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290B1 -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290B1
KR102607290B1 KR1020220033764A KR20220033764A KR102607290B1 KR 102607290 B1 KR102607290 B1 KR 102607290B1 KR 1020220033764 A KR1020220033764 A KR 1020220033764A KR 20220033764 A KR20220033764 A KR 20220033764A KR 102607290 B1 KR102607290 B1 KR 102607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use non
powered rotary
spraying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6271A (ko
Inventor
김형운
전익조
조봉기
김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에스텍
Priority to KR1020220033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290B1/ko
Publication of KR20230136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 B05B3/0409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with moving, e.g. rotating, outle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flat form, e.g. fan-like, sheet-like
    • B05B1/044Slits, i.e. narrow openings defined by two straight and parallel lips; Elongated outlets for producing very wide discharges, e.g. fluid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63Installation or apparatus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moving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B13/0484Installation or apparatus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moving work of indefinite length with spray heads having a circular motion, e.g. being attached to a rotating sup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9/00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 B29C69/02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of moulding techniqu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비닐하우스나 노지에서 생산되는 농작물과 과수 등에 살포되는 물이나 농약의 소비량을 감소시켜도 생장발육을 촉진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수 및 방재용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누수 방지부를 구비하여 몸체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연결체와 회전체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사체가 서로 대칭되는 각도로 절곡되고 내부의 지름이 변하도록 하여 분사체의 회전력과 유체의 살포량 및 살포범위를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를 구비하고 제2 덮개에 의한 퇴수구를 적용하여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노즐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관수 및 방재 종류에 따라 노즐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취급부주의 등에 의해 부품이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품만을 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Multi-use non-powered rotary spray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비닐하우스나 노지에서 생산되는 농작물과 과수 등에 살포되는 물이나 농약의 소비량을 감소시켜도 생장발육을 촉진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수 및 방재용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전살포장치는 물과 같은 유체를 흩어지게 하며 뿌리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회전살포장치는 작물 등에 물이나 농약을 살포하거나 건축물의 천장 등에 설치하여 화재 시 소화 기능을 수행한다. 회전살포장치 중 기존의 관수 및 방재용 회전살포장치는 노즐이나 분사체의 구조가 물이나 농약 등과 같은 유체를 효율적으로 분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회전살포장치는 분사체의 회전구조 상, 유체 유입 시 압력에 의해 회전 부위에서 유체가 누수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155288호(1999.05.31.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를 효율적으로 분사할 수 있으며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는 유체를 공급하는 일측 공급배관과 연결되는 제1 유로와, 타측 공급배관과 연결된 제2 유로, 및 상부로 개방되고 상기 제1 유로 및 제2 유로와 연통된 제3 유로를 포함하는 몸체와,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3 유로와 연통되며, 좌측 유로와 우측 유로 및 하부 유로를 포함하고, 하부 유로는 고정 유로와 회전 유로로 구획되는 회전체, 하부 유로의 하단에 결합되는 체결링, 몸체에 하부가 결합되며 회전 유로가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연결체, 고정 유로에 끼워지는 상부 지지체와, 고정 유로에 끼워지며 상부 지지체의 하부에 위치하되 연결체의 상부에 구비된 하부 지지체, 상부 지지체와 상기 하부 지지체 사이에 구비된 탄성체를 포함하는 누수 방지부, 및 회전체의 양단에 결합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중심부가 절곡되어 제3유로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체를 포함한다.
분사체는 회전체의 일측에 연통되어 연결된 제1 분사체와, 회전체의 타측에 연통되어 연결된 제2 분사체를 포함하고, 분사체는 분사관과, 분사관 내부에 구비된 노즐, 노즐의 토출구를 노출시키되 노즐이 분사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덮는 덮개를 포함하며, 분사관은 중심부가 절곡된 관 형상이고, 회전체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일측이 지름이 가장 작고 중심부의 지름은 다시 커지며 타측의 지름은 중심부의 지름 이상이며, 중심부와 타측 사이에는 중심부와 타측보다 지름이 큰 사이부가 형성된다.
노즐은 지름이 상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다단 원기둥 형상이며, 유체가 분사되는 끝단에 일자 형태 또는 십자 형태의 슬릿 형태 홀이 형성된다.
