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620Y1 -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620Y1
KR200378620Y1 KR20-2004-0037526U KR20040037526U KR200378620Y1 KR 200378620 Y1 KR200378620 Y1 KR 200378620Y1 KR 20040037526 U KR20040037526 U KR 20040037526U KR 200378620 Y1 KR200378620 Y1 KR 200378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ulate matter
flow path
air
impactor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원
권순박
김대성
송창병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20-2004-0037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6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6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impa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65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using electric, e.g. electrostatic methods or magnet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granular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2015/0288Sorting the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된 입자상 물질을 전기적으로 하전시키고 입경별로 분류하여 각 크기별 하전량을 측정함으로써 포집된 입자의 입경별 개수 농도 및 질량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기류가 흐르기 위한 유통로가 관통 형성된 외벽과, 상기 유통로 내에 설치된 와이어 전극과, 상기 와이어 전극과 상기 유통로의 출구사이에서 상기 유통로 상에 설치된 이온트랩극과, 상기 유통로를 따라 흐르는 기류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하전시키기 위한 단극 이온이 생성되도록 상기 와이어 전극에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고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와이어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이온트랩극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이온트랩극에 연결된 전압원을 포함하여 구성된 하전기와; 유입된 기류가 흐르기 위한 유통로가 관통 형성된 외벽과, 상기 유통로를 따라 흐르는 기류를 소정 속도로 가속시키도록 상기 유통로상에 설치된 가속노즐과, 상기 가속노즐을 통과한 기류 속의 입자상 물질 중 소정 절단입경 이상의 입자상 물질이 충돌되어 포집되도록 상기 가속노즐을 통과하여 가속된 기류의 전방에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상기 유통로 내에 설치된 전도성 재질의 충돌기판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팩터 스테이지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최초 임팩터 스테이지의 유통로의 입구가 상기 하전기의 유통로의 출구에 연결된 임팩터와; 외부와 전기적으로 차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유입된 기류가 흐르기 위한 유통로를 갖는 외벽과, 상기 유통로를 흐르는 기류 속의 입자상 물질이 포집되록 상기 유통로상에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상기 유통로상에 설치된 전도성 재질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입구가 상기 임팩터의 최종 임팩터 스테이지의 유통로의 출구에 연결된 최종포집기와; 상기 하전기의 유통로의 입구로 입자상 물질이 포함된 기류가 유입되어 하전기의 유통로, 임팩터의 각 임팩터 스테이지의 유통로 및 최종포집기의 유통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최종포집기의 유통로의 출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최종포집기의 출구에 연결된 진공펌프와; 상기 임팩터의 각 임팩터 스테이지의 충돌기판과 상기 최종포집수단의 필터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돌기판과 필터 각각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류측정기와; 전류량 데이터를 상기 전류측정기로부터 전송받아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산출하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A REAL-TIME MONITOR FOR PARTICULATE MATTER SUSPENDED IN THE AIR}
본 고안은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된 입자상 물질을 전기적으로 하전시키고 입경별로 분류하여 각 크기별 하전량을 측정함으로써 포집된 입자의 입경별 개수 농도 및 질량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황사나 경유자동차의 배기가스에는 입자상 물질(PM, Particulate Matter)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입자상 물질 중 미세입자는 인체의 호흡기에 쉽게 침투,축적되어 호흡기 질환, 대도시의 시정장애 및 스모그 현상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입자상 물질을 규제하기 위한 환경규제를 마련하고 있으며, 그 기준도 입자상 물질의 크기가 인체의 위해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로 인식되면서 기존의 질량규제에서 입경별 개수 농도에 대한 규제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추세에 맞는 측정기술과 측정장치가 요구된다.
