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546Y1 -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 Google Patents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546Y1
KR200382546Y1 KR20-2004-0030798U KR20040030798U KR200382546Y1 KR 200382546 Y1 KR200382546 Y1 KR 200382546Y1 KR 20040030798 U KR20040030798 U KR 20040030798U KR 200382546 Y1 KR200382546 Y1 KR 200382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hinged
support
piston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기
Original Assignee
손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기 filed Critical 손영기
Priority to KR20-2004-0030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5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5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06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A45D19/08Adaptations of wash-basi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 A47C1/03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actuated by linkages, e.g. lazy-tongs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1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47C7/506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 후측에 위치하며 일체로 구비되는 삼푸대의 위치에 알맞도록 간단한 조작을 통해 의자의 위치조정이 용이한 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시트(32)와, 단부가 서로 힌지결합되는 등받이(34)와, 머리를 감기 위한 도기(12)와, 그 도기(12)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4)이 형성되는 샴푸대(10)와, 상기 시트(32)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프레임(14)의 하부가 고정되는 피스톤(44)을 가지는 구동수단이 설치되는 베이스(20)와, 상기 피스톤(44)의 직선운동시 일정한 궤적을 그리며 승하강되는 제1지지축(42)과, 상기 제1 지지축(42)이 승하강시에 함께 승하강되는 제2 지지축(43)과, 상기 시트(32)의 승하강시에 등받이(34)가 세워지거나 수평하게 펼쳐지도록 상기 등받이(34)의 후면 일측과 상기 지지프레임(14)에 양단부가 각각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재(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한번의 조작으로 시트와 등받이 그리고 받침판의 위치를 조작할 수 있어 조작이 간단하여 미용사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샴푸를 하는 고객은 앉은 자세에서 샴푸를 하거나 또는 누운자세에서도 샴푸하는 것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 beauty chair having shampoostand }
본 고안은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의자의 등받이 후측에 위치하며 일체로 구비되는 삼푸대의 위치에 알맞도록 간단한 조작을 통해 의자의 위치조정이 용이한 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실이나 이발소와 같은 업소에서는 퍼머나, 컷트 등의 미용작업을 실시한 후 손님을 샴푸대에 인접한 의자에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머리를 샴푸대에 위치시킨 후 샤워기를 이용하여 머리를 감겨주는데, 이때 머리는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뒷목 부분이 샴푸대의 도기에 받쳐진 채로 행해지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샴푸대와 의자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분리형으로 출시되고 있는데, 샴푸대와 의자가 분리형인 경우에는 샴푸대와 의자의 이격거리가 멀어 실내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샴푸대와 의자가 일체형인 경우에는 의자의 시트와 등받이가 고정형으로 형성되어 등받이가 눕혀진 상태 또는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고객이 자신의 체형을 의자의 형상에 맞추어 앉거나 누워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샴푸대와 분리된 상태의 의자는 고객이 눕기 위해서는 시트를 상방향으로 승강시키고, 시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등받이를 수평으로 펼치고, 시트의 전방에 위치하여 종아리와 발을 받쳐주는 받침판이 펼쳐져야 한다.
