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625Y1 -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625Y1
KR200382625Y1 KR20-2004-0034720U KR20040034720U KR200382625Y1 KR 200382625 Y1 KR200382625 Y1 KR 200382625Y1 KR 20040034720 U KR20040034720 U KR 20040034720U KR 200382625 Y1 KR200382625 Y1 KR 2003826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jaw
drainage
form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수
Original Assignee
최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수 filed Critical 최기수
Priority to KR20-2004-0034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6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6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6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형상의 배수통을 다단으로 형성하고 상기 배수통의 상단에서 사방으로 뻗쳐서 형성된 플랜지의 가장자리 둘레에 마감테를 "ㄱ"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며 상기 배수통 하단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된 배수턱의 턱단에 거친부(burr)를 형성하여 구성된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재질로 형성된 상기 배수통을 다단으로 형성하여 결합되는 하수관의 크기에 상관없이 유연하게 공용될 수 있으므로 제품관리 및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 또한 용이하고,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 둘레에 마감테를 형성하여 상기 마감테 외주변을 따라 시멘트가 깔끔하게 정리되므로 시공이 용이함은 물론 시공 후의 외관 또한 미려하고, 상기 배수턱의 턱단에 거친부(burr)를 형성하여 이물질을 걸러내어 배출시키지 않으므로 하수관의 막힘현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하수의 배출이 지연되거나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수장치 {A drain device}
본 고안은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상의 배수통을 다단으로 형성하고 상기 배수통의 상단에서 사방으로 뻗쳐서 형성된 플랜지의 가장자리 둘레에 마감테를 형성하며 상기 배수통 하단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된 배수턱의 턱단에 거친부(burr)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베란다 등에는 사용된 하수를 하수처리장으로 배출시키는 배수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의 배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가 배출되는 통로인 배수구(28)를 구비한 배수통(22)과, 배수통(22) 상단의 외주연에서 수평으로 형성된 플랜지(12), 및 배수통(22)의 상부에 안착되는 덮개(30)로 구성되는데, 다음과 같은 시공 및 사용상의 문제를 안고 있다.
즉, 종래의 배수장치는 결합되는 하수관의 크기, 즉 하수관의 내경이 다를 경우 하수관의 크기에 맞는 배수장치를 개별적으로 준비하여야 하므로 제품관리 및 시공이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종래의 배수장치는 시공 시에 플랜지의 가장자리가 시멘트에 부분적으로 덮혀 둘레가 깔끔하지 못하고 가장자리를 매끈하게 다듬기 위해서 별도의 수작업이 필수적이므로 시공이 번거롭다.
또한, 종래의 배수장치는 하수와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이 배수통 하단 중앙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배수턱을 넘어 하수관으로 배출되어서 하수관을 막아버리는 사례가 빈번하다.
또한, 종래의 배수장치는 덮개 하부에 결합되는 방취막에 의해 하수의 배출이 방해를 받게되어 배수장치 주위에 하수가 고여서 배출이 지연되며 과량의 하수 배출 시에는 역류되는 현상까지 초래한다.
상술한 종래의 배수장치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통을 다단으로 형성하여 결합되는 하수관의 크기에 상관없이 유연하게 공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 둘레에 마감테를 형성하여 시공이 용이함은 물론 시공 후의 외관 또한 미려하도록 하고, 상기 배수턱의 턱단에 거친부(burr)를 형성하여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으며, 하수의 배출이 지연되거나 역류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는 배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배수통 및 플랜지를 구비하는 몸체와 몸체의 상부를 덮는 덮개로 구성된 통상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바닥에 하부로 매설되는 배수통을 다단으로 형성하고, 상기 배수통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뻗쳐서 형성된 플랜지의 가장자리 둘레에 마감테를 형성하며 상기 배수통 하단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된 배수턱의 턱단에 이물질을 거르는 거름수단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거름수단이 상기 턱단에 거친부(burr)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거름수단이 상기 턱단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거름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덮개의 하부에 결합되는 원뿔형상의 방취막을 구비하고, 상기 방취막의 하단이 상기 배수통 하부에 형성된 집수부를 상기 방취막의 외측구간보다 내측구간이 더 넓게 되도록 양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적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배수장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의 정면단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단턱부의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몸체(10)와 덮개(30)로 구성되며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10)는 사각판재 형상의 플랜지(12)와 상기 플랜지(12)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원통형상의 배수통(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12)와 상기 배수통(22)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덮개(30)가 수용되는 안착면(16)이 상기 덮개(30)의 하부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2)는 가장자리에서 'ㄱ'자 모양으로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된 마감테(14)를 사방모서리, 즉 4개소에 구비하여 형성된다.
