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340Y1 - 분무노즐 - Google Patents

분무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340Y1
KR200381340Y1 KR20-2005-0001548U KR20050001548U KR200381340Y1 KR 200381340 Y1 KR200381340 Y1 KR 200381340Y1 KR 20050001548 U KR20050001548 U KR 20050001548U KR 200381340 Y1 KR200381340 Y1 KR 2003813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supply pipe
spray nozzle
metal plat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민
오태훈
Original Assignee
오태훈
오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태훈, 오창민 filed Critical 오태훈
Priority to KR20-2005-0001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3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3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3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약 등을 넓게 살포할 수 있고, 다양한 직경의 약액공급관을 연결해서 쓸 수 있으며, 분무시 높은 압력을 형성하여 약액의 미립화가 용이하고, 이물질에 의한 노즐의 막힘을 예방할 수 있는 신규 구성의 분무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분무노즐은 a)약액공급관이 체결되는 입구부와, 상단면에 소정 깊이의 조립홈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출구부가 약액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통된 본체 b)중앙부분이 소정 폭으로 일정 높이만큼 융기된 금속판과 이 금속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로 이루어지되, 상기 금속판의 융기된 중앙부분에는 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에는 조립홈에 대응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분사판 및 c)약액의 살포 및 분사판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출구부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면 개구(open)형의 체결요소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구부의 상단면에 90°간격으로 4개의 조립홈이 형성되거나, 상기 출구부의 내부에 필터가 내장되고 상기 필터를 고정하기 위한 패킹이 추가로 삽입되거나, 상이한 직경의 약액공급관도 본체에 연결될 수 있도록 약액공급관과 결합되는 접속부재의 타단이 상기 입구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분무노즐{Agricultural Chemical Spray Nozzle}
본 고안은 예컨대 농업용으로 사용가능한 분무노즐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농약 등의 약액을 작업진행방향에서 봤을 때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넓게 살포할 수 있고, 다양한 직경의 약액공급관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액 분무시 높은 분무압력을 형성하므로써 약액의 미립화가 용이하고, 이물질 등에 의한 노즐의 막힘을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분무노즐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의 병충해 방제에는 일반적으로 동력분무기나 수동분무기가 사용된다.
그 어느 것을 사용하더라도 농약분무는 적기(適期)에 행해야져만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농약분무가 적기에 행해진 경우라도 약액의 미립화 정도에 따라 방제효과는 다르게 나타난다. 예컨대, 분무되는 약액의 입자가 미세할수록 부착인력이 증가되어 작물의 잎 뒷면이나 줄기 등에 고르게 부착될 수 있으므로, 약액의 액적 크기에 따라 즉 미립화 정도에 따라 방제효과가 달라지는 것이다.
약액의 액적 크기를 미세화하는 방법중 하나는 적은 양의 약액을 높은 압력하에서 좁은 구멍을 통해 분사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 1은 상기 개념이 도입된 종래 구성의 수동분무기용 분무노즐을 나타낸 것으로서 두께 약 0.6㎜의 평평한 금속판(140) 중앙에 협소한 분사공(150)이 뚫려 있어, 본체(100)의 입구부(120)에 장착된 약액공급관(110)에서 농약 등의 약액이 공급되면, 상기 약액이 출구부(160) 쪽으로 몰려 들어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좁은 분사공(150)을 통해 약액이 미소 크기의 액적으로 쪼개져서 분무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구성의 분무노즐은 약액에 포함된 모래알갱이 등의 이물질로 인하여 분사공(150)이 가끔 막혀버린다는 단점이 있고, 이물질 제거를 위해 바늘과 같은 도구를 자주 사용할 경우 분사공(150)이 확경되어 나중에는 약액이 제대로 분무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금속판(140)이 비교적 얇기 때문에 사용시간이 길어질수록 상기 분사공(150) 주위에 작용되는 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금속판(140)이 변형되므로 이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동분무기는 물론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작용되는 동력분무기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농약의 살포범위를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쉽게 바꿀 수 있으며, 다양한 직경의 약액공급관을 연결해서 쓸 수 있고, 분무시 높은 압력이 형성되도록 하여 약액의 미립화가 용이하며, 이물질에 의한 노즐의 막힘이 예방될 수 있는 분무노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농약 등의 살포에 이용되는 분무노즐에 있어서, a)약액공급관이 체결되는 입구부와 상단면에 소정 깊이의 조립홈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출구부가 약액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통된 본체 b)중앙부분이 소정 폭으로 일정 높이만큼 융기된 금속판과 이 금속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로 이루어지되 상기 금속판의 융기된 중앙부분에는 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에는 조립홈에 대응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분사판 및 c)약액의 살포 및 분사판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출구부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면 개구(open)형의 체결요소 (예컨대, 캡)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상기 본체 