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165Y1 - Smart card applied buffer materials - Google Patents

Smart card applied buffer materi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165Y1
KR200381165Y1 KR20-2004-0037637U KR20040037637U KR200381165Y1 KR 200381165 Y1 KR200381165 Y1 KR 200381165Y1 KR 20040037637 U KR20040037637 U KR 20040037637U KR 200381165 Y1 KR200381165 Y1 KR 200381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ard
image member
buffer material
material lay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63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순호
권용길
Original Assignee
권순호
권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호, 권용길 filed Critical 권순호
Priority to KR20-2004-0037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16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165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2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materials, e.g. to avoid wear during transport through the mach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IC칩을 갖는 스마트 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카드의 외측면들 중 어느 일측면에 결합되며 사진, 및 그림중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부재와, 이미지부재의 표면에 마련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완충물질로 형성된 완충물질층을 갖는다. 이러한 스마트 카드에 의하면, 스마트 카드의 디자인을 다양화하여 사용자의 만족을 도모하고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완충물질층에 의해 스마트 카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 카드의 용도를 다양화할 수 있으며, 정전 또는 어두운 곳에서 LED를 발광시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ard having an IC chip for storing data. And a buffer material layer formed of a buff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ccording to the smart card, it is possible to diversify the design of the smart card to improve the user's satisfaction and improve the appearance,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smart card by the buffer material layer. In addition, it can diversify the use of smart cards and can safely move by emitting LEDs in blackout or dark places.

Description

완충물질을 응용한 스마트 카드{SMART CARD APPLIED BUFFER MATERIALS}Smart card with buffer material {SMART CARD APPLIED BUFFER MATERIALS}

본 고안은 스마트 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에 이미지부재와 완충물질층을 형성하고 고휘도의 LED를 장착함으로써, 손상을 방지하고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용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 스마트 카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ard, and more specifically, by forming an image member and a buffer material layer on the surface, and mounting a high-brightness LED, not only can prevent damage and improve the appearance, but also expand the range of application. It's about making a smart card.

일반적으로 스마트 카드는, 집적회로 기억소자를 장착하여 대용량의 정보를 담을 수 있는 미래형 선불카드로서, IC카드(intergrated circuit card)라고도 한다. In general, a smart card is a future prepaid card that can contain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by mounting an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 also referred to as an IC (intergrated circuit card).

스마트카드를 기능 및 내부 구조면에서 분류하면 대체로 다음과 같이, 메모리형,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장형, 대화형의 3종류로 나눌 수 있다.When smart cards are classified in terms of function and internal structure, they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memory type, microprocessor built-in type and interactive type as follows.

먼저, 메모리형 스마트카드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되지 않은 스마트카드로서, 공중전화카드나 물품구입권 같이 유가증권으로 취급될 수 있는 분야에 주로 사용하며, 메모리 외에 보안장치(security logic)가 포함된 방식과, 의료보험증과 같이 순수 데이터 보관용으로서 메모리만 내장된 방식도 있다. 메모리로는 주로 EEPROM을 사용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장 스마트카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를 내장하여 판단, 연산, 데이터 보호 등 고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대화형 스마트카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I/O 프로토콜, 응용프로그램을 내장하여 정보의 쌍방향 전달을 할 수 있다.First, the memory type smart card is a smart card that does not have a built-in microprocessor, and is mainly used in the fields that can be treated as securities such as public telephone cards or purchase rights, and includes a security logic in addition to the memory. There is also a method in which only memory is built in for pure data storage, such as medical insurance cards. EEPROM is mainly used as memory. Built-in microprocessor The smart card is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and memory to perform advanced functions such as judgment, operation, and data protection. Interactive smartcards have a built-in microprocessor, memory, I / O protocols, and applications that enable interactive transfer of information.

이러한 스마트 카드 중,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는 스마트 카드가 주로 사용되는 용도로는, 교통카드, 도어용 카드키, 회사의 사원증, 학생증 등을 들 수 있다. Among such smart cards, a smart card having a microprocessor is mainly used, such as a traffic card, a door card key, a company card, a student card, and the like.