현재 대기중에 부유하는 입자상 물질을 측정하는 방법은 입자상 물질 도입부를 이용해 특정 입경에서 입자를 분리한 뒤, 측정하고자 하는 입자상 물질을 일정 시간 필터에 포집하여 그 질량을 측정하여 대기중에 부유하는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PM10(입경이 10㎛ 이하인 입자상 물질)을 측정하는 경우 PM10 도입부에서 10㎛이상의 입자들을 모두 제거하고 10㎛보다 작은 입자들만을 24시간동안 필터에 포집한 뒤, 필터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의 질량과 샘플링 유량을 이용하여 대기중 PM10의 질량 농도를 계산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37138호 및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08920호에는 PM10 또는 PM2.5의 도입부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54795호에는 PM 도입부에서 분리된 입자들을 일정시간 필터에 포집하여 측정하는 '카셋트형 필터를 이용한 대기중의 분지 포집 및 검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현재 대부분의 대기오염 측정망에는 Beta ray의 원리를 이용한 측정장치를 적용하여 PM10 및 PM2.5의 분진을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대기중 부유하는 입자상 물질의 측정 장치는 입자상 물질의 포집과 포집된 입자상 물질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데 장시간이 소요되어 실시간은 입자상 물질을 측정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종래의 대기중 부유하는 입자상 물질의 측정 장치는 입자상 물질의 측정시기와 분석시기 사이의 시간차가 커서 원활한 대기환경 관리가 어렵다.
또한, 종래의 대기중 부유하는 입자상 물질의 측정 장치는 입자상 물질의 분포 농도 외에는 입자 개수의 정량화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체의 위해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로 인식되는 입자상 물질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입경별 개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없는 한계를 갖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어 시간별 입자상 물질의 농도 변화추이를 현장에서 바로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기환경을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대기중 입자상 물질의 입경별 개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대기오염의 주원인인 경유자동차 등의 배출원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자상 물질의 질량 농도를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있는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기류가 흐르기 위한 유통로가 관통 형성된 하전기 외벽과, 상기 유통로 내에 설치된 와이어 전극과, 상기 와이어 전극과 상기 유통로의 출구사이에서 상기 유통로 상에 설치된 이온트랩극과, 상기 유통로를 따라 흐르는 기류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하전시키기 위한 단극 이온이 생성되도록 상기 와이어 전극에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고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와이어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이온트랩극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이온트랩극에 연결된 전압원을 포함하여 구성된 하전기와; 유입된 기류가 흐르기 위한 유통로가 관통 형성된 스테이지 외벽과, 상기 유통로를 따라 흐르는 기류를 소정 속도로 가속시키도록 상기 유통로상에 설치된 가속노즐과, 상기 가속노즐을 통과한 기류 속의 입자상 물질 중 소정 절단입경 이상의 입자상 물질이 충돌되어 포집되도록 상기 가속노즐을 통과하여 가속된 기류의 전방에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상기 유통로 내에 설치된 전도성 재질의 충돌기판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팩터 스테이지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최초 임팩터 스테이지의 유통로의 입구가 상기 하전기의 유통로의 출구에 연결된 임팩터와; 외부와 전기적으로 차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유입된 기류가 흐르기 위한 유통로를 갖는 최종포집기 외벽과, 상기 유통로를 흐르는 기류 속의 입자상 물질이 포집되록 상기 유통로상에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상기 유통로상에 설치된 전도성 재질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입구가 상기 임팩터의 최종 임팩터 스테이지의 유통로의 출구에 연결된 최종포집기와; 상기 하전기의 유통로의 입구로 입자상 물질이 포함된 기류가 유입되어 하전기의 유통로, 임팩터의 각 임팩터 스테이지의 유통로 및 최종포집기의 