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505Y1 - 디지털 도어 락과 연동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 락과 연동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505Y1
KR200379505Y1 KR20-2004-0035969U KR20040035969U KR200379505Y1 KR 200379505 Y1 KR200379505 Y1 KR 200379505Y1 KR 20040035969 U KR20040035969 U KR 20040035969U KR 200379505 Y1 KR200379505 Y1 KR 200379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etwork
door lock
digital door
module
network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영
심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6811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79505(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04-0035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5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5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 락과 연동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기종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는 디지털 도어 락에 있어서,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전파 공간으로 상기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송수신 모듈; 상기 디지털 도어 락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RF 모듈 제어부;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생성된 명령어를 입력받아 상기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제어하는 명령어 코드를 생성하여 인코딩한 후 상기 디지털 도어 락으로 전송하며,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장착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 락과 연동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탑재한 홈 네트워크 RF 모듈을 여러 기종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 락과 연동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Home Network Radio Frequency Module Interworking with Digital Door Lock}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 락과 연동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종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장착되어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 제어, 상태 모니터링 등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을 탑재한 디지털 도어 락과 연동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이동통신으로 대표되는 정보통신 기술은 현대인의 생활 패턴을 바꾸어 놓고 있는데, 거의 모든 가정, 학교 및 사무실에 인터넷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어 웹 사이트를 이용한 정보 습득, 전자 상거래를 통한 상품 구매, 이메일을 통한 소식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초기의 정보통신 기술은 컴퓨터, 이동통신, 방송 등 이용 목적에 따라 구분되어 발전하였으나 현재에는 기술이 융합(Convergence)되어 발전하는 추세로 접어들고 있다. 현재까지는 초기 단계이지만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인터넷 및/또는 이동통신과 연동되는 가전 기기가 생산되고 있다. 즉, 종래에는 집 안에서 거주자가 TV 리모콘으로는 TV의 채널을 조작하고, 세탁기는 별도의 조작으로 작동시킬 수 있었다면 현재에는 인터넷과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 하나로 집 밖에서도 세탁기, 조명 장치, 오븐 등의 각종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기계식 도어 락이 지닌 취약성을 고려하여 전자 키(Key)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디지털 도어 락의 경우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하여 원격에서 해정 및 괘정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는 디지털 도어 락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도어 락(100)은 전자키, 지문, 비밀 번호 입력을 통한 해정 또는 괘정 작동을 수행하며, 방범, 화재 감지, 원격 작동 등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디지털 도어 락(100)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102)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102)을 통해서 디지털 도어 락(100)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거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격에서 디지털 도어 락(100)을 해정하기 위해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102)과 연결되는 단말기(미도시,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조작하면, 단말기는 해정 명령을 생성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102)으로 전달한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102)은 해정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정보를 인코딩한 후 디지털 도어 락(100)으로 송신한다. 제어 정보를 수신한 디지털 도어 락(100)은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 락(100)을 해정한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102)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TV, 전등, 냉장고, 오븐, 전자 렌지, 디지털 도어 락 등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102)은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102)과 연결 가능한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에서도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종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102)은 초기 생산 단계에서 탑재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특정 제조사의 특정 디지털 도어 락(100) 제품만을 지원하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디지털 도어 락(100)을 교체하는 경우 홈 네트워크 시스템 (102) 또한 디지털 도어 락(100)과 연동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102)으로 교체하거나, 홈 네트워크 시스템(102)을 교체하는 경우 교체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102)과 연동될 수 있도록 디지털 도어 락(100) 또한 교체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102)의 제조사와 디지털 도어 락(100) 제품의 제조사가 서로 상이한 경우, 디지털 도어 락(100) 제조사 입장에서는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데 필요한 통신 프로토콜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암호화 과정을 홈 네트워크 시스템(102) 제조사에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기술 유출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 락과 연동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탑재한 홈 네트워크 RF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여러 기종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네트워크 RF 모듈을 장착하는 것만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교체없이도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 제어, 상태 모니터링 등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 락과 연동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다양한 기종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는 디지털 도어 락에 있어서,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전파 공간으로 상기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송수신 모듈; 상기 디지털 도어 락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RF 모듈 제어부;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생성된 명령어를 입력받아 상기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제어하는 명령어 코드를 생성하여 인코딩한 후 상기 디지털 도어 락으로 전송하며,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장착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RF 모듈의 내부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서 홈 네트워크 RF 모듈(200)은 여러 기종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장착되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에 관련된 통신 프로토콜 및/또는 관련 소프트웨어 등을 탑재한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RF 모듈(200)은 RF 송수신 모듈(202), RF 모듈 제어부(204), 프로그램 저장부(206) 및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0) 등을 포함한다.
