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956Y1 - 금형 고정용 장치 - Google Patents

금형 고정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956Y1
KR200381956Y1 KR20-2005-0001593U KR20050001593U KR200381956Y1 KR 200381956 Y1 KR200381956 Y1 KR 200381956Y1 KR 20050001593 U KR20050001593 U KR 20050001593U KR 200381956 Y1 KR200381956 Y1 KR 200381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old
cylinder
piston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형
Original Assignee
조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형 filed Critical 조규형
Priority to KR20-2005-0001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9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9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4Particular arrangements for handling and holding in place complete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6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 B29C2045/6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using mould clamping means operating independently from the mould clo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스 금형, 압축기 또는 사출기에 장착되는 금형을 형판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금형 고정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체결부(111)가 형성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 힌지 체결되는 클램핑부(120)와; 원통 형상의 중공의 오일챔버(131)가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부(120)의 회동축(121)과 평행하도록 상기 몸체부(110)에 고정되는 실린더부(130)와; 상단 면이 한 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면(141)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부(13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140)과; 하단부가 상기 실린더부(130) 내에서 상기 가이드면(141)에 면접촉되며, 상단부가 상기 실린더부(130)를 관통하여 상기 클램핑부(120)의 일측 하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피스톤(140)의 수평 이송에 따라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로드(150)와; 상기 실린더부(130)의 양 측부에 연결되어 오일 공급을 안내하는 제1및제2호스(161)(171)와; 오일을 압송하기 위한 오일펌프(180)와; 상기 오일펌프(180)와 상기 제1및제2호스(161)(171)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오일 흐름을 단속하는 제1및제2밸브(160)(170)로 구성되어, 프레스, 압출기 또는 사출기의 형판에 금형을 신속하며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금형 고정용 장치{Clamping device for molds}
본 고안은 금형 고정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스 금형, 압축기 또는 사출기에 장착되는 금형을 형판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금형 고정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압출기 또는 사출기의 형판에 금형을 고정 장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다수의 금형 고정용 볼트와 너트를 조여서 프레스, 압출기 또는 사출기의 형판에 금형을 고정하여 작업을 하였다.
이와 같이 다수의 금형 고정용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형판에 금형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작업 효율이 상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다품종 소량생산을 위주로 하는 작업장에서는 형판에 고정된 금형을 수시로 교체해야만 하므로 금형을 교체 작업 시에 많은 볼팅 작업이 소요되어 작업시간이 증가하며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201235호(등록일자 1999년3월12일)에는 금형고정 파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금형고정 파지장치는 좌우 오일챔버의 체적이 다른 실린더 내에서 로드가 유압에 의해 좌우 이동하여 클램프부가 금형을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금형고정 파지장치를 개선하여 프레스, 압출기 또는 사출기의 형판에 금형을 신속하며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는 금형 고정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금형 고정용 장치는 하부에 체결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힌지 체결되는 클램핑부와; 원통 형상의 중공의 오일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부의 회동축과 평행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는 실린더부와; 상단 면이 한 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과; 하단부가 상기 실린더부 내에서 상기 가이드면에 면접촉되며, 상단부가 상기 실린더부를 관통하여 상기 클램핑부의 일측 하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피스톤의 수평 이송에 따라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로드와; 상기 실린더부의 양 측부에 연결되어 오일 공급을 안내하는 제1및제2호스와; 오일을 압송하기 위한 오일펌프와; 상기 오일펌프와 상기 제1및제2호스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오일 흐름을 단속하는 제1및제2밸브로써 달성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금형 고정용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금형 고정용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 선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금형 고정용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금형 고정용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금형 고정용 장치는 대략 몸체부(110)와, 클램핑부(120)와, 실린더부(130)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10)의 하단에는 역T자 형상의 체결부(111)가 형성되며, 이 체결부(110)가 사출기의 형판(1)에 형성된 T자형의 요홈(1a)에 삽입되어 몸체부(110)가 형판(1)에 고정된다.
몸체부(110)의 상단에는 클램핑부(120)가 회동축(121)에 의해 힌지 체결된다.
몸체부(110)에는 클램핑부(120)의 일측 하단에 회동축(121)과 평행하도록 실린더부(130)가 고정된다. 실린더부(130)는 원통 형상의 중공의 오일챔버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하면, 실린더부(130)의 오일챔버(131) 내에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피스톤(140)이 삽입되며, 실린더부(130) 내의 오일챔버는 피스톤(140)을 중심으로 좌측의 제1오일챔버(131a)와 우측의 제2오일챔버(131b)로 구분된다.
