005-05-09

Family

ID=4368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603U KR200383752Y1 (ko) 2004-12-15 2004-12-15 도어 개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75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789B1 (ko) * 2008-09-03 2011-03-17 인우시스템 주식회사 대여금고 관리장치 및 방법
KR200453384Y1 (ko) 2009-03-30 2011-04-27 (주)신성이지텍 무선 주파수 방식의 가구 개폐장치
KR101201550B1 (ko) 2010-07-07 2012-11-15 (주)시에스넷 냉동탑차 적재함 제어시스템
KR101542751B1 (ko) 2012-12-10 2015-08-07 주식회사 퍼시스 Rfid를 이용한 가구 도어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9162601A (zh) * 2018-10-17 2019-01-08 江苏沃德渥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入户门和入户系统
KR20230082909A (ko) * 2021-12-02 2023-06-0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락 및 그의 구동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789B1 (ko) * 2008-09-03 2011-03-17 인우시스템 주식회사 대여금고 관리장치 및 방법
KR200453384Y1 (ko) 2009-03-30 2011-04-27 (주)신성이지텍 무선 주파수 방식의 가구 개폐장치
KR101201550B1 (ko) 2010-07-07 2012-11-15 (주)시에스넷 냉동탑차 적재함 제어시스템
KR101542751B1 (ko) 2012-12-10 2015-08-07 주식회사 퍼시스 Rfid를 이용한 가구 도어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9162601A (zh) * 2018-10-17 2019-01-08 江苏沃德渥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入户门和入户系统
KR20230082909A (ko) * 2021-12-02 2023-06-0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락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592285B1 (ko) * 2021-12-02 2023-10-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락 및 그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297B1 (ko) 전자 도어락 개폐 시스템 및 개폐방법
KR100665641B1 (ko) 개인 인증 장치 및 개인 인증 방법
KR101960798B1 (ko)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641510B2 (en) Control system operable by mobile devices
US9621702B2 (en) Control system cooperating with a mobile device
KR200383752Y1 (ko) 도어 개폐 제어 장치
KR102037314B1 (ko) Ai 음성인식을 이용한 iot 잠금장치
JP4603350B2 (ja) 個人認証装置
CN109598824A (zh) 控制车辆后备箱的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车辆
KR20170061989A (ko) 생체정보와 터치 패턴을 조합한 복합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060121439A (ko) 휴대폰을 이용한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KR20090013619A (ko) 일회용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
CN210316992U (zh) 一种自动门指纹系统
JP2007004698A (ja) 取扱者認証機能付き電子機器
JP3863225B2 (ja) キー管理装置及びその管理方法
KR100989192B1 (ko) 생체 인증을 이용한 멀티 액세스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10889101A (zh) 终端功能控制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JP2007054263A (ja) 個人認証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入退室管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5063173A (ja) 生体認証装置および通行制御装置
KR200293466Y1 (ko)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한 대여금고 통제 시스템
KR20040098725A (ko) 복수의 인증수단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의 개폐 방법
KR20040094499A (ko) 생체인증 출입통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38610A (ko) 금고 개폐 시스템
KR100480475B1 (ko) 터치센서와 알에프 카드 인식장치를 이용한 출입/근태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531892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