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955Y1 -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955Y1
KR200380955Y1 KR20-2005-0001235U KR20050001235U KR200380955Y1 KR 200380955 Y1 KR200380955 Y1 KR 200380955Y1 KR 20050001235 U KR20050001235 U KR 20050001235U KR 200380955 Y1 KR200380955 Y1 KR 200380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microwave
steam
drying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스타
Priority to KR20-2005-0001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9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9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02F11/13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using electromagnetic or ultrasonic 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8Sludge treatment by fixation or sol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폐수 슬러지를 마이크로파 ,열풍 및 스팀을 복합적으로 병용하여 건조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 살균의 기능이 뛰어난 마이크로파의 유전가열방식에 더하여 열풍에 의한 대류전열 및 스팀에 의한 전도전열방식을 유기적으로 가동함으로 인한 시너지효과를 통해 슬러지를 신속하고 완벽하게 건조함은 물론 에너지의 절감,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컨베이어에 탑재되어 연속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캐비티 내부를 경유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슬러지에 마이크로파와 열풍을 복합적으로 가하여 1차 건조시키는 1차 건조기와;
상기 1차 건조기를 통과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된 스팀자켓의 내부 건조실로 공급된 후 회전이송체에 의해 스팀자켓의 내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슬러지에 마이크로파, 열풍, 스팀을 복합적으로 가하여 2차 건조시키는 2차 건조기와;
상기 1,2차 건조기를 연속적으로 통과한 슬러지에 최종적으로 열풍과 스팀 또는 마이크로파를 동시에 가하여 슬러지를 완전건조시키는 3차 건조기를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Sewage and wastewater sludge dryer including microwave}
본 고안은 하폐수 슬러지를 마이크로파 ,열풍 및 스팀을 복합적으로 병용하여 건조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 살균의 기능이 뛰어난 마이크로파의 유전가열방식에 더하여 열풍에 의한 대류전열 및 스팀에 의한 전도전열방식을 유기적으로 가동함으로 인한 시너지효과를 통해 슬러지를 신속하고 완벽하게 건조함은 물론 에너지의 절감,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폐수 처리장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는 주로 해양투기 및 매립에 의존하고 있으나 1996년 채택된 런던협약 개정안에 의거하여 2005년부터는 해양투기 등이 전면 금지될 계획인 바 국내외적으로 상기 슬러지의 처리문제가 심각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슬러지의 처리방법으로는 해양투기, 매립, 비료화, 연료화, 고화, 소각, 용융, 열분해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비록 그 방식은 다르나 공통적으로 함수율을 일정수준으로 낮추는 감량화 및 환경오염(병원성균의 전파)의 방지라는 공통적인 목적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공통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들은 현재까지 상당한 문제점을 내포하여 대부분 간편한 소각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추세이나, 소각장 건설에 대한 지역주민의 거센 반발 및 높은 함수율(70~85%)로 인해 막대한 운전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근자에는 상기 소각방법을 탈피하여 마이크로파, 열풍 등의 다양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건조장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기 건조장치는 산업상 보편적으로 대류열 또는 전도열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이 경우 열풍 또는 스팀을 건조에 필요한 열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나 건조시간이 길고 건조물이 고르게 건조되지 않아 제품의 균일성을 습득할 수 없음은 물론 열풍에 의한 미세먼지나 분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따르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통상적인 가열방법의 한계에서 벗어난 새로운 개념의 유전가열방식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장치는 건조물을 단시간에 승온시켜 건조능력이 매우 뛰어나며, 가열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병원성미생물의 살균에 매우 효과적인 것이었다.
이상의 다양한 건조방식 가운데 종래의 건조장치들은 대부분 이를 복합적으로 병용하지 못한 채 개개별로 단독방식을 취하므로써 건조능력이 떨어짐은 물론 개별적인 문제점이 지적된다.