유통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최종포집기의 유통로의 출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최종포집기의 출구에 연결된 진공펌프와; 상기 임팩터의 각 임팩터 스테이지의 충돌기판과 상기 최종포집기의 필터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돌기판과 필터 각각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류측정기와; 상기 전류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전류량을 연산처리 가능한 전류량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데이터 로거와; 전류량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로거로부터 전송받아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산출하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는, 상기 하전기 외벽의 유통로의 입구는 기류의 진행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넓어지게 형성되고, 일단이 원추형으로 형성된 원추부와 상기 원추부로부터 타단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원기둥부를 갖는 절연체가 상기 원추부는 상기 하전기 외벽의 유통로의 입구 쪽을 향하고 상기 원기둥부의 외주면은 유통로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하전기 외벽의 유통로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전극은 상기 절연체의 원추부의 첨점에서 기류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말단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온트랩극은 상기 절연체의 원기둥부의 외주연을 소정 폭으로 감싸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는, 상기 하전기의 외벽은 유통로의 출구가 기류의 진행방향으로 점접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최초 임팩터 스테이지의 가속노즐로 이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는, 상기 임팩터는, 절단입경이 10㎛인 임팩터 스테이지와, 절단입경이 5㎛인 임팩터 스테이지와, 절단입경이 2.5㎛인 임팩터 스테이지와, 절단입경이 1㎛인 임팩터 스테이지와, 절단입경이 0.7㎛인 임팩터 스테이지가 순서대로 직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는, 상기 임팩터 스테이지의 충돌기판은 다공성 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는 유입된 기류속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전기적으로 하전시키기 위한 하전기(10)와, 기류속의 입자상 물질을 입경별로 분리하여 포집하기 위한 임팩터(20)와, 임팩터(20)에서 포집되지 않은 극 미세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최종포집기(30)와, 기류가 하전기(10)로 유입되어 상기 임팩터(20)와 최종포집기(30)를 흐르도록 펌핑하기 위한 진공펌프(40)와, 포집된 입자상 물질의 전류량으로 측정하기 위한 전류측정기(50)와, 전류측정기(50)에서 측정된 전류량 값을 연산처리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로거(60), 및 전송된 전류량 데이터로부터 실시간으로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산출하기 위한 컴퓨터(7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의 하전기(1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전기(10)는 유통로(12)를 갖는 하전기 외벽(11)과, 절연체(13), 와이어 전극(14), 이온트랩극(15), 및 전압원(16)을 포함한다.
상기 하전기 외벽(11)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기류가 흐르기 위한 유통로(12)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유통로(12)의 내부에는 와이어 전극(14)과 이온트랩극(15)이 설치되어 입구(12a)로 유입된 기류가 전기적으로 하전되어 출구(12b)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임팩터(20)로 유입된다. 상기 하전기(10)의 유통로(12) 내부에는 입자상 물질의 하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기류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류는 하전기(10)의 유통로(12) 및 그 내부에 설치된 절연체(13)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기 하전기(10)는 코로나 방전을 위한 강한 전장에 의한 입자상 물질의 손실, 즉 입자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하전기 외벽(11)의 유통로(12)의 입구(12a)를 기류의 진행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넓어지게 형성하고, 하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절연체(13)의 형상을 상기 유통로(12)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추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입자상 물질의 하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류가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입자손실을 최소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입자가 하전된 기류는 상기 하전기 외벽(11)의 유통로(12)를 출구(12a)를 통해 배출되어 임팩터(20)의 최초 임팩터 스테이지(S1)의 유입구(22a)로 유입된다. 