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037Y1 - Crushing equipment using cut crusher - Google Patents

Crushing equipment using cut cru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037Y1
KR200379037Y1 KR20-2004-0035050U KR20040035050U KR200379037Y1 KR 200379037 Y1 KR200379037 Y1 KR 200379037Y1 KR 20040035050 U KR20040035050 U KR 20040035050U KR 200379037 Y1 KR200379037 Y1 KR 200379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crusher
concrete
cut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05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상철
Original Assignee
엠비이엔지(주)
노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비이엔지(주), 노상철 filed Critical 엠비이엔지(주)
Priority to KR20-2004-0035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03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037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04G23/082Wrecking of buildings using shears, breakers, jaws and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러셔의 절단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redding device used to be mounted to the cutting portion of the crusher.

본 고안은 이를 위해 결합부(10)의 하단에는 회전몸체(11)가 구비되고, 이 회전몸체의 양단에는 구동실린더(14)가 구비되고, 이 구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는 하단에 연결된 절단부(20)가 작동하여 콘크리트를 파쇄하는 크러셔(1)에 있어서, 상기 양 절단부(20)의 정면에는 제2체결공(2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호 맞닿게 되는 측면에는 각각 요홈(22)과 돌기(2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과 일치되게 제1체결공(35)이 형성된 파쇄부(30)가 절단부(20)에 각각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2차파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provided with a rotary body 11 at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0, the driving cylinder 14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tary body,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cylinder is cut (connected to the lower end ( In the crusher 1 for crushing concrete by operating 20, a second fastening hole 21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cut portions 20, and grooves 22 and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23 is formed respectively, and the crushed portion 30, the first fastening hole 35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fastening hole is installed in the cutting portion 20 is configured to secondary crushing concret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절단부로 콘크리트를 1차 파쇄하고 나면 상기 절단부에 파쇄부를 장착하여 콘크리트를 2차 파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결국 1대의 중장비로 콘크리트를 1, 2차 모두 파쇄하게 되므로 경제적인 동시에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first crushing of the concrete with the cutting part so that the crushing part can be equipped with the crushing part so that the second crushing of the concrete can be done. At the same time, the efficiency of the work can be maximized, which greatly improves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Description

크러셔의 절단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파쇄장치{CRUSHING EQUIPMENT USING CUT CRUSHER} Crusher used for cutting part of crusher {CRUSHING EQUIPMENT USING CUT CRUSHER}

본 고안은 크러셔의 절단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부로 콘크리트를 1차 파쇄하고 나면 상기 절단부에 파쇄부를 장착하여 콘크리트를 2차 파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결국 1대의 중장비로 콘크리트를 1, 2차 모두 파쇄하게 되므로 경제적인 동시에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redding device used to be mounted to the cutting portion of the crusher, and more specifically, after the primary crushing concrete to the cutting portion to be equipped with a crushing portion to the cutting portion so that the second crushed concrete, which is eventually 1 It is economical and maximizes the efficiency of the work by crushing both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s with large heavy equipment,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주지하다시피 크러셔(CRUSHER)는 건축물 철거 작업시 콘크리트를 파쇄하는 기계장치이다.As is well known, CRUSHER is a mechanism for crushing concrete during building demolition work.

