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652Y1 -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652Y1
KR200379652Y1 KR20-2004-0037576U KR20040037576U KR200379652Y1 KR 200379652 Y1 KR200379652 Y1 KR 200379652Y1 KR 20040037576 U KR20040037576 U KR 20040037576U KR 200379652 Y1 KR200379652 Y1 KR 2003796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horizontal
building
recognition member
horizontal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술
Original Assignee
김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선 filed Critical 김진선
Priority to KR20-2004-00375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6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6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바닥면에 콘크리트작업을 하는 경우 철근(1)이 구비된 바닥면에서 부터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몸체 중심부로 연속적으로 장공(11)이 형성된 수직부(10)가 고정부재(40)에 의해 결합되며, 몸체 하부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절곡된 수평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수평 인식부재는 콘크리트의 수평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바닥면의 오차를 줄여 건축물의 안전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 불필요한 시멘트 몰탈의 투입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수평 인식부재를 다시 재사용할 수 있어 건축시공원가 및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의 안전성에 의한 수명연장으로 인한 소비자의 신뢰성 및 건축시공자의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Horizontal Recognition Member for Concrete}
본 고안은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바닥면적에 대한 콘크리트 마감 작업 시, 옹벽에 설치된 철근에 고정시켜 바닥에 기준점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후에 두께는 물론 표면의 수평정도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 수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바닥 콘크리트 공사 등에는 시멘트와 물 및 모래를 혼합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미장공사 및 슬래브(SLAB)공사 등을 수행하여 건축물을 시공하고 있다.
상기의 콘크리트는 주로 레미콘 차량 등에 탑재되어 공사현장으로 이송되며, 상기 레미콘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자바라호스에 의해 건축물의 바닥면에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도포한다.
그리고, 도포되어 건조된 콘크리트의 사이사이에 다시 건조되지 않은 콘크리트를 채워넣은 후 그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밀대를 이용하여 마감하는 것이다.
또한, 마감처리된 시멘트 몰탈의 상부층은 미장용 칼을 이용하여 표면의 수평상태와 두께를 조정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작업은 건축물의 바닥에 거푸집을 제작하여 소정의 설계치는 짜맞추고 그 내부에는 종, 횡방향으로 철근을 받쳐서 배치한 후 콘크리트 타설작업에 들어갔다.
또, 콘크리트작업이 끝난후에 콘크리트 상부에서 미장 작업을 하고 있으나, 넓은 바닥면적에 하는 미장 타설작업은 일측변에서부터 소정의 두께로 마감 미장재를 공급하면서 소정의 면적 전체에 미장재를 공급하였는데 이때의 미장재 두께 및 표면의 수평은 작업자의 기술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미장 작업을 실시함에 있어서, 작업자의 숙련정도에 따라 전체적인 수평정도와 두께를 맞추고 있으나, 이는 바닥면 상태가 불량하고, 많은 인력과 경비가 소요되는 결과로 건축비 상승의 한 원인이 되어 기피하고 있다.
즉, 미장재 타설과 수평조절상태는 작업자의 육안에 의한 판단을 기준으로 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작업 후 측정과정에서 소정의 설계치를 벗어나 바닥의 두께가 두껍거나, 설계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바닥전체에 대한 수평상태도 고르게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처럼 건축물이 각층에 대한 바닥을 설계치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높이가 10~ 30mm정도이면 10층건물을 기준할 때 100~ 300mm정도 건물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 행정민원의 발생원이 되고, 미장재를 규정치보다 더 소비하게 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설계상에 표시되는 정확한 높이의 값을 유지하지 않게 되므로써, 불필요한 콘크리트의 투입이 발생되어 자재비, 인건비 및 공사기간의 연장 등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기초공사에 사용되는 철근에 수평 인식부재를 일정길이를 갖고 수평되게 설치 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의 수평높이를 시공자가 손쉽게 맞출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바닥면의 미장 작업 완료 후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사용되었던 수평 인식부재를 다른 작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의 바닥면에 콘크리트작업을 하는 경우 철근(1)이 구비된 바닥면에서 부터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몸체 중심부로 연속적으로 장공(11)이 형성된 수직부(10)가 고정부재(40)에 의해 결합되며, 몸체 하부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절곡된 수평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수평 인식부재(30)는 콘크리트의 수평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바닥면의 오차를 줄여 건축물의 안전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 불필요한 시멘트 몰탈의 투입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수평 인식부재를 다시 재사용할 수 있어 건축시공원가 및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의 안전성에 의한 수명연장으로 인한 소비자의 신뢰성 및 건축시공자의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가 철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수평 인식부재가 철근에 설치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수평상태를 맞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수평 인식부재의 설치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즉,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수평 인식부재(30)는 건축물 바닥면에 콘크리트 타설 전 옹벽에 구비된 철근(1)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수평 인식부재(30)의 형상은 일정길이를 갖는 몸체 중심부로 연속적으로 장공(11)이 형성된 수직부(10)와, 몸체 하부는 절곡되어 바닥면의 수평상태를 인식시켜주는 수평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인식부재(30)를 옹벽에 설치된 철근(1)에 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결합하게 되면 콘크리트 타설 후 미장 시공 시에 사용자가 타설 높이를 쉽게 인식할 수 있어 바닥 수평을 쉽게 맞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 인식부재(30)는 다수개의 조합으로 결합되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바닥면 전체를 따라 철근(1)과 결합시켜 바닥 전체면의 타설높이를 쉽게 인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평 인식부재(30)를 철근(1)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재(40)로는 케이블 타이(41) 및 철사(42), 끈 등의 공사장에서 쉽게 구비할 수 있는 물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수평 인식부재(30)의 수직부(10) 몸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장공(11)을 통해 철근(1)과의 결합 시 상기 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수평 인식부재(30)를 간단하게 설치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건축물 바닥면에 콘크리트 타설 후 일정시간 경과 후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상기 고정부재(40)를 절단하여 수평 인식부재(30)를 해제할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수평 인식부재(30)의 몸체 양끝단부를 절곡시켜 두께를 두텁게 한 인식부(21)를 형성하여, 파지시의 사용자의 안전사고 방지 및 콘크리트 타설 후 수평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 수직부(10)의 장공(11) 상, 하로 몸체길이를 따라 지지부(12)를 절곡 형성시켜 철근(1)에 설치된 수평 인식부재(30)가 콘크리트 타설 시에 몸체가 받는 하중을 견디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수평 인식부재는 콘크리트의 수평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바닥면의 오차를 줄여 건축물의 안전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 불필요한 시멘트 몰탈의 투입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수평 인식부재를 다시 재사용할 수 있어 건축시공원가 및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의 안전성에 의한 수명연장으로 인한 소비자의 신뢰성 및 건축시공자의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에 대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 확대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철근 10 - 수직부
11 - 장공 12 - 지지부
20 - 수평부 21 - 인식부
30 - 수평 인식부재 40 - 고정부재