몸체의 제3 유로에 구비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필터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되 상부는 완전 개방되며 가장자리가 외부로 절곡 연장되고 상부는 폐쇄되며, 측면은 망이 형성되어 부분적으로 개방된다.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는 다수개가 공급배관 사이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 중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마지막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제2 유로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작동이 종료되면 덮개를 개방하여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제조방법은,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몸체를 성형하는 단계와, 연결체를 성형하는 단계, 회전체를 성형하는 단계, 누수 방지부를 성형하는 단계, 분사체를 성형하는 단계, 및 연결체에 상부 지지체와 탄성체 및 하부 지지체를 결합하고 회전체에 삽입한 뒤 체결링을 체결하며, 몸체의 상부에 연결체를 결합하고, 연결체의 상부에 회전체를 결합하며, 회전체의 양측으로 두 개의 분사체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몸체와 연결체, 회전체, 분사체 및 노즐은 PP-TD 10, PP-TD 20, PP-TD 30 또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은 누수 방지부를 구비하여 몸체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연결체와 회전체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은 분사체가 서로 대칭되는 각도로 절곡되고 내부의 지름이 변하도록 하여 분사체의 회전력과 유체의 살포량 및 살포범위를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은 필터를 구비하고 제2 덮개에 의한 퇴수구를 적용하여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은 내부 노즐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관수 및 방재 종류에 따라 노즐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은 취급부주의 등에 의해 부품이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품만을 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에서 분사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에서 분사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에서 노즐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변형예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에서 노즐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에서 노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에서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에서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에서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배관으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 몸체(100)와, 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회전하는 회전체(400), 회전체(400)의 양단에 결합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체(500), 회전체(400)가 회전가능하도록 내부에 체결되며 몸체(100)와 결합되는 연결체(300), 및 연결체(300)와 회전체(400) 사이에 구비된 누수 방지부(9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배관(P1, P2)과 연결되며, 공급배관(P1, P2)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부의 회전체(400)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몸체(100)가 공급배관(P1, P2)의 중간에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받는 것을 예시하며, 이에 따라, 몸체(100)는 공급배관(P1, P2)의 중간에 연결되어 공급배관(P1, P2)의 일측에서 유입되어 타측으로 유출되는 유체를 상부의 회전체(400)로 이송하기 위해 'ㅗ'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공급배관(P1, P2)의 일측, 즉, 일측 공급배관(P1)으로 개방되어 공급배관의 일측과 연결되는 유로는 제1 유로(110), 공급배관(P1, P2)의 타측, 즉, 타측 공급배관(P2)으로 개방되어 공급배관의 타측과 연결되는 유로는 제2 유로(120)로 정의한다. 또한, 상부의 회전체(400)와 연결되는 유로는 제3 유로(130)로 정의한다. 제1 유로(110)와 일측 공급배관(P1)은 연통되되 제1 캡(210)에 의해 제1 유로(110)와 일측 공급배관(P1)의 사이로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2 유로(120)와 타측 공급배관(P2)도 연통되되 제2 캡(220)에 의해 제2 유로(120)와 타측 공급배관(P2) 사이로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캡(210)과 제2 캡(220)은 관 형상이되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유로(110)와 일측 공급배관(P1)은 제1 캡(210)의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기밀성을 유지하며 결합되고, 제2 유로(120)와 타측 공급배관(P2)은 제2 캡(220)의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기밀성을 유지하며 결합된다. 물론, 제1 캡(210)의 내부와 제2 캡(220)의 내부에는 오-링을 구비하여 기밀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체(300)는 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몸체(100)와 후술될 회전체(400)를 결합시킨다. 이때, 연결체(300)의 하부는 몸체(100)의 상부와 결합되고 연결체(300)의 상부는 후술될 회전체(400)의 하부와 결합된다. 여기서, 연결체(300)는 몸체(100)와 너트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연결체(300)는 후술될 회전체(4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체(300)는 중공의 기둥 형상이며,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단면도이다.