본 고안은 상기 하전기 외벽(11)의 유통로(12)의 출구(12b)의 형상을 상기 하전기(10)로부터 임팩터(20)로 기류가 유입되는 과정중에 입자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상기 하전기 외벽(11)의 유통로(12)의 출구(12a)를 기류의 진행방향으로 점접 좁아지게 형성하여 상기 최초 임팩터 스테이지의 가속노즐로 이어지게 형성함으로써 입자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절연체(13)는 상기 하전기 외벽(11)과 함께 입자상 물질이 효과적으로 하전되도록 하기 위한 기류를 상기 하전기 외벽(11)의 유통로(12) 내에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 전극(14)과 상기 이온트랩극(15)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상기 유통로(12)의 내부에 설치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절연체(13)의 재질은 테플론이 적합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절연체(13)는 일단이 원추형으로 형성된 원추부(13a)와 상기 원추부(13a)로부터 타단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원기둥부(13b)를 가지며, 상기 원추부(13a)는 상기 하전기 외벽(11)의 유통로(12)의 입구(12a) 쪽을 향하고 상기 원기둥부(13b)의 외주면은 하전기(10)의 유통로(12)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하전기 외벽(11)의 유통로(12)의 내부 중앙에 설치된다. 하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원추부(13a)의 첨점으로부터 돌출된 와이어 전극(14)의 주위 공간에는 단극 이온이 생성되어 존재되며, 그 공간을 입자상 물질이 통과할 때 이온의 브라운 운동에 의하여 이온과 입자상 물질이 충돌하여 입자상 물질이 하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단극 이온이 발생되는 와이어 전극(14) 주위의 공간에서 입자상 물질이 이온과 충돌이 잘 이루어지기 위한 기류가 형성되고 입자손실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하전기 외벽(11)의 유통로(12)의 입구(12a)를 기류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하고 상기 절연체(13)를 상기 하전기 외벽(11)의 유통로(12)의 입구(12a) 형상에 대응하는 원추형의 형상을 갖는 원추부(13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의 하전의 유통로 내에서의 기류 유동장의 속도벡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전기 외벽(11)의 유통로(12)로 유입된 기류는 상기 절연체(13)의 원추부(13a)와 하전기 외벽(11)의 유통로(12)의 내면 사이의 공간에서 속도가 감소되며, 기류의 일부는 그 공간에서 회류되기 때문에 입자상 물질의 하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 전극(14)은 상기 유통로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전압원(16)에 의해 5kV~7kV의 높은 양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와이어 전극(14)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한다. 상기 와이어 전극(14)은 텅스텐 와이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 전극(14)은 상기 절연체(13)의 원추부(13a)의 첨점에서 기류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말단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코로나 방전은 상기 전압원(16)에 의해 개시전압 이상의 전압을 상기 와이어 전극(14)에 인가시킴으로써 강한 전장에 의해 공기가 전기적으로 붕괴를 일으키며 그 중 일부가 전도체로 될 때 발생된다. 전기적 붕괴가 발생하면, 와이어 전극(14)의 주위에서 전자가 가속되어 빠른 속도로 운동하게 되고, 공기분자가 전자와 충돌하면서 다시 공기분자에서 전자가 다량으로 튀어나와 다량의 (+)이온과 전자가 생겨 와이어 전극(14)의 주변에는 자유전자와 (+)이온이 밀집된 운괴가 형성된다. 입자상 물질은 상기와 같이 생성된 이온이 존재하는 공간을 통과하면서 하전된다.