이때, 상기 시트와 등받이 및 받침판은 그 구동이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되어 시트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작업과, 등받이와 받침판을 펼치는 작업을 별도로 스위치 작동하여 링크를 작동시켜 펼치는 등의 과정을 수행해야 하므로 미용사(美容師)가 여러번 미용 의자를 조작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이와같은 미용 의자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각각 독립적인 구동을 위한 부품을 사용하고 있어 부품수의 증가와 제작 비용 상승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한번의 조작으로 의자의 시트의 승하강과 등받이 및 받침판의 수직 및 수평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샴푸대가 일체로 형성된 미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내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샴푸대가 일체로 형성된 미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수직프레임(40)이 구비되는 시트(32)와; 상기 시트(32)의 후반부에 위치하며 단부가 서로 힌지핀(38)에 의해 연결되는 등받이(34)와; 머리를 감기 위한 도기(12)가 상부에 구비되고, 그 하부에 상기 도기(12)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4)이 형성되는 샴푸대(10)와; 상기 시트(32)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프레임(14)의 하부가 고정되고 내부에 직선 왕복운동하는 피스톤(44)이 구비되는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일측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직프레임(4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중앙 일측에는 상기 피스톤(44)의 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상기 피스톤(44)의 직선운동시 일정한 궤적을 그리며 승하강되는 제1지지축(42)과; 상기 시트(32)를 평평한 상태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시트(32)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지지축(42)에 높이차를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20)의 일측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의자의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지지축(42)이 승하강시에 함께 승하강되는 제2 지지축(43)과; 상기 시트(32)의 승하강시에 등받이(34)가 세워지거나 수평하게 펼쳐지도록 상기 등받이(34)의 후면 일측과 상기 지지프레임(14)의 일측에 양단부가 각각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재(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지지축(42)의 상단에는 수직하는 연장부(46)와; 상기 시트(32)의 전방 단부에는 힌지핀(39)에 의해 회동되게 단부가 힌지결합되는 받침판(36)과; 일단부는 상기 받침판(36)의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장부(46)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지지축(42)이 승하강되면 상기 받침판(36)이 세워지거나 수평하게 펼쳐지도록 전후진되는 연결축(4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조작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모터(52)를 구동시켜 상기 피스톤(44)을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바디(54)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20)의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피스톤(44)의 단부는 상기 제1 지지축(42)의 중앙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전기식 엑츄에이터(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가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가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의 회로 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는 고객의 머리가 놓여지는 도기(12)가 상측에 위치하고 그 하부에 상기 도기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4)으로 이루어진 샴푸대(10)와, 상기 지지프레임(14)의 하측부가 일측에 지지되는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의자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샴푸대(10)는 샤워기(11)가 구비되는 도기(12)와, 그 도기(12)의 하부에 위치하며 도기(12)를 상하로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틸팅수단(13)과, 그 틸팅수단(13)의 하부에 위치하며 핸들(15) 조작을 통해 상기 도기(12)를 전후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전후이송수단(16)과, 그 전후이송수단(16)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프레임(14)은 그 하단부가 베이스(20)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의자부(30)는 고객의 엉덩이가 걸쳐지는 시트(32)와, 상기 시트(32)의 상부에 경사지면서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펼쳐지는 등받이(34) 및 종아리를 받쳐주는 받침판(36)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시트(32)와 등받이(34)와 받침판(36)은 그 인접하는 단부끼리 힌지핀(38,39)에 의해 각각 힌지결합된다. 즉, 상기 시트(32)의 상단부와 등받이(34)의 하단부에는 힌지핀(38)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등받이(34)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약 180°이내의 각도로 회동가능하고, 상기 시트(32)의 하단부와 받침판(36)의 상단부에도 힌지핀(39)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받침판(36)이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다.
