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136Y1 - 음이온 발생기능이 부가된 꽃꽂이 수반 - Google Patents

음이온 발생기능이 부가된 꽃꽂이 수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136Y1
KR200383136Y1 KR20-2005-0004410U KR20050004410U KR200383136Y1 KR 200383136 Y1 KR200383136 Y1 KR 200383136Y1 KR 20050004410 U KR20050004410 U KR 20050004410U KR 200383136 Y1 KR200383136 Y1 KR 200383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anion
flower arrangement
water
water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천행
Original Assignee
조천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천행 filed Critical 조천행
Priority to KR20-2005-0004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136Y1/ko
Priority to PCT/KR2005/000462 priority patent/WO200507963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1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3Needle cushions or needle plates for supporting flowers in pots or v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꽃이 장식된 꽂이부재를 꽃꽂이 수반의 하부에서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시켜 꽃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꽃꽂이 수반의 내부에 저장된 물속으로 음이온생성부에서 음이온을 생성하여 순환시키므로 물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정화하면서 실내의 가습효과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정화된 물이 냉각부를 통해 꽃꽂이 수반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꽃의 신선도 및 수명을 연장시키면서 꽃의 교체비용 절감으로 인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이온 발생기능이 부가된 꽃꽂이 수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이온 발생기능이 부가된 꽃꽂이 수반{flower arrangement bowl add to anion occurrence function}
본 고안은 꽃꽂이 수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꽃이 장식된 꽂이부재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꽃의 위치변화에 따른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꽃꽂이 수반에 저장된 물이 순환되면서 발생하는 음이온으로 꽃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음이온 발생기능이 부가된 꽃꽂이 수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경제활동이 활발해지고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꽃(생화, 조화 등)을 가까이하고 있으며, 꽃꽂이를 통해 꽃의 아름다움을 보는 사람들의 마음을 순화하여 스트레스를 완화함과 아울러 탄소의 동화 작용 등에 의해 산소를 생산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능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식탁, 거실, 사무실 등의 장소에 놓여져 주변 환경 및 분위기를 밝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꽃을 꽃꽂이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꽃의 줄기가 꽂아지도록 돌출되는 다수개의 침(21)이 형성된 꽂이부재(20)가 구비되고, 이 꽃이부재(20)를 수용하도록 운두가 낮으면서도 바닥이 편평하게 형성되며, 꽂이부재(20)에 장식된 꽃의 줄기 단부를 수용하도록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꽃꽂이 수반(10)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꽃꽂이 수반은, 꽃꽂이 수반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별도의 공기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물의 오염속도를 증가시키면서 오염된 물이 꽂이부재의 침에 꽂아져 흡수면적이 작은 줄기의 단부를 통해 공급됨과 동시에 꽃꽂이 수반에 저장된 물이 실내의 공기와 열교환되어 실내의 온도에 맞게 높아지면 꽃이 단시간에 시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꽃이 장식된 꽃꽂이 수반을 일정한 장소에 위치시키게 되면, 물과 꽃을 갈아줄 경우를 제외하고는 꽃이 장식된 꽂이부재의 모양이 변동되지 않음으로 심미감을 떨어뜨리며, 꽃꽂이 수반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움직이지 않고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 실내의 가습효과를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꽃이 장식된 꽂이부재를 꽃꽂이 수반의 하부에서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시켜 꽃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꽃꽂이 수반의 내부에 저장된 물속으로 음이온생성부에서 음이온을 생성하여 순환시키므로 물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정화하면서 실내의 가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음이온 발생기능이 부가된 꽃꽂이 수반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정화된 물이 냉각부를 통해 꽃꽂이 수반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꽃의 신선도 및 수명을 연장시키면서 꽃의 교체비용 절감으로 인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이온 발생기능이 부가된 꽃꽂이 수반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다단으로 요입되는 몸체의 내부에 분리판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몸체의 내부를 상.하부공간으로 분리하며, 분리된 상부공간에 물을 저장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공간에 저장된 물의 수면내에 하단부가 위치하도록 안착되어 꽃을 수용하여 전시하는 꽂이부재가 형성되며, 이 꽂이부재의 단부를 하우징의 하부공간에서 연결벨트로 모터와 연결하여 일정속도로 회전시키는 전시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공간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음이온생성기의 내부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에 의해 생성되는 기포에서 음이온을 발생시켜 상부공간에 저장된 물의 상부에서 하부로 낙수되도록 순환시키면서 음이온을 발산하는 음이온생성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공간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일정온도를 유지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전시부의 모터와 음이온생성부의 펌프 및 냉각기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꽃꽂이 수반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다단으로 요입되는 몸체(111)의 내부에 분리판(112)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몸체(111)의 내부를 상.하부공간(113)(114)으로 분리하며, 분리된 상부공간(113)에 물을 저장하는 하우징(110)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공간(113)에 저장된 물의 수면내에 하단부가 위치하도록 안착되어 꽃을 수용하여 전시하는 꽂이부재(121)가 형성되며, 이 꽂이부재(121)의 단부를 하우징(110)의 하부공간(114)에서 연결벨트(122)로 모터(123)와 연결하여 일정속도로 회전시키는 전시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공간(113)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음이온생성기(132)의 내부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에 의해 생성되는 기포에서 음이온을 발생시켜 상부공간(113)에 저장된 물의 상부에서 하부로 낙수되도록 순환시키면서 음이온을 발산하는 음이온생성부(130)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공간(113)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일정온도를 유지시키는 냉각부(140)가 구비되고, 상기 전시부(120)의 모터(123)와 음이온생성부(130)의 펌프(131) 및 냉각기(140)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150)가 구비된 꽃꽂이 수반(100)이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꽂이부재(121)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되는 원통형몸체(121a)의 상면에 전시할 꽃의 줄기를 수용하도록 격자형으로 관통되어 장착되는 수용부재(121b)가 구비되고, 상기 원통형몸체(121a)의 저면에 장착되어 수용부재(121b)에 수용된 꽃의 줄기 단부를 지지하며, 상부공간(113)에 저장된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미세하게 관통된 지지부재(121c)가 구비된다.
