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911B1 - Jaw crusher - Google Patents

Jaw cru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911B1
KR102103911B1 KR1020190174614A KR20190174614A KR102103911B1 KR 102103911 B1 KR102103911 B1 KR 102103911B1 KR 1020190174614 A KR1020190174614 A KR 1020190174614A KR 20190174614 A KR20190174614 A KR 20190174614A KR 102103911 B1 KR102103911 B1 KR 102103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crushing part
unit
side auxiliary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6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창희
Original Assignee
한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창희 filed Critical 한창희
Priority to KR1020190174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9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9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w crusher that can prevent a phenomenon of clogging an input port of an input box by crushing quickly when material are agglomerated inside the input box which supplies the materials to a sorting machine or a washing machine, in sorting and recycling materials such as rocks mixed with soil, waste concrete generated in a construction or demolition process, asphalt concrete, wood and plastic.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ushing unit for crushing materials while moving and elev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a press fitting device on the input port into which the materials are introduced.

Description

죠 크러셔{JAW CRUSHER}Jaw crusher {JAW CRUSHER}

본 발명은 죠 크러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흙과 섞여있는 돌이나, 건설 또는 철거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아스콘, 목재,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자재를 선별 및 세척하여 재활용 함에 있어, 선별기나 세척기로 자재를 공급하는 투입함의 내부에 자재가 뭉치게 될 경우 신속히 파쇄하여 투입함의 투입구를 막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죠 크러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w crusher, and more specifically, in sorting and washing materials such as stone mixed with soil or waste concrete, ascon, wood, plastic, etc.,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or demolition process, and recycling them. It relates to a jaw crusher that can prevent the phenomenon of clogging the input port of the input box by crushing quickly when the material is aggregated inside the input box for supplying the furnace material.

일반적으로 건설공사 현장 또는 토목공사 현장에서는 굴삭기와 같은 다양한 중장비가 사용되고 있는데, 공사현장의 암반 또는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장애물을 파쇄하거나 또는 빔 또는 철근 등의 자재를 끌어내거나 절단하는 작업을 위해서는 중장비의 하나인 굴삭기의 붐대에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통해 크러셔(CRUSHER)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various heavy equipment such as excavators are used in construction or civil construction sites. Heavy equipment is used to crush obstacles such as rock or existing concrete structures at construction sites, or to pull or cut materials such as beams or rebars. A crusher (CRUSHER) is attached to an boom of an excavator through an attachment (ATTACHMENT) and is used.

이러한 종래 굴삭기용 크러셔는 굴삭기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작동시키는 것으로, 굴삭기의 붐대(미도시) 선단에 어태치먼트(미도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벌크캡과, 이 벌크캡에 선회체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와, 이 몸체의 하단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축과, 이 한 쌍의 힌지축을 통해 중앙부위가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파쇄아암과, 양단이 한 쌍의 파쇄아암 후단부위에 각각 축결합되어 한 쌍의 파쇄아암 선단부위를 가위처럼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는 유압실린더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크러셔의 몸체에는 유압실린더와 굴삭기의 유압펌프를 연결하기 위한 유압장치가 내장되어 있다.Such a conventional crusher for an excavator is operated using an excavator hydraulic system, and a bulk cap detachably attached to an end of an excavator boom (not shown) through an attachment (not shown) and rotated through a swivel body to the bulk cap A body that is mounted as possible, a pair of hinge shaft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body, and a pair of crushing arms where the central part is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pair of hinge shafts, , Both ends are axial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a pair of crushing arms, each equipped with a hydraulic cylinder that can open or close the front end of the pair of crushing arms like scissors. And the body of the crusher is equipped with a hydraulic device for connecting the hydraulic cylinder and the hydraulic pump of the excavator.

또한, 한 쌍의 파쇄아암 선단에는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요철 형태의 파쇄이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ip of the pair of crushing arms is provided with crushed ridges in the concave-convex portions at mutually opposing portions.

따라서 유압펌프를 통해 유압실린더에 유압이 가해짐에 따라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전진하며, 이로인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 쌍의 파쇄아암 선단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작업 대상물(골재 또는 콘트리트 구조물 등)을 물면서 파쇄할 수 있다. 파쇄아암들의 가위와 같은 동작은 유압실린더에 유압이 가해지고 빠짐에 따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Therefore, as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hydraulic cylinder through the hydraulic pump, the piston rod of the hydraulic cylinder moves forward, thereby rotating the pair of crushing arm tips around the hinge axis in the direction that they approach each other (aggregate or concrete structure) Etc.). The scissors-like operation of the crushing arms is repeatedly performed as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and removed from the hydraulic cylinder.

기존 크러셔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8631호 "굴삭기용 크러셔"(등록일자:2010.04.23)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의 붐대에 장착되는 벌크캡과, 상기 벌크캡 선단에 선회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축과, 상기 한 쌍의 힌지축에 중앙부위가 각각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선단부 내측으로는 요철 형태의 파쇄이가 상호 대향되게 마련된 한 쌍의 파쇄아암과, 한 쌍의 파쇄아암 후단부에 양측 단부가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파쇄아암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를 갖춘 굴삭기용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쇄아암들 선단부 내측에는 상호 대향되도록 제1,제2미분장치가 각각 착탈식으로 부착되되; 상기 제1,제2미분장치는; 상기 파쇄아암의 선단부에 배치되며 마운팅볼트를 통해 상기 파쇄아암의 선단부 양측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한 쌍의 결합판과; 상기 파쇄아암의 선단부 내측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판의 선단부에 후면이 접합된 미분판과; 상기 미분판의 앞면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골재 폐기물을 깨뜨리기 위한 미분돌기를; 구비하는 것이다.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existing crusher, a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48631 "Excavator Crusher" (Registration Date: 2010.04.23), the bulk cap mounted on the boom of the excavator and the bulk cap tip The body is rotatably disposed through a pivot axis, a pair of hinge shafts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ip of the body, and a central portion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air of hinge shafts to rotate around the center, and to the inside of the tip portion In the crusher for excavators having a hydraulic cylinder for operating the crushing arm is axial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crushing arms and the rear end of the pair of crushing arms are provided so as to face each other; First and second differential devices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ner ends of the pair of crushing arms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differential devices; A pair of coupling plates disposed on the distal end of the crushing arm and fastened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distal end of the crushing arm through a mounting bolt; A fine plate having a rear surface joined 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oupling plat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sid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rushing arm; A pulverizing projection provided to protrud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ulverizing plate to break aggregate waste; It is equipped.