한편, 상기 시트(32)의 하부에는 수직프레임(40)이 구비되고, 그 수직프레임(40)에는 제1 및 제2 지지축(42,43)의 일단부가 힌지핀(42a,43a)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지지축(42,43)의 타단부는 베이스(20)의 일측에 힌지핀(42b,43b)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시트(32)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2 지지축(43)의 상부에 제1 지지축(42)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지지축(43)은 시트(32)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축(42,43)은 타단부가 베이스(2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고정되어 힌지핀(42b,43b)을 중심으로만 회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 지지축(42)과 제2 지지축(43)은 서로 평행하며 높이차를 유지하며 설치되는데, 상기 제1 지지축(42)을 대신하여 제2 지지축(43)에 피스톤(44)의 단부를 힌지핀(44a)에 의해 힌지결합하여 회동하게 함도 동일한 기술 원리에 속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20)는 그 하부에 상기 제1 지지축(42)을 상하 승하강시키도록 하는 동력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동력수단은 모터(52)의 회전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피스톤(44)이 구비되는 전기식 엑츄에이터(50)를 이용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엑츄에이터(50)의 바디(54)의 외측 하부는 힌지핀(54a)에 의해 베이스(20)의 바닥에 힌지결합되고, 피스톤(44)의 단부는 상기 제1 지지축(32)의 중앙 일측에 힌지핀(44a)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따라서,상기 피스톤(44)이 시트방향을 향하도록 상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지지축(42)의 중앙일측에는 파지부(42c)를 형성하고 내측에 피스톤의 단부를 힌지결합하는 구성을 취하고, 상기 제2 지지축(43)은 그 중앙 일측에 피스톤(44)이 왕복운동하는 위치에 파지부(43c)를 형성하여 피스톤(44)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지지축(42,43)은 금속의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44)이 제2 지지축(43)을 관통하여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2 지지축(43)에 파지부(43c)를 형성하지 않고 제1 지지축(42)의 외부 측면에 피스톤(44)의 단부를 힌지결합하는 구성을 채택함도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조작스위치(80)를 조작하여 모터(52)를 정회전시키면 피스톤(44)이 상승하여 제1 지지축(42)을 상방향으로 밀게 되어 시트(32)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제2 지지축(43) 역시 힌지핀(43b)을 중심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지지축(43)은 제1 지지축(42)의 상승에 따라 시트(32)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피스톤(44)의 상승에 따라 제1 및 제2 지지축(42,43)은 일정한 궤적을 그리면서 상승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시트(32)가 상승하며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지지축(42)의 시트(32)쪽 단부에는 축상에 수직하게 돌출되는 연장부(46)가 형성되는데, 그 연장부(46)에는 힌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36)의 하부 일측에 일단부가 힌지핀(48a)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연결축(48)의 일단부가 힌지핀(48b)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44)의 상승에 따라 제1 지지축(42)이 상승하면, 제1 지지축(42)의 연장부(46) 역시 회동하며 받침판(36)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그 연장부(46)에 힌지결합되는 연결축(48)도 함께 전진하게 되어 받침판(36)의 하부를 밀게 되어 받침판(26)이 수평하게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등받이(34)의 후면에는 지지부재(60)의 일단부가 힌지핀(60a)에 의해 힌지연결되고, 지지부재(60)의 타단부는 샴푸대(10)의 지지프레임(14) 상부에 힌지핀(60b)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이때, 등받이(34)가 부드럽게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하게 펼쳐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60)는 내부에 충전된 가스압에 의해 실린더 바디(62)의 피스톤(64)이 신장되는 가스식 실린더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52)의 작동에 의해 제1 지지축(42)이 수평상태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면 시트(32)가 상승하며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등받이(34)의 