회전체(400)는 몸체(100)의 상부에 연결되며 분사체(5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회전체(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300)와 분사체(500) 사이를 연결하며, 중공의 기둥 형상인 것을 예시한다. 또한, 회전체(400)는 연결체(300)와 동일하게 내부가 빈 중공의 형태이며, 하부의 연결체(300)와 연통되는 하부 유로(430)와, 제1 분사체(510)와 연결되는 좌측 유로(410) 및 제2 분사체(520)와 연결되는 우측 유로(420)가 형성된다. 물론, 제1 분사체(510)가 우측 유로(420)에 연결되고 제2 분사체(520)가 좌측 유로(4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체(400)와 연결체(300) 중 어느 하나는 외주연을 따라 돌출부가 라인 형태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돌출부에 대응되는 리세스부가 외주연을 따라 라인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체(300)에 대해 회전체(40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회전체(400)의 회전 구조는 전술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부 유로(430)는 고정 유로(431)와, 고정 유로(431)의 하부로 연장되며 고정 유로(431)보다 지름이 작은 회전 유로(432)로 구획된다. 여기서, 회전 유로(432)는 연결체(300)에 삽입되어 연결체(300) 내에서 자체 회전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회전 유로(432)는 하부 끝단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거리의 외주연에 체결홈(433)이 형성된다. 체결홈(433)에는 체결링(CR)이 체결되며, 체결링(CR)은 연결체(300) 내부의 지름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체결링(CR)이 연결체(300) 내로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즉, 하부 유로(430)는 연결체(300)에 체결된 후 체결링(CR)이 체결홈(433)에 체결되면 회전체(40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체(300)의 중단(연결체(300)와 몸체(100) 사이)에는 상부 오링(O-ring, O1)이, 연결체(300)의 하단 외측과 체결링(CR) 사이에는 하부 오링(O-ring, O2)이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하부 오링(O2)은 회전 유로(432)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크도록 하여 회전 유로(432)의 외주연을 통해 유체가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수 방지부(900)는 연결체(300)와 회전체(400) 사이로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서, 누수 방지부(900)는 상부 지지체(910)와 하부 지지체(920), 상부 지지체(910)와 하부 지지체(920) 사이에 구비된 탄성체(93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체(910)는 중심에 홀이 형성되며 가장자리가 하향 절곡된다. 본 실시예는 상부 지지체(910)로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예시한다. 또한, 이에 따라, 상부 지지체(910)는 상면은 중심에 홀이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이며,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면에 하부로 절곡 연장된다. 이러한 상부 지지체(910)는 중심의 홀을 통해 회전 유로(432)에 삽입되며, 중심의 홀이 고정 유로(431)의 지름보다 작기 때문에 고정 유로(431)에 의해 상부가 지지된다. 또한, 상부 지지체(910)의 하부를 통해 탄성체(930)의 상부가 내부로 삽입되며, 지지체에 의해 상부로 압박이 가해진다. 여기서, 상부 지지체(910)는 상부와 하부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지만, 탄성체(930)에 의해 상부로 압박되고 상부는 고정 유로(431)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하부 지지체(920)는 메인 링 플레이트(921)와, 메인 링 플레이트(921)의 내주연이 상부로 연장된 연장 링 플레이트(922)를 포함하는 다단 링 형태이다. 또한, 메인 링 플레이트(921)의 지름은 연장 링 플레이트(922)보다 크며, 메인 링 플레이트(921)의 폭은 연장 링 플레이트(922)보다 두꺼운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하부 지지체(920)는 상면으로 탄성체(93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지지체(920)는 중심의 홀을 통해 고정 유로(431)에 삽입된다. 또한, 하부 지지체(920)의 상부는 탄성체(930)의 하부에 의해 하부로 압박되며, 하부는 연결체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하부 지지체(920)는 별도의 고정 없이 이동이 제한된다.