한편, 하전기(10) 내에서 발생된 이온이 하전기(10)를 통과하여 임팩터(20) 내에 유입될 경우 입자상 물질에 의한 전류외에 이온 자체에 의한 전류가 측정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온트랩(ion trap)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와이어 전극(14)과 상기 하전기 외벽(11)의 유통로(12)의 출구(12a)사이에서 상기 유통로(12) 상에 이온트랩극(15)을 설치하고 상기 이온트랩극(15)에 전압을 인가하여 이온이 하전기(10)를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한 구성을 갖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온트랩극(15)은 상기 절연체(13)의 원기둥부(13a)의 외주연을 소정 폭으로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체(13)의 원기둥부(13a)와 하전기 외벽(11)의 유통로(12)의 내주면 사이를 통과하는 기류 속의 이온은 상기 이온트랩극(15) 쪽으로 이동되어 하전기(10)를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상기 이온트랩극(15)에는 500V 정도의 전압이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압원(16)은 상기 하전기 외벽(11)의 유통로(12)를 따라 흐르는 기류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하전시키기 위한 단극 이온이 생성되도록 상기 와이어 전극(14)에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이온트랩극(15)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와이어 전극(14)과 상기 이온트랩극(15)에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임팩터(20)는 상기 하전기(10)를 통과하여 유입된 기류속의 입자상 물질을 입경별로 분리하여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팩터 스테이지(S1 내지 S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최초 임팩터 스테이지(S1)는 상기 하전기(10)에 연결되고 최종 임팩터 스테이지(S5)는 상기 최종포집기(30)에 연결된다. 도 1에는 상기 임팩터(20)가 5단의 임팩터 스테이지(S1 내지 S5)를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각 임팩터 스테이지(S1 내지 S5)는 절단입경(cut size) 이상의 크기를 갖는 입자상 물질이 포집된다. 본 고안은 대기질 관리에 주로 관심의 대상이 되는 PM10 및 PM2.5를 측정하기 위한 절단입경을 갖는 임팩터 스테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고안의 일시예에 따른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에서 절단입경이 10㎛인 임팩터 스테이지(S1)와, 절단입경이 5㎛인 임팩터 스테이지(S2)와, 절단입경이 2.5㎛인 임팩터 스테이지(S3)와, 절단입경이 1㎛인 임팩터 스테이지(S4)와, 절단입경이 0.7㎛인 임팩터 스테이지(S5)가 순서대로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 임팩터(20)는 PM10, PM2.5, 및 PM1의 측정이 가능하다. 도 5는 절단입경이 10.07㎛인 임팩터 스테이지(S1)와, 절단입경이 4.92㎛인 임팩터 스테이지(S2)와, 절단입경이 2.49㎛인 임팩터 스테이지(S3)와, 절단입경이 1.01㎛인 임팩터 스테이지(S4)와, 절단입경이 0.70㎛인 임팩터 스테이지(S5)를 순서대로 직렬로 연결시켜 제작한 임팩터(20)의 입자포집효율(collection efficiency)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와 같은 임팩터(20)를 구성하는 임팩터 스테이지(S1 내지 S5) 각각은 스테이지 외벽(21), 가속노즐(23), 절연체(24), 및 충돌기판(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의 임팩터 스테이지(S1 내지 S5) 하나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상기 스테이지 외벽(21)은 유입된 기류가 흐르기 위한 유통로(22)가 관통 형성된 통체이다. 상기 스테이지 외벽(21)의 유통로(22)의 내부에는 입구(22a)와 출구(22b) 사이에서 상기 가속노즐(23), 절연체(24) 및 충돌기판(25)이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지 외벽(21)의 유통로(22)의 내주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그 단턱에 상기 가속노즐(23) 및 절연체(24)가 지지된다. 상기 스테이지 외벽(21)의 유통로(22)의 입구(22a)로 유입된 기류는 상기 가속노즐(23)을 통과하면서 가속되어 절단입경 이상의 크기를 갖는 입자상 물질은 관성에 의해 상기 충돌기판(25)에 충돌된다. 절단입경은 가속노즐(23)의 길이 및 직경, 가속노즐(23)과 충돌기판(25) 사이의 거리를 주요 변수로 하여 결정된다.
상기 가속노즐(23)은 상기 유통로(22)를 따라 흐르는 기류를 소정 속도로 가속시키도록 상기 유통로(22)상에 설치된다. 기류는 상기 가속노즐(23)의 노즐구멍(23a)를 통과하면서 가속된다.
상기 절연체(24)는 상기 충돌기판(25)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지지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절연체(24)의 중앙에는 상기 충돌기판(25)이 안착되기 위한 홈(24a)이 형성되고, 그 홈 내부에는 상기 충돌기판(25)에 연결되는 도선의 통로가 되는 관통홀(24c)이 형성되며, 상기 홈(24)의 주위로 기류가 지나기 위한 기류유통홀(24b)이 형성되어 상기 스테이지 외벽(21)의 유통로(22) 상에 설치된다.
