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302Y1 - Structure for fixing stud of H-pile for composite basement wall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fixing stud of H-pile for composite basement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302Y1
KR200381302Y1 KR20-2005-0000962U KR20050000962U KR200381302Y1 KR 200381302 Y1 KR200381302 Y1 KR 200381302Y1 KR 20050000962 U KR20050000962 U KR 20050000962U KR 200381302 Y1 KR200381302 Y1 KR 200381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pile
welding
attachment structur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96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무용
황기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한국건설공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한국건설공법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0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30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302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 부착한 너트를 이용한 체결방식이나 사각용접부를 갖는 스터드를 이용한 용접방식, 그리고 선 제작한 플랫바를 이용한 용접방식을 사용하여 흙막이벽용 H-파일에 스터드를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스터드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fastening method using a pre-attached nut, a welding method using a stud with a square weld, and a welding method using a flat bar manufactured in advance, so that the stud can be easily attached to an H-pile for a retaining wall. It relates to an attachment structure.

본 고안은 H-파일측에 미리 부착되어 있는 너트에 현장에서 스터드만 체결하는 방식 또는 사각용접부를 갖는 스터드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식, 또는 다수의 스터드가 부착되어 있는 플랫바를 공장에서 선(先) 제작한 후 이것을 그대로 현장에서 용접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수직방향의 용접에 의해 스터드를 부착할 수 있으므로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접작업없이 스터드만 간단하게 체결하거나, 또는 용접 자세에 유리한 사각용접부를 용접하거나, 또는 현장에서 몇개의 단위로 플랫바만 용접 부착하면 되므로 작업효율이 개선되어 공기단축 및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흙막이벽용 H-파일의 스터드 부착구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fastening only studs in the field to a nut pre-attached to the H-pile side or welding using a stud having a rectangular weld, or a flat bar to which a plurality of studs are attached. By adopting the method of welding this in situ after fabrication, it is possible to attach the studs by vertical welding so that the welding quality can be improved. Since welding parts are welded or only flat bars are welded to a few units in the field, work efficiency is improved to provide stud attachment structure of H-pile for earthquake walls that can expect air shortening and cost reduction.

Description

흙막이벽용 H-파일의 스터드 부착구조{Structure for fixing stud of H-pile for composite basement wall} Structure for fixing stud of H-pile for composite basement wall

본 고안은 흙막이벽용 H-파일의 스터드 부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H-파일측에 미리 부착되어 있는 너트에 스터드를 체결하는 구조, 끝에 사각용접부를 갖는 스터드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구조 및 다수의 스터드가 부착되어 있는 플랫바를 공장에서 선(先) 제작한 후 이것을 그대로 현장에서 용접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터드 부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스터드 용접자세가 개선되어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효율이 개선되어 공기단축 및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흙막이벽용 H-파일의 스터드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ud attachment structure of an H-pile for an earthquake wall, and more particularly, a structure for fastening a stud to a nut previously attached to the H-pile side, a structure for welding using a stud having a square weld at the end, and By providing a stud attachment structure including a structure in which a flat bar having a plurality of studs is pre-fabricated at the factory and then welded on-site as it is, the stud welding posture can be improved to improve the welding qua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ud attachment structure of an H-pile for an earthquake wall which can be expected to shorten air and reduce costs by improving efficiency.

일반적으로 흙막이벽은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에 앞서 시공되는 건물의 경계선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소일시멘트벽(SCW), 토류판 흙막이벽, 철근골조를 포함하는 시멘트벽(CIP) 등이 있다. In general, the barrier wall is to be installed along the boundary line of the building to be constructed prior to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here is a small cement wall (SCW), earth plate barrier wall, cement wall (CIP) including the reinforcing frame.

위의 철근 골조는 보통 내부에 H-파일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The above reinforcing bar frames are usually installed inside the H-pile at regular intervals.

지하구조물의 구축을 위한 1차 터파기가 마무리되면 노출된 흙막이벽, 특히 H-파일에 복수의 스터드를 부착하게 되며, 이때의 스터드는 지하 외벽 타설시 지하 외벽과 흙막이벽 상호 결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When the first trench for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completed, a plurality of studs are attached to the exposed mud wall, especially the H-pile, and the stud at this time increases the mutual binding force between the mud wall and the mud wall when placing the outer wall. do.

