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502Y1 - 골프 스윙 연습기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502Y1
KR200380502Y1 KR20-2004-0037716U KR20040037716U KR200380502Y1 KR 200380502 Y1 KR200380502 Y1 KR 200380502Y1 KR 20040037716 U KR20040037716 U KR 20040037716U KR 200380502 Y1 KR200380502 Y1 KR 200380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ball
golf swing
connecting rod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원
Original Assignee
최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원 filed Critical 최승원
Priority to KR20-2004-0037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5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5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27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when used improperly, e.g. by giving a war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받침대(바닥 지지판) 내부에 받침대 전체의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는 금속재가 내장되어 있고, 사용자가 타격하는 연습공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타격후 타격결과를 감지장치를 통해 쉽게 알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골프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는, 받침대의 설치부상에 샤프트를 수직으로 고정시키고 그 샤프트의 절곡부 단부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상하부 캡부재로 커버하고, 상기 상하부 캡부재는 내부에는 선단에 연습공이 구비된 소정 길이의 연결봉의 구형 회동부가 내재된 골프 스윙 연습기에 있어서, 그 내부에 소정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가진 금속판이 내장된 상기 받침대; 그 하단부 근처에 소정길이 및 폭을 가진 한쌍의 키홈이 대응되어 설치되고 및 상기 키홈들 상면에 다수개의 홈 및 돌기들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상기 연결봉;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의 키홈들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연결봉에 삽입되면서 상기 키홈의 돌기와 돌기사이의 홈에 접하여 맞물리도록 삽입돌기가 그 연통된 면상에 돌출형성된 연습공; 및 상기 골프 연습공 설치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받침대 상에 상기 연습공의 타격 진행방향을 나타내기 위하여 표시된 기준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기{Golf Swing Player}
본 고안은 골프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받침대(바닥 지지판) 내부에 받침대 전체의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는 금속재가 내장되어 있고, 사용자가 타격하는 연습공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타격후 타격결과를 감지장치를 통해 쉽게 알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골프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골프 스윙 연습기에 따르면(국내 실용신안공보 제1995-4336호), 받침대(1)에 샤프트(2)를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키고 그 샤프트(2)의 선단에 회전틀(3)을 베어링(18)(19)으로 측착하며, 회전틀(3)의 내부에는 선단에 연습공(7)이 구비된 연결봉(5)의 쇠구슬(4)을 쇠구슬 지지편(20)(21)으로 지지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샤프트(2)의 양측을 지지대(8)(9)로 지지하고 연습공(7)의 직하방에는 기준선(17)을 형성하여 받침대(1)의 저면에는 돌기(16)들이 돌설된 받침판(15)을 부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골프 스윙 연습기에 있어서, 받침대(1)는 바닥면과 밀착이 잘되는 재질 및 어느 정도 연습기를 지탱할 수 있는 자중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골프 스윙 연습기의 받침대(1)는 이 두 가지 사항을 모두 만족시키기가 어렵고 타격시 받침대(1)가 요동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골프 스윙 연습기는 연습공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고 이로인해 사용자가 연습공의 타격 위치를 조절할 수가 없어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 골프 스윙 연습기는 타격연습을 위한 기능외에 직접 홀컵에 올려놓고 타격하는 기능이 없어서 직접 타격연습을 위한 별도의 장비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는 종래 골프 스윙 연습기는 타격후 자신의 타격 폼이 올바른 것인지 알 수 없어서 타격폼의 교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골프스윙 연습기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골프 스윙 연습기의 받침대를 연습기 전체의 무게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가 내장되도록 제작하고 연습공의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직접 타격연습을 할 수 있도록 타격연습용 홀컵이 일체로 형성된 연습공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 스윙 연습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공 타격시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타격결과를 쉽게 알 수 있고 이로인해 타격폼의 교정이 가능한 골프 스윙 연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대의 설치부상에 샤프트를 수직으로 고정시키고 그 샤프트의 절곡부 