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171Y1 -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171Y1
KR200382171Y1 KR20-2005-0003627U KR20050003627U KR200382171Y1 KR 200382171 Y1 KR200382171 Y1 KR 200382171Y1 KR 20050003627 U KR20050003627 U KR 20050003627U KR 200382171 Y1 KR200382171 Y1 KR 200382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connecting shaft
plastic surgery
key groove
sur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찬
Original Assignee
백승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찬 filed Critical 백승찬
Priority to KR20-2005-0003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1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1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47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with circularly moving saw blades, i.e. non-reciprocating saw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681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00738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art of the tool being offset with respect to a main axis, e.g. for better view for the surge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본 고안의 목적은 굴곡진 부위의 뼈를 시술하는 경우 시술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톱날만 교환하여 고가의 수술장비를 대체할 수 있는 저가의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에 의하면, 수술용 전동공구에 연결된 연결축, 상기 연결축에 결합되어 요동하도록 다수개의 톱날를 갖는 부채꼴 성형외과 수술용 톱날로서, 상기 연결축의 선단에는 키홈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축으로 너트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축의 키홈에 삽입되는 톱날에도 동일한 상기 키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 후 이를 고정하는 체결구가 상기 너트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Plastic surgery operation saw exchange system}
본 고안은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회용으로 사용하고 버리는 톱날 일체형으로 형성된 고가의 수술용 톱날장치를 개량시켜 톱날만 교환시켜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형외과 수술용 톱날장치는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된 톱의 선단부에 톱날을 형성시켜 광대뼈나 돌출된 턱뼈를 절단 또는 연삭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성형외과 수술용 톱날장치는 통상 전동기구에 결합시킨 후 전동기구의 회전 또는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뼈를 시술하게 되고, 특히 공지의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9-0034321호 “구강내 골절단용 톱”에 개시되어 있다.
위와같이 공지된 예는 고정된 부분회전형톱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출원된 것으로, 요동형 부분회전톱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시술되는 뼈를 절단 또는 연삭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된 톱날을 요동시켜 절단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톱날과 연결축을 길이방향으로 수평으로 결합시켜 시술자의 시술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같은 공지의 예는 광대뼈나 턱뼈등 굴곡진 곳을 절단 또는 연삭하기에는 시술의 확보가 불가능하였고, 별도의 톱날을 제작하여 사용하는 장치가 아닌 관계로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굴곡진 부위의 뼈를 시술하는 경우 시술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톱날만 교환하여 고가의 수술장비를 대체할 수 있는 저가의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는,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소하고 전동기구에 연결된 연결축과 수직으로 장착된 톱날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연결축은 톱날과 결합될 경우 그 결합을 견고히하고, 교체시 교체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키홈을 형성시키고, 이에 결합되는 톱날에도 동일한 형상으로 가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술용 전동공구에 연결된 연결축, 상기 연결축에 결합되어 요동하도록 다수개의 톱날를 갖는 부채꼴 성형외과 수술용 톱날로서, 상기 연결축의 선단에는 키홈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축으로 너트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축의 키홈에 삽입되는 톱날에도 동일한 상기 키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 후 이를 고정하는 체결구가 상기 너트부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연결축과 결합되는 톱날은 상기 연결축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축의 키홈의 높이는 상기 톱날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톱날의 두께는 상기 연결축의 키홈보다 0.03mm-0.05mm 큰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로 시술을 시행하는 것을 보인 시술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는 수술용 전동공구에 연결된 연결축(10), 상기 연결축(10)에 결합되어 요동하도록 다수개의 톱날(22)를 갖는 부채꼴 성형외과 수술용 톱(20)으로서, 상기 연결축의 선단에는 키홈(12)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축 방향으로 너트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축(10)의 키홈(12)에 삽입되는 톱(20)에도 동일한 상기 키홈(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 후 이들을 고정하는 체결구(30)가 상기 너트부(14)에 결합된다.
여기에서 중심축 방향은 연결축(10)의 길이방향을 의미하고, 톱(20)은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미도시된 전동공구에 의해서 요동하여 뼈를 절삭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축(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봉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후단은 미도시된 전동공구에 결합된다.
연결축(10)의 선단은 후술하는 톱(20)이 결합되어 지고, 선단의 길이방향 전면으로는 키홈(12)이 형성되어 있다.
키홈(12)은 상대물, 바람직하게는 톱(20)이 결합되어 요동하는 경우 요동의 유격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일정한 각도 내지 방향으로 톱(20)이 결합되도록 한다.
다시, 키홈(12)은 통상의 사각키와 같이 일정한 깊이 또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곽은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동일한 수평면상에 마련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키홈(12)의 전면, 즉 연결축(10)의 중심축방향으로는 너트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부(14)는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깊이는 이곳으로 체결되는 상대물이 적당한 체결력을 유발할 수 있는 깊이면 충분하고, 바람직하게는 수술시 고일지 모르는 혈액 내지 이물질을 외부로 방출하는 도피홀(미도시)이 연결축(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너트부(14)의 가장자리는 정밀한 가공을 요하며, 일정한 깊이로 나선형 아닌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너트부(14)를 가공하는데 있어 그 중심축방향으로의 직진성을 도울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체결구(30)를 결합하는데 있어서도 오차 없는 결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톱(20)은 연결축(10)의 키홈(12)에 삽입되며, 이것은 수술시 뼈를 절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톱(20)은 부채꼴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넓은 선단부에 다수개의 톱날(22)이 형성되어 있고, 이곳을 통해 뼈의 절삭이 이루어지며, 좁은 후단부에는 전술한 연결체(10)의 키홈(12)에 삽입되는 동일한 키홈(24)이 형성되어 있다.
후단부는 연결체(10)의 선단과 동일한 크기의 외주면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연결체(10)의 키홈(12)과 여기에 삽입되는 톱(20)의 키홈(24)은 끼워지는 공차가 적당하여야 한다.
다시, 톱(20)은 연결체(10)와 수직이 되도록 삽입되어야 하며, 키홈(12,24)은 그 특성상 이를 더욱 정확히 수행하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시술자의 사용용도에 따라 톱(20)은 다양한 각도로 결합될 수 있다. 이것은 연결체(10)의 키홈(12) 형성각도에 연동되는 것으로 키홈(12)과 연결체(10)가 맞닿는 곳을 소망하는 각도로 형성시키면 여기에 삽입되는 톱(20)은 이미 형성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삽입되어 소망하는 각도로 톱(20)의 기울기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연결체(10)의 키홈(12)을 요홈으로 형성시키고, 톱(20)의 키홈(24)을 요철로 형성시켜 적용하는 것도 본 고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은 아니다.
연결체(10)에 톱(20)이 삽입되면 체결구(30)를 너트부(14)에 삽입하여 결합시켜 톱(20)을 견고히 고정한다.
체결구(30)의 저면 역시 정밀한 가공을 요하며, 이것은 톱(20)과의 밀착을 더욱 확고히 하기 위함이다.
계속하여, 톱(20)과 체결구(30)의 밀착은 전술한 체결구(30)의 저면 평탄도와도 유관한 요소이나, 톱(20)은 연결체(10)의 키홈(12)보다 바람직하게 더 큰 두께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mm-0.05mm 정도 더 큰 두께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체결구(30)가 누루는 체결력에 의해서 톱(20)이 압축되는 정도를 감안한 수치로 이러한 두께하에서 체결되어야만 견고한 체결을 이룰수 있다.
따라서, 체결구(30)만을 해제 또는 결합시켜 톱(20)을 교환하면 연결체(10)는 재사용할 수 있고, 이는 수술비의 절감으로 이어진다.
즉, 전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듯이, 이 고안은 견고한 결합으로 수술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간단하게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는 구성과, 쉽게 교환할 수 있는 톱(20)으로 인해 수술장비의 저가화를 이룰수 있다.
본 고안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 내의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는 마모 또는 위생상 일회용으로 폐기처분해야 하는 수술용 톱장치를 저가의 톱만 교환하여 고가의 수술용 톱장치를 대체할 수 있어 고가의 수술장비를 대체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발생하며, 견고하고 사용이 간편한 구성으로 인해 다양한 각도로 뼈를 절삭할 수 있고,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성형수술의 신뢰성이 월등하게 향상시키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로 시술을 시행하는 것을 보인 시술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연결체 12, 24: 키홈
14: 너트부 20: 톱
22: 톱날 30: 체결구