이러한 스터드는 대부분 용접에 의해 부착되며, 이렇게 부착되는 스터드가 지하 외벽의 콘크리트 조직과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므로 그 만큼 지지력과 결착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Most of these studs are attached by welding, and thus the attached studs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crete structure of the basement outer wall in a large area, thereby increasing the bearing capacity and the binding force.

현재 스터드 부착은 기 시공되어 있는 H-파일에 작업자가 직접 올라가 스터드를 하나씩 용접하는 방법을 이용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Currently, stud attachment has a disadvantage in that workability decreases and a lot of work time is required because the worker directly climbs on the H-pile that is used to weld the studs one by one.

또한, 스터드 시공은 스터드 건을 이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작업여건상 수평방향에서 용접할 수 밖에 없고 이 경우 용접봉의 녹은 쇳물이 밑으로 흘러내려 작업성 뿐만 아니라 용접 품질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weld the stu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using a stud gun, but in the working condition, the welding cannot be per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molten metal of the welding rod flows down, resulting in poor workability and welding quality. There is.

또한, 수평방향 스터드 용접시에는 스터드 건의 사용이 매우 곤란하므로 일반 용접으로 작업을 수행함으로 인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use of the stud gun in the horizontal stud welding is very difficul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due to the work performed by the general welding.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H-파일측에 미리 부착되어 있는 너트에 현장에서 스터드만 체결하는 방식 또는 사각용접부를 갖는 스터드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식, 또는 다수의 스터드가 부착되어 있는 플랫바를 공장에서 선(先) 제작한 후 이것을 그대로 현장에서 용접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수직방향의 용접에 의해 스터드를 부착할 수 있으므로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접작업없이 스터드만 간단하게 체결하거나, 또는 용접 자세에 유리한 사각용접부를 용접하거나, 또는 현장에서 몇개의 단위로 플랫바만 용접 부착하면 되므로 작업효율이 개선되어 공기단축 및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흙막이벽용 H-파일의 스터드 부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such a point, and the method of fastening only the stud in the field to the nut previously attached to the H-pile side, or the method of welding using a stud having a rectangular weld, or a plurality of studs By adopting the method of pre-fabricating flat bar in the factory and welding it as it is, the studs can be attached by wel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welding quality can be improved. Only by simply tightening, or welding the rectangular welding part that is advantageous to the welding posture, or by attaching the flat bar in several units at the site, H-pile for earthquake wall which can expect shortening of air and cost reduction by improving work efficienc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ud attachment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흙막이벽용 H-파일의 스터드 부착구조에 있어서, 다수의 스터드가 일정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는 소정길이의 플랫바를 H-파일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용접 부착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stud attachment structure of the H-pile for the earth wall, a plurality of studs ar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H-pi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t bar of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tructure attached to the welding.

또한, 상기 스터드를 포함하는 플랫바는 별도 제작된 후 현장에서 용접되는 구조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lat bar including the stu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tached to the structure welded in the field after being manufactured separately.

또한, 상기 스터드는 통상의 스터드, 한쪽 끝을 꺽어 놓은 "ㄱ"자형 철근, 양단 날개를 갖는 "ㄷ"자형 철근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ud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usual stud, "b" shaped reinforcing bar bent at one end, "c" shaped reinforcing bar having both wings.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흙막이벽용 H-파일의 스터드 부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H-파일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너트를 용접하고, 상기 너트에 나사부를 갖는 스터드를 체결 부착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ud attachment structure of the H-pile for the retaining wall, the front of the H-pile welds a plurality of nut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screw portion on the nu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made by fastening the studs.

또한, 상기 너트를 포함하는 H-파일의 전면은 H-파일 시공 전 방수포에 의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H-pile including the nu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losed by a tarpaulin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H-pile.