후면은 지지프레임(14)의 상부에 지지부재(60)로 연결되어 있어 등받이(34)가 수평상태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등받이(34)와 받침판(36)이 펼쳐진 상태에서 조작스위치(80) 조작을 통해 모터(52)를 역구동시키게 되면 피스톤(44)이 하강하게 되고, 피스톤(44)의 단부에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제1 지지축(42)이 하강하게 되면서 시트(32) 하부에 연결되는 제1 지지축(42)의 단부가 후진하게 되어 연결축(48)이 당겨지게 되어 받침판(36)이 당겨져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축(42)이 하강하게 되면, 시트(32)의 하강과 함께 상기 등받이(34)의 후면은 지지부재(60)에 의해 지지프레임(80)에 연결되어 등받이(34)도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동력수단은 전기식 엑츄에이터(50)를 이용하여 피스톤(44)의 직선 왕복운동을 통해 제1 지지축(42)을 상하로 승하강시켜 위치를 조절하는 것만을 설명하였으나, 공기압을 이용하는 패달(미도시됨)을 사용하여 공기압을 투입하여 피스톤을 승하강 시키는 공기압을 이용한 실린더와 피스톤(44)을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레크(rack)와 피니언(pinion)을 이용하여 레크는 상기 피스톤(44)에 구비하고, 상기 피니언은 그 축상에 모터(52)의 구동축이나 핸들(handle)을 구비하여 동력을 제공하도록 함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용 의자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으로, 상승/정지/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3로 스위치와 같은 조작스위치(80)를 지지프레임(14)의 일측에 구비하여 작동하도록 하고 조작스위치(80)의 조작신호를 전원공급부(82)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제어판넬(84)에서 입력받고 모터(52)의 정역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52)의 정회전시에는 피스톤(44)이 전진하고, 모터(52)의 역회전시에는 피스톤(44)이 후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52)의 정회전시 피스톤(44)을 후진하게 하고, 상기 모터(52)의 역회전시 피스톤(44)을 전진하게 하는 것은 동일한 기술범주에 속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원공급부(82)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시트(32)와 등받이(34) 및 받침판(36)을 수평하게 펼쳐지게 하기 위해서는 조작스위치(80)를 작동시키면, 제어판넬(84)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모터(52)가 정회전하게 되면 엑츄에이터(50)의 피스톤(44)이 전진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44)은 상승되어 그 피스톤(44)의 단부에 일측부가 힌지결합되는 제1 지지축(42)을 밀어올려 시트(32)가 상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지지축(42)은 일단부가 베이스(2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베이스(20)의 힌지핀(42b)을 중심으로 궤적을 그리면서 전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같이 제1 지지축(42)이 상승하게 되면, 시트(32)의 하부 수직프레임(40)에 힌지결합되는 제1 지지축(42)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장부(46)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연장부(46)에 힌지결합되는 연결축(48)이 전진하여 받침판(36)의 하부를 밀게 되어 시트(32)와 받침판(36)의 단부를 연결하는 힌지핀(48a)를 중심으로 받침판(36)이 수평하게 펼쳐진다. 그리고, 상기 시트(32)가 상승하며 전진시에 시트(32)의 상단에 연결되는 등받이(34)의 후면이 지지부재(60)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하게 펼쳐진다.
한편, 상기 시트(32)와 등받이(34) 및 받침판(36)을 수평한 상태에서 등받이(34)와 받침판(36)을 수직하게 세우기 위해서는 조작스위치(80)를 작동시켜 모터(52)를 역회전시키면 엑츄에이터(50)의 피스톤(44)이 후진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44)은 하강되어 그 피스톤(44)의 단부에 일측부가 힌지결합되는 제1 지지축(42)이 하강하여 시트(32)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지지축(42)은 일단부가 베이스(2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베이스(20)의 힌지핀(42b)을 중심으로 궤적을 그리면서 후방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와같이 제1 지지축(42)이 하강하게 되면, 시트(32)의 하부 수직프레임(40)에 힌지결합되는 제1 지지축(42)의 단부에 구비되는 연장부(46)가 후진하게 되고, 그 연장부(46)에 힌지결합되는 연결축(48) 역시 후진하여 받침판(36)의 하부를 당기게 되어 시트(32)와 받침판(36)의 힌지핀(39)을 중심으로 받침판(36)이 수직하게 세워진다. 그리고, 상기 시트(32)가 하강하며 후진시에 시트(32)의 상단에 연결되는 등받이(34)의 후면이 양단부가 힌지결합된 지지부재(60)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 수직하게 세워진다.