또한, 피스톤(140)의 양측에는 오일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밀부재(142a)(142b)가 삽입되어, 피스톤(140)과 실린더부(130) 내벽 사이에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제1오일챔버(131a)와 제2오일챔버(131b)에 충전된 오일은 다른 오일챔버로 누액되어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140)의 상단 면은 한 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면(141)이 형성된다.
또한, 피스톤(140)과 실린더부(130)의 접촉면 사이에는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의 실린더부(130) 안쪽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O링과 같은 주지의 기밀부재(151)가 삽입된다.
실린더부(130)의 양측 개구부에는 각각 제1및제2덮개부(132)(133)가 고정되며, 제1덮개부(132)와 제2덮개부(133)에는 각각 오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오일 유입공(132a)(133a)이 형성된다.
제1및제2덮개부(132)(133)와 실린더부(130) 체결 부위에는 오일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O링 등의 기밀부재(143a)가 삽입된다.
오일 유입공(132a)(133a)에는 오일을 안내하는 호스가 직접 체결될 수가 있으며, 또는 오일 유입공에 오일 호스 체결용 조인트(134)가 체결되며 이 조인트(134)에 호스가 고정될 수 있다.
두 오일 유입공(132a)(133a)에는 각각 오일의 공급을 안내하는 제1호스(161) 및 제2호스(171)가 직접 체결되거나,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인트(133)에 의해 호스가 체결된다.
피스톤(140) 상단과 클램핑부(120)의 일측 하단부 사이에는 로드(150)가 구비되어, 피스톤(140)의 좌우 이동에 따라 로드(150)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여 클램핑부(12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로드(150)의 하단부는 실린더부(130) 내측에서 피스톤(140)의 가이드면(141)에 면접촉되며, 상단부가 실린더부(130)를 관통하여 클램핑부(120)의 일측 하단부를 지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120)의 일측 하단부와 로드(150)가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클램핑부(120)의 타측 하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지지부(180)는 몸체부(110)에 형성된 수납홈(112)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181)과, 이 스프링(181)에 탄성 지지되어 클램핑부(12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틸볼(18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 지지부(180)가 구비됨에 따라 스틸볼(182)은 스프링(181)의 탄성력에 의해 클램핑부(120)의 하단을 밀어 올리게 되므로, 탄성 지지부(18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클램핑부(120)의 하단부와 로드(150)는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소정의 유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오일펌프(180)가 구비되며, 이 오일펌프(180)는 제1호스(161) 및 제2호스(171)에 의해 실린더부(130)의 제1오일챔버(131a)와 제2오일챔버(131b)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제1호스(161)와 제2호스(171)에는 각각 오일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는 제1및제2밸브(160)(17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및제2밸브(160)(170)는 솔레노이드 유압밸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금형 고정용 장치의 작동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고하면, 실린더부(130)의 제1및제2오일챔버(131a)(131b)는 각각 제1및제2호스(161)(171)에 의해 오일펌프(180)와 연결되며, 제1및제2호스(161)(171)에는 각각 제1및제2밸브(160)(170)가 구비된다.
도 4에는 제1및제2밸브(160)(170)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솔레노이드밸브인 제3밸브(190)가 구비된다.
제3밸브(190)는 공기탱크(192)와 제1및제2밸브(160)(170) 사이에 구비되며, 제3밸브(190)의 전원입력부(191)에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공기탱크(192)의 압축공기의 흐름을 단속한다.
공기탱크(192)와 연결되는 제1및제2밸브(160)(170)에는 각각 압축공기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1및제2스위칭부(162)(172)가 구비된다.
제1밸브(160)의 제1스위칭부(162)는 압축공기가 작용하지 않는 "오프"상태에서는 제1오일챔버(131a)의 오일이 오일팬(181)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며, 압축공기가 작용하는 "온"상태에서는 오일펌프(180)에서 압송된 오일이 체크밸브(163)를 지나 제1오일챔버(131a)에 공급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밸브(170)의 제2스위칭부(172)는 압축공기가 작용하지 않는 "오프"상태에서는 오일펌프(180)에서 압송된 오일이 체크밸브(173)를 지나 제2오일챔버(131b)로 전달되도록 하며, 압축공기가 작용하는 "온"상태에서는 제2오일챔버(131b)의 오일이 오일팬(181)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제3밸브(190)의 전원입력부(19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공기탱크(192) 내의 압축 공기에 의해 제1밸브(160)의 제1스위칭부(162)와 제2밸브(170)의 제2스위칭부(172)는 모두 "온"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밸브(160)는 오일펌프(180)에 의해 압송된 오일이 체크밸브(163)를 지나 제1오일챔버(131a)로 공급되도록 개방됨과 동시에 제2밸브(170)는 제2오일챔버(131b)의 오일이 오일팬(181)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개방된다.
이와 같이 제1오일챔버(131a) 내에 오일이 공급됨과 동시에 제2오일챔버(131b) 내에 오일이 오일팬(181)으로 배출되므로, 피스톤(140)은 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하여 클램핑부(120)가 금형을 록킹하도록 회전한다(도 4의 시계방향으로 회전).
한편, 제3밸브(190)의 전원입력부(191)에 전원이 인가되면, 공기탱크(192) 내의 압축 공기가 차단되어 제1및제2밸브(160)(170)는 "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밸브(160)는 제1오일챔버(131a)의 오일이 오일팬(181)으로 배출가능하도록 개방되며 제2밸브(170)는 오일펌프(180)에 의해 압송된 오일이 체크밸브(173)를 지나 제2오일챔버(131b)로 공급된다.
즉, 제2오일챔버(131b) 내에 오일이 공급됨과 동시에 제1오일챔버(131a) 내에 오일이 오일팬(181)으로 배출되므로, 피스톤(140)은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하여 클램핑부(120)는 금형을 언록킹하도록 회전한다(도 4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상과 같이 제3밸브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형판의 록킹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 중에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금형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금형 고정용 장치는 프레스, 압출기 또는 사출기의 형판에 금형을 신속하며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금형 고정용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금형 고정용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금형 고정용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몸체부 120 : 클램핑부
130 : 실린더부 131a : 제1오일챔버
131b : 제2오일챔버 140 : 피스톤
150 : 로드 160 : 제1밸브
170 : 제2밸브 180 : 오일펌프