또한, 상기 스터드는 별도의 너트 체결을 위한 나사부를 앞쪽 끝에 하나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u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one more threaded end for a separate nut fastening.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흙막이벽용 H-파일의 스터드 부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H-파일의 전면에 용접되는 스터드의 끝부분은 사각용접부로 이루어져 양측면만 2곳 용접되거나 또는 상부면도 함께 3곳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ud attachment structure of the H-pile for the retaining wall, the end of the stud to be welded to the front of the H-pile consists of a square welding portion, only two sides of the welded two or the top surface togeth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welded three place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터드 부착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ud attach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H-파일(12)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너트(13)가 용접 부착된다.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nuts 13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weld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pile 12.

이때의 너트(13)는 적어도 2줄 이상이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ut 13 may be installed at least two lines side by side.

또한, 상기 너트(13)는 H-파일(12)을 시공하기 전에 미리 부착될 수 있으며, 터파기 작업 후 외부로 노출되면 이곳에 스터드(10b)를 체결 부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nut 13 may be attached in advance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H-pile 12, it is possible to fasten and attach the stud (10b) here if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the digging operation.

여기서 사용하는 스터드(10b)는 한쪽 끝에 나사부(14a)를 갖는 볼트형태의 스터드로서, 나사부(14a)를 너트(13)에 체결하는 작업만으로 간단하게 스터드(10b)를 부착할 수 있게 된다. The stud 10b used here is a bolt-shaped stud having a threaded portion 14a at one end, so that the stud 10b can be attached simply by simply tightening the threaded portion 14a to the nut 13.

즉, 기존의 용접작업에 비해 훨씬 수월하게 스터드(10b)를 부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좋고 작업시간도 상당히 단축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since the stud 10b can be attached much easier than the conventional welding work, the workability is good and the working time can be considerably shortened.

또한, 이렇게 부착되는 스터드(10b)의 다른 한쪽 끝, 즉 앞쪽으로 돌출되는 선단부에는 또 하나의 나사부(14b)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에 별도의 너트를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tud (10b) is attached, that is, a front end portion protruding forward is formed with another threaded portion (14b) can be used by fastening a separate nut here.

H-파일(12)의 시공시 미리 용접되어 있는 너트(13)가 손상되거나 또는 너트(13)의 내측으로 흙 등의 이물질이 낄 수 있으므로 시공 전에 너트(13)가 용접되어 있는 H-파일(12)의 전면을 방수포 등으로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방수포는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H-파일(12)측에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When the H-pile 12 is constructed, the previously welded nut 13 may be damaged, or foreign matter such as dirt may get inside the nut 13, so that the nut 13 is welded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H-pile ( It is preferable to finish the front surface of 12) with a tarpaulin, etc. The tarpaulin at this time can be firmly attached to the H-pile 12 using a tape or the like.

따라서, 현장의 작업자는 너트가 미리 용접되어 있는 H-파일에 스터드만 간단하게 체결하는 작업만으로 스터드 부착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또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operator in the field can complete the stud attachment work simply by fastening only the stud to the H-pile in which the nut is pre-welded, so that the work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quickly.

도 2는 위의 스터드 부착구조를 적용한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state applying the stud attachment structure abov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파기 후 H-파일(12)이 밖으로 드러난 다음 전면을 덮고 있는 방수포를 제거하면, H-파일(12)의 전면에는 다수의 너트(13)가 노출되는데, 이렇게 노출되는 각각의 너트(13)에 스터드(10b)을 체결하면, 스터드(10b)의 부착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H-pile 12 is exposed and then the tarp covering the front surface is removed, a plurality of nuts 13 are ex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pile 12. When the stud 10b is fastened to each nut 13 exposed, the attachment work of the stud 10b can be completed.

계속해서, 스터드(10b)의 부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철근 골조(16)와 함께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지하 외벽(15)이 구축된다. Subsequently, concrete is poured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frame 16 in the state where the stud 10b is attached, and the basement outer wall 15 is constructed.