상기 음이온생성부(130)는, 전기분해방식으로 음이온을 생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다수의 꽃이나 꽃나무 줄기를 꽂이부재(121)의 원통형몸체(121a)보다 길이가 길면서도 크기가 다르게 각각 절단한 후, 꽂이부재(121)의 수용부재(121b) 사이로 이동시켜 지지부재(121c)에 밀착시키면서 보기 좋게 꽃꽂이한다.
또한, 상기 꽂이부재(121)의 단부를 분리판(112)의 설치공에 결합하여 하우징(110)의 하부공간(114)에 돌출되도록 결합하고, 하부공간(114)에 돌출된 꽂이부재(121)의 단부에 풀리를 장착한 후, 모터(123)와 연결벨트(122)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하우징(110)의 상부공간(113)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여 전시할 위치(식탁, 거실, 사무실 등등)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꽃꽂이 수반(100)에 전원을 공급하면,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모터(123)를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 모터(123)에 연결된 연결벨트(122)가 모터(123)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연결벨트(122)에 연결된 풀리를 회전시킴에 따라 꽂이부재(121)를 모터(123)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123)와 꽂이부재(121)의 회전비는, 꽂이부재(121)가 약 1시간에 1회전 할 수 있을 정도로 모터(123)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꽂이부재(121)의 회전으로 각도가 변화되는 꽃을 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음이온생성부(130)의 펌프(131)를 작동시켜 하우징(110)의 상부공간(113)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음이온생성기(132)로 이동시키면, 상기 음이온생성기(132)의 내부로 이동되는 물이 지름이 1.2mm 이하인 작은 기포공을 통과하면서 내부 압력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강한 와류와 함께 물에 다량의 기포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기포와 물 사이에 접하는 표면적이 넓어짐으로 물속에 음이온 함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음이온생성부(130')의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131)의 선단에 음이온생성기(132)를 설치하여 사용하여도 음이온생성부(130)와 동일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같이 음이온 함량이 증가하도록 음이온생성기(132)를 경유한 물은, 안내관(133)을 통해 하우징(110)의 상부공간(113)에 저장된 물의 상부에서 하부로 낙수되면서 상부공간(113)에 저장된 물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음이온의 생성을 배가시킴에 따라 상부공간(113)에 저장된 물속을 정화하면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음이온은 전기분해방식을 적용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공간(113)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측정하여 설정된 온도(예: 10∼20℃)보다 높게 측정되면,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냉각부(140)를 작동시켜 상부공간(113)에 저장된 물의 열을 흡수하는 열교환 과정을 반복하면서 설정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설정된 온도는 10∼20℃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줄기가 절단된 꽃의 신선도를 오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온도를 나타낸 것이며, 꽃의 종류에 따라 설정된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사용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이상의 과정으로 줄기가 절단된 꽃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설정된 온도의 물이 음이온생성부(130)를 통해 정화됨과 동시에 오염을 방지한 상태에서 지지부재(121c)를 통해 꽂이부재(121)의 하단부 내부로 이동하면, 상기 꽂이부재(121)의 수용부재(121b)에 각각 위치하여 지지부재(121c)에 밀착된 꽃의 줄기 내부로 공급되면서 오랜 시간 동안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시부(120)의 모터(123) 동력으로 회전되는 꽂이부재(121)에 장식된 꽃을 사용자가 보면서 새로운 미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면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꽃이 장식된 꽂이부재를 꽃꽂이 수반의 하부에서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시켜 꽃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꽃꽂이 수반의 내부에 저장된 물속으로 음이온생성부에서 음이온을 생성하여 순환시키므로 물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정화하면서 실내의 가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정화된 물이 냉각부를 통해 꽃꽂이 수반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꽃의 신선도 및 수명을 연장시키면서 꽃의 교체비용 절감으로 인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꽃꽂이 수반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꽃꽂이 수반 110: 하우징
120: 전시부 121: 꽂이부재
122: 연결벨트 123: 모터
130: 음이온생성부 131: 펌프
132: 음이온생성기 140: 냉각부
150: 제어부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되도록 다단으로 요입되는 몸체(111)의 내부에 분리판(112)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몸체(111)의 내부를 상.하부공간(113)(114)으로 분리하며, 분리된 상부공간(113)에 물을 저장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공간(113)에 저장된 물의 수면내에 하단부가 위치하도록 안착되어 꽃을 수용하여 전시하는 꽂이부재(121)가 형성되며, 이 꽂이부재(121)의 단부를 하우징(110)의 하부공간(114)에서 연결벨트(122)로 모터(123)와 연결하여 일정속도로 회전시키는 전시부(120)와;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공간(113)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음이온생성기(132)의 내부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에 의해 생성되는 기포에서 음이온을 발생시켜 상부공간(113)에 저장된 물의 상부에서 하부로 낙수되도록 순환시키면서 음이온을 발산하는 음이온생성부(130)와;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공간(113)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일정온도를 유지시키는 냉각부(140)와;
    상기 전시부(120)의 모터(123)와 음이온생성부(130)의 펌프(131) 및 냉각기(140)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150)가 구비된 꽃꽂이 수반(10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능이 부가된 꽃꽂이 수반.