기존 굴삭기용 크러셔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9037호 "크러셔의 절단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파쇄장치"(등록일자 : 2005.03.08)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의 하단에는 회전몸체가 구비되고, 이 회전몸체의 양단에는 구동실린더가 구비되고, 이 구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는 하단에 연결된 절단부가 작동하여 콘크리트를 파쇄하는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양 절단부의 정면에는 제2체결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호 맞닿게 되는 측면에는 각각 요홈과 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과 일치되게 제1체결공이 형성된 파쇄부가 절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2차파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As another prior art related to the existing excavator crusher, a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79037, "The crushing device mounted and used in the cutting part of the crusher" (registration date: 2005.03.08), the lower part of the coupling part A rotating body is provided, a driving cylinder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body, and a cutting unit connected to a lower end operates to crush concrete by operating the driving cylinder. The grooves and protrusions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side where the balls are formed and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rushed portions in which the first fastening holes are formed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cut portions to coincide with the second fastening holes, so that the concrete can be secondaryly crushed.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is the technic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ventor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8631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4863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9037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79037

본 발명은, 흙과 섞여있는 돌이나, 건설 또는 철거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아스콘, 목재,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자재를 선별 및 세척하여 재활용 함에 있어, 선별기나 세척기로 자재를 공급하는 투입함의 내부에 자재가 뭉치게 될 경우 신속히 파쇄하여 투입함의 투입구를 막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죠 크러셔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sorting and washing and recycling materials such as stone mixed with soil or waste concrete, ascon, wood, plastic, etc. generated during a construction or demolition process, the inside of an input box that supplies materials to a sorting machine or a washing machine It provides a jaw crusher that can prevent the clogging of the input box of the input box by crushing quickly when the materials are bundl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재를 파쇄하는 구성을 보강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죠 크러셔를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aw crusher capable of increasing structural stability and life by reinforcing a material crushing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루게 분포되어 있는 자재를 넓은 범위로 한번에 파쇄하여, 기존에 비해 보다 효율적인 파쇄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자재의 보다 신속한 파쇄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자재를 파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기존에 비해 현저히 단축할 수 있으며, 파쇄 하고자 하는 자재에 대한 접촉 포인트를 넓힐 수 있는 죠 크러셔를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rushing the material evenly distributed in a wide range at a time, it can exhibit a more efficient crushing effect than the existing, the time required to crush the material by enabling a faster crushing operation of the material Provides a jaw crusher that can shorten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and widen the contact point for the material to be crush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겨울철과 같이 영하의 날씨에 자재가 얼어 있을 경우 자재를 열풍으로 일정시간 녹인 후 파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재를 파쇄하는 구성에 큰 충격이나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죠 크러셔를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terial is frozen in sub-zero weather, such as in winter, by dissolving the materia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 hot air, and then crush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arge impact or crowd from breaking the material. Provide jaw crush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재 파쇄 작업을 완료한 후 자재를 파쇄하는 구성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신속하고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죠 크러셔를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aw crusher capable of quickly and cleanly remov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in a composition that crushes a material after completing the material crushing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는, 자재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에서 압입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및 승강되면서 자재를 파쇄하는 파쇄부를 포함한다.The jaw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ushing part that crushes a material while moving and elev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an indenter on an inlet where the material is input.

그리고, 상기 파쇄부는 상기 압입기에 결합되며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커플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rush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indenter and includes a coupler with a bottom surface open and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또한, 상기 파쇄부의 둘레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일자형 보강립, 상기 일자형 보강립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파쇄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파쇄유닛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tiffening rib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ush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crushing units are disposed between the straight stiffening ribs and ar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rushing portion.

그리고, 상기 커플러의 외주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승강실린더, 상기 제1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제1 모터, 상기 제1 승강실린더에 의해 파쇄부 측으로 하강되어 자재와 접하고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자재를 파쇄하는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 상기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제1 보강체, 상기 제1 보강체의 외주연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수직바 및 제1 수평바를 포함하는 제2 격자형 보강립, 상기 제1 수직바 및 제1 수평바 사이 공간에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하측이 상기 제1 수직바 및 제1 수평바의 연결지점에 각각 고정되며,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분산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elevating cylinder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er, the first motor elevating by the first elevating cylinder, the first elevating cylinder is lowered to the crushing part by the first elevating cylinder to contact the material and contact the first motor. A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crushing the material while rotating in place by the first side, a first reinforcing bod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a plurality of first formed to cross each othe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reinforcing body A second lattice-type reinforcement rib including a vertical bar and a first horizontal bar, which are respectively inclin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vertical bar and the first horizontal bar,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bar and the first horizontal bar Each is fixed to a point, and further includes a first dispersion portion formed in a wave shape.

또한, 상기 파쇄부의 내부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센터 보조 파쇄부, 상기 커플러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센터 보조 파쇄부를 제자리 회전시키는 제2 모터, 상기 커플러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센터 보조 파쇄부가 파쇄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자재와 접하도록 상기 제2 모터를 하강시키는 제2 승강실린더, 상기 센터 보조 파쇄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제2 보강체, 상기 제2 보강체의 외주연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수직바 및 제2 수평바를 포함하는 제1 격자형 보강립, 상기 제2 수직바 및 제2 수평바 사이 공간에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하측이 상기 제2 수직바 및 제2 수평바의 연결지점에 각각 고정되며,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분산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rushing part so as to be liftable, a second motor arrang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upler and rotating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in plac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upler, and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A second lifting cylinder for lowering the second motor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additional crushing part to contact the material,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and cross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A first lattice-type reinforcing rib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vertical bars and a second horizontal bar that are formed, are disposed inclined in a space between the second vertical bar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vertical bar and It is respectively fix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horizontal bar,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dispersion portion formed in a wave shape.

그리고, 상기 파쇄부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장착링, 상기 장착링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직 형태 또는 경사진 형태로 각도 조절될 수 있는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 상기 각도조절 된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And, a mounting ring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rushing part, a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hinge-coupled to the mounting ring and angle-adjustable in the vertical or inclined form, the angle-adjusted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It further includes a fixing portion for fixing.

또한, 상기 제1 승강실린더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플러의 외면에 고정되는 제3 승강실린더, 상기 제3 승강실린더에 의해 하강되어 자재에 온열을 제공하는 히팅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 third lifting cylind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fting cylinder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er, and further lowered by the third lifting cylinder to further include a heating unit that provides heat to the material.

그리고, 상기 파쇄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털이부, 상기 커플러의 내면에 고정되는 에어분사부, 상기 에어분사부의 에어를 파쇄부,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의 표면에 각각 분사하는 분기호스를 포함하는 제거부, 상기 커플러의 내면에 고정되며 분기호스에 연결되어 상기 파쇄부,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의 표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부를 더 포함하고,And, the hair part for generating a vibration in the crushing portion, the air injection portion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er, a branch hose for spraying the air of the air injection portion to the crushing portion, the surface of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ortion, respectively Rejection, it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er and connected to the branch hose further comprises a washing water spray unit for spraying washing water to the surface of the crushing part,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상기 에어분사부와 세척수분사부는 각각 개폐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분기호스에 에어 또는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Each of the air injection unit and the washing water injection unit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valve to selectively supply air or washing water to the branch hose.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흙과 섞여있는 돌이나, 건설 또는 철거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아스콘, 목재,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자재를 선별 및 세척하여 재활용 함에 있어, 선별기나 세척기로 자재를 공급하는 투입함의 내부에 자재가 뭉치게 될 경우 신속히 파쇄하여 투입함의 투입구를 막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sorting and washing materials such as stone mixed with soil or waste concrete, ascon, wood, plastic, etc.,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or demolition process, and recycling them, the material is sorted or cleaned. When materials are aggregated inside the supply box,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quickly crushed to prevent clogging of the input port of the input box.