단부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상하부 캡부재로 커버하고, 상기 상하부 캡부재는 내부에는 선단에 연습공이 구비된 소정 길이의 연결봉의 구형 회동부가 내재된 골프 스윙 연습기에 있어서, 그 내부에 소정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가진 금속판이 내장된 상기 받침대; 그 하단부 근처에 소정길이 및 폭을 가진 한쌍의 키홈이 대응되어 설치되고 및 상기 키홈들 상면에 다수개의 홈 및 돌기들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상기 연결봉;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의 키홈들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연결봉에 삽입되면서 상기 키홈의 돌기와 돌기사이의 홈에 접하여 맞물리도록 삽입돌기가 그 연통된 면상에 돌출형성된 연습공; 및 상기 골프 연습공 설치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받침대 상에 상기 연습공의 타격 진행방향을 나타내기 위하여 표시된 기준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봉의 하단부분에 소정길이만큼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습공의 연통된 면상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의 설치부 일측면 외측에는 타격후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장치 및 초기 동작을 위한 턴-온신호를 입력하는 작동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상에 표시된 기준선을 따라 상기 받침대의 표면상에 일정간격 떨어져서 소정주파수를 방사하여 되돌아오는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들이 내장된 한 쌍의 센서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출력장치, 작동스위치, 센서들을 제어하며 상기 센서 감지신호에 따라 운영프로그램이 작동되어 미리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상기 설치부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상의 소정위치에는 원형홈이 형성되어 그 원형홈에 홀컵이 안착되고 그 홀컵 상에는 탄성을 가진 줄의 일단 연결되고 골프 연습공이 안착되며 줄의 타단을 상기 받침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캡부재 및 샤프트의 절곡부 부분을 나타내는 도 1의 일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프 스윙 연습기는 소정폭과 길이를 가진 직사각형 판형상의 받침대(20)와, 상기 받침대(20)상의 중간부분 일측상에 형성된 설치부(22)에 그의 저면설치부(32)가 접하면서 수직하게 설치된 샤프트(30)와, 상기 샤프트(30)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ㄱ'자형 봉형 절곡부(33)의 봉형 단부(34)를 감싸면서 장착되며 연결봉(70)의 상단(후술하는 구형 회동부)을 일체로 감싸고 있는 상하 캡부재(82,84)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받침대(20)의 내면에 금속판(90, 도 7 참조)이 내장되어 상기 받침대(20)가 이 금속판(90)의 무게에 의해 무게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20)의 설치부(22)는 제어박스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어부(도시안됨, 후술하는 음성출력을 위한 음성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 및 운영 프로그램이 내장됨)를 포함한 각종 장치들이 내장되며, 상기 제어부에는 출력장치(22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후술하는 센서(132a,132b)도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접수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함). 참조부호 22a는 상기 설치부(22)의 외면에 노출되며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작동 스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샤프트(3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로 지름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제작되어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다.
상기 캡부재(82,84)는 직물재질로 제조되며, 연결봉(7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함께 회전된다.
상기 샤프트(30)의 상단에 형성된 'ㄱ'자형 봉형 절곡부(33)의 봉형 단부(34)에는 베어링(42,44)이 장착되어 고정링(87)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봉형 단부(3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베어링(42,44)은 상기 상하캡부재(82,84)에 의해 상하부에서 감싸져 있다. 상기 상부 캡부재(84)내에는 소정 크기의 원통형 공간부(86)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86)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캡부재(84)에는 개구부(88)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봉(70)의 상단에 형성된 구형 회동부는 상기 캡부재(82,84)내의 공간부(86)의 측면에 접하면서 개구부(88)에 그 하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참조부호 50은 상기 연결봉(70)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습공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이 연습공(50)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참조부호 60은 플라스틱(이에 한정되지 않음) 홀 컵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받침대(20)의 상면에 소정깊이만큼 형성된 원형 홈(24)에 그의 원판형 저면부(64)가 삽입되어 장착되며, 수직으로 형성된 기둥(63)상에 PVC재질(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제조된 골프 연습공(G)이 장착되는 홀 받침(62)이 형성된다. 상기 골프 연습공(G)의 측면에는 소정 길이의 탄력을 가진 줄(65)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타격하면 소정거리만큼 이탈한다.