이 중, 교통카드의 경우, 일정한 금액을 미리 충전하여 두고,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할 때 버스에 설치된 단말기에 가까이 대면 선불금액에서 교통요금을 감액하는 형태로 작동한다. 교통카드에는 새끼손가락 손톱보다도 작은 반도체 칩, 즉 IC가 들어 있으며, 이 반도체 칩은 크게 세 가지의 역할을 하고 있다. 첫 번째는 금액을 관리하는 역할로서, 충전을 통해 일정금액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할 때마다 저장된 정보의 내용을 계속 변화시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정보의 전송으로서, 비접촉식 카드인 교통카드는 버스나 지하철에 설치된 단말기 근처에 가면 반도체 칩내의 정보가 단말기에 전달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교통카드와, 버스나 지하철에 설치된 단말기는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세 번째 역할은 전기에 관한 역할이다. 교통카드 내의 반도체 칩을 동작시키고 정보를 전파를 통하여 주고받기 위해서는 전기를 필요하지만, 교통카드 내부에는 배터리가 없다. 그 대신 버스나 지하철에 설치된 단말기에는 제1코일이 있어서 계속 변화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교통카드에는 카드의 둘레를 따라 제2코일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교통카드를 단말기 가까이 다가가면 제2코일에 유도전류가 발생하며, 이 때 발생되는 전기는 아주 미약하지만 반도체 칩을 동작시키기에는 충분하다. Among these, in the case of a traffic card, a certain amount of money is charged in advance, and when a bus or subway is used, the vehicle is operated in a form of reducing the transportation fee from a prepaid amount when it comes close to the terminal installed in the bus. The traffic card contains a semiconductor chip, or IC, that is smaller than the pinky fingernail, and there are three main roles. The first is to manage the amount of money, to store information about a certain amount of money through charging, and to continuously change the content of the stored information every time you use the bus or subway. The second is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A traffic card, a contactless card, is located near a terminal installed in a bus or subway, and information in a semiconductor chip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 this way, a traffic card and a terminal installed in a bus or subway communicat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Can send and receive The third role is about electricity. Electricity is required to operate the semiconductor chip in the transportation card and to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through radio waves, but there is no battery inside the transportation card. Instead, the terminal installed in the bus or subway has a first coil to generate a constantly changing magnetic field, and the transportation card is equipped with a second coil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ard. Therefore, when the traffic card approaches the terminal, an induced current is generated in the second coil, and the electricity generated at this time is very weak, but sufficient to operate the semiconductor chip.

이러한 유도전류가 만드는 전자파(또는 자기장)는 교통카드에 기록된 내용에 따라 달라지며, 버스나 지하철의 단말기는 이러한 전자파를 읽어들여 잔액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렇게 회로가 한 번 동작할 때마다 카드 회로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금액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교통겸용 신용카드에 내장된 칩에는 카드번호와 현재 사용 요금 등 정보가 들어 있다. The electromagnetic waves (or magnetic fields) generated by these induced currents depend on the contents recorded on the traffic card, and the terminal of the bus or subway reads the electromagnetic waves and checks the balance. Each time this circuit is operated, the amount of money stored in the memory in the card circuit is reduced. On the other hand, the chip embedded in the transportation credit card contains information such as card number and current usage fee.

이와 같이, 교통카드는 반도체 칩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의 두께도 상당히 두껍고, 교통카드를 함부로 휘거나 하면 내부회로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이 많이 든 지갑에 같이 넣고 다니거나 함부로 가방에 넣어 둘 경우, 교통카드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자는 별도의 교통카드 수납용 지갑을 마련하여 교통카드를 수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 경우에는 가방 속에 들어 있는 교통카드 수납용 지갑을 일일이 찾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교통카드는 천편일률적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그 디자인이 동일하여 외관이 좋지 않고, 혹여 서로 다른 두 사람 사이에 교통카드가 바뀌더라도 잔액을 확인하기 전까지는 알 수가 없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raffic card has a semiconductor chip embedded therein, the thickness of the card is considerably thick, and if the traffic card is bent, the internal circuit may be damaged. Therefore, if you carry it in your wallet with a lot of contents or put it in your bag, you may be shocked or deform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user often prepares a separate transportation card storage wallet to store and use the transportation card, but in this case, it is inconvenient to find the transportation card storage wallet in the bag one by one. . In addition, since the traffic card is produced uniformly, the design is the same, so the appearance is not good, or even if the traffic card is changed between two different people until you check the balance.

이에 따라, 교통카드를 보호하기 위해 국내 실용신안출원 제2004-20497호에서는, 교통카드의 표면에 투명재질의 에폭시 수지에 반짝이 성분인 소정량의 펄 소재와 형광도료를 혼합한 코팅층을 형성하고, 코팅층에는 방향제를 혼합한 수용성 U/V 코팅 원액을 도포하고 있다. 이러한 출원에 의하면, 교통카드를 보호하는 것 자체는 가능하나, 코팅층은 이미 디자인이 결정된 교통카드 표면에 입혀지기 때문에 외관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protect a traffic card, in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04-20497, a coating layer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pearl material, which is a glitter component, and a fluorescent paint is formed on a transparent epoxy resin on the surface of a traffic card, The coating layer is coated with a water-soluble U / V coating stock solution containing a fragrance. According to this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traffic card itself, but the coating layer is already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traffic card is determined design has a disadvantage that the function to improve the appearance is weak.