후술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디지털 도어 락에서 홈 네트워크 RF 모듈(200)로 전달되는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태 정보라고 하며, 홈 네트워크 RF 모듈(200)에서 디지털 도어 락으로 전달되어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제어하는 정보를 제어 정보라고 한다.
RF 송수신 모듈(202)은 Bluetooth, UWB, 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RF 모듈 제어부(204)로부터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전달받아 RF 신호로 변조한 후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전파 공간으로 송출하고,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도어 락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 RF 모듈 제어부(204)로 전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RF 모듈 제어부(204)는 직렬, 병렬 포트를 구비한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를 의미한다. RF 모듈 제어부(204)는 중앙처리장치로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미도시), 홈 네트워크 RF 모듈(200)을 구동하기 위한 운영 체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RF 모듈 제어부(204)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 (2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어 정보와 상태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한다. RF 모듈 제어부(204)는 디지털 도어 락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또한, RF 모듈 제어부(204)는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제어하는 명령을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아 제어 정보를 생성한 후 RF 송수신 모듈(202)로 전달한다.
프로그램 저장부(206)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기종에 상관없이 홈 네트워크 RF 모듈(200)을 장착한 상태에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에 관련된 다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탑재하고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로, 접속 커넥터(212), 전원 커넥터(214) 및 리셋 커넥터(216) 등을 포함한다.
접속 커넥터(212)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는 인터페이스 단자를 의미하며,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전기적인 신호의 형태로 제어 정보와 상태 정보를 주고받는 데이터 경로이다. 전원 커넥터(214)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20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원부로부터 공급받는 전원 단자를 의미한다. 리셋 커넥터(216)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장애, 통신 불량 등의 이유로 홈 네트워크 RF 모듈(200)의 작동이 원할하지 않을 때 작동을 초기화하는 단자를 의미한다.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0)의 접속 커넥터(212)는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SPI(SPI : Service Provider Interface) 방식, I2C(Inter IC) 방식, UART(UART :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and Transmitter) 방식, 접점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며, 프로그램 저장부(206)에 탑재된 통신 프로토콜을 토대로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물론, 접속 커넥터(212)의 인터페이스 방식은 예시적인 사항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장착되어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도어 락(300)은 홈 네트워크 RF 모듈(200)을 장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322)과 연동되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322)을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한 도어 락을 의미한다. 디지털 도어 락(300)은 데이터 통신을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322)으로부터 제어 정보를 전달받아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고, 잠금 상태, 출입 기록, 방범 및 화재 감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322)으로 전달한다.
디지털 도어 락(300)은 인증부(302), 출력부(304), 메모리부(306), 인증 콘트롤러부(308), 홈 네트워크 연동부(310), 부가 기능부(312), 도어 락 제어부(314), 수동 잠금 조작부(316), 구동부(318) 및 전원부(320) 등을 포함한다.
인증부(302)는 출입자가 디지털 도어 락(300)을 해정 및 괘정하기 위해서 인증 수단을 인증부(302)에 접촉시키거나 근접시킬 경우, 인증 수단(302)에 저장된 검출인증 정보를 센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출력부(304)는 스피커 및/또는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어 락 제어부(314)로부터 구동 성공 신호 또는 구동 실패 신호를 전달받아 디지털 도어 락(300)의 작동 상황을 음향의 재생 또는 빛의 점멸로 출입자에게 알려주는 장치를 의미한다.
인증 콘트롤러부(308)는 인증부(302)에서 센싱한 검출인증 정보와 메모리부(306)에 저장된 저장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검증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인증 콘트롤러부(308)는 검출인증 정보와 저장인증 정보가 일치할 경우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도어 락 제어부(314)로 전달하고, 검출인증 정보와 저장인증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인증 실패 신호를 생성하여 도어 락 제어부(314)로 전달한다.
홈 네트워크 연동부(310)는 제어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322)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홈 네트워크 연동부(310)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200)로부터 전파 공간을 통해 송신되는 제어 정보를 수신받아 암호화된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도어 락 제어부(314)로 전달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 연동부(310)는 부가 기능부(312)에서 생성 및/또는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한 후 홈 네트워크 RF 모듈(200)로 전달한다.