그리고, 자재를 파쇄하는 구성에 응력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life by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stress in the composition to crush the material.

또한, 고루게 분포되어 있는 자재를 넓은 범위로 한번에 파쇄하여 기존에 비해 보다 효율적인 파쇄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자재의 보다 신속한 파쇄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자재를 파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기존에 비해 현저히 단축할 수 있으며, 파쇄 하고자 하는 자재에 대한 접촉 포인트를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ly distributed materials can be crushed in a wide range at a time to show a more efficient crushing effect than before, and the time required to crush materials is significantly shorter than before by enabling faster crushing of material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act point for the material to be crushed.

그리고, 겨울철과 같이 영하의 날씨에 자재가 얼어 있을 경우 자재를 열풍으로 일정시간 녹인 후 파쇄할 수 있도록 하여 자재를 파쇄하는 구성에 큰 충격이나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when the material is frozen in sub-zero weather, such as in winter, the material is melted with a hot ai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crushed, so tha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a large impact or crowd from breaking the material.

또한, 자재 파쇄 작업을 완료한 후 자재를 파쇄하는 구성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신속하고 깨끗하게 제거하여 부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fter completing the material crushing ope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cleanly remove various foreign substances on the composition for crushing the material so as not to be corrod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a range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에 적용된 보조 파쇄 구성들과 이물질 제거 구성들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에 적용된 보강립, 파쇄유닛,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를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에 적용된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에서 파쇄부에 센터 보조 파쇄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에 센터 보조 파쇄부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에서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에 제2보강체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에 적용된 히팅부를 도시한 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에 털이부, 제거부, 세척수 분사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jaw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pplying the secondary crushing components and foreign matter removal components applied to the jaw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reinforcing rib, a crushing unit, and a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applied to a jaw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applied to the jaw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is applied to a crushing part in a jaw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jaw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einforcement is applied to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in the jaw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heating unit applied to the jaw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ir part, a removing part, and a washing water spraying part are applied to a jaw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illustrate,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xamples are described in detail enough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th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properties described herei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plac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can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ppropriate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rang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In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several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에 적용된 보조 파쇄 구성들과 이물질 제거 구성들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에 적용된 보강립, 파쇄유닛,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에 적용된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에서 파쇄부에 센터 보조 파쇄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에 센터 보조 파쇄부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에서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에 제2보강체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에 적용된 히팅부를 도시한 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에 털이부, 제거부, 세척수 분사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jaw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econdary crushing configuration and foreign matter removal configurations applied to the jaw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reinforcing rib, a crushing unit, and a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applied to a jaw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ond side auxiliary applied to a jaw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rushing unit,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unit is applied to the crushing unit in the jaw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ja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unit on the crusher,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einforcement is applied to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in the jaw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FIG. 9 is a view showing a heating part applied to a jaw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ir part, a removing part, and a washing water spray part are applied to a jaw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1)는 자재가 투입되는 투입함(3)의 투입구 상에서 뭉쳐 있는 자재를 파쇄함으로써, 자재의 원활한 투입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는 제품이다.The jaw cru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product capable of smoothly inputting materials by crushing the aggregated material on the input port of the input box 3 into which the material is input.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1)는 파쇄부(10), 제1 승강실린더(20), 제1 모터(30),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 제1 보강체(80), 제1 격자형 보강립(90), 센터 보조 파쇄부(50), 제2 모터(60), 제2 승강실린더(70), 장착링(110),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120), 고정부(130), 제2 보강체(140), 제2 격자형 보강립(150), 제3 승강실린더(170), 히팅부(180), 털이부(200), 제거부(190), 세척수분사부(210)를 포함한다.The jaw cru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pable of providing such an effect is a crushing part 10, a first elevating cylinder 20, a first motor 30, a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40, a first 1 Reinforcing body (80), first lattice-type reinforcing rib (90),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50), second motor (60), second lifting cylinder (70), mounting ring (110), second side auxiliary The crushing part 120, the fixing part 130, the second reinforcing body 140, the second lattice-type reinforcing rib 150, the third lifting cylinder 170, the heating part 180, the hair part 200, It includes a removal unit 190, a washing water spray unit 210.

이때, 투입함(3)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box 3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in which an upper surface is opened and an empty space is formed inside.

그리고, 투입함(3)의 일측면에는 자재를 외부로 내보내는 투입구가 형성된다.In addition, on one side of the input box 3, an input port for discharging materials to the outside is formed.

투입구는 도어(3a)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3a)는 실린더나 캠을 통해 반복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때, 도어(3a)는 투입구의 약 20% 내지 50%만 개방하도록 상승된다.The inle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3a. The door 3a may be repeatedly lifted through a cylinder or cam. At this time, the door 3a is raised to open only about 20% to 50% of the inlet.

즉, 도어(3a)는 실린더나 캠에 의해 소정거리 상승 및 하강되면서 자재를 일정량씩 투입함(3)의 외부로 내보낸다.That is, as the door 3a rises and falls a predetermined distance by a cylinder or cam, a certain amount of material is fed out to the outside of the input box 3.

또한, 투입함(3)의 바닥면은 자재를 투입구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put box 3 is formed to be inclined to transfer the material to the input port side.

이때, 자재는 흙과 섞여있는 돌, 건설 또는 철거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아스콘, 목재, 플라스틱과 같은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terial may be a stone mixed with soil, waste concret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or demolition, ascon, wood, plastic.

그리고, 투입구를 통과한 자재는 외부에 마련된 컨베이어밸트(미도시)를 타고 선별기(미도시)와 세척기(미도시) 측으로 이송되어 선별공정과 세척공정을 거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let may be transported to a sorting machine (not shown) and a washing machine (not shown) on a conveyor belt (not shown) provided outside to undergo a sorting process and a washing process.

파쇄부(10)는 압입기(2)의 다관절 붐대(2a) 끝단에 볼팅 결합되는 커플러(11)를 포함한다.The crushing part 10 includes a coupler 11 bolted to the end of the articulated boom 2a of the indenter 2.

이때, 압입기(2)는 포크레인이나 굴삭기와 같이 땅을 굴착할 때 압입력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기계이다.At this time, the indenter 2 is a conventional machine that generates pressure input and vibration when excavating the ground, such as a fork lane or an excavator.