한편, 교통카드를 버스나 지하철의 단말기에 접촉시키면 사용금액이나 남은금액 등이 표시되기는 하나, 눈이 나쁘거나 신경을 써서 보지 않으면 요금이 처리가 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리고 새로운 교통시스템으로 변경되면서 단말기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접촉시켰을 때, 처리되지 아니하였다는 메시지를 내보내는 경우가 많고, 이에 다시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접촉시키면 이미 처리되었다는 메시지를 발생시켜 교통카드 사용자의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다. 특히, 청각장애인의 경우 교통카드에서 요금이 처리되었는지 처리되지 않았는지 눈으로만 확인이 가능하므로, 처리되지 아니하였다는 메시지에도 불구하고 승차 또는 하차를 할 경우에는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ffic card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bus or subway, the amount used or the remaining amount is displayed, but it is often difficult to check whether the fare has been processed unless you have bad eyes or care. And because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was not smooth as it was changed to a new transportation system, when a contact card was contacted with the terminal, it often sent a message that it had not been processed. It raises doubts about traffic card users. In particular, the hearing impaired person may be disadvantaged when they get on or off despite the message that the fare has not been processed by the transportation card.

이에 따라, 교통카드가 외부의 충격이나 힘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교통카드의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교통카드의 요금 처리 여부가 눈에 잘 띄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a method of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traffic card so as not to be deformed by an external impact or force and to change the design of the traffic car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easily recognize the traffic card fare processing whether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의 충격이나 힘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고,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card which can prevent deformation due to external impact or force and improve the appearan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휘도의 LED를 내장함으로써 활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스마트 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card that can expand the application range by embedding a high-brightness LED.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IC칩을 갖는 스마트 카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의 외측면들 중 어느 일측면에 결합되며 사진, 및 그림중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부재와, 상기 이미지부재의 표면에 마련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완충물질로 형성된 완충물질층을 갖는 스마트 카드에 의해 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card having an IC chip for storing data,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ny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mart card and an image member including one of a picture and a picture, A smart card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image member and has a buffer material layer formed of a buff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IC칩을 갖는 스마트 카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의 외측면들 중 어느 일측면에 결합되며 사진, 및 그림중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부재와, 상기 이미지부재의 표면에 마련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에폭시 수지 재질의 완충물질로 형성된 완충물질층을 갖는 스마트 카드에 의해 달성된다. The above object is a smart card having an IC c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ny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mart card, including an image member and one of a picture and a picture, and on the surface of the image member It is provided by a smart card having a buffer material layer formed of a buffer material of epoxy resin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IC칩을 갖는 스마트 카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의 외측면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되며 그림, 및 사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부재와, 상기 이미지부재의 표면에 마련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에폭시 수지 재질의 완충물질로 형성된 투명한 완충물질층과, 상기 완충물질층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LED 발광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에 의해 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mart card having an IC chip for data storage, the image member is coupled to any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mart card and includes any one of a picture and a picture, and It is achieved by a smart card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image member, the transparent buffer material layer formed of a buffer material of epoxy resin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t least one LED light emitting body provided in the buffer material layer.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IC칩을 갖는 스마트 카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카드의 외측면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되며 그림, 및 사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부재와, 상기 이미지부재의 표면에 마련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완충물질로 형성된 투명한 완충물질층과, 상기 완충물질층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와, 상기 발광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온오프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mart card having an IC chip for storing data, the image member is coupled to any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mart card, including any one of a picture and a picture, A transparent buffer material layer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image member and formed of a buff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t least one light emitter provided in the buffer material layer,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er, and the power source This is accomplished by a smart card comprising a switch to turn the supply on and off.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카드의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car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mart card of FIG.

일반적으로 스마트 카드(10)는, IC 칩과 코일을 가지며, 그 외표면은 수 겹의 PVC재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IC 칩은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연산 등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외부의 단말기와 스마트 카드(10)와의 접촉시 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에 의해 작동한다. Generally, the smart card 10 has an IC chip and a coil, and the outer surface is formed of several layers of PVC material. Here, the IC chip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necessary information, and a microprocessor for processing operations such as arithmetic operation, the microprocessor is applied to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in the coil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smart card 10. Works by

본 스마트 카드(10)는, 일측면에는 이미지부재(20)와 완충물질층(3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측부에는 발광체인 복수의 LED(50)와, LED(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인 배터리(70)와, LED(50)에 배터리(70)로부터의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80)가 장착하여 제작된다. 또한, 스마트 카드(10)의 타측면에는 전영역에 걸쳐 이미지부재(20')와 완충물질층(30')이 형성되어 있다. The smart card 10 has an image member 20 and a buffer layer 30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supplies power to a plurality of LEDs 50 and light emitting diodes 50 on the side thereof. The battery 70, which is a power supply unit, and a switch 80 for controlling the power from the battery 70 are mounted on the LED 50. In addition, the image member 20 'and the buffer material layer 30'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mart card 10 over the entire area.

여기서, 이미지부재(20)는, 그림, 사진, 글자 등 표현가능한 모든 종류의 이미지를 다양한 매체 또는 인쇄에 의해 형성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그 형성방법에 따라 스마트 카드(10)와 일체로 또는 분리되어 제작될 수 있다. Here, the image member 20 may be provided by forming all kinds of images that can be expressed, such as pictures, photographs, and letters, by various media or printing, and may be integrally or separated from the smart card 10 according to the method of forming the same. Can be manufactured.

