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537Y1 - 가슴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가슴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537Y1
KR200379537Y1 KR20-2004-0037352U KR20040037352U KR200379537Y1 KR 200379537 Y1 KR200379537 Y1 KR 200379537Y1 KR 20040037352 U KR20040037352 U KR 20040037352U KR 200379537 Y1 KR200379537 Y1 KR 200379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belt
ches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훈선
Original Assignee
김훈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훈선 filed Critical 김훈선
Priority to KR20-2004-0037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5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5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3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 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게추와 연계된 좌우 손잡이대를 전방을 향해 반복적으로 잡아당겨서 운동을 행하는 착석식 가슴운동기구에 있어서;
좌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좌대 높낮이 조절수단과, 좌우 손잡이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대 위치조절수단과, 좌측 손잡이대와 우측 손잡이대에 균일한 하중이 실리도록 하는 균등하중부여수단;이 구비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운동기구이다.

Description

가슴운동기구{seat chest press}
본 고안은 흉근강화운동에 적합한 가슴운동기구로서, 특히 의자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과, 페달을 이용하여 핸들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다는 것과, 무게추의 무게가 좌우핸들에 고르게 작용되게 함에 따라 좌우측의 균형운동이 가능한 것에 특징을 갖는 가슴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싣체스트 프레스(seat chest press)라고 불리는 상체운동기구는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1)에 앉은 상태에서 무게추(2)에 연결되어 무게가 실린 상태의 손잡이대(3)를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 당기는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서 흉부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체운동기구는 의자(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이 없어서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 들에게 최적의 운동조건을 제공하지 못했고, 오히려 자신의 체형을 무리하게 운동기구에 맞춘 상태에서 운동을 하다보니 신체상 무리가 가해지는 역효과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잡이대(3)는 평균적인 체형을 갖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위치설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체형이 작은 사용자들은 앉은 상태에서는 손잡이부가 손에 닿지 않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하거나 또는 일어선 상태에서 손잡이대를 앞쪽으로 잡아당긴 이후에 비로소 운동을 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또한, 손잡이대(3)는 오른손용과 왼손용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데, 손잡이대를 동작시킬 때 양쪽 손잡이대에 균일한 무게가 실리지 않고 일측 손잡이로 무게감이 집중될 수 있음에 따라 흉부의 좌우운동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사용자의 체형조건에 맞게 의자, 특히 좌대의 상하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최적의 운동효과를 제공하는 가슴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두 번째 목적은, 레버식 페달을 발로 조작함에 따라 손잡이대가 앞쪽으로 당겨지게 하므로써 체형이 작은 사용자들도 의자에 앉은상태에서 손잡이대를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 가슴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세 번째 목적은, 왼족 손잡이대와 오른쪽 손잡이대에 균일한 하중이 실리도록 하므로써 좌우흉부의 균등한 근육운동이 가능한 가슴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 구성적 특징은,
무게추와 연계된 좌우 손잡이대를 전방을 향해 반복적으로 잡아당겨서 운동을 행하는 착석식 가슴운동기구에 있어서; 좌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좌대 높낮이 조절수단과, 좌우 손잡이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대 위치조절수단과, 좌측 손잡이대와 우측 손잡이대에 균일한 하중이 실리도록 하는 균등하중부여수단;이 구비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좌대 높낮이 조절수단은,
수직상의 등받이 프레임에 가이더를 매개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대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여러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판; 상기 좌대를 받치고 있는 좌대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걸림홈중 어느 하나에 인입되는 걸림핀을 갖는 스토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대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상하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레버; 상기 조작레버의 회동부에 연결된 채 회동부의 회전운동에 대해 전후진 운동되는 구동링크; 상기 좌대프레임의 배후면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자유단측이 상기 구동링크와 연결된 좌우 제 1회동대; 상기 좌우 제 1회동대의 자유단과 좌대프레임의 배후면과의 사이에 연결되어, 좌우 제 1회동대를 그 운동방향에 대해 완충지지하는 쇽 업쇼바; 상기 메인프레임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좌우 제 1회동대와 링크로서 연결되는 좌우제 2회동대; 일단은 상기 좌우 제 2회동대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좌우 손잡이대의 회동축에 연결되어 각 손잡이와 연동되는 좌우 가동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균등하중부여수단은,