즉, 건축물 파쇄작업에 사용되는 크러셔의 작업은 건축물의 형상을 직접 파쇄하는 1차파쇄와, 상기 1차파쇄된 콘크리트 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2차파쇄로 각각 나뉘어진다. That is, the work of the crusher used for crushing the building is divided into primary crushing to directly crush the shape of the building and secondary crushing to crush the first crushed concrete mass.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1차파쇄는 건축물의 벽, 하리스, 기둥 등을 직접 파쇄하면서 철근을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그리고 2차파쇄는 상기 1차파쇄에서 콘크리트와 철근 분리를 위하여 기둥, 벽, 하리스 등의 덩어리를 잘게 부수어 파쇄하면서 철근과 콘크리트를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결국 현재 건축물 철거 현장에서 콘크리트의 1, 2차 파쇄를 동시에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primary crushing is performed to cut the reinforcing bar while directly crushing the walls, harris, pillars, etc. of the building, and the secondary crushing is used to separate the concrete and the reinforcing bar from the primary crushing. They will crush and crush lumps, walls, and Harris to separate the reinforcing bars and concrete.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and second crushing of concrete are being performed simultaneously at the demolition site of the building.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콘크리르를 1차파쇄하는 중장비와 2차파쇄하는 중장비가 각각 따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echnology has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that the heavy equipment for primary crushing concrete and the secondary equipment for secondary crushing are not economical,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is lower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절단부로 콘크리트를 1차 파쇄하고 나면 상기 절단부에 파쇄부를 장착하여 콘크리트를 2차 파쇄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이는 결국 1대의 중장비로 콘크리트를 1, 2차 모두 파쇄하게 되므로 경제적인 동시에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크러셔의 절단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파쇄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fter the primary crushing of the concrete to the cutting portion, the first object of the second crushing concrete to be equipped with a crushing portion to the cutting portion The second purpose is to economically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work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s are crushed by one heavy equipment, and the third purpose is to greatly improv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It provides a shredding device that is used to be mounted on the cutting portion of the crusher to enable the consumer to plant a good image.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결합부의 하단에는 회전몸체가 구비되고, 이 회전몸체의 양단에는 구동실린더가 구비되고, 이 구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는 하단에 연결된 절단부가 작동하여 콘크리트를 파쇄하는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양 절단부의 정면에는 제2체결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호 맞닿게 되는 측면에는 각각 요홈과 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과 일치되게 제1체결공이 형성된 파쇄부가 절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2차파쇄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러셔의 절단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파쇄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otating body at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art, and a driving cylinder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body, an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cylinder, a cutting part connected to the lower part is operated to crush the concrete. In the cutoff portion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two fastening portion and the side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with grooves and projections, respectively, and the crushing portion formed with the first fastening hole to be coincident with the second fastening hole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cutting portion It provides a shredding device that is used to be mounted to the cutting portion of the crush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rush the concrete secondary.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are as follows.

본 고안에 적용된 크러셔의 절단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파쇄장치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The shredding device used to be mounted to the cut portion of the crush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s.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 following terms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and the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먼저, 본 고안에 적용된 크러셔(1)는 각종 중장비와 연결되는 결합부(10)의 하단에 회전몸체(11)가 구비되고, 이 회전몸체(11)의 양단에는 제1,2힌지(13)(15)를 중심으로 작동되는 구동실린더(14)가 구비되고, 이 구동실린더(14)는 제3힌지(16)를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절단부(20)와 연결되고, 상기 절단부(20)의 작동에 의해서는 콘크리트를 파쇄하게 된다. 그리고 결합부(10)에는 회전몸체(11)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모터(12)가 구비된다.First, the crusher 1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otary body 11 at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0 connected to various heavy equipment, the first and second hinges 13 at both ends of the rotary body 11 A driving cylinder 14 is provided to operate around the 15, and the driving cylinder 14 is connected to a cutting unit 20 which is rotatable about the third hinge 16, and the cutting cylinder 20 By operation, the concrete is crushed. And the coupling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motor 12 for selectively rotating the rotating body (11).

상기한 기술은 종래와 같고, 다만, 이하의 기술적 구성이 본원고안의 특징이다.The above technique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except that the following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feat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즉, 상기 양 절단부(20)의 정면에는 제2체결공(2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호 맞닿게 되는 측면에는 각각 요홈(22)과 돌기(2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21)과 일치되게 제1체결공(35)이 형성된 파쇄부(30)는 절단부(20)에 각각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2차파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second fastening hole 21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two cutting portions 20, and the groove 22 and the protrusion 23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side facing each other, the second fastening hole 21 The first fastening hole 35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rushing unit 30 is formed in each of the cutting unit 20 is configured to secondary crushing concrete.

이때 상기 파쇄부(30)는, 절단부(20)에 끼워지게 공간부(38)가 형성된 연장편(34)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파쇄돌기(33)가 돌출 형성된 몸체(31)로 구성된다. In this case, the crushing portion 30 is composed of an extension piece 34 having a space 38 formed to fit the cutting portion 20, and a body 31 having a plurality of crushing protrusions 33 protruding at regular intervals. .

본 고안에서는 상기 파쇄돌기(33)를 삼각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상 도시한 것일뿐, 본원고안은 이와 같은 형상에 구에받지 않고 원형, 원뿔 및 그 외의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ushing protrusion 33 is shown as a triangle, but this is on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variously formed into a circle, a cone and other polygons without being subjected to such a shape. Of course it can.