도 1 내지 도 2의 이미지부재(20)는, 스마트 카드(10)의 표면에 인쇄를 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이 때, 다양한 인쇄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카드(10)에 행해지는 인쇄방법은, 볼록판·오목판·평판의 세 판식 중 평판에 속하는 인쇄방법이 사용되며, 그 중에서도 레이저 인쇄, 오프셋 인쇄, 스크린 인쇄, 플랙소그래피 등의 인쇄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The image member 20 of FIGS. 1 and 2 is formed by printing on the surface of the smart card 10 and may be used in various printing methods. As the printing method performed on the smart card 10, a printing method belonging to a flat plate among three plate types of a convex plate, a concave plate, and a flat plate is used. Among them, a printing method such as laser printing, offset printing, screen printing, flexography, etc. may be used. Can be.

레이저 인쇄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마킹하는 방법으로서, 레이저 인쇄가 가능한 소재로는 금속, 플라스틱, 나무, 가죽, 종이, 실리콘, 유리 등이 있다. 레이저 인쇄는 각인 표면의 홈을 파서 각인하는 방법, 소재의 표면을 변색시켜 마킹하는 방법, 가공할 표면을 부풀려서 마킹이 되도록 하는 방법의 세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Laser printing is a method of marking using a laser, and materials that can be laser printed include metal, plastic, wood, leather, paper, silicon, and glass. Laser printing uses three methods of digging and marking grooves on the stamping surface, discoloring and marking the surface of the material, and inflating and marking the surface to be processed.

오프셋 인쇄는 간접인쇄 방법의 하나로서, 인쇄판에서 직접 피인쇄물에 인쇄를 하지 않고, 중개 구실을 하는 고무 블랭킷에 일단 전사인쇄한 다음, 용지에 인쇄하는 간접적인 인쇄방법으로서, 금속이나 천 등 다양한 재질에 인쇄할 수 있는 기술이다. 금속평판인쇄는 대부분 오프셋인쇄에 의해 인쇄되므로, 일반적으로 오프셋인쇄는 금속평판인쇄와 같은 뜻으로 쓰인다. 오프셋 인쇄기에는 동시에 2색 이상을 인쇄할 수 있는 다색기, 종이의 양면을 인쇄하는 양면인쇄기도 있다. Offset printing is one of the indirect printing methods. It is an indirect printing method that does not directly print a printed object on a printing plate, but transfers it to a rubber blanket that acts as an intermediary, and then prints it on paper. It is a technology that can be printed on. Since metal flat printing is mostly printed by offset printing, offset printing is generally used synonymously with metal flat printing. Offset presses also include multi-color machines that can print two or more colors at the same time, and double-sided printers that print both sides of paper.

스크린 인쇄는, 공판의 하나로 나무틀에 망사를 붙인 면에 화선을 구성한 판을 사용하여 망사 구멍으로 잉크를 통과시켜 종이에 옮기는 인쇄방식이다. 과거에는 실크망사를 사용했기 때문에 실크 스크린인쇄라고 불렀지만, 최근에는 나일론, 테트론, 스테인레스 스틸 망사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크린 인쇄라고 한다. 스크린 인쇄를 하는 기계에는 평면 인쇄기와 곡면인쇄기가 있는데, 평면인쇄기는 종이, 플라스틱, 프린트 배선기판 등의 인쇄를 하며, 곡면인쇄기는 병, 컵 등에 인쇄한다.Screen printing is a printing method in which ink is passed through a mesh hole and transferred to paper using a plate composed of wires on a surface of which a mesh is attached to a wooden frame as one of trials. In the past it was called silk screen printing because it used silk mesh, but recently it is called screen printing because it uses nylon, tetron and stainless steel mesh. The screen printing machine has a flat printing machine and a curved printing machine. The flat printing machine prints paper, plastic, printed wiring board, and the like, and the curved printing machine prints on bottles and cups.

평면인쇄기는 종이를 놓은 위에 망사를 붙인 스크린틀을 놓고 틀안에서 잉크를 스퀴지라는 고무 주걱으로 스크린 구멍으로 밀어내어 종이에 인쇄한다. 곡면인쇄기는 스퀴지를 고정시켜 피인쇄체를 스크린의 이동과 같이 회전시켜 인쇄한다. 이 방법은 편면이 유연하여 인쇄압이 약하기 때문에 종이, 플라스틱, 유리, 금속 등 폭넓은 소재에 인쇄가 가능하며 많은 공업분야에서 이용하고 있다. A flatbed press places a mesh screened screen on top of the paper and pushes the ink into the screen hole with a rubber spatula called a squeegee. The curved printing machine fixes the squeegee and rotates the printed object as the screen moves to print. Since this method is flexible on one side and has a low printing pressure, printing is possible on a wide range of materials such as paper, plastic, glass, and metal, and is used in many industrial fields.