상기 좌우 가동프레임을 연결하여 좌우 가동프레임이 연동되게 하는 제 1벨트와 상기 제 1벨트와 상기 무게추를 상호 연결하는 제 2벨트와; 상기 제 1 벨트 및 제 2벨트를 지지하는 가이드 롤;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무게추와 연계된 좌우 손잡이대를 전방을 향해 반복적으로 잡아당겨서 운동을 행하는 착석식 가슴운동기구로 부터; 좌대(1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좌대 높낮이 조절수단(100)과, 좌우 손잡이대(3a,3b)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대 위치조절수단(200)과, 좌측 손잡이대와 우측 손잡이대에 균일한 하중이 실리도록 하는 균등하중부여수단(300)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한 좌대 높낮이 조절수단(100)은, 도 3 및 도4에서와 같이 수직상의 등받이 프레임(10)에 가이더(11)를 매개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대(110)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1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여러개의 걸림홀(121)이 형성된 걸림판(120)과; 상기 좌대(110)를 지지하고 있는 좌대 프레임(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걸림홈중 어느 하나에 인입되는 걸림핀(133)을 갖는 스토퍼(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130)는 좌대 프레임(20)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31)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구속된 채 탄성부재(132)에 의해 걸림판(120)을 향해 탄성추력을 받고 있는 탄성걸림핀(13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대 프레임(20)은 쇽 업쇼버(140)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30)의 하부에 지지된다.
상기한 손잡이대 위치조절수단(200)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전방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발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레버(210)와, 상기 조작레버의 회동부(211)에 연결된 채 회동부의 회전운동에 대해 전후진 운동되는 구동링크(220)와, 상기 등받이프레임(10)의 배후면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자유단측이 상기 구동링크와 연결된 좌우 제 1회동대(230,240)와, 상기 좌우 제 1회동대의 자유단과 등받이프레임(10)의 배후면과의 사이에 연결되어 좌우 제 1회동대를 그 운동방향에 대해 완충되게 지지하는 쇽 업쇼바(25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좌우 제 1회동대(230,240)의 자유단과 링크(L)로서 연결되는 좌우 제 2회동대(260,270)와, 일단은 상기 좌우 제 2회동대(260,270)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좌우 손잡이대(3a,3b)의 회동축(3c)과 연결되어 각 손잡이와 연동되는 좌우 가동프레임(280,29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균등하중부여수단(300)은, 상기 좌우 가동프레임(280,290)을 연결하여 좌우 가동프레임이 연동되게 하는 제 1벨트(310)와, 상기 제 1벨트와 상기 무게추(2)를 상호 연결하는 제 2벨트(320)와, 상기 제 1벨트 및 제 2벨트를 지지하는 다수의 가이드 롤(R)로 구성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좌대 높낮이 조절수단(100)의 조작과정을 설명하면, 탄성걸림핀(133)을 잡아당기게 되면 탄성걸림핀은 탄성부재(132)를 압축시키면서 걸림홀(121)으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좌대(110)에 힘을 가하거나 또는 힘을 가하지 않게 되면 좌대의 위치가 상부 또는 하부로 변위되는데, 이 과정에서 가장 적합한 위치에 왔다고 판단될 때 당기고 있던 탄성걸림핀(133)을 놓으면 탄성부재(132)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걸림핀이 걸림판(120) 쪽으로 원위치되면서 그 위치에 있는 해당 걸림에 인입되고, 이에 따라 좌대(110)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손잡이대 위치조절수단(200)은, 사용자가 좌대에 앉아있는 상태에서도 왼쪽 및 오른쪽 손잡이대(3a,3b)를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그 방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좌대(110)에 앉아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조작레버(210)를 발로 누르게 되면, 조작레버(210)의 회동부(211)는 우측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어서, 상기 회동부(211)에는 구동링크(220)의 일단이 전후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동링크는 후방으로 후퇴하게 되며, 이 구동링크(220)의 타단에 연결된 좌우측 제 1회동대(230,240)가 그 힌지점을 기점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다음, 상기 제 1회동대(230,240)의 자유단에는 상기 제 2회동대(260,270)의 일측이 링크(R)로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 2회동대의 자유단은 상향으로 상승하며, 이렇게 제 2회동대의 자유단이 상승됨에 따라 이에 연계된 좌,우가동프레임(280,290)의 후방이 들어올려지게 된다.
다음, 좌,우 가동프레임(280,290)의 후방이 들어올려지게 되면, 각 가동프레임은 좌,우측 손잡이대(3a,3b)의 축(3c)을 회전시켜 결국 좌,우측 손잡이대가 전방을 향해 회전되게 하므로써 사용자가 회전되어온 손잡이대를 좌대에 앉아있는 상태에서도 잡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균등하중부여수단(300)은,
좌,우측 손잡이대(3a,3b)를 사용자가 조작할 때 이 좌,우측 손잡이대와 연동하는 좌우 가동프레임(280,290)이 제 1벨트(310) 및 가이드 롤(R)에 의해 상호 유지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제 1벨트(310)는 제 2벨트(320)에 의해 무게추(2)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무게추(2)의 하중은 좌측 손잡이대(3a)와 우측 손잡이대(3b)에 균일하게 작용된다. 따라서, 양쪽 흉부근육을 고르게 발달시킬 수 있어서 균형적인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첫 째, 사용자의 체형조건에 맞게 의자, 특히 좌대의 상하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최적의 운동효과를 제공하며,
둘 째, 조작레버를 발로 조작함에 따라 손잡이대가 앞쪽으로 당겨지게 하므로써 체형이 작은 사용자들도 의자에 앉은상태에서 손잡이대를 손쉽게 잡을 수 있어서 사용이 간편하고,
세 째, 왼쪽 손잡이대와 오른쪽 손잡이대에 균일한 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써 좌측흉부와 우측흉부의 고른 운동효과를 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가슴운동기구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슴운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좌대 높낮이 조절수단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손잡이대 위치조절수단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슴운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동작상태도
도 8은 균등하중 부여수단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좌대 높낮이수단
110 : 좌대 120 : 걸림핀 130 : 스토퍼
140 : 쇽 업쇼버
200 : 손잡이대 위치조절수단
210 : 조작레버 220 : 구동링크 230,240 : 제 1회동대
260,270 : 제 2회동대 280,290 : 좌우가동프레임
300 : 균등하중부여수단
310 : 제 1벨트 320 : 제 2벨트