이때, 상기 제1 연결축(42)을 승하강시키는 구동수단은 전기식 엑츄에이터(50)인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다른 구동수단을 사용함도 동일한 기술범주에 속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한번의 조작으로 시트와 등받이 그리고 받침판의 위치를 조작할 수 있어 조작이 간단하여 미용사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샴푸를 하는 고객은 앉은 자세에서 샴푸를 하거나 또는 누운 자세에서도 샴푸하는 것을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샴푸대와 의자가 일체로 형성되어 실내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와 등받이 및 받침판이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지 않고 유기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부품의 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가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가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의 회로 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샴푸대 12; 도기
14; 지지프레임 20; 베이스
32; 시트 34; 등받이
40; 수직프레임 42; 제1지지축
43; 제2 지지축 44; 피스톤
46; 연장부 48; 연결축
50; 엑츄에이터 52; 모터
60; 지지부재

Claims (4)

  1. 하부에 수직프레임(40)이 구비되는 시트(32)와; 상기 시트(32)의 후반부에 위치하며 단부가 서로 힌지핀(38)에 의해 연결되는 등받이(34)와; 머리를 감기 위한 도기(12)가 상부에 구비되고, 그 하부에 상기 도기(12)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4)이 형성되는 샴푸대(10)와; 상기 시트(32)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프레임(14)의 하부가 고정되고 내부에 직선 왕복운동하는 피스톤(44)을 가지는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일측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직프레임(4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중앙 일측에는 상기 피스톤(44)의 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상기 피스톤(44)의 직선운동시 일정한 궤적을 그리며 승하강되는 제1지지축(42)과; 상기 시트(32)를 평평한 상태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시트(32)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지지축(42)에 높이차를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20)의 일측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의자의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지지축(42)이 승하강시에 함께 승하강되는 제2 지지축(43)과; 상기 시트(32)의 승하강시에 등받이(34)가 세워지거나 수평하게 펼쳐지도록 상기 등받이(34)의 후면 일측과 상기 지지프레임(14)의 일측에 양단부가 각각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재(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축(42)의 상단에는 수직하는 연장부(46)와;
    상기 시트(32)의 전방 단부에는 힌지핀(39)에 의해 회동되게 단부가 힌지결합되는 받침판(36)과;
    일단부는 상기 받침판(36)의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장부(46)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지지축(42)이 승하강되면 상기 받침판(36)이 세워지거나 수평하게 펼쳐지도록 전후진되는 연결축(4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조작스위치(80)의 작동에 따라 모터(52)를 구동시켜 상기 피스톤(44)을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바디(54)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20)의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피스톤(44)의 단부는 상기 제1 지지축(42)의 중앙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전기식 엑츄에이터(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60)는 내부에 충전된 가스압에 의해 실린더 바디(62)의 피스톤(64)이 신장되는 가스식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KR20-2004-0030798U 2004-11-01 2004-11-01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KR200382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798U KR200382546Y1 (ko) 2004-11-01 2004-11-01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798U KR200382546Y1 (ko) 2004-11-01 2004-11-01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546Y1 true KR200382546Y1 (ko) 2005-04-22

Family

ID=4368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798U KR200382546Y1 (ko) 2004-11-01 2004-11-01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5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2843B2 (en) 2012-08-17 2016-05-10 Myung Su Jang Sitting type shampoo chai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2843B2 (en) 2012-08-17 2016-05-10 Myung Su Jang Sitting type shampoo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80303B (zh) 一种具有提升装置的辅助起身椅
WO2020088552A1 (zh) 一种双电机驱动助站躺椅用铁架及其工作方法
KR100344036B1 (ko) 이미용 의자
JP3686130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2015527121A (ja) 座敷型シャンプー椅子
KR200382546Y1 (ko)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CN107669006A (zh) 一种辅助直立老人沙发椅
KR200325988Y1 (ko) 좌대 승강 및 등받이와 다리받이 각도조정 의자
KR200412385Y1 (ko) 의자와 샴푸대 일체형 안심 두발세척기기
KR101436262B1 (ko) 샴푸 전동의자
KR20110028915A (ko) 의자겸 베드형 자동 두발세척관리기
JP3365968B2 (ja) 理美容用椅子
CN211722494U (zh) 一种可调节舒适型沙发
KR101557098B1 (ko) 샴프 전동의자
CN212437959U (zh) 一种联动式侧架结构
CN110897542A (zh) 一种设有升降扶手的智能马桶
CN213247361U (zh) 气囊按摩洗头床
JP7177423B2 (ja) シャワーチェア
CN109349772A (zh) 一种洗头床
US11304531B1 (en) Raising mechanism for sitting assembly
US7219960B1 (en) Lifting chair with moving arms
CN220756960U (zh) 一种带有按摩组件的贵妃椅
CN219229446U (zh) 一种适老化沙发
CN216316247U (zh) 一种双无级桌上升降台
KR20150004044U (ko) 전동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