플렉소그래피는 유연한 판을 사용하는 점에서 이 명칭이 붙었으며, 볼록판의 한 가지로 탄성이 있는 수지 또는 고무 볼록판을 사용하여 액체 잉크로 인쇄하는 방식이다. 초기에는 아닐린 염료를 알콜에 녹인 잉크를 사용하였으므로 아닐린 인쇄라고 불리었다. 플렉소그래피는 윤전인쇄도 가능하며 인쇄기에는 드럼형, 스택형, 인라인형이 있다. 종이 이외 폴리에틸렌, 알루미늄박 등의 비흡수성 재료에도 인쇄되며 연포장재료, 골판지, 포대가공에 사용된다. Flexography is named for the use of flexible plates, and one of the convex plates is a method of printing with liquid ink using elastic resin or rubber convex plates. Initially it was called aniline printing because it used ink in which aniline dye was dissolved in alcohol. Flexography is also available for rotational printing, and there are drum, stack and in-line printers. In addition to paper, it is also printed on non-absorbent materials such as polyethylene and aluminum foil.

이러한 인쇄방법 이외에도 이미지부재(20)는, 사진, 그림, 글자 등의 이미지를 투사한 편광필름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편광필름을 스마트카드의 판면에 접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이미지부재(20)를 마련한다. In addition to the printing method, the image member 20 may be made of a polarizing film projecting an image such as a photo, a picture, a letter, and the like, and the image member 20 may be bonded to the surface of a smart card by bonding or the like. To prepare.

또한, 이미지부재(20)는 사진이나 그림, 글자 등을 PVC판에 인쇄하거나 인화지에 인화하거나 메트지에 인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내열성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에폭시 수지 등으로 완충물질층(30)을 형성할 경우, 온도가 상당히 높으므로, 잉크 등이 내열성이 없는 경우, 사진 또는 이미지가 변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PVC판이나 인화지는 양면접착테이프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스마트 카드(10)에 접착한다. 한편, 인화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인화지에 직접 에폭시가 접촉되면, 사진이나 그림, 글자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인화지의 전면에 투명필름을 장착시킨다. In addition, the image member 20 may be used to print photographs, pictures, letters, etc. on a PVC plate, print on photo paper, or print on a sheet of paper, it is preferable to use a heat-resistant ink. This is because when the buffer material layer 30 is formed of epoxy resin or the like, since the temperature is considerably high, when the ink or the like is not heat resistant, the photograph or image may be denatured. Then, the PVC plate or photo paper is bonded to the smart card 10 using a double-sided adhesive tape or adhesive.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photo paper, if the epoxy directly contact the photo paper, pictures, pictures, letters may be damaged, so that the transparent film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photo paper.

이러한 이미지부재(20)의 외표면에는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킨 투명한 완충물질층(30)이 형성되어 있다. 에폭시 수지는 수지내에 에폭시기를 가지고 있는 수지를 말하고, 보통 비스페놀A와 에피클로로하이드론을 촉매하에 중합을 시켜서 제조한다. 에폭시 수지는 기계적, 화학적 물성이 상당히 우수하고, 가공성도 좋아 다양한 용도로 쓰이고 있으며, 주로 접착제, 도료, 라이닝 등의 분야에 널리 쓰이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스티커나 열쇠고리(40) 등의 표면에 부어 입체감을 갖는 연질 스티커의 재료로도 쓰이고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image member 20 is formed with a transparent buffer material layer 30 cured with an epoxy resin. Epoxy resin refers to a resin having an epoxy group in the resin, and is usually prepared by polymerizing bisphenol A and epichlorohydron under a catalyst. Epoxy resins ar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due to their excellent mechan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good processability, and are widely used in fields such as adhesives, paints, and linings. In recent years, it is also used as a material of soft stickers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by pouring on the surface of the sticker or key ring 40 or the like.

한편, 이러한 완충물질층(30)을 제작하기 위해, 에폭시를 경화제와 일정 비율로 섞어 스마트 카드(10)의 표면에 부어 굳히게 되는데, 이 때, 에폭시가 스마트 카드(10)의 표면으로부터 유동하여 외부로 이탈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카드(10)에는 그 연부를 따라 판면으로부터 돌출한 가이드(15)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15)의 높이는 원하는 완충물질층(30)의 높이보다 약간 낮은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에폭시 수지가 점도를 가지므로, 표면장력에 의해 가이드(15)에 인접한 영역은 에폭시 수지의 높이가 약간 높더라도 가이드(15)의 단부에 연결되어 자연스런 곡선을 형성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이드(15)는 스마트 카드(10)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가이드(15)만을 별도로 제작하여 스마트 카드(10)의 연부에 결합시킬 수도 있고, 스마트 카드(10)와 접하는 면과, 이 면의 연부를 둘러싸는 가이드(15)를 일체로 아크릴 등을 이용하여 사출성형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oduce such a buffer material layer 30, the epoxy is mixed with a curing agent in a predetermined ratio and poured onto the surface of the smart card 10, wherein the epoxy flows from the surface of the smart card 10 to the outside. You can escape. In order 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 3, the smart card 10 is formed with a guide 15 protruding from the plate surface along the edge thereof. The height of the guide 15 is preferably formed at a height slight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desired buffer material layer 30. This is because the epoxy resin has a viscosity, so that the area adjacent to the guide 15 by surface tension will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guide 15 to form a natural curve even if the height of the epoxy resin is slightly higher. The guide 15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smart card 10, but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coupled to the edge of the smart card 10,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mart card 10, The guide 15 surrounding the edge of this surface may be integrally molded by using acrylic or the like.