즉 전도열 또는 대류열 방식의 건조장치는 건조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야기됨은 물론 균일가열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순수한 마이크로파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건조장치는 제작에 따른 고가의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막대한 전력비용으로 인해 경제성이 저하되며, 대부분 연속식 컨베이어방식으로써 매우 넓은 설치공간을 차지하여 현장에 적용함에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상기 다양한 방식을 복합적이며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개별적인 방식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복합방식의 건조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대류전열 및 전도전열방식과 마이크로파에 의한 유전가열방식을 복합적으로 병용하여 슬러지의 함수율을 일정수준으로 낮추는 감량화 및 환경오염 방지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우선적으로 정량공급되는 슬러지가 마이크로파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열풍을 병용하는 1차 건조기를 통과하면서 반건조상태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하고, 순차적으로 마이크로파 및 열풍, 스팀을 병용하는 2차 건조기를 통과하면서 재차 건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1,2차 건조기를 통과한 슬러지가 최종적으로 열풍과 스팀 또는 마이크로파를 병용하는 3차 건조기를 통과하면서 완전건조상태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마이크로파의 유전가열방식을 기본방식으로 채택하되 열풍에 의한 대류전열방식과 스팀에 의한 전도전열방식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가동하므로써 기존의 단독적인 방식에 비해 에너지의 절감효과, 건조시간의 단축 및 환경오염의 저감효과를 이룩할 수 있음을 고안의 지배적인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특징적인 요지를 달성하고자 하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저장된 슬러지를 1차 건조기(100)에 정량껏 공급하는 배출슬러지 호퍼(10)와, 상기 배출슬러지 호퍼(10)로부터 공급된 후 컨베이어(105)에 탑재되어 다수의 캐비티(101) 내부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슬러지에 마이크로파와 열풍을 복합적으로 가하여 1차 건조시키는 1차 건조기(100)와, 상기 1차 건조기(100)를 통과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된 스팀자켓(201)의 내부 건조실(204)로 공급된 후 회전이송체(210)의 이송력에 의해 스팀자켓(201)의 내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슬러지에 마이크로파와 열풍, 스팀을 복합적으로 가하여 2차 건조시키는 2차 건조기(200)와, 상기 1,2차 건조기(100)(200)를 연속적으로 통과한 슬러지에 최종적으로 열풍과 스팀 또는 마이크로파를 가하여 슬러지를 완전건조시키는 3차 건조기(300)의 복합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실시 가능하도록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고안의 건조장치에 건조 대상물인 슬러지를 공급하는 배출슬러지 호퍼(10)는 기존의 하폐수 처리장에 설치되어 가동 중인 호퍼를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슬러지 호퍼(10)는 탈수기 등을 통해 일정부분 함수율이 감소된 슬러지가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 공급되어 저장되고, 이러한 슬러지는 배출슬러지 호퍼(10)의 배출구에 형성된 정량공급장치에 의해 1차 건조기(100)로 정량껏 공급된다.
여기에서 상기 1차 건조기(100)로 투입되기 이전의 공정인 탈수기를 통과한 슬러지는 통상 상당한 점착성을 띠고 있어 일반적인 건조기의 내부에 흡착될 경우 스케일이 발생되어 건조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이는 종래의 전도열 또는 대류열방식을 이용한 대부분의 건조장치에 해당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1차 건조공정인 1차 건조기(100)에 고효율의 마이크로파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상기 마이크로파와 열풍을 동시에 병용하므로써 단시간에 다량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동시에 점착성이 없는 반건조상태의 슬러지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1차 건조기(100)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다수의 캐비티(101)가 연통관(102)을 매개로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101) 가운데 양측에 배치한 캐비티(101)에는 각각 슬러지가 투입되거나 배출되는 투입구(103)와 배출구(104)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103)와 다수의 캐비티(101), 배출구(104)를 관통하여 이송수단인 컨베이어(105)가 설치되므로써 상기 컨베이어(105)에 의해 슬러지가 캐비티(101)의 내부를 경유하면서 1차 건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캐비티(101)는 가열효율이 매우 높은 싱글모드(single-mode)타입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꺽은 도파관형(travelling waveguide type)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01)의 상부면 일측에는 건조능력이 뛰어난 마이크로파를 생성하여 캐비티(101) 내부를 경유하는 슬러지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106)가 설치된다.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106)로는 일반적인 형태의 마그네트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파의 조사와 더불어 건조에 따른 시너지효과를 발생하도록 캐비티(101)의 내부에는 고온의 열풍이 공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캐비티(101)의 상,하부면은 열풍이 급기,배기될 수 있도록 미세구멍의 타공망(107)으로 형성되므로써 상기 타공망(107)을 통해 고온의 열풍이 캐비티(101) 내부로 공급됨에 따라 슬러지의 건조효과는 배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열풍은 건조능력이 더욱 배가될 수 있도록 마이크로파 발생기(106)에 의해 하향으로 조사되는 마이크로파와 달리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공급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열풍은 마이크로파의 조사방향과 상호 반대방향의 향류방식으로 공급되므로써 열효율이 더욱더 증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마이크로파의 조사시 캐비티(101) 내부에는 관내파장의 1/4위치마다 상사점(peak point)이 발생되므로 마이크로파가 피건조물(슬러지)을 균일하게 가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106)가 설치된 위치의 캐비티(101) 선단에 마이크로파 변형기(108)가 설치되고, 이 마이크로파 변형기(108)는 다수개의 캐비티(101) 내부에 각기 다른 위치에 상사점을 형성하도록 위치를 조절하므로써 슬러지를 균일하게 가열시키게 된다.