Claims (5)

  1. 무게추와 연계된 좌우 손잡이대를 전방을 향해 반복적으로 잡아당겨서 운동을 행하는 착석식 가슴운동기구에 있어서;
    좌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좌대 높낮이 조절수단과, 좌우 손잡이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대 위치조절수단과, 좌측 손잡이대와 우측 손잡이대에 균일한 하중이 실리도록 하는 균등하중부여수단;이 구비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 높낮이 조절수단은,
    수직상의 등받이 프레임에 가이더를 매개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대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여러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판; 상기 좌대를 받치고 있는 좌대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걸림홈중 어느 하나에 인입되는 걸림핀을 갖는 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운동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프레임은 쇽 업쇼버에 의해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대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상하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레버; 상기 조작레버의 회동부에 연결된 채 회동부의 회전운동에 대해 전후진 운동되는 구동링크; 상기 좌대프레임의 배후면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자유단측이 상기 구동링크와 연결된 좌우 제 1회동대; 상기 좌우 제 1회동대의 자유단과 좌대프레임의 배후면과의 사이에 연결되어, 좌우 제 1회동대를 그 운동방향에 대해 완충지지하는 쇽 업쇼바; 상기 메인프레임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좌우 제 1회동대와 링크로서 연결되는 좌우제 2회동대; 일단은 상기 좌우 제 2회동대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좌우 손잡이대의 회동축에 연결되어 각 손잡이와 연동되는 좌우 가동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운동기구.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균등하중부여수단은,상기 좌우 가동프레임을 연결하여 좌우 가동프레임이 연동되게 하는 제 1벨트와 상기 제 1벨트와 상기 무게추를 상호 연결하는 제 2벨트와; 상기 제 1 벨트 및 제 2벨트를 지지하는 가이드 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운동기구.
KR20-2004-0037352U 2004-12-30 2004-12-30 가슴운동기구 KR200379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352U KR200379537Y1 (ko) 2004-12-30 2004-12-30 가슴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352U KR200379537Y1 (ko) 2004-12-30 2004-12-30 가슴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537Y1 true KR200379537Y1 (ko) 2005-03-18

Family

ID=4929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352U KR200379537Y1 (ko) 2004-12-30 2004-12-30 가슴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5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430B1 (ko) 2016-08-08 2017-10-31 이상훈 트위스트 자전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430B1 (ko) 2016-08-08 2017-10-31 이상훈 트위스트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23972C (en) Multi-station exercise machine with multi-exercise press station
US5554083A (en) Multipurpose exercise machine having an arm drilling device
US6491608B1 (en) Exercise machine
US6916278B2 (en) Composite motion exercise machine with movable linkage system
US8033967B2 (en) Gym machine
US8734304B2 (en) Low back exercise machine with rocking user support
US5807219A (en) Exercise apparatus adaptable for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users
EP3852886B1 (en) Glute press exercise machine
BE898364A (fr) Appareil de gymnastique.
KR100651259B1 (ko)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KR102225269B1 (ko) 암컬 운동 기구
KR200379537Y1 (ko) 가슴운동기구
CN211635093U (zh) 腿部力量训练器
KR20210128079A (ko) 다리벌림 운동기구
CN111375173A (zh) 一种多功能家庭力量型健身器材
CN216092057U (zh) 一种多功能四肢力量训练拉力机
KR20140052148A (ko) 링크를 이용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KR102120008B1 (ko) 웨이트 운동기구의 개량형 의자 어셈블리
KR101551245B1 (ko) 하체 운동기구
KR0140158Y1 (ko) 체중을 이용한 종합신체단련기구
KR200451925Y1 (ko) 로윙 운동기구
JP2006239395A (ja) 筋力訓練機
KR102319729B1 (ko) 하체운동장치
CN113457081B (zh) 一种股四头肌训练的体育锻炼器材
JP2006204488A (ja) 可動座席筋力訓練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