탄성체(930)는 연결체(300)와 회전체(400) 사이에 구비되어 연결체(300)와 회전체(400)를 서로 밀어낸다. 또한, 탄성체(930)는 하부가 하부 지지체(920)의 연장 링 플레이트(922)에 끼워지며 메인 링 플레이트(921)의 상부에 의해 지지된다. 물론, 탄성체(930)의 상부는 상부 지지체(910)에 의해 지지된다. 이를 위해서, 탄성체(930)는 연장 링 플레이트(922)의 지름보다 크고, 메인 링 플레이트(921)의 지름보다 작아야 한다. 또한, 탄성체(930)는 압축되거나 이완될 수 있으며, 이완 및 압축 시 연결체(300)와 회전체(400)를 서로 밀어내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탄성체(930)로 코일 스프링을 예시한다. 이와 같이 탄성체(930)의 하부는 연결체(300)를 하부로 밀어내고 상부는 상부 지지체(910)를 통해 회전체(400)를 상부로 밀어낸다. 이에 따라, 체결링(CR)이 상부로 강하게 압박되고, 연결체(300)의 하부와 제1 하부 오링, 제2 하부 오링이 강하게 밀착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에서 분사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에서 분사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분사체(500, 600, 700, O, W)는 회전체(4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급배관으로 유입되어 몸체(100)와 회전체(400)를 통해 공급된 유체를 외부로 분사한다. 또한, 분사체(500, 600, 700, O, W)는 평면도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유체를 외부로 분사하며, 이를 위해서, 분사체(500, 600, 700, O, W)는 제1 분사체(510, 610, 710, O, W)와 제2 분사체(520, 620, 720, O, W)를 포함한다.
제1 분사체(510, 610, 710, O, W)는 회전체(400)의 좌측 유로(410)와 연결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1 분사체(510, 610, 710, O, W)는 회전체(40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며, 제1 분사관(510)과 제1 노즐(610) 및 제1 덮개(710)를 포함한다.
제1 분사관(510)은 중심부가 절곡된 관 형상으로서, 일측은 회전체(400)와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받고 타측으로는 제1 노즐(610)이 구비되어 유체를 분사한다. 여기서, 제1 분사관(510)은 내부 지름이 균일하지 않다. 제1 분사관(510)은 회전체(400)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일측의 지름이 가장 작고 중심부의 지름은 다시 커지며, 타측의 지름은 중심부의 지름과 같거나 타측의 지름이 중심부의 지름보다 크다. 또한, 제1 분사관(510)의 중심부와 타측 사이에는 지름이 중심부와 타측보다 큰 사이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분사관(510)의 일측과 회전체(400)는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선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에서 노즐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변형예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에서 노즐의 평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에서 노즐의 배면 사시도이다.
제1 노즐(610)은 제1 분사관(5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체(40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외부로 분사시킨다. 이러한 제1 노즐(6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지름이 상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4단 링이 적층된 형태이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하부에서 상부까지 지름이 동일한 노즐(600) 유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노즐(600) 유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노즐(600) 유로를 예시한다. 또한, 제1 노즐(6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끝단에 일자 형태의 슬릿이 형성되어 유체를 외부로 분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체는 일자 형태로 넓게 퍼지며 분사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형태의 슬릿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체를 십자 형태로 넓게 분사할 수 있으므로 일자 형태보다 넓은 영역에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슬릿은 슬릿의 길이 방향 간격, 즉, 노즐(60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고 차이가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슬릿의 중심부는 간격이 넓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간격이 감소하도록 하거나, 그 반대로 할 수 있다. 또한, 슬릿의 간격은 톱니와 같이 교호적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를 보다 균일하고 넓게 분사하여 동일한 면적에서도 유체의 분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노즐(600)의 교체가 가능하여 유체의 고압분사나 안개분사 여부에 따라 해당 노즐(600)로 교체할 수 있다. 여기서, 고압분사 노즐(600)은 전술된 슬릿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며, 안개분사 노즐(600)은 전술된 슬릿이 노즐(6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내측에서 중간으로 갈수록 넓어지고 중간에서 유체가 외부로 분사되는 외측으로 갈수록 다시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는 전술된 노즐(600)의 구조와 혼합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에서 덮개의 사시도이다.