더욱이 상기 마이크로파 변형기(108) 및 캐비티(101)에 설치된 마이크로파 발생기(106)는 연속적으로 설치된 각각의 캐비티(101)를 통과하는 슬러지에 마이크로파가 보다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캐비티(101)의 양측으로 교호로 설치되므로써 좌,우 밸런스가 유지되어 더욱 균일한 가열효과를 얻어 건조품질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1차 건조기(100)를 거치면서 1차 건조된 상태의 슬러지는 마이크로파를 비롯하여 열풍, 스팀을 복합적으로 가하는 2차 건조기(200)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더욱 완성된 형태로 건조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2차 건조기(200)는 한정된 공간내에서 전열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스팀자켓(201)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팀자켓(201)은 내,외벽(202)(203)의 이중구조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슬러지가 건조되는 건조실(204)을 형성하고, 상기 내,외벽(202)(203)의 사이 공간에는 건조실(204)을 경유하는 슬러지에 전열에너지를 추가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고온의 스팀이 주입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스팀자켓(201)은 건조실(204)이 상호 연통되도록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에서 스팀자켓(201)에 스팀을 공급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마이크로파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마이크로파 발생기(106)의 가동에 따른 일반 산업용 전력비용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건조비용을 대폭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스팀은 내,외벽(202)(203) 사이의 공간에 전체적으로 공급될 필요가 없으며, 다만 슬러지가 이송하는 경로인 스팀자켓(201)의 하부에만 공급될 수 있도록 내,외벽(202)(203) 사이의 중앙부에는 상,하부를 격리시키는 격판이 설치됨에 따라 스팀자켓(201) 상부로의 불필요한 스팀공급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스팀자켓(201)의 내부 중앙에는 하향으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도파관(206)이 설치되고, 이 도파관(206)은 건조실(204)의 바닥부를 따라 이송하는 슬러지에 마이크로파를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저면 양측으로 다수의 조사홀(207)이 지그재그 형태로 반복되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조사홀(207)을 통해 하향으로 조사되는 마이크로파는 외부로 비산됨을 방지하여 하부의 슬러지에 집중되면서 건조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도파관(206)의 양측에 정합을 위한 한 쌍의 반사판(208)이 하부 외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러한 도파관(206)의 외측에는 일측 투입구(103)를 통해 투입되는 1차 건조상태의 슬러지를 정량껏 각각의 스팀자켓(201)의 내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타측의 배출구(104)로 이송,배출시키는 회전이송체(21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이송체(210)는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건조실(204)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원통형의 회전몸체(211) 외측에 슬러지를 정량껏 회전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의 이송날개(212)가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몸체(211)와 스팀자켓(201)의 내벽(202) 사이에는 자연적으로 슬러지 이송로(215)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이송체(210)는 상기 슬러지 이송로(215)를 따라 이송하는 슬러지에 마이크로파가 원활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마이크로파가 투과될 수 있는 재질을 갖는 소재로 제조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이송체(210)에 의한 슬러지의 이송력이 향상됨은 물론 스팀에 의한 전도열원이 슬러지에 더욱더 원활하게 전도되도록 전열판의 역할을 하는 내벽(202)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거나 또는 회전이송체(210)의 직경을 크게 형성하므로써 상기 내벽(202)에 밀착되는 슬러지의 밀착성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
이는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슬러지의 함수율이 낮아지면서 부피가 감소하게 됨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슬러지는 도파관(206)으로부터 방사되는 마이크로파와 내,외벽(202)(203)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이 복합적으로 가해져 건조효율이 획기적으로 개선됨은 물론 이에 더하여 슬러지 이송로(215)에 고온의 열풍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므로써 건조효율을 더욱더 배가시킨다.
상기한 열풍은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슬러지 이송로(215)의 일측 외벽에 형성된 급기부(217)를 통해 내부로 공급되어 슬러지를 건조시킨 후 타측에 형성된 배기부(218)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1,2차 건조기(100)(2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슬러지를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3차 건조기(300)는 리본믹서형의 스팀자켓으로 형성된 공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1,2차 건조과정을 거친 슬러지에 열풍과 스팀 또는 마이크로파를 복합적으로 가하여 최종적으로 더욱 완벽한 건조상태를 이룬다.