이러한 스마트 카드(10)의 일측에 장착된 복수의 LED(50)는, 고휘도 LED로서, 일측 방향을 따라 일렬로 장착되어 있다. 각 LED(50)는 동일한 색상 또는 상호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배터리(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배터리(70)로부터의 전원은 스위치(80)에 의해 단속되며, 스위치(80)를 턴온시키거나 가압하면 배터리(70)로부터의 전원이 각 LED로 공급된다. 이 때, 각 LED에 전원이 동시에 공급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The plurality of LEDs 50 mounted on one side of the smart card 10 are high brightness LEDs, and are mounted in one line along one side direction. Each LED 50 may have the same color or a different color from each other and is powered from the battery 70. Power from the battery 70 is interrupted by the switch 80, and when the switch 80 is turned on or pressurized, the power from the battery 70 is supplied to each LED. At this time, power may be supplied to each L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한편, 스마트 카드(10)의 일측에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도시않은 음원IC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술한 스위치(80)에 의해 작동된다. 따라서 스위치(80)가 가압되면, LED(50)가 발광함과 동시에 음향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별도의 스위치(80)를 장착하여 음원IC만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smart card 10 is equipped with a sound source IC (not shown) for generating sound, and is operated by the switch 80 described above. Therefore, when the switch 80 is pressed, the LED 50 emits light and simultaneously generates sound. Of course, by mounting a separate switch 8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only the sound source IC.

이러한 스마트 카드(10)의 일측에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열쇠고리(40)나 휴대폰고리를 장착하기 위한 체결공(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공(17)은 스마트 카드(10) 자체와, 스마트 카드(10)의 전면에 결합되는 이미지부재(20)와 완충물질층(3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One side of the smart card 10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17 for mounting a key ring 40 or a mobile phone ring for easy portability, the fastening hole 17 is a smart card 10 itself, smart It is formed through the image member 20 and the buffer material layer 3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ard 10.

한편,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카드(110)의 전면에만 이미지부재(120)와 완충물질층(130)을 마련하고 있으며, 스마트 카드(110)의 전면 일측에는 LED(150)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LED(150)는 스마트 카드(110)를 단말기에 가까이 가져갔을 때 코일에 형성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전기를 공급받아 발광한다. 따라서, LED(150)는 스마트 카드(110)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동과 동시에 발광하게 되고, 사용자는 LED(150)의 점등여부에 따라 스마트 카드(110)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3 to 4, the image member 120 and the buffer layer 130 is provided only on the front of the smart card 110, LED (on the front side of the smart card 110) 150) is installed. When the smart card 110 is brought close to the terminal, the LED 150 emits electricity by being supplied with electricity by an induced current formed in the coil. Therefore, the LED 150 emits light at the same time as the microprocessor in the smart card 110 is driven, and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the smart card 11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LED 150 is turned on. have.

한편, 코일에 형성되는 유도전류만으로 LED(150)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충분하지 아니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전원공급원을 마련할 수 있다. 전원공급원으로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열 집광판(155)을 사용할 수 있으며, 태양열 집광판(155)으로 집광되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전원공급원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볍고 작은 수은전지나 내장용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렇게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스위치(80)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원할 때, LED(150)를 점등하도록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LED 150 may not be sufficient only by the induction current formed in the coil, and in this case, a separate power supply source may be provided. As the power supply source, as illustrated in FIGS. 3 to 6, the solar light collecting plate 155 may be used, and electricity may be generated using solar heat collected by the solar light collecting plate 155. In addition, a battery commonly used as a power source may be used,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light and small mercury cell or an internal battery. When the battery is used in this way,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switch 80 may be mounted to turn on the LED 150 when the user desires it.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카드(110)의 전면에만 이미지부재(120)와 완충물질층(130)을 마련하였으나,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카드(210)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이미지부재(220)와 완충물질층(2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이미지부재(220)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직접 인쇄방법, 편광필름을 이용한 방법, PVC판을 이용한 방법, 인화지를 이용한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의 이미지부재(220)와 배면의 이미지부재(220)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면과 배면의 이미지부재(220)를 편광필름이나 인화지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면에만 직접 인쇄방법을 사용하고, 배면에는 편광필름이나 인화지를 사용함으로써, 전면과 배면의 이미지부재(220) 형성방법을 달리 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mage member 120 and the buffer material layer 130 are provided on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 card 110, but as shown in FIGS. 5 to 7,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 card 210 and the like. The image member 220 and the buffer material layer 230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respectively.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member 220 may be formed using one of a direct printing method, a method using a polarizing film, a method using a PVC plate, and a method using photo paper. In addition, the front image member 220 and the rear image member 220 may be formed using the same method, or may be formed using different methods. For example, the front and rear image members 220 may be formed using a polarizing film or photo paper. In addition, the printing method may be directly used only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polarizing film or photo paper may be used on the rear surface, so that the method of forming the image member 220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may be different.