부가 기능부(312)는 디지털 도어 락(300)의 해정 및 괘정 작동 기능 이외에 부가되는 부가 기능을 처리하는 장치로 별도의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모습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 후 저장하며,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322)으로 전송하는 방범 기능, 열상 감지 센서를 탑재하여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화재 발생 정보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322)로 전송하는 화재 감지 기능, 디지털 도어 락(300)을 사용하여 출입하는 출입자를 시간대별, 인적 사항별로 파악하여 출입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출입 정보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322)으로 전송하는 트레이스 기능 등을 구현한 소프트웨어 및 이를 탑재한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부가 기능부(312)에서 생성 및/또는 저장된 정보는 도어 락 콘트롤러부(314)의 제어 하에 홈 네트워크 연동부(310)로 전달된다. 부가 기능부(312)는 예시적 사항으로 디지털 도어 락(300)에 포함되어 구현되거나, 별도로 착탈 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어 락 제어부(314)는 인증 콘트롤러부(308), 홈 네트워크 연동부(310), 부가 기능부(312), 수동 잠금 조작부(316), 구동부(318) 및 전원부(320)와 연결되어 있으며, 디지털 도어 락(3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를 의미한다. 도어 락 제어부(314)는 중앙처리장치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MPU : Microprocessor Unit), 디지털 도어 락(300)을 구동하기 위한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임시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한다. 도어 락 제어부(314)는 인증 콘트롤러부(308)로부터 인증 성공 신호를 전달받으면 구동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부(304) 및 구동부(318)로 전달하고, 인증 콘트롤러부(308)로부터 인증 실패 신호를 전달받으면 구동 실패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부(304)로 전달한다.
또한, 도어 락 제어부(314)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2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정보에 포함된 명령에 따라서, 구동 성공 신호 및 구동 실패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318)로 전달하며, 부가 기능부(31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부가 기능부(312)로 전달한다. 도어 락 콘트롤러부(314)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2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정보에 포함된 명령에 따라서 부가 기능부(312)를 제어하여, 부가 기능부(312)에서 생성 및/또는 저장된 정보를 홈 네트워크 연동부(310)로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수동 잠금 조작부(316)는 수동으로 디지털 도어 락(300)의 해정 및 괘정 설정을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실내에 있는 사용자가 디지털 도어 락(300)을 해정 및 괘정하고 실외로 나갈 때 사용된다.
구동부(318)는 서보 모터(Servo Motor), 모티스(Mortise) 등을 포함한다. 구동부(318)는 도어 락 제어부(314)로부터 전달되는 구동 성공 신호에 의해서 서보 모터, 모티스를 포함하는 부하(負荷)를 구동하여 디지턱 도어 락(300)의 해정 또는 괘정 작동을 수행한다.
전원부(320)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내부 전원 및/또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는 외부 전원으로 구성된다. 전원부(320)는 디지털 도어 락(300)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도어 락 제어부(314)를 통해서 출력부(304), 인증 콘트롤러부(308), 홈 네트워크 연동부(310), 부가 기능부(312), 수동 잠금 조작부(314) 및 구동부(316)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322)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으며, 인터넷과 연결되는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등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집 안팍에서 세탁기, 조명 장치, 오븐, 디지털 도어 락(300) 등의 각종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322)은 홈 네트워크 RF 모듈 (200) 장착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322)은 종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지닌 문제점, 즉 초기 생산 단계에서 탑재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특정 제조사의 특정 디지털 도어 락(100) 제품만을 지원하는 형태에서 벗어나 디지털 도어 락(300)을 원격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200)을 장착하는 것만으로 디지털 도어 락(300)과 연동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디지털 도어 락과 연동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탑재한 홈 네트워크 RF 모듈을 여러 기종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지털 도어 락 제조사 입장에서는 홈 네트워크 제조사에 홈 네트워크 RF 모듈과 자사에서 생산한 디지털 도어 락의 원격 제어에 관한 통신 프로토콜 및 암호화 기술을 제공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는 디지털 도어 락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RF 모듈의 내부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장착되어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300 : 디지털 도어 락 102, 322 : 홈 네트워크 시스템
200 : 홈 네트워크 RF 모듈 202 : RF 송수신 모듈
204 : RF 모듈 제어부 206 : 프로그램 저장부
210 :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212 : 접속 커넥터
214 : 전원 커넥터 216 : 리셋 커넥터
302 : 인증부 304 : 출력부
306 : 메모리부 308 : 인증 콘트롤러부
310 : 홈 네트워크 연동부 312 : 부가 기능부
314 : 도어 락 제어부 316 : 수동 잠금 조작부
318 : 구동부 320 : 전원부

Claims (6)