참조부호 83은 상기 상하 캡부재(82,84)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를 나타낸 것이다.
참조부호 130은 상기 받침대(20)의 표면상에 형성된 센서 설치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받침대(20)상에 사용자의 타격 폼을 교정하며 안내하기 위하여 표시된 기준선(133)상에 위치한 것으로서, 상기 센서 설치부(130)내에는 각각 센서들(132a,132b)이 설치되며, 상기 센서 설치부(130)상으로 소정 파장의 광을 방사하여 되돌아온 광을 감지하는데, 상기 센서 설치부(130)로부터 소정영역을 감지영역이 된다.
도 3은 도 1의 연결봉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봉(70)은 전체적으로 측면이 직선형인 봉형상의 몸체(74)와, 상기 몸체(74)의 일측 단부(도 1에서 상단부)에는 홈(72a)들이 대응되게 형성된 구형상의 회동부(72)가 형성되며, 타측 단부 근처에는 상기 몸체(74)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가지며 단부를 향해 테이퍼형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분을 이루면서 상기 골프 연습공(50)이 설치되는 골프공 삽입부(75)가 위치한다.
상기 골프공 삽입부(75)는 소정길이 및 폭을 가진 키홈(76)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깊이만큼 형성된다. 골프공 삽입부(75)의 표면에서 소정깊이만큼 낮아진 상기 키홈(76)의 표면상에는 다수개의 돌기(76a)들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돌기들(76a)로 인해 홈들(76b)이 형성된다. 참조부호 77은 상기 키홈(76)의 단부근처에 형성된 관통공을 나타낸 것으로서, 고정봉(78)이 삽입되어 연습공(50)의 삽입후 이탈을 방지한다.
도 5는 도 1의 연습공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습공(50)은 그 단면에서 보면 일측으로 형성된 제 1 개구부(54) 및 상기 제 1 개구부(54)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며 상기 연습공(50)의 타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개구부(54)와 연통된 제 2 개구부(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개구부(54)는 내측으로 소정구간까지 연장형성되다가 상기 제 2 개구부(52)가 연장형성된 부분과 서로 연통되어 측면에서보면 단차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 2 개구부(52)의 연장형성된 부분의 길이가 상기 제 1 개구부(54)에 의해 연장형성된 부분에 비해 약 2배 정도 길다. 상기 제 1 개구부(54)의 연장부 표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돌기(54a)들이 돌출형성된다. 참조부호 53은 제 1개구부(54) 및 제 2 개구부(52)가 수직으로 만나는 단차면을 나타낸다. 이 단차면(53)에 상기 고정링(78)(도 3참조)이 걸려 연습공(50)이 이탈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상기 골프 연습공(50)을 상기 연결봉(70)의 골프공 삽입부(75)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데, 즉 골프 연습공(50)의 제 1 개구부(54)의 삽입돌기들(54a)이 상기 골프공 삽입부(75)의 키홈(76)에 형성된 돌기들(76a)을 넘어 홈들(76b)에 안착되도록 밀어 설치한다. 상기 돌기들(76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밀거나 당겨서 상기 연습공(50)의 위치를 특정 골프 클럽 예를 들면, 드라이버 혹은 아이언을 사용하는 경우로 가정하여 연습공(5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삽입 설치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받침대의 A-A'선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받침대(20)의 내부에 소정 폭과 넓이를 가진 금속판(90)이 내장되어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연습공과 연결봉의 연결관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 및 도 5의 연습공과 연결봉을 통한 연결관계와 유사하다. 편의상 이 실시예에서는 연습공을 150, 연결봉을 170으로 번호를 부여하였다.