또한, 도 5 내지 도 6의 스마트 카드(210)는 전면과 배면에 완충물질층(230)을 형성하기 때문에, 에폭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215)를 스마트 카드(210)의 전면과 배면으로 각각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mart card 210 of FIGS. 5 to 6 forms the buffer material layer 230 on the front and the back, a guide 215 for preventing the leakage of epoxy is provided on the front and the back of the smart card 210.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each.

이와 같이, 본 스마트 카드(10)는, 전면과 배면 중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이미지부재(20)와 완충물질층(30)을 형성함으로써, 스마트 카드(10)의 디자인을 다양화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만족을 도모하고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물질층(30)은 스마트 카드(10)를 보호하는 이중 역할을 하게 되므로, 스마트 카드(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mart card 10, by forming the image member 20 and the buffer layer 30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ront and back, by diversifying the design of the smart card 10 to the user's taste Can respond to. Therefore, the user can be satisfied and the appearanc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buffer material layer 30 plays a dual role of protecting the smart card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smart card 10.

뿐만 아니라, 본 스마트 카드(10)는 사용자가 원할 때 언제든지 스위치(80)를 가압하여 LED를 발광시키고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스마트 카드(10)의 용도를 다양화할 수 있으며, 정전 또는 어두운 곳에서 LED(50)를 발광시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mart card 10 may press the switch 80 at any time when the user wants to emit LEDs and generate sound, the smart card 10 may diversify the use of the smart card 10, such as a power failure or a dark place. The LED 50 can be safely moved by emitting light.

또한, 단말기의 접촉시 또는 사용자의 필요시 LED(50)가 점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스마트 카드(10)의 작동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LED 50 to light when the terminal is in contact or when the user needs,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smart card 10 is properly performed.

이러한 스마트 카드는 버스카드 뿐만 아니라, 도어 락용 카드 키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어두운 문 앞에서 LED(50)를 발광시켜 도어 락을 간편하게 찾아낼 수 있으므로, 도어 락을 용이하게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 Such a smart card can be applied to not only a bus card but also a card key for a door lock, and can easily find a door lock by emitting an LED 50 in front of a dark door, thereby easily unlocking the door lock.

한편, 상기와 같은 고안 사상은 스마트 카드에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4각형,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기타 어떤 모양의 카드에도 적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sign idea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smart cards, it can be applied to any other card, such as quadrilateral, polygon, circle, oval.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should be taken as an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s described below and equivalents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스마트 카드의 디자인을 다양화하여 사용자의 만족을 도모하고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완충물질층에 의해 스마트 카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 카드의 용도를 다양화할 수 있으며, 정전 또는 어두운 곳에서 LED를 발광시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versify the design of the smart card to improve the user's satisfaction and improve the appear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smart card by the buffer material layer. In addition, it can diversify the use of smart cards and can safely move by emitting LEDs in blackout or dark places.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car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카드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mart card of FIG.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c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스마트 카드의 분해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 card of FIG.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car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스마트 카드의 분해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 card of FIG. 5, FIG.

도 7은 도 5의 스마트 카드의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mart card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스마트 카드 15 : 가이드10: smart card 15: guide