  1. 다양한 기종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는 디지털 도어 락에 있어서,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전파 공간으로 상기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송수신 모듈;
    상기 디지털 도어 락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RF 모듈 제어부;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생성된 명령어를 입력받아 상기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제어하는 명령어 코드를 생성하여 인코딩한 후 상기 디지털 도어 락으로 전송하며,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장착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 송수신 모듈은 Bluetooth, UWB, Zigbe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RF 모듈 제어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디지털 도어 락으로 송신하고,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상기 명령어 코드인 제어 정보와 상태 정보를 주고받는 접속 커넥터, 상기 홈 네트워크 RF 모듈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원부로부터 공급받는 전원 커넥터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 장애, 통신 불량을 포함하는 이유로 상기 홈 네트워크 RF 모듈의 작동이 원할하지 않을 때 작동을 초기화하는 리셋 커넥터를 포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커넥터는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상기 상태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를 전기적인 신호 형태로 주고받을 수 있는 데이터 경로로 SPI(SPI : Service Provider Interface) 방식, I2C(Inter IC) 방식, UART(UART :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and Transmitter) 방식, 접점 방식 중 어느 한 가지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상호간에 인터페이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 모듈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도어 락의 해정 및 괘정 명령, 경보 발생 및 해제 명령, 외부 강제 잠금 기능 설정 및 해제 명령, 자동잠금 기능 설정 및 해제 명령, 비밀번호 변경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RF 모듈은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
KR20-2004-0035969U 2004-12-17 2004-12-17 디지털 도어 락과 연동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 KR200379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969U KR200379505Y1 (ko) 2004-12-17 2004-12-17 디지털 도어 락과 연동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969U KR200379505Y1 (ko) 2004-12-17 2004-12-17 디지털 도어 락과 연동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505Y1 true KR200379505Y1 (ko) 2005-03-18

Family

ID=4368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969U KR200379505Y1 (ko) 2004-12-17 2004-12-17 디지털 도어 락과 연동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5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526B1 (ko) 2008-09-29 2010-06-29 주식회사 케이벨 비접촉식 도어록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526B1 (ko) 2008-09-29 2010-06-29 주식회사 케이벨 비접촉식 도어록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61725C (zh) 基于因特网的家庭自动化系统及其控制方法
US9589459B2 (en) Modular wireless power, light and automation control
KR101416175B1 (ko) 엘이디 조명등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제어방법
KR100531141B1 (ko) Ir 및 rf 통합 리모콘 모듈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281116A (zh) 无线控制系统
WO2018151667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arget unit, and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on of instruction from instructing unit
CN204303150U (zh) 一种无线遥控的控制系统
TW201427330A (zh) 溝通頻率低於WiFi訊號頻率的遠端控制系統
KR20050098180A (ko) 고주파 무선제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CN101202897A (zh) 家电装置的无线监控系统
KR20120105614A (ko)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379505Y1 (ko) 디지털 도어 락과 연동되는 홈 네트워크 rf 모듈
CN106227049A (zh) 物联网智能家居监控系统
TWM455163U (zh) 智慧插排及應用該智慧插排的智慧家居系統
CN109792258B (zh) 用于双调制低数据速率网络的方法和系统
KR20050018206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80121813A (ko)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한 통합게이트웨이
EP1732050A1 (en) Apparatus control system
CN110708225A (zh) 一种无线智能家居系统
JP2010098447A (ja) リモコン送信機、リモコン受信機、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KR20060069103A (ko) 디지털 도어 락과 홈 네트워크 rf 모듈의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83739B1 (ko) 900㎒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가 설치형 보안 시스템
WO2018164568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device automation system of a building
KR102145253B1 (ko) Cctv 영상을 이용한 전자기기 동작 제어용 송수신기
JP2001155277A (ja) 住宅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602

Effective date: 2010041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520

Effective date: 2010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