제1 덮개(710)는 제1 분사관의 타측을 덮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1 덮개(710)는 제1 노즐(610)을 함께 덮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제1 노즐(610)이 제1 분사관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덮개(710)에는 홀이 형성되며, 해당 홀을 통해 제1 노즐(610)의 상부 끝단이 노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 덮개(710)는 외주연의 나사선을 통해 제1 분사관의 타측과 나사 결합되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제1 덮개(7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이 육각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이 원기둥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덮개(710)는 도 6과 같이 유체가 분사되는 끝단이 둥글게 마감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노즐(610)의 하단에는 제1 노즐(610)이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평평한 링 형태의 지지링(W)과, 유체가 제1 노즐(610) 이외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무 재질인 오-링(O)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분사체(520, 620, 720, O, W)는 제1 분사체(510, 610, 710, O, W)와 동일한 형상이되 회전체(400)의 타측 유로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 분사체(520, 620, 720, O, W)는 제1 분사체(510, 610, 710, O, W)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력에 의해 분사체(500)가 회전할 수 있다. 제2 분사체(520, 620, 720, O, W)는 제2 분사관(520)과 제2 노즐(620), 제2 덮개(720), 지지링(W) 및 오-링(O)을 포함하며, 이들의 구조는 전술된 제1 분사체(510, 610, 710, O, W)와 동일하다. 이러한 제1 분사체(510, 610, 710, O, W)와 제2 분사체(520, 620, 720, O, W)의 구조에 의해 유체, 예를 들어, 물이나 농약의 흐름에 의한 분사체(500, 600, 700, O, W)의 회전력과 살포량 및 살포범위를 최적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몸체에 구비되는 필터(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에서 필터의 사시도이다.
필터(800)는 몸체(100)의 상부, 즉, 제3 유로(130)에 구비되어 제3 유로(130)로 배출되는 유체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이를 위해서, 필터(80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되 측면에는 망이 형성되며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된다. 또한, 필터(800)의 개방된 상부는 가장자리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필터(800)는 제3 유로(130) 내에 삽입되되, 절곡된 상부 가장자리가 제3 유로(130)의 상부에 걸쳐진다. 또한, 몸체(100)로 유입된 유체는 필터(800) 측면의 망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후 제3 유로(130)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개의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가 설치될 경우, 마지막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몸체(100)에 형성된 제2 유로(120)를 덮는 제2 덮개(720)로 홀이 형성되지 않은 덮개(700)를 사용하여 유체가 제2 덮개(72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관수나 방재가 완료된 후 마지막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제2 덮개(720)를 개방하여 유체를 배출시키는 퇴수를 진행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원할하게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누수 방지부를 구비하여 몸체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연결체와 회전체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사체가 서로 대칭되는 각도로 절곡되고 내부의 지름이 변하도록 하여 분사체의 회전력과 유체의 살포량 및 살포범위를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를 구비하고 제2 덮개에 의한 퇴수구를 적용하여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노즐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관수 및 방재 종류에 따라 노즐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취급부주의 등에 의해 부품이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품만을 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제조방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성형하는 단계(S1)와, 연결체를 성형하는 단계(S2), 회전체를 성형하는 단계(S3), 누수 방지부를 성형하는 단계(S4), 분사체를 성형하는 단계(S5), 및 몸체와 연결체, 회전체 및 분사체를 조립하는 단계(S6)를 포함한다.
몸체를 성형하는 단계(S1)는 몸체의 형상이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하나 좌우로 분리되는 틀에 녹인 재료를 주입하고, 주입된 재료가 냉각되어 몸체의 형상으로 굳으면 틀에서 성형된 몸체를 분리한다. 여기서, 캡도 동일하게 성형할 수 있다.
연결체를 성형하는 단계(S2)는 연결체의 형상이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틀에 녹인 재료를 주입하고, 주입된 재료가 연결체의 형상으로 굳으면 틀에서 성형된 연결체를 분리한다.
회전체를 성형하는 단계(S3)는 회전체의 형상이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틀에 녹인 재료를 주입하고, 주입된 재료가 회전체의 형상으로 굳으면 틀에서 성형된 몸체를 분리한다.
누수 방지부를 성형하는 단계(S4)는 상부 지지체와 하부 지지체의 형상이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틀에 녹인 재료를 주입하고, 주입된 재료가 상부 지지체와 하부 지지체의 형상으로 굳으면 틀에서 분리한다. 여기서, 탄성체는 별도의 스프링 제작 공정에 의해 제작된다.