이때, 상기 스터드(10b)들은 지하 외벽(15)과 함께 일체식의 구조물을 이루게 된다. At this time, the studs 10b form an integral structure together with the basement outer wall 15.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터드 부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tud attach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서는 스터드의 단면형상을 변경하여 용접자세를 개선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작업성과 우수한 용접성을 기대할 수 있는 스터드 부착구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welding posture by chang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tud to provide a stud attachment structure that can be expected easier workability and excellent weldability.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터드(10c)의 단부, 즉 H-파일(12)의 전면에 용접되는 끝부분을 사각형태의 사각용접부(17)로 만든 후 용접을 수행한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ure 3, the end of the stud (10c), that is, the end welded to the front end of the H-pile 12 is made of a rectangular weld 17 of the rectangular shape and then welding is performed.

즉, 용접부위가 통상의 원형형태가 아닌 사각형태임에 따라,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면만 2곳 용접하거나(수직용접자세) 또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면(수평용접자세)을 함께 3곳 용접하고, 상향용접자세로 용접하게 되는 하부면은 용접을 하지 않는다. That is, as the welding portion is a rectangular shape rather than a normal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4A, only two sides are welded (vertical welding posture), or as shown in FIG. 4B, the upper surface (horizontal position). Weld 3) welding together, and the lower surface to be welded up welding position is not welded.

위와 같이, 스터드의 끝 단면형태를 사각형태로 변경함으로써 가장 작업성이 좋은 수직용접자세 및 수평용접자세만으로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또 이렇게 용접자세가 개선됨에 따라 용접품질도 높일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by changing the end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tud into a rectangular shape, the welding work can be performed only with the best workability of the vertical welding position and the horizontal welding position, and the welding quality can be improved as the welding position is improved. .

도 5는 위의 스터드 부착구조를 적용한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to which the stud attachment structure is applied.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파기 후 H-파일(12)이 밖으로 드러나면 H-파일(12)의 전면에 2줄로 나란하게 사각용접부(17)를 갖는 스터드(13c)를 차례차례 용접하면 스터드(10c)의 부착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H-pile 12 is exposed after the excavation, when the studs 13c having the square welds 17 are sequentially welded in two rows in front of the H-pile 12, the studs are sequentially. The attachment work of 10c can be completed.

계속해서, 스터드(10c)의 부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철근 골조(16)와 함께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지하 외벽(15)이 구축된다. Subsequently, concrete is poured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frame 16 in the state where the stud 10c is attached, and the basement outer wall 15 is constructed.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터드 부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ud attach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플랫바(1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스터드(10a)가 용접되어 있고, 이렇게 일체식의 스터드(10a)를 갖는 플랫바(11)는 H-파일(12)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2줄이 나란하게 용접 부착된다.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studs 10a are welded to the flat bar 1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us the flat bar having the integrated studs 10a ( 11 is welded to the front of the H-pile 12 in two longitudinal lines side by side.

몇 개의 단위 플랫바(11)는 H-파일(1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이어서 용접 부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2줄 이상도 부착될 수 있다. Several unit flat bars 11 can be attached in series and weld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H-pile 12, and two or more lines can be attached as necessary.

이러한 스터드(10a)를 포함하는 플랫바(11)는 공장에서 선(先) 제작한 후 현장에서는 플랫바(11)를 H-파일(12)측에 용접하는 것으로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The flat bar 11 including the stud 10a is prefabricated at the factory, and the work can be completed by welding the flat bar 11 to the H-pile 12 on the site.

특히, 선 제작시 플랫바(11)에 스터드(10a)를 용접하는 경우 수직방향의 용접이 가능하므로 스터드 건의 사용이 용이하여 작업을 훨씬 수월하게 할 수 있으며, 용접 쇳물이 흘러내리는 등의 문제가 없어 용접품질도 높일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welding the stud (10a) to the flat bar (11) during the production line, it is possible to use the stud gun because the wel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easier to work, there is a problem such as the welding water flowing down There is no welding quality can be improved.

즉, 종전과 같이 H-파일(12) 전면에 스터드(10a)를 1개씩 일일이 용접하여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스터드(10a)가 부착되어 있는 몇 개의 플랫바(11)를 H-파일(12) 전면에 몇 군데 용접만 하면 되므로 작업이 간단하고 작업시간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instead of welding one stud 10a to the front of the H-pile 12 one by one as before, the flat bar 11 to which the stud 10a is attached is attached to the H-pile 12. Since only a few spots are welded on the front, the work is simple and the working time can be drastically reduced.