그리고, 압입기(2)의 다관절 붐대(2a)는 실린더(3)에 의해 절첩되거나 또는 펼침 가능하며, 수평방향 이동 및 승강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And, the multi-joint boom stand 2a of the press-fitting machine 2 is folded or unfoldable by the cylinder 3 and is made of a structure capable of horizontal movement and elevation.

커플러(11)는 일측면 및 저면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커플러(11)는 평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er 11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and a bottom side are opened. The coupler 11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viewed from a plane in a substantially 'U' shape.

파쇄부(10)는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부(10a)가 커플러(11)의 저면 개방된 부분을 통해 내부공간에 삽입된다.The crushing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through the open part of the bottom of the coupler 11, the head part 10a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그리고, 커플러(11)와 헤드부(10a)에는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며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다.Then, the coupler 11 and the head portion 10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fastening hole in which a bolt is fastened is formed.

파쇄부(10)는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자재와 접하는 하측부분은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파쇄부(10)의 하단은 곡선형상으로 라운딩 처리된다.The crushing portion 10 is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constant length and diameter, and the low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material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its diameter gradually narrows. Then, the lower end of the shredding portion 10 is rounded in a curved shape.

따라서, 파쇄부(10)는 자재가 흙에 섞여 있을 경우, 흙을 용이하게 뚫고 들어가면서 자재를 파쇄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material is mixed with the soil, the crushing unit 10 can easily break through the soil and crush the material.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1)는 파쇄부(10)가 투입함(3)의 내부 투입구 상에서 압입기(2)에 의해 전,후,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 이동됨과 아울러, 압입기(2)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자재를 파쇄함으로써, 투입함(3) 내에 뭉쳐져 있는 자재를 파쇄함으로써, 자재가 투입구를 수월하게 통과하여 컨베이어밸트로 이송된 후 선별공정과 세척공정 등을 거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jaw cru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ved forward, backward, left, right, and diagonally by the indenter 2 on the inner inlet of the crushing part 10 in the inlet 3 , By crushing the material by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presser (2), by crushing the material stuck in the input box (3), the material passes through the input port easily and is transferred to the conveyor belt, and then sorting and washing processes, etc. It can provid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go through.

나아가 파쇄부(10)의 둘레면을 따라서는 복수개의 일자형 보강립(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일자형 보강립(12)들은 파쇄부(10)에 고루게 분포되어 보강력을 증대시킴으로써, 파쇄부(10)가 자재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휘어지지 아니하도록 한다.Furthermore, a plurality of straight reinforcing ribs 1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ushing part 10. The flat reinforcing ribs 12 are evenly distributed in the crushing part 10 to increase the reinforcing force, so that the crushing part 10 is not damaged or bent by the impact forc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rushing the material.

아울러, 파쇄부(10)의 둘레면에는 일자형 보강립(12)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파쇄부(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파쇄유닛(13)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crushing unit 13 is dispos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ushing portion 10 between the straight reinforcing ribs 12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rushing portion 10.

파쇄유닛(13)은 상단이 파쇄부(10)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거나 또는, 볼트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파쇄유닛(13)의 하단은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쇄부(10)가 접하지 못한 다른 자재를 파쇄한다.The crushing unit 13 may have an upper end integrally coupled to the crushing part 10 through welding, or detachably coupled through a bolt. And, the lower end of the crushing unit 13 is formed in a pointed shape to crush other materials that the crushing unit 10 has not come into contact with.

즉, 파쇄부(10)와 파쇄유닛(13)이 투입함(3)에 고루게 분포된 자재를 동시에 파쇄함에 따라, 자재의 보다 신속한 파쇄 작업이 가능해진다.That is, as the crushing unit 10 and the crushing unit 13 simultaneously crush the material evenly distributed in the input box 3, the material can be crushed more quickly.

제1 승강실린더(20)는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를 파쇄부(10) 측에 배치시키는 것으로,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lifting cylinder 20 is to arrange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40 on the crushing part 10 side, and may be formed of a hydraulic cylinder.

따라서, 제1 승강실린더(20)는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됨으로 인해 피스톤이 하강 또는 상승된다.Therefore, the piston of the first elevating cylinder 20 is lowered or raised due to hydraulic pressure being supplied or discharged.

제1 승강실린더(20)는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를 여러 개로 적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개가 커플러(11)의 외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elevating cylinder 20 may be coup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er 11 so that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40 can be applied in multiple numbers.

제1 모터(30)는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에 자재를 효율적으로 파쇄하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DC모터 또는 AC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motor 30 provides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40 with a rotational force for efficiently crushing materials, and may be formed of a DC motor or an AC motor in which the motor shaft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제1 모터(30)는 제1 승강실린더(20)의 피스톤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The first motor 30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iston of the first lifting cylinder 20, and may be raised or lowered.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는 제1 모터(30)의 모터축에 각각 결합된다.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s 4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motor shaft of the first motor 30.

따라서,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는 제1 승강실린더(20)의 피스톤에 의해 하강되거나 상승되고, 제1 모터(30)에 의해 제자리 회전된다.Therefore,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40 is lowered or raised by the piston of the first lifting cylinder 20, and is rotated in place by the first motor 30.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는 파쇄부(10)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파쇄부(10)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40 is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crushing part 10 and is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crushing part 10.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는 하강 시 파쇄부(10)의 일측에 배치된다.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4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rushing part 10 when descending.

이때,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는 그 하단이 파쇄부(10)의 하단과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자재에 접한다.At this time,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40 is located on the lower end and the horizontal line of the crushing part 10 to contact the material.

따라서,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는 투입구 상에서 파쇄부(10)와 함께 이동되면서 압입기(2)의 진동력으로 자재를 파쇄한다.Therefore,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40 is crushed by the vibration force of the indenter 2 while being moved together with the crushing unit 10 on the inlet.

이때,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는 제1 모터(30)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자재를 매우 효율적으로 파쇄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40 is rotated in place by the power of the first motor 30 to crush the material very efficiently.

제1 보강체(80)는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수용된다. 제1 보강체(80)는 금속과 같이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어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를 보강함으로써,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가 흙을 뚫고 들어가거나 자재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충격에 의해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아니하도록 한다.The first reinforcing body 80 is accommodated in an empty space formed inside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40. The first reinforcing body 8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rigidity, such as metal, thereby reinforcing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ortion 40, so that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ortion 40 penetrates the soil or crushes the material. Do not bend or break by impact during the process.

이때,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제1 보강체(80)는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의 개구부를 통해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opening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40, and the first reinforcement body 8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space through the opening of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40.

그리고,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에 제1 보강체(80)를 수용한 이후에는 개구부를 마개를 용접이나 볼팅 결합하여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n, after receiving the first reinforcement 80 in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ortion 40, it is preferable to close the opening by welding or bolting the closure.