한편, 본 고안의 건조장치에 사용되는 모든 열풍 및 스팀은 하수슬러지 처리장에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메탄)를 이용하여 스팀보일러를 가동하여 발생되는 고온의 배기가스와 스팀을 활용하므로써 운전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슬러지의 건조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배출슬러지 호퍼(10)로부터 공급되는 슬러지는 1차 건조기(100)의 컨베이어(105)를 통해 연속적으로 설치된 캐비티(101)의 내부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동과정에서 캐비티(101)의 내부에는 마이크로파 발생기(106)에 의한 마이크로파가 슬러지에 조사되며, 이와 동시에 바닥면의 타공망(107)을 통해 마이크로파와 향류의 형태로 열풍이 공급됨에 따라 슬러지는 신속하고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건조효율의 향상은 아래의 실험조건에 의한 실시예와 같이 열풍만을 단독으로 가하는 종래의 경우와, 본 고안과 같이 상기 열풍과 함께 마이크로파를 동시에 병용하여 가하는 경우에 따른 건조실험의 데이터분석표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
실험조건: ① 마이크로파 출력: 600W(실출력)--- 소비전력: 1.200W/hr
② 열 풍: 120℃,8㎥/min --- 소비전력: 4,200W/hr
③ 슬러지: 초기 함수율 80% 10%까지 건조(300g 70g)
상기 1차 건조기(100)를 통과하여 1차 건조된 상태의 슬러지는 순차적으로 2차 건조기(200)의 투입구(103)를 통해 스팀자켓(201)의 슬러지 이송로(215)로 공급되고, 이 슬러지는 회전이송체(210)의 이송날개(212)에 의해 회전 이송하면서 순차적으로 연속되는 스팀자켓(201)을 경유하여 배출구(10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슬러지 이송로(215)를 따라 이송하는 슬러지에는 도파관(206)에서 방사되는 마이크로파가 가해지고, 이와 동시에 내,외벽(202)(203) 사이로 주입되는 스팀에 의한 전도열과 상기 슬러지 이송로(215)에 직접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더욱 신속하고 완벽한 건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1차 건조기(100)를 통과하면서 미처 건조되지 못한 슬러지는 2차 건조기(200)를 통과하면서 비로서 완전한 형태로 건조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1,2차 건조기(100)(200)를 복합적으로 거친 슬러지는 추가적으로 3차 건조기(300)를 통과하면서 건조상태가 더욱더 배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1,2차 건조기(100)(200)를 각각 1개소 설치하는 단독형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환경 및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2개소 이상으로 설치하는 다단형으로 구성하여 건조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피건조물을 슬러지로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식품이나 세라믹, 분말상의 입자 등과 같은 보다 다양한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피건조물의 종류를 달리하는 것 만으로는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가 마이크로파와 열풍을 병용하는 1차 건조기와 마이크로파 및 열풍, 스팀을 복합적으로 병용하는 2차 건조기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최종적으로 열풍과 스팀을 병용하는 3차 건조기를 통과하는 복합방식의 건조과정을 거치면서 시너지효과를 발휘하므로써 슬러지를 신속하고 완벽하게 건조함은 물론 에너지의 절감, 환경오염의 저감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공정없이 마이크로파에 의한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어 슬러지를 비료화, 퇴비화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슬러지의 건조 흐름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 1차 건조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1차 건조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1차 건조기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2차 건조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2차 건조기의 마이크로파 및 열풍의 동시 공급상태도
도 7은 본 고안 회전이송체의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 도파관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출슬러지 호퍼 100: 1차 건조기
101: 캐비티 105: 컨베이어
106: 마이크로파 발생기 108: 마이크로파 변형기
107: 타공망 200: 2차 건조기
201: 스팀자켓 206: 도파관
208: 반사판 210: 회전이송체
212: 이송날개 300: 3차 건조기

Claims (11)

  1. 컨베이어(105)에 탑재되어 연속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캐비티(101) 내부를 경유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슬러지에 마이크로파와 열풍을 복합적으로 가하여 1차 건조시키는 1차 건조기(100)와;
    상기 1차 건조기(100)를 통과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된 스팀자켓(201)의 건조실(204)로 공급된 후 회전이송체(210)에 의해 스팀자켓(201)의 내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슬러지에 마이크로파, 열풍, 스팀을 복합적으로 가하여 2차 건조시키는 2차 건조기(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1차 건조기(100)는 다수의 캐비티(101)가 연통관(102)을 매개로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일측 캐비티(101)의 투입구(103)를 통해 슬러지가 캐비티(101)의 내부를 경유하여 타측 배출구(104)로 배출되도록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05)가 구비되며, 상기 캐비티(101)의 상부 일측에는 슬러지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10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캐비티(101)의 상,하부면은 열풍 공급을 위한 타공망(107)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공망(107)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은 