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065Y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킷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065Y1
KR200380065Y1 KR20-2004-0036704U KR20040036704U KR200380065Y1 KR 200380065 Y1 KR200380065 Y1 KR 200380065Y1 KR 20040036704 U KR20040036704 U KR 20040036704U KR 200380065 Y1 KR200380065 Y1 KR 200380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v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r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동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6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0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0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I/O 커넥터가 삽입되는 연결구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의 카킷에 있어서, 상기 I/O 커넥터 연결구의 입구 상단과 하단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구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열리는 카킷 덮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I/O 커넥터를 연결구에 밀어 넣으면 자동으로 열리고, 상기 I/O 커넥터를 분리시키면 자동으로 닫히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킷{Carkit of Mobile terminal}
본 고안은 I/O커넥터의 연결구에 결합된 카킷 덮개가 I/O 커넥터를 연결구에 밀어 넣으면 자동으로 열리고, 상기 I/O 커넥터를 분리시키면 자동으로 닫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I/O 커넥터 연결단자 및 연결구 등으로 구성되는 카킷과 평상시 상기 I/O커넥터를 막아주는 고무 덮개를 구비한다.
카킷은 자동차용 핸즈프리 등에 구비된 거치대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시켰을때 자동차의 시거잭으로 외부전원을 공급받을수 있고, 타 기기와 연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I/O 연결단자와 그 연결구 등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카킷 및 덮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카킷 및 덮개를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1b는 연결구 및 덮개를 좌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 하단부에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I/O 연결단자(100)와 이에 대응되는 I/O 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구(130) 및 상기 I/O 연결단자(100)의 전원 인가부와 배터리팩의 단자를 연결하는 배터리 접촉 단자(120) 등으로 구성되는 카킷과 상기 연결구(130)를 막을수 있는 덮개(140)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구(130)에 외부의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막고, 상기 I/O 연결단자(100)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상시에는 고무 등으로 형성된 덮개(140)로 막아둔다. 상기 연결구(130)에 I/O 커넥터를 삽입하여 I/O 연결단자(100)에 연결시킬 때는 상기 덮개(140)를 분리하여야한다.
그런데 상기 덮개는 뽀족한 도구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 쉽게 분리되지 않고, 분리와 결합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자주 훼손되거나 분실되는 문제가 있으며, 주로 고무 소재로 형성되므로 변색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I/O커넥터의 연결구에 결합된 일체형 카킷 덮개를 구비하여 I/O커넥터를 연결구에 밀어 넣으면 자동으로 열리고 상기 I/O 커넥터를 분리시키면 자동으로 닫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킷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I/O 커넥터가 삽입되는 연결구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의 카킷에 있어서, 상기 I/O 커넥터 연결구의 입구 상단과 하단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구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열리는 카킷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킷이 제공된다.
상기 카킷 덮개는 상기 연결구의 입구 상단과 하단중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는 일단에 힌지를 구비하고, 타단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연결구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열린다.
상기 힌지는 상기 카킷 덮개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I/O커넥터를 분리하면 닫힌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탄성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킷 덮개를 구비하는 연결구 및 I/O 커넥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힌지부(A)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킷(200)은 단말기 본체의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I/O 연결단자(202)와 이에 대응되는 I/O 커넥터(210)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구(204), 상기 연결구(204)의 입구 상단 및 하단에 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카킷 덮개(206)를 포함한다.
상기 카킷 덮개(206)는 상하 동일한 크기의 두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킷 덮개(206)는 상기 연결구(204) 안쪽으로 열릴때 차지하는 회전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둘로 나뉘어져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204)의 상단 및 하단부에는 완전히 회동하여 열린 카킷 덮개(206)가 들어갈 수 있는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I/O 커넥터(210)가 삽입되면, 상기 카킷 덮개(206)는 상기 홈에 들어간다.
상기 카킷 덮개(206)는 I/O 커넥터(210)가 삽입되어 연결구(204) 안쪽으로 열리도록 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연결구(204)의 입구 상단 및 하단에 힌지부(A)를 형성한다.
상기 힌지부(A)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부(A)는 카킷 덮개(206)를 상기 연결구(204)의 입구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힌지(207), 상기 카킷 덮개(206)가 열릴때, 다시 닫히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208)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수단(208)은 예를 들면, 스프링일 수 있다.
따라서, 카킷(200)에 I/O 커넥터(210)를 삽입하면, 상기 힌지(207)가 움직여서 상기 카킷 덮개(206)가 상기 연결구(204) 안쪽으로 열리고, 상기 I/O 커넥터(210)를 빼면, 상기 탄성 수단(208)에 의해서 상기 카킷 덮개(206)가 원위치로 이동하여 닫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킷 덮개를 구비하는 연결구에 I/O 커넥터를 삽입하는 동작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I/O 커넥터(210)를 연결구(204)에 삽입하면 먼저 카킷 덮개(206)를 밀게 되고, 상기 카킷 덮개(206)는 상기 연결구(204)의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된 힌지(207)를 중심으로 안쪽으로 회동한다.
상기 I/O 커넥터(210)를 계속 삽입하면 도 4b와 같이 상기 카킷 덮개(206)는 90도까지 회동하여 상기 연결구(204) 상단 및 하단부에 형성된 홈에 안착되고 상기 I/O 커넥터(210)는 I/O 연결단자(202)와 연결된다.
상기 I/O 연결단자(202)로부터 I/O커넥터(210)를 분리할때는 이와 반대의 순서로 상기 카킷 덮개(206)가 탄성수단에 의하여 닫힌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고안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I/O 커넥터의 연결구에 결합된 카킷 덮개를 구비함으로써 I/O 커넥터를 연결구에 밀어 넣으면 자동으로 열리고, 상기 I/O 커넥터를 분리시키면 자동으로 닫히게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킷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편하게 충전지 또는 데이터 케이블 단자를 연결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킷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카킷 및 덮개를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1b는 연결구 및 덮개를 좌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킷 덮개를 구비하는 연결구 및 I/O 커넥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힌지부(A)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킷 덮개를 구비하는 연결구에 I/O 커넥터를 삽입하는 동작을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카킷 202 : I/O연결단자
204 : 연결구 206 : 카킷 덮개
207 : 힌지 208 : 탄성수단
210 : I/O 커넥터