제1 격자형 보강립(90)은 제1 보강체(80)의 외주연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수직바(91) 및 제2 수평바(1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grid-shaped reinforcing rib 9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vertical bars 91 and second horizontal bars 152 that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reinforcing body 80.

이러한 제1 격자형 보강립(90)은 금속과 같이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어 제1 보강체(80)를 보강한다.The first lattice-type reinforcing rib 9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rigidity such as metal to reinforce the first reinforcing body 80.

나아가, 제1 수직바(91) 및 제1 수평바(92)들은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가 자재를 파쇄함으로 인해 전달받게 되는 충격력을 분산하여 부담함으로써,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가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아니하도록 한다.Furthermore, the first vertical bar 91 and the first horizontal bar 92 disperse and bear the impact force received by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40 by crushing the material, thereby providing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 40) Do not bend or break.

부가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1)는 제1 수직바(91) 및 제1 수평바(92)와 함께 충격력을 분산하여 부담하는 제1 분산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jaw cru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ispersing unit 100 distributing and impacting the impact force together with the first vertical bar 91 and the first horizontal bar 92. have.

제1 분산부(100)는 제1 수직바(91) 및 제1수평바(92) 사이 공간에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되, 측면이 제1 보강체(80)에 고정되고 상,하측은 제1수직바(91) 및 제1수평바(92)의 연결지점에 각각 고정된다.The first dispersion unit 100 is disposed to be inclin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vertical bar 91 and the first horizontal bar 92, respectively, and the side surfaces are fixed to the first reinforcement 80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the first vertical The bar 91 and the first horizontal bar 92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connection points.

그리고, 제1 분산부(100)는 자체 강성이 보다 우수해질 수 있도록 파형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dispersion unit 100 is formed in a wave shape so that its own rigidity can be more excellent.

따라서, 제1 분산부(100)는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가 자재를 파쇄함으로 인해 전달되는 충격력을 안정적으로 부담하면서 제1 수직바(91)들과 제1 수평바(92)들에 고루게 분산시킨다. 이로 인해, 충격력에 대한 분산력과 부담력을 매우 효율적으로 해소하여 제1 보강체(8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first dispersing part 100 stably bears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by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40 by crushing the materials, while the first vertical bars 91 and the first horizontal bars 92 Disperse evenly.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first reinforcing body 80 by effectively dispersing the impact force and the burden on the impact force.

센터 보조 파쇄부(50)는 파쇄부(10) 보다 선행하여 자재를 파쇄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부(10)의 중앙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수용된다.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50 is to crush the material prior to the crushing part 10 and is accommodated in an empty space formed inside the center of the crushing part 10 as shown in FIG. 5.

센터 보조 파쇄부(50)는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자재와 접하는 하측 부분의 직경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ortion 50 is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constant length and diameter, and the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material is formed in a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그리고, 파쇄부(10)의 하단은 곡선형상으로 라운딩 처리되어 자재를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다.And, the lower end of the crushing part 10 is round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material can be easily crushed.

제2 모터(60)는 센터 보조 파쇄부(50)에 자재를 효율적으로 파쇄하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DC모터 또는 AC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motor 60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efficiently crush the material to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unit 50, and may be formed of a DC motor or an AC motor in which the motor shaft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제2 모터(60)는 커플러(1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제2 승강실린더(70)의 피스톤 하단에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The second motor 6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upler 11 a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iston of the second lifting cylinder 70 to be raised or lowered.

그리고, 제2 모터(60)의 모터축은 센터 보조 파쇄부(50)의 상단에 결합된다.And, the motor shaft of the second motor 6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50.

따라서, 센터 보조 파쇄부(50)는 제2 승강실린더(70)의 피스톤에 의해 하강되거나 상승되고, 제2 모터(60)에 의해 제자리 회전된다.Therefore,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50 is lowered or raised by the piston of the second lifting cylinder 70, and is rotated in place by the second motor 60.

센터 보조 파쇄부(50)는 하강 시 파쇄부(10)의 하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됨과 동시에 제2 모터(60)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파쇄부(10)보다 먼저 흙을 뚫고 들어가면서 자재를 파쇄한다. 그리고 파쇄부(10)가 이어서 흙을 뚫고 들어가면서 자재를 파쇄한다.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50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lower side of the crushing part 10 when descending, and at the same time rotates in place with the power of the second motor 60, crushes the material while piercing the soil before entering the crushing part 10 . Then, the crushing part 10 subsequently breaks through the soil and crushes the material.

즉, 파쇄부(10)와 센터 보조 파쇄부(50)가 함께 자재를 파쇄함으로, 파쇄부(10) 하나만 사용하는 것에 비해 보다 효율적인 파쇄작업이 이루어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보조 파쇄부(10)는 파쇄부(10)를 보강하면서 파쇄부(10) 상에서 자재를 애벌 파쇄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 파쇄부(1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해주면서 파쇄부(10)가 보다 수월하게 흙을 뚫고 들어가면서 자재를 파쇄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by crushing the material together with the crushing part 10 and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50, it is possible to make the crushing work more efficient than using only one crushing part 10, particularly the auxiliary crushing part 10 By performing the function of abruptly crushing the material on the crushing part 10 while reinforcing the crushing part 10, while secur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crushing part 10, the crushing part 10 more easily penetrates the soil and enters the material It can be made to crush.

제2 보강체(140)는 센터 보조 파쇄부(50)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수용된다.The second reinforcement 140 is accommodated in an empty space formed inside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50.

제2 보강체(140)는 금속과 같이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어 센터 보조 파쇄부(50)를 보강함으로써, 센터 보조 파쇄부(50)가 흙을 뚫고 들어가거나 자재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충격에 의해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아니하도록 한다.The second reinforcing body 14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stiffness such as metal, thereby reinforcing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50, so that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50 penetrates the soil or crushes the material. Do not bend or break by.

이때, 센터 보조 파쇄부(50)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제2 보강체(140)는 센터 보조 파쇄부(50)의 개구부를 통해 센터 보조 파쇄부(5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opening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5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ody 140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50 through the opening of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50. have.

그리고, 센터 보조 파쇄부(50)의 제2 보강체(140)를 수용한 이후에는 개구부를 마개를 용접이나 볼팅 결합하여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n, after receiving the second reinforcement 140 of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ortion 50, it is preferable to close the opening by welding or bolting the closure.

제2 격자형 보강립(150)은 제2 보강체(140)의 외주연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수직바(151) 및 제2 수평바(1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grid-shaped reinforcing rib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vertical bars 151 and second horizontal bars 152 that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reinforcing body 140.

이러한 제2 격자형 보강립(150)은 금속과 같이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어 제1 보강체(80)를 보강한다.The second lattice-type reinforcing rib 15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rigidity such as metal to reinforce the first reinforcing body 80.