그리고 상기 몸체(31)의 일측과 연장편(34)의 사이에는 요홈(22)의 형상과 일치되어 맞닿도록 만곡부(37)가 더 형성된다.The curved portion 37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one side of the body 31 and the extension piece 34 to be in contact with the shape of the groove 22.

또한 상기 몸체(31)에는 돌기(23)가 각각 끼워지도록 로킹홀(32)이 더 형성된다.In addition, a locking hole 32 is further formed in the body 31 so that the protrusions 23 are fitted therein.

더하여 상기 양 연장편(34)에는 이 연장편(34)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36)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iece 34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rib 36 supporting the extension piece 34 is further formed.

도면상 미 설명부호 40은 상기 제1,2체결공(35)(21)에 끼워지는 볼트이고, 41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이다.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 40 denotes a bolt f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35 and 21, and 41 denotes a nut fastened to the bolt.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take various forms in applying the above components.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mentioned in the above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크러셔의 절단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파쇄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crushing device used to be mounted to the cut por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crush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우선, 도 1 에 적용된 크러셔(1)의 절단부(20)에는 본 고안에 적용된 파쇄부(3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절단부(20)로 건축물의 벽, 하리스, 기둥 등을 파쇄하게 되는 것이며, 도 3, 4 는 본 고안 도 2 에 적용된 파쇄부(30)가 절단부(20)에 장착되어 콘크리트 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First, the cutting portion 20 of the crusher 1 applied to FIG.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crushing portion 3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mounted. In such a state, the cutting portion 20 is a wall, a harris, 3 and 4 show the crushed portion 30 applied to FIG.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cutting portion 20 to crush the concrete mass.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몸체(11)의 양단에 구비된 구동실린더(14)가 제1, 2힌지(13)(15)를 중심으로 작동하면 하단의 절단부(20)는 제3힌지(16)를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면서 콘크리트 벽, 하리스, 기둥 등을 1차로 파쇄하게 된다. 이때 결합부(10)에 구비된 모터(12)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회전몸체(11)가 선택적으로 회전하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은 이미 주지된 기술이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 when the driving cylinders 14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body 11 operate about the first and second hinges 13 and 15, the lower cutting part 20 ) Rotates about the third hinge 16 while primarily crushing concrete walls, harriss, columns,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rotating body 11 is selectively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12 provided in the coupling unit 10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work is a well-known technique.

상기 절단부(20)의 작동에 의해 콘크리트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요홈(22)의 양단에 돌출된 돌기(23)는 콘크리트를 짓누르면서 파쇄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In the process of crushing concrete by the operation of the cutting unit 20, the protrusions 23 protruding at both ends of the groove 22 have an effect of crushing while pressing the concrete.

상기와 같이 절단부(20)를 이용하여 건물을 파쇄한 후에는 콘크리트 덩어리를 2차로 파쇄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 때에는 도 2 에 도시된 파쇄부(30)를 도 3,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20)에 장착하여 콘크리트 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2차 파쇄작업을 수행하게 된다.After shredding the building by using the cutting unit 20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to crush the concrete agglomerate secondary, in which case the shredding unit 30 illustrated in FIG. 2 is illustrated in FIGS. 3 and 4. As shown in the cutout 20, the secondary crushing work to crush the concrete mass is performed.

즉, 파쇄부(30)를 양 절단부(20)의 내측에 끼우는 것으로, 이때 연장편(34)의 사이 공간부(38)에 절단부(20)가 삽입되는 것이며, 요홈(22)의 일측면에는 만곡부(37)가 맞닿아 설치되고, 돌기(23)는 로킹홀(32)에 끼워지게 된다. That is, the crushed portion 30 is inserted into the two cut portions 20, and the cut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38 between the extension pieces 34, and on one side of the groove 22. The curved portion 37 is abutted, and the protrusion 23 is fitted into the locking hole 32.

상기 요홈(22)에 만곡부(37)가 일치되게 맞닿아 설치되는 것과, 돌기(23)가 로킹홀(32)에 끼워지는 것은 절단부(20)에서 파쇄부(30)가 움직이지 않고 견고히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이와 아울러 양 연장편(34)의 공간부(38)도 절단부(20)에 긴밀히 밀착 끼워지는 것도 상기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The curved portion 37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ove 22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rotrusion 23 is fitted into the locking hole 32 in that the crushed portion 30 does not move in the cutting portion 20. In addition, the space 38 of both extension pieces 34 is also closely fitted to the cutting portion 20 can be expected to the above effects.