또한, 상기 플랫바(11)에 부착되는 스터드(10a)의 경우 헤드부를 갖는 통상의 스터드 이외에 한쪽 끝을 꺽어 놓은 "ㄱ"자형 철근이나, 양단 날개를 갖는 "ㄷ"자형 철근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절곡형의 철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길이를 원하는 만큼 확보할 수 있거나,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결착면적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지하 외벽측과의 결속관계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tud 10a attached to the flat bar 11, in addition to the usual stud having a head portion, the "a" reinforcing bar bent at one end, the "c" reinforcing bar having both ends wings, etc. may be used. In the case of using the reinforcing bar like this, the length can be secured as desired or the binding area with the concrete structure can be sufficiently secured, thereby further strengthening the binding relationship with the basement outer wall.

도 7은 위의 스터드 부착구조를 적용한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to which the stud attachment structure is applied.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파기 후 노출되는 H-파일(12)의 전면에는 다수의 스터드(10a)를 갖는 2줄의 플랫바(11)가 용접 부착되고, 이렇게 플랫바(11)를 통한 스터드(10a)의 부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철근 골조(16)와 함께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지하 외벽(15)이 구축된다. As shown in FIG. 7, two rows of flat bars 11 having a plurality of studs 10a are weld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pile 12 exposed after the destruction, and the flat bars 11 are thus attached. In the state where the attachment of the stud 10a through is completed, concrete is poured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frame 16 to build an underground outer wall 15.

이때, 상기 스터드(10a)들은 지하 외벽(15)과 함께 일체식의 구조물을 이루게 된다.At this time, the studs 10a form an integral structure together with the basement outer wall 15.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선 부착한 너트를 이용한 체결방식이나 사각용접부를 갖는 스터드를 이용한 용접방식, 그리고 선 제작한 플랫바를 이용한 용접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스터드의 수직방향 용접에 의한 선 제작품을 사용하므로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현장에서 용접작업없이 스터드만 간단하게 체결하거나, 사각용접부를 이용하여 스터드를 용접하거나, 몇개의 단위로 플랫바만 용접 부착하면 스터드 부착작업을 손쉽게 마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개선되어 공기단축 및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fastening method using a nut with a wire attached, a welding method using a stud having a rectangular weld, and a welding method using a flat bar manufactured by the wire, thereby using a wire manufactured by vertical welding of the stud. Therefore, the welding quality can be improved, and the stud can be easily completed by simply tightening the stud without welding in the field, welding the stud using the square welding part, or attaching the flat bar by only a few units. Since the work efficiency is improved, air shortening and cost reduction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터드 부착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ud attach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스터드 부착구조를 적용한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state applying the stud attachment structure of Figure 1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터드 부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ud attach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서 채용하고 있는 스터드의 용접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4A and 4B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 welding state of the studs employed in FIG. 3.

도 5는 도 3의 스터드 부착구조를 적용한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applying the stud attachment structure of FIG.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터드 부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ud attach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스터드 부착구조를 적용한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applying the stud attachment structure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a,10b,10c : 스터드 11 : 플랫바10a, 10b, 10c: stud 11: flat bar

12 : H-파일 13 : 너트12: H-pile 13: nut

14a,14b : 나사부 15 : 지하 외벽14a, 14b: thread 15: basement outer wall

16 : 철근 골조 17 : 사각용접부16: reinforcing bar frame 17: square weld

Claims (5)