마이크로파의 조사방향과 상호 반대방향의 향류방식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마이크로파 발생기(106)가 설치된 쪽의 캐비티(101) 선단에는 조사되는 마이크로파의 형태에 변화를 주어 마이크로파가 어느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슬러지에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파 변형기(10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비티(101)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106) 및 마이크로파 변형기(108)는 슬러지에 마이크로파가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연속적으로 설치된 캐비티(101)의 양측에 교호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2차 건조기(200)는 다수의 스팀자켓(201)이 연속적으로 내부가 연통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팀자켓(201)의 내부 중앙에는 하향으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도파관(206)이 설치되며, 상기 도파관(206)의 외측에는 일측 투입구(103)를 통해 투입되는 1차 건조상태의 슬러지를 정량껏 각각의 스팀자켓(201)의 내부를 경유하여 타측 배출구(104)로 이송,배출시키는 회전이송체(2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스팀자켓(201)은 이중구조의 내,외벽(202)(203) 사이 공간의 하측으로 건조실(204)을 경유하는 슬러지에 전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고온의 스팀이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도파관(206)은 건조실(204)의 바닥부를 따라 이송하는 슬러지에 마이크로파를 균일하게 조사하도록 저면 양측으로 다수의 조사홀(207)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조사홀(207)을 통해 방사되는 마이크로파는 도파관(206)의 양측에 정합을 위해 설치된 반사판(208)에 의해 하부의 슬러지에 집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회전이송체(210)는 회전몸체(211)의 외측에 슬러지를 정량껏 회전 이송시키는 다수의 이송날개(212)가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몸체(211)와 스팀자켓(201)의 내벽(202) 사이에는 슬러지 이송로(21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슬러지의 이송경로인 슬러지 이송로(215)에는 일측 외벽에 형성된 급기부(217)를 통해 고온의 열풍이 공급된 후 타측의 배기부(218)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1,2차 건조기(100)(200)를 연속적으로 통과한 슬러지는 최종적으로 열풍과 스팀 및 마이크로파를 병용하는 리본믹서형의 3차 건조기(300)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KR20-2005-0001235U 2005-01-14 2005-01-14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KR200380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235U KR200380955Y1 (ko) 2005-01-14 2005-01-14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235U KR200380955Y1 (ko) 2005-01-14 2005-01-14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809A Division KR100508410B1 (ko) 2005-01-14 2005-01-14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955Y1 true KR200380955Y1 (ko) 2005-04-07

Family

ID=43682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235U KR200380955Y1 (ko) 2005-01-14 2005-01-14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9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840B1 (ko) 2006-04-27 2007-03-12 김부영 누설 도파관을 이용한 건조실을 가지는 진공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840B1 (ko) 2006-04-27 2007-03-12 김부영 누설 도파관을 이용한 건조실을 가지는 진공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985B1 (ko) 나선 축류식 열풍 건조기
KR100792689B1 (ko) 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
WO2020054963A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건조장치
CN108456012B (zh) 一种畜禽废弃物异位发酵机
CN101492233B (zh) 一种高含水率膏糊状物料干燥设备
WO2014101324A1 (zh) 污泥磁化热解、废气焚烧工艺流程及其一体化机
KR100724686B1 (ko) 밀폐 순환 건조장치
CN102126819B (zh) 一种高粘度污泥转盘式干燥设备
KR20170127276A (ko)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0508410B1 (ko)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KR200380955Y1 (ko)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건조장치
KR102055099B1 (ko) 저온열풍과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방법
CN201446120U (zh) 餐厨垃圾用旋转熏蒸烘干设备
KR20020005917A (ko)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KR101180080B1 (ko) 유기성폐기물 고온열분해 감량화 장치 및 방법
KR200396777Y1 (ko) 폐기물 건조장치
CN212640266U (zh) 闭式桨叶搅拌污泥干燥系统
WO2021079619A1 (ja) 加熱処理装置
CN112094032A (zh) 一种污泥快速干燥装置
CN107082552A (zh) 一种低温干化污泥处理装置
JP3566917B2 (ja) 原料処理装置及び原料処理方法
KR100378925B1 (ko) 유동층 건조기
CN213446794U (zh) 一种污泥快速干燥装置
CN215592658U (zh) 一种橡胶促进剂cbs废水处理装置
KR20200080880A (ko) 마그네트론과 핫 오일 전열수단을 구비한 슬러지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