상기 배수통(22)은 외경이 불연속적으로 축소되어 다단으로 형성되고 최하단 내측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된 배수턱(24)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통(22)의 최하단과 상기 배수턱(24)의 내측공간에는 일정량의 물이 고여져 수용되는 집수부(26)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턱(24)의 외측부에는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28)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턱(24)의 턱단(25), 즉 상기 배수턱(24)의 내측단 모서리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친부(burr, 25a)가 내측으로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한 거름돌기(25b)를 상기 턱단(25)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이는 머리카락이나 실 같은 가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수단이다.
상기 덮개(30)는 원형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관통되어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32)과, 중앙 하부에 결합되는 원뿔형상의 방취막(34)을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방취막(34)의 결합수단은 리벳(36)에 의한 영구결합방식으로 실시하였으며, 나사체결방식이나 탈부착방식 또한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몸체(10)와 상기 덮개(30)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방취막(34)의 하단은 상기 집수부(26)를 외측과 내측으로 양분하게 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취막(34) 하단은 상기 방취막(34)의 외측구간(a)보다 내측구간(b)이 더 넓게 확보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10)의 내부에서 하수는 상기 방취막(34)을 경계로 유입 및 유출되는데, 상기 방취막(34)의 외측수평단면보다 내측수평단면이 더 넓게 되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외측구간(a)과 내측구간(b)의 비가 3:7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이어서 본 실시 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2)의 마감테(14)과 상기 배수통(22)이 바닥면의 하부로 매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배수통(22)의 외주면이 하수관(40)의 내주면에 끼움결합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통(22)은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결합되는 상기 하수관(40)의 크기에 상관없이 유연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하수관(40)은 규격별로 제작되며 배수용량에 따라 적합한 내경을 갖는 하수관(40)이 사용되는데, 상기 배수통(22)은 일반적인 하수관(40)의 규격에 맞춰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다양한 규격의 하수관(40)에 공용될 수 있으므로 제품관리 및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 또한 용이하다.
또한, 상기 플랜지(12)의 가장자리 전 둘레에 형성된 상기 마감테(14)는 하단부가 바닥에 매설되고 상단부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이웃하게 설치되는 타일(5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62)에는 시멘트(60)가 채워지는데, 상기 마감테(14) 외주변을 따라 시멘트(60)가 깔끔하게 정리되므로 시공이 용이함은 물론 시공 후의 외관 또한 미려할 뿐만 아니라 결합의 견고성이 한층 더 부가된다.
한편, 상기 덮개(30)의 유입공(32)으로 유입된 하수는 상기 배수통(22)에 수용된 후 상기 배수구(28)를 통해 하수관(40)으로 배출되는데, 하수에 섞여서 유입되는 머리카락이나 기타 이물질은 상기 배수턱(24)의 턱단(25)에 형성된 거친부(burr, 25a) 또는 거름돌기(25b)에 의해 걸러져 배출되지 않으므로 하수관(40)의 막힘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턱단(25)에 걸러진 이물질은 상기 덮개(30)를 개방한 다음 제거하여 청소하도록 한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비교해 보면, 상기 방취막(34)의 단면형상이 종래의 경우에는 곡선형태인데 반해 본 실시 예에서는 직선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의 직선형상은 종래의 원호형상일 때보다 하수가 이동하는 경로가 훨씬 짧아지므로 그 만큼 배출 소요시간이 단축되며 또한, 급경사를 이루므로 수직낙하하는 하수에 대한 항력이 줄어들어 하수의 배출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방취막(34)을 경계로 유입 및 유출되는 하수는 상기 방취막의 외측구간(a)보다 내측구간(b)이 더 넓어서, 즉 외측수평단면 보다 내측수평단면이 넓어서 배출이 지연되거나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기 배수통을 다단으로 형성하여 결합되는 하수관의 크기에 상관없이 유연하게 공용될 수 있으므로 제품관리 및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 또한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 둘레에 마감테를 형성하여 상기 마감테 외주변을 따라 시멘트가 깔끔하게 정리되므로 시공이 용이함은 물론 시공 후의 외관 또한 미려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배수턱의 턱단에 거친부(burr)를 형성하여 이물질을 걸러내어 배출시키지 않으므로 하수관의 막힘현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방취막이 원뿔형상으로 형성되고 집수부를 양분하는 상기 방취막의 외측구간보다 내측구간이 더 넓게 형성되어서 하수의 배출이 지연되거나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수장치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의 정면단도.