Claims (1)

  1. 하부에 체결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힌지 체결되는 클램핑부와;
    원통 형상의 중공의 오일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부의 회동축과 평행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는 실린더부와;
    상단 면이 한 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과;
    하단부가 상기 실린더부 내에서 상기 가이드면에 면접촉되며, 상단부가 상기 실린더부를 관통하여 상기 클램핑부의 일측 하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피스톤의 수평 이송에 따라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로드와;
    상기 실린더부의 양 측부에 연결되어 오일 공급을 안내하는 제1및제2호스와;
    오일을 압송하기 위한 오일펌프와;
    상기 오일펌프와 상기 제1및제2호스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오일 흐름을 단속하는 제1및제2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고정용 장치.
KR20-2005-0001593U 2005-01-19 2005-01-19 금형 고정용 장치 KR200381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593U KR200381956Y1 (ko) 2005-01-19 2005-01-19 금형 고정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593U KR200381956Y1 (ko) 2005-01-19 2005-01-19 금형 고정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956Y1 true KR200381956Y1 (ko) 2005-04-15

Family

ID=43683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593U KR200381956Y1 (ko) 2005-01-19 2005-01-19 금형 고정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9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3882A (ko) 유량제어밸브 및 유량제어밸브 부착 실린더 장치
US6123008A (en) Compressed-air piston engine
JP2008095523A (ja) ポンプヘ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往復ポンプ装置
KR102179211B1 (ko) 압력 증폭기를 구비한 유압 액추에이터
US5524868A (en) Hydraulic toe jack
US20070059397A1 (en) Actuator System for an Injection Molding System
CN113819051A (zh) 液力端和柱塞泵
KR200381956Y1 (ko) 금형 고정용 장치
KR200349914Y1 (ko) 유압 부스터를 장착한 리벳팅 머신
US5334003A (en) Air valving mechanism, in combination with a double diaphragm pump subassembly
JP2015044561A (ja) タイヤ修理機の空気圧縮機のシリンダ座
JP2011140968A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KR200418179Y1 (ko) 금형 고정용 장치
KR200430699Y1 (ko) 금형 고정용 장치
KR102179209B1 (ko) 카트리지 압력 증폭기를 구비한 유압 액추에이터
DE60304589D1 (de) Hydraulisches ventilstellglied für hubkolbenmotor
KR200363316Y1 (ko) 에어진동발생장치
KR102406046B1 (ko) 고압 밸브
KR200407772Y1 (ko) 금형 고정용 클램프
US20100290937A1 (en) Fluid pump assembly
KR100658560B1 (ko) 유압식가동식 체크체인
KR20190092634A (ko) 압축 공기를 이용한 드럼통용 펌프
KR102406047B1 (ko) 고압 밸브
KR101027311B1 (ko) 실란트 주입기
KR102571846B1 (ko) 보지밸브 부착 공기압 실린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