상기와 같이 파쇄부(30)가 절단부(20)에 일치되게 끼워지게 되면 제1체결공(35)과 제2체결공(21)이 상호 일치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볼트(40)를 제1,2체결공(35)(21)에 끼운후 볼트(40)의 끝단에 너트(41)를 체결하면 절단부(20)에 견고히 파쇄부(30)를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rushed portion 30 is fitted to the cutting portion 2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astening hole 35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21 are coincident with each other, and in this state, the bolt 40 is removed. After fastening the nut 41 to the end of the bolt 40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35 and 21, the fracture part 30 can be firmly installed to the cutting part 20.

이후 절단부(20)에 파쇄부(30)가 고정 설치되면 콘크리트 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2차 파쇄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몸체(31)의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돌출된 파쇄돌기(33)가 상호 겹쳐질때 콘크리트 덩어리를 짓누르면서 잘게 부수게 된다.After the crushing portion 30 is fixed to the cutting portion 20 is to perform a secondary crushing operation to crush the concrete lump, crushing protrusions 33 protruding a plurality of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body (31) When they overlap, they will crush and crush concrete block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2차 파쇄작업을 수행한 후에는 절단부(20)에서 다시 파쇄부(30)를 분리한 후 1차 파쇄를 위한 준비단계를 수행하게 된다.After the second shredding operation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shredding part 30 from the cutting part 20 and then performs a preparation step for the first shredding.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절단부로 콘크리트를 1차 파쇄하고 나면 상기 절단부에 파쇄부를 장착하여 콘크리트를 2차 파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는 결국 1대의 중장비로 콘크리트를 1, 2차 모두 파쇄하게 되므로 경제적인 동시에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As discuss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ush the concrete after the first crushing of the concrete by the cutting part so that the second crushing of the concrete by crushing the cutting part, which ultimately crushes the concrete with one heavy machine As a result, it is economical and maximizes the efficiency of the work, and this is a very useful design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so that consumers can plant a good image.

도 1 의 (a)는 본 고안에 적용된 크러셔의 기본 사시도이고,1 (a) is a basic perspective view of the crush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b)는 상기 도 1(a)의 정면도이다.        (b) is a front view of said FIG.

도 2 의 (a)는 본 고안에 적용된 파쇄부의 사시도이고,Figure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rushing por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b)는 본 고안에 적용된 파쇄부의 측면도이며,        (b) is a side view of the crushing por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는 본 고안에 적용된 파쇄부의 단면도이고,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rushing por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d)는 본 고안에 적용된 파쇄부의 평면도이다.        (d) is a plan view of the crushing por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의 (a)는 본 고안에 적용된 크러셔의 절단부에 파쇄부가 결합된 상태에Figure 3 (a) is a state in which the crushed portion is coupled to the cut portion of the crush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서 절단부가 벌어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utout state

(b)는 상기 도 3(a)의 정면도이다.        (b) is a front view of said FIG.

도 4 의 (a)는 본 고안에 적용된 크러셔의 절단부에 파쇄부가 결합된 상태에Figure 4 (a) is a state in which the crushing unit is coupled to the cut portion of the crush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서 절단부가 오무려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ut portion

(b)는 상기 도 4(a)의 정면도이다.        (b) is a front view of said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크러셔(CRUSHER) 10: 결합부1: CRUSHER 10: Coupling

20: 절단부 21: 체결공20: cutting part 21: fastening hole

22: 요홈 23: 돌기22: groove 23: protrusion

30: 파쇄부 32: 로킹홀30: crushed portion 32: locking hole

33: 파쇄돌기 34: 연장편33: crushing projection 34: extension

35: 체결공 37: 만곡부35: fastener 37: curved portion

Claims (5)