나아가, 제2 수직바(151) 및 제2 수평바(152)들은 센터 보조 파쇄부(50)가 자재를 파쇄함으로 인해 전달받게 되는 충격력을 분산하여 부담함으로써, 센터 보조 파쇄부(50)가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아니하도록 한다.Further, the second vertical bar 151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152 distribute the impact force received by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unit 50 by crushing the material, thereby bending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unit 50 Do not break or break.

부가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1)는 제2 수직바(151) 및 제2 수평바(152)와 함께 충격력을 분산하여 부담하는 제2 분산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jaw cru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ispersing unit 160 distributing the impact force together with the second vertical bar 151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152. have.

제2 분산부(160)는 제2 수직바(151) 및 제2수평바 사이 공간에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되, 측면이 제2 보강체(140)에 고정되고 상,하측은 제2 수직바(151) 및 제2 수평바(152)의 연결지점에 각각 고정된다.The second dispersion unit 160 is disposed to be inclin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vertical bar 151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respectively, and the side surfaces are fixed to the second reinforcement 140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the second vertical bars 151 )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152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connection points.

그리고, 제2 분산부(160)는 자체 강성이 보다 우수해질 수 있도록 파형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dispersion unit 160 is formed in a wave shape so that its own rigidity can be more excellent.

따라서, 제2 분산부(160)는 센터 보조 파쇄부(50)가 자재를 파쇄함으로 인해 전달되는 충격력을 안정적으로 부담하면서 제2 수직바(151)들과 제2 수평바(152)들에 고루게 분산시킨다. 이로 인해, 충격력에 대한 분산력과 부담력을 매우 효율적으로 해소하여 제2 보강체(14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second dispersion unit 160 is evenly distributed between the second vertical bars 151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s 152 while stably burdening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by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unit 50 by crushing the material. Disperse.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econd reinforcing body 140 by effectively dispersing the impact force and the burden on the impact force.

장착링(110)은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120)가 설치되는 것으로 파쇄부(10)의 상측 외주연에 장착된다.The mounting ring 110 is provided with a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120 and is mount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crushing part 10.

장착링(110)은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120)를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하도록 파쇄부(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그 예로 장착링(110)은 2분할 구조로 이루어져 파쇄부(10)의 전측과 후측 또는 좌측과 우측을 감싸도록 볼팅 결합될 수 있다.The mounting ring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rushing part 10 so that the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120 is selectively applicable. For example, the mounting ring 110 has a two-part structure and can be bolted to surround the front and rear sides or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redding portion 10.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120)는 2개 이상이 장착링(110)에 외면에 힌지 결합되어 자재에 대해 수직 형태 또는 경사진 형태로 각도 조절될 수 있다.The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120 is two or more hing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ring 110 may be angle-adjusted in a vertical or inclined form with respect to the material.

고정부(130)는 파쇄부(10)의 외면에 볼팅 결합되어 각도 조절된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120)를 고정시킨다.The fixing part 130 is bol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rushing part 10 to fix the angle-adjusted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120.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위치고정홀(13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파쇄부(10)의 외면에는 위치고정홀(13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위치고정돌기(121)가 형성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4, the fixing hole 1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hole 131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3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rushing part 10 Position fixing projections 121 that can be fixed are formed.

따라서, 수집함의 크기나 투입함(3)에 수집된 자재의 분포도 등 다양한 작업 환경에 따라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120)를 수직 형태 또는 경사진 형태로 각도 조절한 다음, 어느 하나의 위치고정홀(131)에 위치고정돌기(121)를 삽입하여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120)를 고정한 후, 전술한 파쇄부(10), 센터 보조 파쇄부(50),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와 함께 투입구 상에 뭉쳐져 있는 자재를 파쇄하는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Accordingly, after adjusting the angle of the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120 in a vertical or inclined shape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such as the size of the collecting box or the distribution of the material collected in the input box 3, then fixing any one position After fixing the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120 by inserting the positioning protrusion 121 in the hole 131, the above-described crushing part 10,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50,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 With 40), you can perform the work of crushing the material stuck on the inlet.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1)는 전술한 파쇄부(10), 파쇄유닛(13),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 센터 보조 파쇄부(50),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120)들을 통해 자재를 넓은 범위로 파쇄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보다 효율적인 파쇄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자재의 보다 신속한 파쇄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자재를 파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기존에 비해 현저히 단축할 수 있으며, 파쇄 하고자 하는 자재에 대한 접촉 포인트를 넓힐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jaw crusher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the above-described crushing part 10, crushing unit 13,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40,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50, and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The material can be crushed to a wide range through the parts 120, thereby exhibiting a more efficient crushing effect than before, and enabling a faster crushing operation of the material, significantly reducing the time required to crush the material compared to the existing It can be shortened and can provide the advantage of widening the contact point for the material to be crushed.

한편, 제3 승강실린더(170)는 제1 승강실린더(2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커플러(11)의 외면에 결합되어 히팅부(180)를 자재 측으로 하강시키는 것으로,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lifting cylinder 17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er 11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lifting cylinder 20 to lower the heating unit 180 to the material side, and may be formed of a hydraulic cylinder. .

즉, 제3 승강실린더(170)는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됨으로 인해 피스톤이 하강 또는 상승되어 히팅부(180)가 자재와 마주하거나 또는 멀어지게 된다.That is, in the third lifting cylinder 170, the piston is lowered or raised due to hydraulic pressure being supplied or discharged so that the heating unit 180 faces or moves away from the material.

제3 승강실린더(170)는 히팅부(180)를 여러 개로 적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개가 커플러(11)의 외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elevating cylinder 170 may be coup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er 11 so that the heating unit 180 can be applied in multiple pieces.

히팅부(180)는 발열선을 포함하는 타입 또는 열풍을 발생 및 배출하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ating unit 180 may be formed of a type including a heating wire or a type that generates and discharges hot air.

열풍을 공급하는 타입의 경우 제3승강용 실린더에 의해 하강 시 자재와 마주할 수 있는 송풍구, 송풍구에 설치된 히터로 구성되어, 송풍기로 공급되는 상온의 송풍이 히터를 거치면서 열풍으로 가열되어 자재에 분사된다.In the case of the type that supplies hot air, it consists of a blower that can face the material when it descends by a third lifting cylinder, and a heater installed in the blower, and the air at room temperature supplied to the blower is heated by hot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er to the material. Is sprayed.

이러한 히팅부(180)는 겨울철과 같이 영하의 날씨에서 자재와 흙이 뒤섞여 얼은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The heating unit 180 may be used in a frozen state in which materials and soil are mixed in sub-zero weather as in winter.

즉, 자재를 파쇄하기 전에 히팅부(180)의 자재를 열풍으로 일정시간 녹인 후 파쇄하면, 파쇄부(10),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 센터 보조 파쇄부(50),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120)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f the material of the heating unit 180 is mel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hot air before crushing the material, and then crushed, the crushing part 10,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40,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50, and the seco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owd from going to the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120.