분사체를 성형하는 단계(S5)는 분사체의 형상이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틀에 녹인 재료를 주입하고, 주입된 재료가 분사체의 형상으로 굳으면 틀에서 성형된 몸체를 분리한다. 여기서, 분사체는 분사관과 노즐 및 덮개를 포함하며, 분사관과 노즐 및 덮개의 형상이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틀에 재료를 주입한 후 분리한다.
한편, 전술된 몸체와 연결체. 회전체, 분사체 및 노즐의 재질은 PP-TD 10, PP-TD 20, PP-TD 30 또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한다.
몸체와 연결체, 회전체, 누수 방지부 및 분사체를 조립하는 단계(S6)는 몸체를 성형하는 단계와 연결체를 성형하는 단계, 회전체를 성형하는 단계, 누수 방지부를 성형하는 단계 및 분사체를 성형하는 단계에서 성형된 몸체와 연결체, 회전체, 누수 방지부 및 분사체를 조립한다. 이는 연결체에 상부 지지체와 탄성체 및 하부 지지체를 결합하고 회전체에 삽입한 뒤 하부 오링과 체결링을 체결하며, 연결체와 몸체 사이에 상부 오링을 끼운 후 몸체의 상부에 연결체를 결합하고, 연결체의 상부에 회전체를 결합하며, 회전체의 양측으로 두 개의 분사체를 결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체는 분사관의 내부에 노즐을 삽입하고 덮개를 결합한다. 이때, 노즐의 하부에는 각 링과 오-링을 위치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몸체의 제1 유로와 제2 유로에는 각각 캡을 결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몸체 110: 제1 유로
120: 제2 유로 130: 제3 유로
210: 제1 캡 220: 제2 캡
300: 연결체 400: 회전체
410: 좌측 유로 420: 우측 유로
430: 하부 유로 431: 고정 유로
432: 회전 유로 433: 체결홈
500: 분사관 510: 제1 분사관
520: 제2 분사관 600: 노즐
610: 제1 노즐 620: 제2 노즐
700: 덮개 710: 제1 덮개
720: 제2 덮개 800: 필터
900: 누수 방지부 910: 상부 지지체
920: 하부 지지체 921: 메인 링 플레이트
922: 연장 링 플레이트 930: 탄성체
O1: 상부 오링 O2: 하부 오링
CR: 체결링

Claims (6)

  1. 유체를 공급하는 일측 공급배관과 연결되는 제1 유로와, 타측 공급배관과 연결된 제2 유로, 및 상부로 개방되고 상기 제1 유로 및 제2 유로와 연통된 제3 유로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3 유로와 연통되며, 좌측 유로와 우측 유로 및 하부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유로는 고정 유로와 회전 유로로 구획되는 회전체,
    상기 하부 유로의 하단에 결합되는 체결링,
    상기 몸체에 하부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 유로가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연결체,
    상기 고정 유로에 끼워지는 상부 지지체와, 상기 고정 유로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 지지체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연결체의 상부에 구비된 하부 지지체, 상기 상부 지지체와 상기 하부 지지체 사이에 구비된 탄성체를 포함하는 누수 방지부, 및
    상기 회전체의 양단에 결합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중심부가 절곡되어 상기 제3유로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체를 포함하는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체는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연통되어 연결된 제1 분사체와, 상기 회전체의 타측에 연통되어 연결된 제2 분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체는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 내부에 구비된 노즐, 상기 노즐의 토출구를 노출시키되 상기 노즐이 상기 분사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덮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관은 중심부가 절곡된 관 형상이고, 상기 회전체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일측이 지름이 가장 작고 중심부의 지름은 다시 커지며 타측의 지름은 중심부의 지름 이상이며, 상기 중심부와 타측 사이에는 상기 중심부와 타측보다 지름이 큰 사이부가 형성된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지름이 상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다단 원기둥 형상이며, 상기 유체가 분사되는 끝단에 일자 형태 또는 십자 형태의 슬릿 형태 홀이 형성된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제3 유로에 구비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되 상부는 완전 개방되며 가장자리가 외부로 절곡 연장되고 상부는 폐쇄되며, 측면은 망이 형성되어 부분적으로 개방된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는 다수개가 상기 공급배관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다수개의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 중 상기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마지막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제2 유로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작동이 종료되면 상기 덮개를 개방하여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몸체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체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회전체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누수 방지부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분사체를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체에 상부 지지체와 탄성체 및 하부 지지체를 결합하고 회전체에 삽입한 뒤 체결링을 체결하며, 몸체의 상부에 연결체를 결합하고, 연결체의 상부에 회전체를 결합하며, 회전체의 양측으로 두 개의 분사체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와 연결체, 회전체, 분사체 및 노즐은 PP-TD 10, PP-TD 20, PP-TD 30 또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으로 형성되는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의 제조방법.