는 금속을 용융주조하여 만들 수도 있겠지만 원가절감과 무게감량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 구성요소와의 체결을 위해 상기 출구부와 입구부에는 적당한 폭으로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약액의 분무가 이루어지는 상기 출구부는 필요에 따라 설치개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b)상기 분사판 은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테두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금속판은 순차이송다이(progressive die)에서 연속적인 프레스 가공에 의해 희망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분사공에 대해서는 트리밍 가공과 같은 후처리가 추가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분무노즐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이 출구부의 상단면에 90°간격으로 4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출구부의 내부에 필터가 내장되고 상기 필터를 고정하기 위한 패킹이 추가로 삽입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이한 직경의 약액공급관도 본체에 연결될 수 있도록 약액공급관과 결합되는 접속부재의 타단이 상기 입구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
상기 접속부재는 황동과 같은 금속소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의 입구부에 접속되는 단부의 직경(내경 또는 외경)과 분무작업 시 약액공급관 등이 접속될 단부의 직경은 상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노즐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예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노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분사판을 표면이 함몰된 쪽에서 바라 본 저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여 된 분무노즐은 본체(10)의 입구부(12)에 접속부재(60)가 개재되어 있어, 약액 분무 시 상기 접속부재(60)에 약액공급관(미도시)이 결합된다. 따라서, 약액공급관의 내부유로를 통해 상기 본체(10) 안으로 약액이 공급된다.
상기 본체(10) 안으로 공급된 약액은 입구부(12)와 출구부(14) 사이의 연통된 유로를 통해 출구부(14) 쪽으로 유동되며, 이렇게 유동된 약액은 상기 출구부(14)에 내장된 금속 망 형태의 필터(30)를 거쳐 모래알갱이와 같은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분사판(20)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분사공(26)을 통해 고압으로 분무된다. 이때, 상기 필터(30)는 상면에 접촉된 패킹(40)에 의하여 출구부(14)의 하단턱 쪽으로 압압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분사판(20)은 순차이송다이에서 연속으로 프레스 가공하여 된 금속판(22)의 둘레에 테두리(24)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하여 만들어졌는데, 플라스틱 사출성형 시 상기 테두리(24)에는 도 4의 삽입돌기(28)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출구부(14)의 상단면에 형성된 조립홈(16) 속으로 상기 삽입돌기(28)가 끼워져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금속판(22)의 융기된 부분에 형성된 분사공(26)은 도 4에서 보듯이 그 형상이 협소한 장방형으로 되어 있고 약액이 분무되는 바깥 쪽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상기 분사공(26)의 내면이 트리밍(trimming)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분사공(26)을 통해 약액이 외부로 배출될 때 약액이 매우 작은 크기의 액적으로 쪼개져서 분무되게 된다. 특히, 상기 테두리(24)에는 "|"형으로 삽입돌기(28)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조립홈(16)이 상기 출구부(14)에 "+"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돌기(28)를 어느 방향으로 놓고 조립하느냐에 따라 약액의 살포범위가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넓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융기된 부분에 의하여 금속판(22)의 내압특성이 향상되므로 분무압력에 의한 변형이 억제되는 장점이 있으며, 융기된 부분의 이면 쪽은 함몰된 형태여서 약액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분사공(26) 쪽으로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50은 상기 분사판(20)을 출구부(14)에 밀착·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 체결요소로 약액의 분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캡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분무노즐에 따르면, 예컨대 순차이송다이에서 연속적으로 프레스 가공하여 된 얇은 금속판이 분사판에 채용되므로, 프레스 가공에 의한 형상변경으로 분사공 주변의 강도가 보강되어 수동분무기는 물론 상대적으로 높은 분무압력이 작용되는 동력분무기에도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저면에서 봤을 때 분사공의 주변이 함몰되고 상기 분사공의 내면이 외부를 향해 비스듬히 확경되어 있어, 분무 작업시 약액을 분사공 쪽으로 쉽게 유도할 수 있으며 높은 분무압력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보다 약액의 액적이 미립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의 출구부에 삽입된 필터에서 모래알갱이와 같은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이물질에 의한 분사공의 막힘이 예방되어 언제든지 분무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체의 입구부에 접속부재를 접속시키면, 다양한 직경의 약액공급관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분사공의 형상을 장방형으로 만들 경우, 출구부의 상단면에 "+" 형으로 형성한 조립홈 중 어느 조립홈에 분사판의 삽입돌기를 끼우는가에 따라 약액의 살포범위를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쉽게 바꿀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구성의 분무노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무노즐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분무노즐에 사용 가능한 분사판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0...본체 12...입구부
14...출구부 16...조립홈
20...분사판 22...금속판
24...테두리 26...분사공
28...삽입돌기 30...필터
40...패킹 50...캡
60...접속부재