털이부(200)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헤드부(10a)의 외면에 설치된다.The hair part 200 may be formed of a vibrator that generates vibration, and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part 10a.

털이부(200)는 자재의 파쇄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작동되어 파쇄부(10)에 진동을 발생시켜 파쇄부(10)에 묻어 있는 흙, 먼지, 가루 등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한다.The hair part 200 is operated by a user operation after the crushing work of the material is completed to generate vibrations in the crushing part 10 to primarily collect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il, dust, and powder on the crushing part 10. Remove it.

이때,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 센터 보조 파쇄부(50),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120)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된 구조이므로, 털이부(200)의 진동력은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 센터 보조 파쇄부(50),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120)에도 전달된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40,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50, and the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120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vibration force of the hair part 200 is the first side auxiliary It is also transmitted to the crushing part 40,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50, and the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120.

따라서,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 센터 보조 파쇄부(50),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120)에 묻어 있는 이물질도 함께 제거된다.Accordingly, foreign matters on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40,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unit 50, and the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120 are also removed.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털이부(200)는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 센터 보조 파쇄부(50),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120)에도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hair part 20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40,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50, and the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120.

제거부(190)는 파쇄부(10),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한다.The removal unit 190 secondarily removes foreign substances on the crushing unit 10 and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40.

이를 위해 제거부(19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1)의 내면에 고정되고 에어를 배출하는 배출호스(192)를 구비하는 에어분사부(191), 배출호스(192)와 연결되어 에어분사부(191)의 에어를 파쇄부(10),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 센터 보조 파쇄부(50)의 표면에 각각 분사하는 분기호스(193)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removal unit 190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er 11 as shown in FIG. 9 and is connected to the air injection unit 191 and the discharge hose 192 having a discharge hose 192 for discharging air. It comprises a branch hose 193 to spray the air of the air injection unit 191 to the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10,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40,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unit 50, respectively.

이때, 분기호스(193)의 각 하측에는 파쇄부(10),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의 상측 둘레면을 감싸는 감쌈구간(193a,193b)가 형성되며 감쌈구간(193a,193b)들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분사홀이 형성되어, 에어분사부(191)에서 배출되는 에어가 파쇄부(10),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분사되어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wrapping sections 193a and 193b surrounding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rushing section 10 and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section 40 are formed on each lower side of the branch hose 193, and the wrapping sections 193a and 193b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injection unit 191 is sprayed downward from above the crushing unit 10 and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4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분기호스(193)는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120)에도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branch hose 193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120.

세척수분사부(210)는 제거부(190)가 작동된 이후에 작동되어 파쇄부(10),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의 표면을 세척한다.The washing water spray unit 210 is operated after the removal unit 190 is operated to clean the surfaces of the crushing unit 10 and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40.

이를 위해 세척수분사부(21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1)의 내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탱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배출호스(211)가 제거부(190)의 배출호스(192)와 공동으로 분기호스(193)에 연결된다. 그리고, 배출호스(192,211)에는 개폐밸브(V1,V2)가 각각 설치된다.To this end, the washing water spray unit 210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er 11 as shown in FIG. 9, and may be formed of a tank structure in whic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washing water is formed, and provided for discharging washing water The discharge hose 211 is connected to the branch hose 193 jointly with the discharge hose 192 of the removal unit 190. Then,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s (V1, V2)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discharge hose (192,211).

따라서, 에어분사부(191)가 작동할 때 개폐밸브(V1)는 개방되고 개폐밸브(V2)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여 파쇄부(10) 및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의 표면에 에어만 분사되고, 세척수분사부(210)가 작동할 때 개폐밸브(V1)은 폐쇄되고 개폐밸브(V2)는 개방되어 파쇄부(10) 및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의 표면에 세척수가 분사된다.Therefore, when the air injection unit 191 is operated, the on-off valve V1 is opened and the on-off valve V2 is kept closed so that air is applied to the surfaces of the crushing unit 10 and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40. When only the spray water spray unit 210 is operated, the opening / closing valve V1 is closed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V2 is opened to wash water on the surfaces of the crushing part 10 and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40. Is sprayed.

본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1)는 이상 설명한 털이부(200), 제거부(190), 세척수분사부(210)를 통해 파쇄부(10),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40), 센터 보조 파쇄부(50),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120) 등이 이물질에 오염되어 부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등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The jaw cru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rushing part 10, a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40, a center through the hair part 200, a removing part 190, and a washing water spraying part 210 described above. Auxiliary crushing unit 50, the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120, etc. can provide the advantage of extending the life of the product, such as not to be contaminated with foreign matter to prevent corrosion.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on only, and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be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all modified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 .

1 : 죠 크러셔 2 : 압입기
2a : 다관절 붐대 2b : 실린더
3 : 투입함 3a : 도어
10 : 파쇄부 10a : 헤드부
11 : 커플러 12 : 보강립
13 : 파쇄유닛 20 : 제1 승강실린더
30 : 제1 모터 40 :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
50 : 센터 보조 파쇄부 60 : 제2 모터
70 : 제2 승강실린더 80 : 제1 보강체
90 : 제1 격자형 보강립 91 : 제1 수직바
92 : 제1 수평바 100 : 제1 분산부
110 : 장착링 120 :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
121 : 위치고정돌기 130 : 고정부
131 : 위치고정홀 140 : 제2 보강체
150 : 제2 격자형 보강립 151 : 제2 수직바
152 : 제2 수평바 160 : 제2 분산부
170 : 제3 승강실린더 180 : 히팅부
190 : 제거부 191 : 에어분사부
192,211 : 배출호스 193 : 분기호스
193a, 193b : 감쌈구간 200 : 털이부
210 : 세척수분사부 V1,V2 : 밸브
1: Jaw crusher 2: Indenter
2a: Multi-joint boom 2b: Cylinder
3: Input box 3a: Door
10: crushing portion 10a: head portion
11: Coupler 12: Reinforcement lip
13: crushing unit 20: first lifting cylinder
30: 1st motor 40: 1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50: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60: second motor
70: 2nd lifting cylinder 80: 1st reinforcement body
90: first grid-shaped reinforcement rib 91: first vertical bar
92: first horizontal bar 100: first dispersion
110: mounting ring 120: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121: position fixing protrusion 130: fixing part
131: Position fixing hole 140: Second reinforcement
150: second grid-shaped reinforcement 151: second vertical bar
152: second horizontal bar 160: second dispersion unit
170: third lifting cylinder 180: heating unit
190: removal unit 191: air injection unit
192,211: discharge hose 193: branch hose
193a, 193b: wrapped section 200: hairy part
210: Washing water injection unit V1, V2: valve

Claims (2)