도 4a 및 도 4b는 단턱부의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2 : 플랜지
14 : 마감테 16 : 안착면
22 : 배수통 24 : 배수턱
25 : 턱단 26 : 집수부
28 : 배수구 30 : 덮개
32 : 유입공 34 : 방취막

Claims (4)

  1. 배수통 및 플랜지를 구비하는 몸체와 몸체의 상부를 덮는 덮개로 구성된 통상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바닥에 하부로 매설되는 배수통을 다단으로 형성하고, 상기 배수통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뻗쳐서 형성된 플랜지의 가장자리 둘레에 마감테를 형성하며 상기 배수통 하단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된 배수턱의 턱단에 이물질을 거르는 거름수단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수단은 상기 턱단에 거친부(burr)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수단은 상기 턱단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거름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하부에 결합되는 방취막은 원뿔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취막의 하단은 상기 배수통 하부에 형성된 집수부를 상기 방취막의 외측구간보다 내측구간이 더 넓게 되도록 양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KR20-2004-0034720U 2004-12-07 2004-12-07 배수장치 KR2003826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720U KR200382625Y1 (ko) 2004-12-07 2004-12-07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720U KR200382625Y1 (ko) 2004-12-07 2004-12-07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625Y1 true KR200382625Y1 (ko) 2005-04-22

Family

ID=4368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720U KR200382625Y1 (ko) 2004-12-07 2004-12-07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6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146B1 (ko) 2009-05-01 2009-09-17 박희범 배수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146B1 (ko) 2009-05-01 2009-09-17 박희범 배수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03575B2 (en) Filter and Filter Assembly
WO2017046703A1 (en) Hair straining device
US20130061387A1 (en) Shower drain cover
CN201111509Y (zh) 下水管污水杂物分离装置
US6495040B1 (en) Septic tank filtering system
US20120167296A1 (en) Urinal drain trap
US20190136494A1 (en) Top cover, sealing ring and filter for an outlet of a washbasin
DE102010014949A1 (de) Filterpatrone, insbesondere zum Reinigen von dentalen Abwässern
KR200382625Y1 (ko) 배수장치
AU2020339526B2 (en) Tide water filtering tanks having high circulation
EP2060682B1 (en) Floor drain with removable odour seal
DE102009023015B4 (de) Ablauf, insbesondere für sanitäre Einrichtungen
KR100705299B1 (ko) 배수구용 배수전
EP2258905A1 (de) Ablauf, insbesondere für sanitäre Einrichtungen
DE102010044940B4 (de) Abwasserablauf mit Geruchsverschluss
KR20200103449A (ko) 막힘 방지 기능이 부여된 배수구용 거름망 구조
EP1574629B1 (de) Ablaufarmatur für eine sanitäre Apparatur, insbesondere Duschwanne
CN201071532Y (zh) 一种一体式可分离防臭防堵密封下水道
DE102019131566B4 (de) Ablaufarmatur, insbesondere für eine Duschwanne oder in Form eines Bodenablaufs
US9506226B2 (en) Water collection tank and filtering system
DE10261487A1 (de) Folie, Abflusssieb,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Abflusssiebes und Verwendung einer solchen Folie sowie Verwendung eines permeablen Gebildes
CN208604701U (zh) 水槽下水器连接管及下水器件
KR20240033579A (ko) 배수육가
EP2060686A2 (en) Self-cleaning floor drain
JP6691282B2 (ja) 排水口用ヘアキャッチ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