Claims (3)

  1. 건축물의 바닥면에 콘크리트작업을 하는 경우 철근(1)이 구비된 바닥면에서 부터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몸체 중심부로 연속적으로 장공(11)이 형성된 수직부(10)가 고정부재(40)에 의해 결합되며, 몸체 하부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절곡된 수평부(2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40)는 케이블 타이(41) 및 철사(42), 끈 등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수평 인식부재(30)는 다수개의 조합으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
KR20-2004-0037576U 2004-12-31 2004-12-31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 KR200379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576U KR200379652Y1 (ko) 2004-12-31 2004-12-31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576U KR200379652Y1 (ko) 2004-12-31 2004-12-31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698A Division KR100680250B1 (ko) 2004-12-31 2004-12-31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652Y1 true KR200379652Y1 (ko) 2005-03-23

Family

ID=4368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576U KR200379652Y1 (ko) 2004-12-31 2004-12-31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6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06698B (zh) 装配式墙板的施工方法
CN107297810A (zh) 一种预制墙体构件的制作及安装方法
CN102296837B (zh) 带预制件的多层建筑及其半预制构筑方法
CN109811878A (zh) 装配式建筑现浇叠合模壳一体化结构与施工方法
US9605423B2 (en) Method of basement construction
WO2018084741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есущих трехслойных панелей
CN205976167U (zh) 基于可拆卸式定位控制件现浇楼板结构
KR100579440B1 (ko) 거푸집-철근 일체형 피씨패널 및 그 조립구조
CN106120871B (zh) 一种地下室外墙后浇带外侧模板施工方法
KR200379652Y1 (ko)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
KR101199920B1 (ko) 콘크리트 레벨 규준틀 겸용 타설용 발판
KR100680250B1 (ko)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
CN110878609A (zh) 一种无粘结预应力华夫板施工方法
CN106223460B (zh) 大尺寸墙板的预制安装施工方法
CN213773865U (zh) 预制混凝土反坎
AU2009297184B2 (en) Hanger system for cementitious building units
CN104652662B (zh) 预制墙板系统
KR100650017B1 (ko) 에스아이비공법 건축물 시공방법
AU2018101021B4 (en) Formwork and reinforcement for a suspended concrete slab
EP1233123A2 (en) A bricklaying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CN107542109A (zh) 地下管廊的结构底板和地面板的施工方法及其支模结构
CN216195528U (zh) 一种可以快速吊装的装配式建筑构件
KR100550469B1 (ko) 자재 반입구의 프리캐스트화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AU2021100906A4 (en) TRUBOND preforma slab system
CN110374286B (zh) 石膏加气砌砖墙面的石材湿挂方法及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