상기 연결봉(170)의 단부는 연습공 삽입부(175)를 나타낸 것으로서, 소정길이만큼 수나사부(176)가 형성된다. 상기 연습공(150)은 다른 부분은 도 5에서의 실시예에와 동일하고 제 1 개구부(154)의 연장부 표면에 암나사부(154a)가 형성된 부분이 다르고 특징이 있다. 상기 연습공(150)은 제 1 개구부(154)에 형성된 나사부(154a)를 통해 상기 연습공 삽입부(175)의 나사부(176)에 끼워진다. 참조부호 153은 제 1개구부(154) 및 제 2 개구부(152)가 수직으로 만나는 단차면을 나타낸다. 이 단차면(153)이 상기 고정링(178)에 걸려 연습공(150)이 이탈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에서 감지센서의 사용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고안에 따른 연습공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 스윙 연습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스윙 폼 교정을 위한 전자적인 기능을 추가적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먼저 도 1에서의 설치부(22)(제어박스) 측면에 설치된 작동 스위치(22a)를 눌러, 제어박스에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ST-2)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박스는 센서들(132a,132b)를 통해 일정 주파수의 광을 방사하여 감지된 신호를 통해 이하의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사용자가 연습공(50)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연습공(50)을 타격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20)상에 표시된 기준선을 따라 사용자가 정확한 타격을 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골프 클럽(골프채)(도시안됨)은 먼저 센서 설치부(130)의 센서(132a)를 지나게 되어 이 감지신호(편의상 제 1 센서신호라 한다)가 제어부에 전달되고, 이후 사용자가 타격한 연습공(50)은 정확한 타격을 받아 상기 센서 설치부(130)의 센서(132b)를 지나게 되어 역시 이로 인한 감지신호(편의상 제 2 센서신호라 한다)가 제어부에 전달된다. 이후 골프 클럽도 연속적으로 상기 센서(132b)를 지날 수 있다.
상기 단계 ST-2이후에, 제어부는 제 1 또는 제 2 센서신호가 접수되었는지를 판단한다(ST-4). 만약 상기 판단결과, 제 1 또는 제 2 센서신호가 접수된 경우에는 타구횟수를 카운트 한다(ST-6). 상기 타구횟수가 1회씩 상승하여 카운트되도록 미리 제어부에 설정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제 1 및 제 2 센서신호가 모두 접수되었는지를 판단한다(ST-8). 상기 판단결과 만약 제 1 및 제 2 센서신호가 모두 접수된 경우에는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데(ST-10), 예를 들어, "굿 샷, 1번째 타격입니다."이라는 음성 메시지가 출력장치(22b)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상기 단계 ST-8에서, 제 1 및 제 2 센서 신호가 모두 접수되지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소정시간 경과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데 이때는 예를 들어, "자세가 부정확합니다. 2번째 타격 입니다" 또는 "아깝습니다. 2번째 타격입니다"라는 음성메시지가 출력장치(22b)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에 의하면, 골프 스윙 연습기의 받침대 그 내부에 금속재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골프 스윙 연습시에 골프 스윙 연습기가 흔들리지 않고 전체의 무게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연습공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골프 클럽의 사용상태를 가정하여 연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골프 연습공의 타격후 타격결과를 출력장치를 통해 쉽게 알 수 있으므로 타격폼의 교정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골프 스윙 연습기의 측면에 실제 골프 스윙을 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골프 연습공 장착이 가능한 홀 컵이 구비되어 실제와 거의 유사한 타격 연습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캡부재 및 샤프트의 절곡부 부분을 나타낸 도 1의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연결봉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연습공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받침대의 A-A'선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연습공과 연결봉의 연결관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에서 감지센서를 통한 감지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받침대 30 : 샤프트
50 : 연습공 60 : 홀컵
70 : 연결봉
132a,132b : 센서

Claims (4)

  1. 받침대의 설치부상에 샤프트를 수직으로 고정시키고 그 샤프트의 절곡부 단부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상하부 캡부재로 커버하고, 상기 상하부 캡부재는 내부에는 선단에 연습공이 구비된 소정 길이의 연결봉의 구형 회동부가 내재된 골프 스윙 연습기에 있어서,
    그 내부에 소정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가진 금속판이 내장된 상기 받침대;
