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657Y1 - 윤활 레일 부재를 갖는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윤활 레일 부재를 갖는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657Y1
KR200379657Y1 KR20-2005-0000124U KR20050000124U KR200379657Y1 KR 200379657 Y1 KR200379657 Y1 KR 200379657Y1 KR 20050000124 U KR20050000124 U KR 20050000124U KR 200379657 Y1 KR200379657 Y1 KR 200379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ody
slide type
type hinge
hinge device
rai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찬
김병진
Original Assignee
포스텍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텍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텍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0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6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6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 커버부가 결합되는 제 1 운동체(310)와; 좌우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된 제 2 운동체(320)와; 이 제 2 운동체(320) 상의 상기 절곡부 내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운동체(310)의 좌우 양단부를 직접 수용하는 안내 홈(c)을 갖는 안내 레일 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힌지장치 내 상대운동 부위에 테프론 코팅부를 갖는 종래 구조의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에 비하여 작동이 더욱 원활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윤활 레일 부재를 갖는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a slide type hinge unit having lubrication rail members}
본 고안은 윤활 레일 부재를 갖는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정보통신기기류의 본체부와 커버(cover) 부를 상호 슬라이딩(sliding) 가능 상태로 연결하는 슬라이드 타입(type) 힌지장치 내 상대운동 부위에 윤활 레일 부재를 삽설함에 따라 작동이 더욱 원활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구조의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정보통신 분야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휴대폰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통신기기류가 개발되어 있다.
오늘날 생활 필수품이 되다시피한 상기 휴대폰의 경우, 키 보드(key board)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이와 연결된 커버(cover)부로 구성되는데, 이들 본체부와 커버부 사이의 상호 연결 구조에 따라 폴더(folder) 타입과 슬라이드(slide) 타입으로 구분된다.
폴더 타입의 경우 상기 커버부가 본체부 상단의 지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선회함으로써 상기 키 보드를 개폐하는 반면, 슬라이드 타입의 경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 상단 표면상을 슬라이딩함으로써 키 보드를 개폐하도록 된 구조이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휴대폰의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해 나가겠지만, 본 고안에 따른 윤활 레일 부재를 갖는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는 휴대폰에만 국한되지 않고, 본체부, 커버부 및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타의 정보통신기기류, 즉 본체부 표면 상을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의 커버부를 포함하는 형태의 모든 정보통신기기류에 적용되는 것임을 우선 밝혀 둔다.
상기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를 갖는 휴대폰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10) 및 본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커버부(10)가 본체부(20) 표면 상을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커버부(10)와 본체부(20) 사이에는 양자 간 상대운동, 즉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나, 이들 커버부(10)와 본체부(20) 사이의 중첩 부위에 위치하는 관계로, 도 1 상으로는 드러나지 않는다.
도 2 는 종래 구조의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의 정면도로서, 휴대폰에 있어 커버부 및 본체부를 제외한 힌지장치(30)만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타입 힌지장치(30)는 휴대폰을 구성하는 상기 커버부가 결합되는 제 1 운동체(31)와, 상기 본체부가 결합되는 제 2 운동체(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면 상의 "A"와 "B"는 이들 커버부와 본체부가 각각 결합되는부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가 결합되는제 2 운동체(32)의 좌우 양단부는 구부러져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홈, 즉 절곡부로 형성함으로써, 이와 맞물리게 되는 상기 제 1 제 1 운동체(31)의 좌우 양단부를 수용함과 아울러 그 원활한 운동을 안내하는 레일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이들 제 1 운동체(31)와 제 2 운동체(32)에 있어 각각의 좌우 양단부, 즉 상대운동 부위에는 20㎛ 정도의 테프론(Tefron) 코팅(coating) 막을 형성함으로써, 양자 간의 원활한 운동이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테프론 막의 박리로 인한 내구성 저하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안고 있었다.
즉, 힌지장치 내부의 슬라이딩 운동이 거듭됨에 따라 상기 20㎛ 정도의 얇은 테프론 막은 당연히 벗겨지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상기 제 1 운동체(31)와 제 2 운동체(32) 사이의 금속간 마찰 구조를 이룸에 따라, 작동 상의 소음 및 둔탁한 느낌은 물론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작동이 원활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구조의 휴대용 정보통신기기용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를 구성하는 제 1 운동체와 제 2 운동체 사이에 별도의 윤활 레일 부재를 삽설함에 따라 달성된다.