Claims (3)

  1. I/O 커넥터가 삽입되는 연결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킷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입구 상단과 하단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구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열리는 카킷 덮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킷 덮개는 상기 연결구의 입구 상단과 하단중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는 일단에 힌지를 구비하고, 타단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연결구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킷.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카킷 덮개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I/O커넥터를 분리하면 닫힌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킷.
KR20-2004-0036704U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킷 KR200380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704U KR200380065Y1 (ko)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704U KR200380065Y1 (ko)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065Y1 true KR200380065Y1 (ko) 2005-03-25

Family

ID=43681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704U KR200380065Y1 (ko)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0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7102B2 (en) Cable spool for carrying connectivity cable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CN101241978B (zh) 电池盖结构
CN100450332C (zh) 用于移动通信终端的接口连接器盖子打开和关闭设备
US6482019B1 (en) Retracting modular jack for portable appliance connections
JP2007507076A (ja) 自浄式コネクタ
AU2019100249A4 (en) Multifunctional conversion line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falling-off
CN100405800C (zh) 便携式终端设备
CA2359974C (en) Auxiliary structure for connecting connector for use in portable telephone
KR100791760B1 (ko) 전자기기의 외부 접속단자 개폐장치
KR20038006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킷
KR200326810Y1 (ko) 일체형 카킷 덮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CN103178429A (zh) 插拔装置
KR200330226Y1 (ko) 자력을 이용한 자동 카킷 덮개를 구비하는이동통신단말기
KR1006860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
KR100613060B1 (ko) 회동 입출식 이어폰 연결구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802617B1 (ko)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3978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폰 잭 개폐장치
KR10102980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 접속부 개폐장치
CN219610815U (zh) 充电器
KR20022511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소켓 보호 장치
KR100679996B1 (ko) 휴대폰 데이터 통신포트 및 충전단자보호 자동 개폐기
KR10056370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KR101890881B1 (ko) 전자기기용 충전기
KR200336284Y1 (ko) 셀룰러폰용 이어폰잭의 슬라이드커버
KR200261806Y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덮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