흙막이벽용 H-파일의 스터드 부착구조에 있어서,In the stud attachment structure of the H-pile for the wall, 상기 H-파일(12)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너트(13)를 용접하고, 상기 너트(13)에 나사부(14a)를 갖는 스터드(10b)를 체결 부착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용 H-파일의 스터드 부착구조.The front surface of the H-pile 12 is welded a plurality of nuts 13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stud (10b) having a threaded portion (14a) to the nut (13) Stud attachment structure of the H-pile for the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13)를 포함하는 H-파일(12)의 전면은 H-파일 시공 전 방수포에 의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흙막이벽용 H-파일의 스터드 부착구조.The stud attachment structure of the H-pile for the wa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surface of the H-pile (12) including the nut (13) is closed by a tarpaulin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H-pi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b)는 별도의 너트 체결을 위한 나사부(14b)를 앞쪽 끝에 하나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용 H-파일의 스터드 부착구조.The stud attachment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stud (10b) has one more screw end (14b) for fastening a separate nut. 흙막이벽용 H-파일의 스터드 부착구조에 있어서, In the stud attachment structure of the H-pile for the wall, 상기 H-파일(12)의 전면에 용접되는 스터드(10c)의 끝부분은 사각용접부(17)로 이루어져 양측면만 2곳 용접되거나 또는 상부면도 함께 3곳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용 H-파일의 스터드 부착구조.The end of the stud (10c) is weld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pile 12 is made of a rectangular welding portion 17 H-pile for the earth wall wall, characterized in that only two sides welded two or three places together with the upper surface welded Stud attachment structure. 흙막이벽용 H-파일의 스터드 부착구조에 있어서,In the stud attachment structure of the H-pile for the wall, 다수의 스터드(10a)가 일정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는 소정길이의 플랫바(11)를 H-파일(12)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용접 부착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용 H-파일의 스터드 부착구조.H-wall for earth wall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bar 11 of a predetermined length to which a plurality of studs (10a) are attached at regular intervals and weld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 pile (12) Stud attachment structure of the pile.
KR20-2005-0000962U 2005-01-12 2005-01-12 Structure for fixing stud of H-pile for composite basement wall KR20038130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962U KR200381302Y1 (en) 2005-01-12 2005-01-12 Structure for fixing stud of H-pile for composite basement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962U KR200381302Y1 (en) 2005-01-12 2005-01-12 Structure for fixing stud of H-pile for composite basement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302Y1 true KR200381302Y1 (en) 2005-04-14

Family

ID=4368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962U KR200381302Y1 (en) 2005-01-12 2005-01-12 Structure for fixing stud of H-pile for composite basement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302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193B1 (en) * 2008-02-01 2010-12-31 허영숙 Pile for cofferdam
KR102267804B1 (en) * 2020-12-04 2021-06-22 (주)아크건축사사무소 The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apparatus using the construction material for the earth pressure suppor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193B1 (en) * 2008-02-01 2010-12-31 허영숙 Pile for cofferdam
KR102267804B1 (en) * 2020-12-04 2021-06-22 (주)아크건축사사무소 The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apparatus using the construction material for the earth pressure suppo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1302Y1 (en) Structure for fixing stud of H-pile for composite basement wall
JP3690437B2 (en)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existing buildings
JPS6139469B2 (en)
KR101230370B1 (en) The water-storage tank of assembly typ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JP2005188102A (en) Structure of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638564B1 (en) seismic reinforcement apparatus and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RU2299950C1 (en) Composite pile (variants)
JP3362019B2 (en) Earth retaining wall and RC composite structure
JP4660502B2 (en) Repair method of handrail support
JP4798203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and reinforcement method for existing foundation
JP6579512B2 (en) Bonding structure between foundation pile and unit and unit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JP6349732B2 (en) Method and structure for joining reinforced concrete beam to steel column or column with steel frame
JP5130137B2 (en) Renovation method for existing foundation of wooden construction
JP4757590B2 (en)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for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JP3985574B2 (en)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JP4085023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steel column or steel pipe column and beam reinforcement
JPH10238132A (en) Vibration-resistant reinforcing mehtod
JP4449595B2 (en) Column-beam joint structure, method for constructing column-beam joint structure,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building
JP4072274B2 (en) Building unit
JP4419456B2 (en) Method of joining reinforced concrete member and steel pipe concrete
JP2001254353A (en) Earth retaining wall/rc composit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H05156654A (en) Top-down construction method
JP2004218236A (en) Earthquake-resistant repair method for existing wooden building
CN216920292U (en) Precast tubular pile and supporting construction thereof
KR200436559Y1 (en) Multipurpose prefabricate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