Claims (4)

  1. 분무노즐에 있어서,
    약액공급관이 체결되는 입구부와, 상단면에 소정 깊이의 조립홈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출구부가 약액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통된 본체;
    중앙부분이 소정 폭으로 일정 높이만큼 융기된 금속판과 이 금속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로 이루어지되, 상기 금속판의 융기된 중앙부분에는 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에는 조립홈에 대응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분사판; 및
    약액의 살포 및 분사판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출구부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면 개구(open)형의 체결요소; 를 포함하는 분무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은 상기 출구부의 상단면에 90°간격으로 4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노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의 내부에 필터가 내장되고 상기 필터를 고정하기 위한 패킹이 추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노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이한 직경의 약액공급관도 본체에 연결될 수 있도록, 약액공급관과 결합되는 접속부재의 타단이 상기 입구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노즐.
KR20-2005-0001548U 2005-01-18 2005-01-18 분무노즐 KR2003813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548U KR200381340Y1 (ko) 2005-01-18 2005-01-18 분무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548U KR200381340Y1 (ko) 2005-01-18 2005-01-18 분무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340Y1 true KR200381340Y1 (ko) 2005-04-12

Family

ID=4368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548U KR200381340Y1 (ko) 2005-01-18 2005-01-18 분무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3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456B1 (ko) 2011-06-30 2012-10-30 이종표 여과기능을 가진 비닐하우스용 분기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456B1 (ko) 2011-06-30 2012-10-30 이종표 여과기능을 가진 비닐하우스용 분기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4686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аспыления жидкости и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головка (варианты)
KR200478547Y1 (ko) 띠형 회전 분출식 관수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US7597276B2 (en) Ultra low flow spray head
DE69633122T2 (de) Methode und vorrichtung zur abgabe von flüssigkeiten als atomisiertes spray
EP1587630B1 (en) Nozzle tip for agricultural sprayers
RU2437724C2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насадка для жидкости (варианты)
AU2016242894B2 (en) Spray nozzle assembly with expanded pressure responsive liquid flow rate control
DE602004011986T2 (de) Fluidproduktsprühkopf und diesen sprühkopf umfassende abgabepumpe
JP5403993B2 (ja) 容積型ポンプのためのポンプヘッド
KR20100048909A (ko) 돔형 펌프 스프레이 조립체
JP2021518264A (ja) スプレー容器用のスプレーキャップ
JP6671710B2 (ja) ノズル
RU2691311C1 (ru) Разбрызгивающий шланг с вращательным разбрызгиванием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KR200381340Y1 (ko) 분무노즐
KR101917984B1 (ko) 농업용 액체 분무 노즐
DE102005048604B4 (de) Düse zum grobtropfigen Versprühen eines Fluids
CN2629831Y (zh) 回流式无级变量喷头装置
CN215030156U (zh) 喷头
EP2409772B1 (de) Brausekopfelement für eine Handbrause
KR20090075945A (ko) 농약분무용 여과기의 분배기구
JP5660562B2 (ja) 噴霧ノズル及び農薬散布機
KR102607290B1 (ko)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CN109922894A (zh) 用于液体分配系统的配接器
KR200250672Y1 (ko) 농업용 분무기
KR200248013Y1 (ko) 이중분수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