결합부(10)의 하단에는 회전몸체(11)가 구비되고, 이 회전몸체의 양단에는 구동실린더(14)가 구비되고, 이 구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는 하단에 연결된 절단부(20)가 작동하여 콘크리트를 파쇄하는 크러셔(1)에 있어서,Rotating body 1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art 10, and driving cylinders 14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cutting part 20 connected to the lower end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cylinder. In the crusher 1 for crushing concrete, 상기 양 절단부(20)의 정면에는 제2체결공(2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호 맞닿게 되는 측면에는 각각 요홈(22)과 돌기(2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과 일치되게 제1체결공(35)이 형성된 파쇄부(30)가 절단부(20)에 각각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2차파쇄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러셔의 절단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파쇄장치.A second fastening hole 21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two cutting parts 20, and grooves 22 and protrusions 23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side surface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fastening holes coincide with the second fastening holes. Crushing device 30 is used to be mounted to the cut portion of the cru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ushed portion 30 is formed in each of the cutting portion 20 is formed so as to crush the concrete secondary. 제 1 청구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파쇄부(30)는, 절단부에 끼워지게 공간부(38)가 형성된 연장편(34)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파쇄돌기(33)가 돌출 형성된 몸체(3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러셔의 절단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파쇄장치.The crusher 30, the cru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extension piece 34 formed with a space 38 to fit the cutting portion, and a body 31 protruding a plurality of crushing projections 33 at regular intervals Shredding device used to be mounted on the cut portion of the. 제 2 청구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2, 상기 몸체의 일측과 연장편의 사이에는 요홈의 형상과 일치되어 맞닿도록 만곡부(37)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러셔의 절단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파쇄장치.Crushing device used to be mounted to the cutting portion of the cru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portion 37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extension piece of the body to match the shape of the groove. 제 2 청구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2, 상기 몸체에는 돌기가 각각 끼워지도록 로킹홀(32)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러셔의 절단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파쇄장치.The shredding device is used to be mounted to the cutting portion of the cru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hole 32 is further formed so that the projections are fitted into the body. 제 2 청구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2, 상기 양 연장편에는 연장편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36)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러셔의 절단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파쇄장치.At least one rib 36 supporting the extension piece is formed on both of the extension pieces.
KR20-2004-0035050U 2004-12-09 2004-12-09 Crushing equipment using cut crusher KR20037903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050U KR200379037Y1 (en) 2004-12-09 2004-12-09 Crushing equipment using cut cru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050U KR200379037Y1 (en) 2004-12-09 2004-12-09 Crushing equipment using cut cru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037Y1 true KR200379037Y1 (en) 2005-03-17

Family

ID=4368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050U KR200379037Y1 (en) 2004-12-09 2004-12-09 Crushing equipment using cut cru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037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03857A (en) * 2016-03-07 2016-05-25 湖州中辰建设有限公司 Breaking hammer capable of assisting in stone breaking
KR102103911B1 (en) 2019-12-25 2020-05-29 한창희 Jaw crusher
KR20210087826A (en) 2020-01-03 2021-07-13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Jaw assembly structure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20230018698A (en) 2021-07-30 2023-02-07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rm open angle control device for crush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03857A (en) * 2016-03-07 2016-05-25 湖州中辰建设有限公司 Breaking hammer capable of assisting in stone breaking
CN105603857B (en) * 2016-03-07 2017-08-04 湖州中辰建设有限公司 A kind of quartering hammer for aiding in rubble
KR102103911B1 (en) 2019-12-25 2020-05-29 한창희 Jaw crusher
KR20210087826A (en) 2020-01-03 2021-07-13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Jaw assembly structure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20230018698A (en) 2021-07-30 2023-02-07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rm open angle control device for crus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23977A1 (en) Crushing device
KR100768569B1 (en) Jaw crushers for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KR200379037Y1 (en) Crushing equipment using cut crusher
WO2011152103A1 (en) Demolishing and cutting machine
JP4686590B2 (en) Crusher
JP2002001147A (en) Primary crushing blade and pulverizing device using the same
JPS6128839Y2 (en)
US7131606B2 (en) Comminution blade
JPH067182Y2 (en) Mass concrete crusher
CN214210687U (en) Gravel crushing device for road and bridge construction
CN205684124U (en) A kind of hammer crusher
KR200445677Y1 (en) Crasher
CN206688811U (en) A kind of asphalt disintegrating machine
KR100418864B1 (en) processor of a construction apparatus for destroying concrete structures and cutting steel reinforcing rods
JP2001193291A (en) Crushing machine
KR200239387Y1 (en) crusher
KR200235743Y1 (en) Acutting drum for a wood chipper usable in crusshing and shattering
KR200287402Y1 (en) Crusher
KR102528511B1 (en) Crush apparatus of Waste plastic
KR200228048Y1 (en) Cuter for shredder
JP2002273254A (en) Crushing blade
KR100546899B1 (en) Crush cutter for can crusher
JPH11319595A (en) Cracking machine
JPH05133112A (en) Crusher
KR200375520Y1 (en) Crush cutter for can cru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