다시 말하자면, 본 고안의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는 제 1 운동체 및 제 2 운동체와, 이들 사이의 상대운동 부위에 장착된 윤활 레일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 실시예의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의 정면도인 도 3 에 따르면, 힌지장치(300)는, 상기 휴대폰 커버부가 결합되는 제 1 운동체(310)와, 좌우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된 제 2 운동체(320)와, 이 제 2 운동체(320) 상의 상기 절곡부 내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운동체(310)의 좌우 양단부를 직접 수용하는 안내 홈(도 5 상의 "c" 표시부)을 갖는 안내 레일 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 실시예의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를 구성하는 제 1 운동체(310) 및 제 2 운동체(320)는 종래와 같은 적정 두께의 금속이나, 상기 안내 레일 부재(330)는 두께 0.5 mm 정도의 합성수지 재로서, 제 1 운동체(310)와 제 2 운동체(320) 사이에서 양자 간 상대운동을 더욱 원활히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 레일 부재(330)의 재질로서는, 통상의 합성수지 재라도 무방하나, MC 나일론(Nylon) 또는 캐스트(cast) 나일론 등의 특수 나일론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이들 특수 나일론류는 내마모성이 철, 판금류의 2 배에 이르는 한편, 매우 낮은 마찰계수, 즉 자기윤활성을 가지며, 높은 내충격성을 갖는 이상적인 형태의 재질인 관계로, 본 고안 실시예의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에 있어 상기 윤활 레일 부재(330)로서는 최적이라 할 만하다.
실증시험 결과 밝혀진 바이지만, 종래의 테프론 코팅 구조에 비하여 현저히 원활한 상대운동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상기 특수 나일론류가 갖는 자기윤활성에 기인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운동체(310) 및 제 2 운동체(320) 역시 금속 재가 아닌 기타의 기능성 합성수지 재 또는 다이캐스팅(die casring) 재라도 무방하다.
도 4 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의 사시도로서, 제 2 운동체(320)와 윤활 레일 부재(330) 사이의 구체적 결합 형태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에 따르면, 상기 제 2 운동체(320)의 좌우 양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ㄷ" 자 형상의 절곡부 내에 상기 윤활 레일 부재(330)가 삽입된 구조를 이룬다.
또한, 윤활 레일 부재(330)는 상기 제 1 운동체(310) 상의 좌우 양단부를 수용 및 안내하기 위한 홈(c)이 그 측면에 형성된 레일부(330-1)와, 이 레일부(330-1) 상단 표면 상에 형성된 돌기부(330-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 실시예의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이들 제 2 운동체(320)와 윤활 레일 부재(330)로 하여금 홈 및 돌기 간 상호 맞물림에 의한 견고한 고정 상태를 이루도록 한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윤활 레일 부재를 제 2 운동체로부터 분리하여 나타낸 도 5 에서 알 수 있듯이, 제 2 운동체(320) 좌우 양단의 절곡부 내로 윤활 레일 부재(332)를 삽입, 장착하면, 윤활 레일 부재(330) 상단 표면 상의 상기 돌기부(330-2)와 상기 제 2 운동체(320) 좌우 양단 절곡부 상의 그 상응하는 홈이 서로 맞물리게 됨에 따라, 상기 제 1 운동체(310)의 슬라이딩 운동이 반복되더라도 윤활 레일 부재(330)는 시종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6 은 휴대폰 본체부 측에 결합되는 상기 제 2 운동체(320)와 그 좌우 양단 절곡부 내에 삽설되는 상기 윤활 레일 부재(330) 사이의 결합부 선단("P" 표시부)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윤활 레일 부재(330)가 제 2 운동체(320) 보다 길어서, 그 선단이 제 2 운동체(320) 외측으로 돌출되는 특징이 있다.
이는 상기 윤활 레일 부재(330)가 갖는 재질적 특성으로서의 내충격성을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 운동체(310)에 결합된 휴대폰 커버부가 그 슬라이딩 운동의 상한 및 하한 지점에 이르러 상기 제 2 운동체(320) 및 그에 결합된 휴대폰 본체부에 가하게 될 충격력을 윤활 레일 부재(330)로 하여금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돌출부(d)가 있음으로 인하여, 상기 제 1 운동체(310)에 결합된 휴대폰 커버부는 상기 상한 및 하한 지점에 이르러 제 2 운동체(320)와 직접 접촉하지는 않는다.