자재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에서 압입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및 승강되면서 자재를 파쇄하는 파쇄부; 및
상기 파쇄부는 상기 압입기에 결합되며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부의 둘레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일자형 보강립,
상기 일자형 보강립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파쇄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파쇄유닛,
상기 커플러의 외주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승강실린더,
상기 제1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제1 모터,
상기 제1 승강실린더에 의해 파쇄부 측으로 하강되어 자재와 접하고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자재를 파쇄하는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
상기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제1 보강체,
상기 제1 보강체의 외주연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수직바 및 제1 수평바를 포함하는 제2 격자형 보강립,
상기 제1 수직바 및 제1 수평바 사이 공간에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하측이 상기 제1 수직바 및 제1 수평바의 연결지점에 각각 고정되며,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분산부,
상기 파쇄부의 내부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센터 보조 파쇄부,
상기 커플러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센터 보조 파쇄부를 제자리 회전시키는 제2 모터,
상기 커플러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센터 보조 파쇄부가 파쇄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자재와 접하도록 상기 제2 모터를 하강시키는 제2 승강실린더,
상기 센터 보조 파쇄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제2 보강체,
상기 제2 보강체의 외주연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수직바 및 제2 수평바를 포함하는 제1 격자형 보강립,
상기 제2 수직바 및 제2 수평바 사이 공간에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하측이 상기 제2 수직바 및 제2 수평바의 연결지점에 각각 고정되며,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분산부,
상기 파쇄부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장착링,
상기 장착링에 힌지 결합되어 수직 형태 또는 경사진 형태로 각도 조절될 수 있는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
상기 각도조절 된 제2 사이드 보조 파쇄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제1 승강실린더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플러의 외면에 고정되는 제3 승강실린더,
상기 제3 승강실린더에 의해 하강되어 자재에 온열을 제공하는 히팅부,
상기 파쇄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털이부,
상기 커플러의 내면에 고정되는 에어분사부, 상기 에어분사부의 에어를 파쇄부,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의 표면에 각각 분사하는 분기호스를 포함하는 제거부,
상기 커플러의 내면에 고정되며 분기호스에 연결되어 상기 파쇄부, 제1 사이드 보조 파쇄부의 표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분사부와 세척수분사부는 각각 개폐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분기호스에 에어 또는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죠 크러셔.
A crushing unit that crushes the material while moving and elev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an indenter on the input port where the material is input; And
The crushing part is coupled to the indenter and includes a coupler with a bottom surface open and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straight reinforcing rib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ushing portion,
A plurality of crushing units which are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straight reinforcing ribs and ar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rushing part,
A first lifting cylinde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er,
A first motor lifted by the first lift cylinder,
A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descending toward the crushing part by the first lifting cylinder to contact the material and crushing the material while rotating in place by the first motor,
A first reinforcing bod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
A second lattice type reinforcement lip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vertical bars and a first horizontal bar formed to cross each othe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reinforcement,
The first vertical bar and the first horizontal bar are respectively inclined in the space,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connection points of the first vertical bar and the first horizontal bar, the first dispersion portion formed in a wave shap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is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rushing part to be elevated,
A second motor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upler and rotating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ortion in place;
A second lifting cylinder which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upler and lowers the second motor so that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protrudes to the lower side of the crushing part to contact the material
A second reinforcing bod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enter auxiliary crushing part,
A first lattice-type reinforcement lip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vertical bars and second horizontal bars formed to cross each othe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reinforcement,
A second dispersion portion which is disposed to be inclined in a space between the second vertical bar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connection points of the second vertical bar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and formed in a wave shape;
Mounting ring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rushing portion
A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hinge-coupled to the mounting ring and angle-adjustable in a vertical or inclined form,
Fixing part for fixing the angle-adjusted second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A third lifting cylind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fting cylinders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er,
A heating unit descending by the third lifting cylinder to provide warmth to the material,
A hairy part that generates vibrations in the shredding part,
An air injection unit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er, a removal unit including a branch hose for spraying the air of the air injection unit to the crushing unit and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unit, respectively,
It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er and connected to the branch hose further comprises a washing water spray unit for spraying washing water to the surface of the crushing part and the first side auxiliary crushing part,
The air injection unit and the washing water injection unit each have an opening / closing valve, and a jaw crusher capable of selectively supplying air or washing water to the branch hose.
삭제delete
KR1020190174614A 2019-12-25 2019-12-25 Jaw crusher KR1021039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614A KR102103911B1 (en) 2019-12-25 2019-12-25 Jaw cru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614A KR102103911B1 (en) 2019-12-25 2019-12-25 Jaw cru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911B1 true KR102103911B1 (en) 2020-05-29

Family

ID=7091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614A KR102103911B1 (en) 2019-12-25 2019-12-25 Jaw cru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91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660Y1 (en) * 2002-07-08 2002-10-25 정태현 Jaw crusher
KR200379037Y1 (en) 2004-12-09 2005-03-17 엠비이엔지(주) Crushing equipment using cut crusher
KR200448631Y1 (en) 2008-08-22 2010-05-03 박찬환 A crusher for excav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660Y1 (en) * 2002-07-08 2002-10-25 정태현 Jaw crusher
KR200379037Y1 (en) 2004-12-09 2005-03-17 엠비이엔지(주) Crushing equipment using cut crusher
KR200448631Y1 (en) 2008-08-22 2010-05-03 박찬환 A crusher for excav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3216A (en) Demolishing apparatus
US7810748B2 (en) Scrapping machine
KR102103911B1 (en) Jaw crusher
KR20110025421A (en) Crusher
CN105604115B (en) A kind of quartering hammer with material recycle and dust exhaust apparatus
JP2001065177A (en) Crusher with arms replaceable according to object
JP3090110B2 (en) Structure crusher and water supply system used for the structure crusher
WO1992018708A1 (en) Concrete deck pulverizer
JP2000220163A (en) Hydraulic shovel with bucket and pinching tool
KR102055552B1 (en) Methodfor sorting waste from construction site
KR100252487B1 (en) Crusher for crushing a construction material and method for dismantling the construction material using the crusher
KR102071876B1 (en) Method for installing prevention of flying foreign substances
KR101524665B1 (en) Stone Crusher Of Solid Matter
JPH054522Y2 (en)
JP6626863B2 (en) Pavement slab breaking bucket, construction machine using the bucket, and pavement slab breaking method
GB23434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materials
JP3057673B2 (en) Pavement peeling crusher
JPH07601Y2 (en) Block concrete crusher
US20030146316A1 (en) Comminution machine or crusher
JP3082844B2 (en) Bucket type crusher
KR102615136B1 (en) Crusher combination bucket
JP4739614B2 (en) Crushing machine
CN216532494U (en) Soil improvement device based on gardens environmental protection
KR102055553B1 (en) Methodfor sorting waste from construction site
KR101209078B1 (en) Crusher having funcion of bu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