  2. 제1항에 있어서, 꽂이부재(121)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되는 원통형몸체(121a)의 상면에 전시할 꽃의 줄기를 수용하도록 격자형으로 관통되어 장착되는 수용부재(121b)가 구비되고, 상기 원통형몸체(121a)의 저면에 장착되어 수용부재(121b)에 수용된 꽃의 줄기 단부를 지지하며, 상부공간(113)에 저장된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미세하게 관통된 지지부재(121c)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능이 부가된 꽃꽂이 수반.
  3. 제1항에 있어서, 음이온생성부(130')는
    펌프(131)의 선단에 음이온생성기(132)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능이 부가된 꽃꽂이 수반.
  4. 제1항에 있어서,
    전기분해방식으로 음이온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능이 부가된 꽃꽂이 수반.
KR20-2005-0004410U 2004-02-20 2005-02-18 음이온 발생기능이 부가된 꽃꽂이 수반 KR200383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410U KR200383136Y1 (ko) 2005-02-18 2005-02-18 음이온 발생기능이 부가된 꽃꽂이 수반
PCT/KR2005/000462 WO2005079635A1 (en) 2004-02-20 2005-02-19 Bowl for flower arrangement equipped with anion-generat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410U KR200383136Y1 (ko) 2005-02-18 2005-02-18 음이온 발생기능이 부가된 꽃꽂이 수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136Y1 true KR200383136Y1 (ko) 2005-04-29

Family

ID=4368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410U KR200383136Y1 (ko) 2004-02-20 2005-02-18 음이온 발생기능이 부가된 꽃꽂이 수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1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536B1 (ko) 2021-03-09 2021-04-16 남영숙 분리막을 구비한 화병의 살균장치
KR102241577B1 (ko) 2021-03-09 2021-04-19 남영숙 전해질로서 염화나트륨을 이용한 화병의 물 전기분해 장치
KR102241574B1 (ko) 2020-12-31 2021-04-19 남영숙 꽃꽂이에 제공되는 물의 전기분해를 위한 전극구조 장치를 구비한 화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574B1 (ko) 2020-12-31 2021-04-19 남영숙 꽃꽂이에 제공되는 물의 전기분해를 위한 전극구조 장치를 구비한 화병
KR102241536B1 (ko) 2021-03-09 2021-04-16 남영숙 분리막을 구비한 화병의 살균장치
KR102241577B1 (ko) 2021-03-09 2021-04-19 남영숙 전해질로서 염화나트륨을 이용한 화병의 물 전기분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3490B2 (en) Wind-water ultrasonic humidifier
KR200383136Y1 (ko) 음이온 발생기능이 부가된 꽃꽂이 수반
JP7265265B2 (ja) 超音波加湿器
CN112747527B (zh) 冰箱
JP2012078040A (ja) 加湿装置
CN110089887A (zh) 一种新型智能风能香薰花瓶
KR20090092928A (ko) 꽂이형 가습기
KR200352093Y1 (ko) 꽃꽂이 수반
CN104235992A (zh) 一种加湿装置
WO2019105307A1 (zh) 冷藏冷冻装置及其储物容器
WO2022038882A1 (ja) 栽培装置及び栽培設備
JP2007103169A (ja) イオン発生装置
CN103162355A (zh) 空气净化加湿器及其使用方法
CN209042648U (zh) 一种带有杀菌消毒功能的移动式空调扇
CN217152375U (zh) 一种改进摇头风扇
JP2016041016A (ja) 植物栽培ユニット及び植物栽培施設
CN204026903U (zh) 一种加湿装置
CN207585059U (zh) 空调基座及具有该空调基座的空调
KR20030017089A (ko) 에칠렌제거 및 살균 가습장치
CN220187045U (zh) 一种具有香薰功能的空气加湿器
CN215618223U (zh) 一种手动剃须刀支架
KR101574079B1 (ko) 송풍펜을 이용하여 가습량을 조절하는 부직포가습기
CN213208158U (zh) 一种室内空气自动净化装置
CN210429207U (zh) 多功能提示牌
CN202900719U (zh) 电风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