17 : 체결공 20 : 이미지부재17: fastening hole 20: image member

30 : 완충물질층 40 : 열쇠고리30: buffer material layer 40: key ring

50 : LED 155 : 태양열 집광판50: LED 155: solar light collecting plate

Claims (22)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IC칩을 갖는 스마트 카드에 있어서, In a smart card having an IC chip for storing data, 상기 스마트 카드의 외측면들 중 어느 일측면에 결합되며 사진, 및 그림중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부재와;An image member coupled to any one of outer sides of the smart card and including one of a photo and a picture; 상기 이미지부재의 표면에 마련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완충물질로 형성된 완충물질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A smart card, which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image member and has a buffer material layer formed of a buff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미지부재는, 사진이 인화된 인화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The image member is a smart c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to paper is print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사진은 안료를 포함하는 내열성 잉크로 프린팅하는 방식으로 인화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The photo is a smart c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nting by printing in a heat-resistant ink containing a pigmen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미지부재는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해서 상기 스마트 카드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The image member is a smart card,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smart card by a double-sided adhesive tap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완충물질은 에폭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The buffer material is a smart c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epoxy resi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미지 부재에는,In the image member, 글자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letter is further included. IC칩을 갖는 스마트 카드에 있어서, In a smart card having an IC chip, 상기 스마트 카드의 외측면들 중 어느 일측면에 결합되며 사진, 및 그림중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부재와;An image member coupled to any one of outer sides of the smart card and including one of a photo and a picture; 상기 이미지부재의 표면에 마련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에폭시 수지 재질의 완충물질로 형성된 완충물질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image member, having a buffer material layer formed of a buffer material of epoxy resin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이미지부재는, 상기 이미지가 투사된 편광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The image member is a smart c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ed polarizing film.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이미지 부재는, 상기 일측면에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The image member is smart c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nted on one side.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이미지부재는, 상기 이미지가 인쇄된 PVC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The image member is a smart c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nted PVC plate.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이미지부재와 상기 에폭시 사이에는,Between the image member and the epoxy, 상기 에폭시가 상기 이미지부재에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 필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Smart c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epoxy is bonded to the transparent film to prevent direct contact with the image member.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이미지부재는,The image member, 글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further comprises a character.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IC칩을 갖는 스마트 카드에 있어서, In a smart card having an IC chip for storing data, 상기 스마트 카드의 외측면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되며 그림, 및 사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부재와;An image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an outer surface of the smart card and including any one of a picture and a picture; 상기 이미지부재의 표면에 마련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에폭시 수지 재질의 완충물질로 형성된 투명한 완충물질층과;A transparent buffer material layer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image member and formed of an epoxy resin buff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상기 완충물질층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LED 발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Smart card comprising at least one LED light emitting body provided in the buffer material layer.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이미지 부재는, The image member, 상기 이미지가 투사된 편광필름, 상기 이미지가 인화된 인화지, 상기 이미지가 인쇄된 인쇄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And a polarizing film on which the image is projected, photo paper on which the image is printed, or a printing surface on which the image is printed.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IC칩을 갖는 스마트 카드에 있어서, In a smart card having an IC chip for storing data, 상기 스마트카드의 외측면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되며 그림, 및 사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부재와;An image member coupled to any one side of an outer surface of the smart card and including any one of a picture and a picture; 상기 이미지부재의 표면에 마련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완충물질로 형성된 투명한 완충물질층과;A transparent buffer material layer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image member and formed of a buff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상기 완충물질층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와;At least one light emitting body provided in the buffer material layer; 상기 발광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er; 상기 전원공급부를 온오프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Smart card comprising a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supply.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원IC;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가 단락 시, 상기 음원IC와 상기 발광체 중 어느 하나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And a sound source IC for generating sound, wherein when the switch is short-circuited, any one of the sound source IC and the light emitter is driven.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스위치가 단락 시, When the switch is short-circuited, 상기 음원IC와 상기 발광체가 함께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Smart c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source IC and the light emitter is driven together.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발광체는 복수개이며, 상기 스위치가 단락 시, 상기 각 발광체가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a plurality of smart cards, characterized in that each light emitting device sequentially emits light when the switch is short-circuited.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발광체는 복수개이며, 상기 스위치가 단락 시, 상기 각 발광체는 동시에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And a plurality of the light emitters, and when the switch is short-circuited, the light emitters emit light at the same time.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일측에 상기 이미지부재와 완충물질층을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열쇠고리, 및 휴대폰고리 중 하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A fastening hole is formed at one side through the image member and the buffer material layer, and the fastening hole is connected to one of the key ring and the mobile phone ring.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사방 연부를 따라 상기 완충물질층이 형성된 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The smart card further comprises; guides protruding vertically from the plate surface formed with the buffer material layer along the four sides edge.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외측면과 상기 이미지 부재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The outer surface and the image member is a smart card,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by a double-sided tape.
KR20-2004-0037637U 2004-12-31 2004-12-31 Smart card applied buffer materials KR20038116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637U KR200381165Y1 (en) 2004-12-31 2004-12-31 Smart card applied buffer materi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637U KR200381165Y1 (en) 2004-12-31 2004-12-31 Smart card applied buffer material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739A Division KR20050096836A (en) 2004-12-31 2004-12-31 Smart card applied buffer materi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165Y1 true KR200381165Y1 (en) 2005-04-11

Family

ID=43682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637U KR200381165Y1 (en) 2004-12-31 2004-12-31 Smart card applied buffer materi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16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06002T3 (en) Smart ad box that uses electronic interactions
CN101595497B (en) Document with an optical transmitter
TWI449003B (en) Flexible card with display function
EP1231562A1 (en) Information input/output unit
KR102210842B1 (en) Improved lightable card
US20110307309A1 (en) Smart Sign Box Using Electronic Interactions
KR101036817B1 (en) Led lighting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9122877A (en) Ic card with display function
US20080210761A1 (en) Token Co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16847B1 (en) Plastic card having a luminant function and display function
JP2005321911A (en) Transparent ic card with light emitting element
KR200381165Y1 (en) Smart card applied buffer materials
KR20050096836A (en) Smart card applied buffer materials
JP5286601B2 (en) Documents with light-emitting display devices
JP6514638B2 (en) Sticker type light emitting de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050096859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mart card applied buffer materials
KR20060092159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mart card applied buffer materials
TWM558938U (en) Recording-prevention portable card
JP4610718B2 (en) Information input / output device
JP2005096164A (en) Booklet with ic label
JP4048788B2 (en) card
JP2002225462A (en) Non-contact ic slip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218038039U (en) NFC function label with physical key
JP3615542B2 (en) Information input / output device
CN219476112U (en) Anti-transfer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