이처럼, 본 고안 실시예의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에 따르면, 상기 제 1 운동체와 제 2 운동체 사이의 상대운동, 즉 휴대폰 커버부와 본체부 사이의 상대운동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그 원활성이 오래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제 1 운동체와 제 2 운동체 사이에 상기 특수 나일론류 이외의 합성수지 재 또는 기타의 합금 재로 된 윤활 레일 부재를 삽설하거나, 상기 제 2 운동체와 윤활 레일 부재 사이의 맞물림 구조를 홈 및 돌기 이외의 상호 맞물림 구조 또는 체결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본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의 구조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둥한 범위내의 사소한 수정 등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마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용 정보통신기기류의 본체부와 커버부를 상호 슬라이딩 가능 상태로 연결하는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 내 상대운동 부위에 윤활 레일 부재를 삽설함으로써, 작동이 더욱 원활하고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된 구조의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정보통신산업 분야의 급격한 발달과 함께 다양한 종류의 정보통신기기류가 개발 보급되고 있는 점과, 이들 정보통신기기류의 커버부를 개폐함에 있어서도 폴더 타입 보다 공간 활용도가 양호한 슬라이드 타입을 선호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본 고안의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의 이용 분야는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 1 은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를 갖는 휴대폰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 구조의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의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타입 힌지장치의 정면도,
도 4 는 상기 3 의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상기 3 의 힌지장치를 구성하는 윤활 레일 부재의 사시도,
도 6 은 상기 윤활 레일 부재의 결합 선단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커버부 20 : 본체부
30, 300 : 힌지장치 31, 310 : 제 1 운동체
32, 320 : 제 2 운동체 330 : 윤활 레일 부재
330-1 : 레일부 330-2 : 돌기부

Claims (3)

  1. 휴대폰 커버부가 결합되는 제 1 운동체(310)와; 좌우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된 제 2 운동체(320)와; 이 제 2 운동체(320) 상의 상기 절곡부 내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운동체(310)의 좌우 양단부를 직접 수용하는 안내 홈(c)을 갖는 안내 레일 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3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레일 부재(330)는 상기 제 1 운동체(310)의 좌우 양단부를 수용 및 안내하기 위한 홈(c)이 그 측면에 형성된 레일부(330-1)와, 이 레일부(330-1) 상단 표면 상에 형성된 돌기부(330-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2 운동체(320)의 좌우 양단 절곡부 상에는 상기 돌기부(330-2)에 상응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300).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레일 부재(330)가 제 2 운동체(320) 보다 길어서 그 선단이 제 2 운동체(320)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300).
KR20-2005-0000124U 2005-01-04 2005-01-04 윤활 레일 부재를 갖는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 KR200379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124U KR200379657Y1 (ko) 2005-01-04 2005-01-04 윤활 레일 부재를 갖는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124U KR200379657Y1 (ko) 2005-01-04 2005-01-04 윤활 레일 부재를 갖는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657Y1 true KR200379657Y1 (ko) 2005-03-23

Family

ID=4368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124U KR200379657Y1 (ko) 2005-01-04 2005-01-04 윤활 레일 부재를 갖는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65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518B1 (ko) * 2006-12-04 2008-09-04 주식회사 나노앤텍 슬라이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
KR101012298B1 (ko) 2008-09-08 2011-02-08 삼광티엘티(주)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101147579B1 (ko) 2005-06-20 2012-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14311B1 (ko) 2013-05-16 2014-07-02 장현지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용 부채결합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579B1 (ko) 2005-06-20 2012-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56518B1 (ko) * 2006-12-04 2008-09-04 주식회사 나노앤텍 슬라이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
KR101012298B1 (ko) 2008-09-08 2011-02-08 삼광티엘티(주)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101414311B1 (ko) 2013-05-16 2014-07-02 장현지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용 부채결합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165B1 (ko) 휴대단말용 연결장치
US8478369B2 (en) Mobile device
US7731313B2 (en) Locating structure for slide rail
US7610069B2 (en) Side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KR100667122B1 (ko) 이동 통신 단자용 리드 및 이동 통신 단자
EP1515525A2 (en) Slide assembly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70006421A1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70077542A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JP5089455B2 (ja) 直動案内ユニット
KR200379657Y1 (ko) 윤활 레일 부재를 갖는 슬라이드 타입 힌지장치
US8046035B2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push protrusion
KR200408500Y1 (ko)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250082Y1 (ko) 힌지 유니트
KR100856333B1 (ko) 휴대폰용 더블 슬라이드 힌지 모듈
US7884799B2 (en) Joy stick
US8094444B2 (en) Sliding 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57345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714230B1 (ko) 휴대폰용 더블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353334Y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장치
KR20050102726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200396257Y1 (ko)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KR100606467B1 (ko) 슬라이드 폰
KR100638457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러한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439617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가이드 장치
JP5044281B2 (ja) スライド回転取付ユニット及び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