Claims (4)

  1. 수술용 전동공구에 연결된 연결축, 상기 연결축에 결합되어 요동하도록 다수개의 톱날를 갖는 부채꼴 성형외과 수술용 톱날로서, 상기 연결축의 선단에는 키홈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축으로 너트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축의 키홈에 삽입되는 톱날에도 동일한 상기 키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 후 이를 고정하는 체결구가 상기 너트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과 결합되는 톱날은 상기 연결축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키홈의 높이는 상기 톱날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톱날의 두께는 상기 연결축의 키홈보다 0.03mm-0.05mm 큰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
KR20-2005-0003627U 2005-02-07 2005-02-07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 KR200382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627U KR200382171Y1 (ko) 2005-02-07 2005-02-07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627U KR200382171Y1 (ko) 2005-02-07 2005-02-07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171Y1 true KR200382171Y1 (ko) 2005-04-19

Family

ID=43683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627U KR200382171Y1 (ko) 2005-02-07 2005-02-07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1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62145T3 (es) Instrumento de corte quirúrgico con superficie doble
ES2912193T3 (es) Instrumento ultrasónico
JP2013504356A (ja) 外科用ナイフのハンドルおよび外科用ナイフ
US5094617A (en) Dental retro-filling preparation tool and method
US20240074769A1 (en) Cartilage removal tool and method
CA2584477C (en) Cutting insert for a vibrating dental instrument
JP2715155B2 (ja) 歯科器具
US20050192585A1 (en) Surgical saw collet with closed drive ring
JP5134379B2 (ja) 医療用切削具
KR200382171Y1 (ko) 성형외과 수술용 톱 교환장치
CA3023055A1 (en)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9521962A (ja) 外科用リーマー及び外科用リーマーの刃
WO2021152045A1 (en) Tool for a medical treatment, tool tip, moving part and/or handpiece for such a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tool for a medical treatment
CN215384376U (zh) 医用摆磨头及医用磨削刀具
JP2004276134A (ja) 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切削工具
KR200475899Y1 (ko) 스토퍼를 갖는 치과용 드릴
KR102280811B1 (ko) 늑골 수술용 드라이빙 핸드피스
CN220558058U (zh) 医用往复锯及其锯片
CN217090986U (zh) 一种工作尖和牙科超声手术设备
CN215384373U (zh) 扁状医用摆磨头及医用磨削刀具
CN215191988U (zh) 一种颌面手术用冠状面成角摆动锯
CN220558057U (zh) 医用往复锯锯片
WO2017174648A1 (en) Tool and method for forming a non-circular cavity in bone tissue and kit comprising the tool
JP2004527356A (ja) 顎骨切除用鋸
JP4415264B2 (ja) 外科用電動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