KR1020220033764A 2022-03-18 2022-03-18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102607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764A KR102607290B1 (ko) 2022-03-18 2022-03-18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764A KR102607290B1 (ko) 2022-03-18 2022-03-18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271A KR20230136271A (ko) 2023-09-26
KR102607290B1 true KR102607290B1 (ko) 2023-11-29

Family

ID=8819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764A KR102607290B1 (ko) 2022-03-18 2022-03-18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2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265Y1 (ko) 1998-07-24 2001-04-02 황보석기 스프링 쿨러
KR200382107Y1 (ko) 2005-01-19 2005-04-18 윤성한 이동 설치가 용이한 승강형 스프링 클러
KR100845076B1 (ko) 2007-02-26 2008-07-09 김종군 스프링 쿨러
KR102195067B1 (ko) 2020-04-20 2020-12-24 한광식 회전분사기의 누수방지장치
JP2021506652A (ja) 2017-12-22 2021-02-22 ア・レイモン・エ・シエ ワイパアームのためのノズルユニットの装置、ワイパアーム、およびノズルユニット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728Y2 (ja) * 1990-04-11 1995-12-13 株式会社共和製作所 回転噴射式ノズル装置
KR200155288Y1 (ko) 1996-12-24 1999-08-16 곽경국 원예용 스프링쿨러
KR101271515B1 (ko) * 2011-03-14 2013-06-07 이길세 비닐하우스의 다중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265Y1 (ko) 1998-07-24 2001-04-02 황보석기 스프링 쿨러
KR200382107Y1 (ko) 2005-01-19 2005-04-18 윤성한 이동 설치가 용이한 승강형 스프링 클러
KR100845076B1 (ko) 2007-02-26 2008-07-09 김종군 스프링 쿨러
JP2021506652A (ja) 2017-12-22 2021-02-22 ア・レイモン・エ・シエ ワイパアームのためのノズルユニットの装置、ワイパアーム、およびノズルユニットの使用
KR102195067B1 (ko) 2020-04-20 2020-12-24 한광식 회전분사기의 누수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271A (ko)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7276B2 (en) Ultra low flow spray head
CA2981513C (en) Spray nozzle assembly with expanded pressure responsive liquid flow rate control
US7891370B1 (en) Irrigation device with freeze member
KR200478546Y1 (ko) 식물재배용 회전 분출식 분수 호스
KR101880552B1 (ko) 분무기용 분사노즐
KR101652434B1 (ko) 약액분사노즐
CN115957897A (zh) 一种流道自动切换的喷头
KR102607290B1 (ko)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101917984B1 (ko) 농업용 액체 분무 노즐
KR101917668B1 (ko) 관수 및 방제를 위한 농업용 스프링클러
KR101052269B1 (ko) 스프링클러
KR101052270B1 (ko) 스프링클러
KR101827367B1 (ko) 농약용 살포기 어셈블리
KR20230076570A (ko)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200495277Y1 (ko) 동적 노즐
KR200438965Y1 (ko) 분사각의 가변이 가능한 분무기용 노즐헤드
KR101053837B1 (ko) 농사용 살수방제 노즐
CN107409958B (zh) 一种水药一体化气液两相雾化喷头
CN215030156U (zh) 喷头
US7156326B1 (en) Water sprayer with water-spraying adjustment mechanism
KR101712719B1 (ko) 물 분배기
KR200418909Y1 (ko) 약액 분사 장치
KR101607739B1 (ko) 왕복 실린더를 포함하는 물 분배기
KR101397917B1 (ko) 물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물 살포기
US20180078962A1 (en) Spray nozzle assembly with one piece spray nozzle and quick disconnect retention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