    그 하단부 근처에 소정길이 및 폭을 가진 한쌍의 키홈이 대응되어 설치되고 및 상기 키홈들 상면에 다수개의 홈 및 돌기들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상기 연결봉;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의 키홈들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연결봉에 삽입되면서 상기 키홈의 돌기와 돌기사이의 홈에 접하여 맞물리도록 삽입돌기가 그 연통된 면상에 돌출형성된 연습공; 및
    상기 골프 연습공 설치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받침대 상에 상기 연습공의 타격 진행방향을 나타내기 위하여 표시된 기준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하단부분에 소정길이만큼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습공의 연통된 면상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설치부 일측면 외측에는 타격후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장치 및 초기 동작을 위한 턴-온신호를 입력하는 작동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상에 표시된 기준선을 따라 상기 받침대의 표면상에 일정간격 떨어져서 소정주파수를 방사하여 되돌아오는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들이 내장된 한 쌍의 센서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출력장치, 작동스위치, 센서들을 제어하며 상기 센서 감지신호에 따라 운영프로그램이 작동되어 미리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상기 설치부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상의 소정위치에는 원형홈이 형성되어 그 원형홈에 홀컵이 안착되고 그 홀컵 상에는 탄성을 가진 줄의 일단 연결되고 골프 연습공이 안착되며 줄의 타단을 상기 받침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KR20-2004-0037716U 2004-12-31 2004-12-31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380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716U KR200380502Y1 (ko) 2004-12-31 2004-12-31 골프 스윙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716U KR200380502Y1 (ko) 2004-12-31 2004-12-31 골프 스윙 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502Y1 true KR200380502Y1 (ko) 2005-03-30

Family

ID=4368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716U KR200380502Y1 (ko) 2004-12-31 2004-12-31 골프 스윙 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5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612B1 (ko) * 2009-04-08 2009-10-15 김준호 접촉식 센서를 이용한 골프 스윙 연습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612B1 (ko) * 2009-04-08 2009-10-15 김준호 접촉식 센서를 이용한 골프 스윙 연습 장치
WO2010117188A2 (ko) * 2009-04-08 2010-10-14 Kim Joon-Ho 접촉식 센서를 이용한 골프 스윙 연습 장치
WO2010117188A3 (ko) * 2009-04-08 2011-01-06 Kim Joon-Ho 접촉식 센서를 이용한 골프 스윙 연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85008A1 (en) Swing feedback device
US9022877B2 (en) Putting stroke training system
US20070249428A1 (en) Putting Training Device
KR100349769B1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20090099784A (ko) 디지털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380502Y1 (ko) 골프 스윙 연습기
US6656063B2 (en) Practice ball hitting device
US20170333773A1 (en) Sports training-device
KR101646558B1 (ko) 라이각측정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
KR19980086375A (ko) 연습용 골프 클럽
JP3144025U (ja) パッティング練習用カップ
JP2012501527A (ja) モーションスイッチ
KR20070106673A (ko) 축구공
KR200220556Y1 (ko) 골프 퍼팅 연습기
WO2004082775A1 (en) Golf putting trainer having golf ball return device
KR102685033B1 (ko) 스마트 골프공 궤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200204670Y1 (ko) 휴대용 홀컵장치
KR102460226B1 (ko) 골프 퍼팅 연습 장치
WO2004043552A1 (en) Putting training plate and putting train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2650414B1 (ko) 휴대형 골프 환경 측정장치
WO2000062863A2 (en) Golf practicing device
KR200347778Y1 (ko) 골프용 퍼터
KR20240034386A (ko) 퍼팅 연습 지원 시스템
KR101038390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193365Y1 (ko) 휴대용 홀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