상기 충돌기판(25)은 상기 가속노즐(23)을 통과한 기류 속의 입자상 물질 중 소정 절단입경 이상의 입자상 물질이 충돌되어 포집되기 위한 전도성 재질(바람직하게는 구리)로 된 판체이다, 상기 충돌기판(25)은 상기 가속노즐(23)을 통과하여 가속된 기류의 전방에서 상기 절연체(24)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상기 스테이지 외벽(21)의 유통로(22) 내에 설치된다. 상기 충돌기판(25)은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류측정기(40)로 연결되며, 상기 전류측정기(40)는 상기 충돌기판(25)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에 의한 전류량을 측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충돌기판(25)에 충돌된 입자상 물질의 되튀김현상(bounce back)은 측정 정밀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이는 상기 충돌기판(25)에 충돌한 후 되튀김현상으로 튀어 나가는 입자상 물질의 접촉하전(contact charging)에 의해 부가적인 전하량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되튀김현상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충돌기판(25)을 다공성 판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공성 기판의 세공(細孔,pore)의 크기는 가능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의 임팩터의 충돌기판에 따른 입자포집효율을 평면판과 다공성 판을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하면, 평면판과 다공성 판의 입자포집효율은 세공의 크기가 0.2㎛를 제외하고는 많은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으며, 입자가 커질수록 입자포집효율이 평면판이나 다공성 판에서 세공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지만 입자가 작을수록 입자포집효율이 많은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이는 충돌기판(25)에 포집되지 않아야 할 작은 입경의 입자상 물질들이 가속노즐(23)을 통해 충돌기판(25)을 스쳐지나가지 않고 다공성 판의 세공으로 기류와 함께 유입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세공의 크기는 너무 크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종포집기(30)는 상기 임팩터(20)에 포집되지 않은 극 미세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임팩터(20)의 최종 임팩터 스테이지(S5)의 출구에 연결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의 최종포집기(3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최종포집기(30)는 최종포집기 외벽(31)과 절연체(33) 및 필터(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최종포집기 외벽(31)은 외부와 전기적으로 차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유입된 기류가 흐르기 위한 유통로(32)를 갖는다. 상기 최종포집기 외벽(31)의 유통로(32)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34)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의 전류량의 측정시 외부와 전기적으로 차폐되지 않은 경우 매우 큰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입자상 물질이 포집되는 필터(34)를 전기적으로 차폐하기 위해 상기 최종포집기 외벽(31)을 전도성 재질의 금속, 바람직하게는 두랄루민으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전기적으로 차폐된 상기 최종포집기 외벽(31)의 유통로(32)의 내부로 입구(32a)를 통해 유입된 기류는 상기 필터(34)를 지나 출구(32b)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절연체(33)는 상기 필터(34)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전기적으로 차폐된 상기 최종포집기 외벽(31)의 유통로(32)의 내부에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필터(34)는 상기 임팩터(20)에서 포집되지 않은 극 미세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 전도성 재질인 금속 카트리지(35)로 감싸여 상기 절연체(3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상기 최종포집기 외벽(31)의 유통로(32)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진공펌프(40)는 상기 하전기(10)의 유통로(12)의 입구로 입자상 물질이 포함된 기류가 유입되어 하전기(10)의 유통로(12), 임팩터(20)의 각 임팩터 스테이지(S1 내지 S5)의 유통로(12) 및 최종포집기(30)의 유통로(3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최종포집기(30)의 유통로(32)의 출구(32b)로 배출되도록 상기 최종포집기(30)의 출구(32b)에 연결된다.
상기 전류측정기(50)는 상기 임팩터(20)의 각 임팩터 스테이지(S1 내지 S5)의 충돌기판(25)과 상기 최종포집기(30)의 필터(34) 각각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충돌기판(25)와 필터(34)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전류측정기(50)는 상기 충돌기판(25)과 상기 필터(34) 각각에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채널로 구성되어 전류량를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입자상 물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측정된 입자상 물질의 전류량은 데이터 로거(60)에 의해 전류량 데이터 신호로 변환되어 컴퓨터(70)로 전송된다.
상기 데이터 로거(60)는 상기 전류측정기(50)에 의해 측정된 전류량을 연산처리 가능한 전류량 데이터 신호(주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컴퓨터(70)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컴퓨터(70)는 전류량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로거(60)로부터 전송받아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산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각 임팩터 스테이지(S1 내지 S5) 및 최종포집기(30)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의 개수 농도(개/m3)는 상기 전류측정기(50)에서 측정된 전류량, 입자의 기하학적 평균직경(gometric midpoint diameter), 하전기(10)에서의 입자의 하전효율(Pn, charging efficiency) 및 샘플링 유량에 의해 계산된다.
입자상 물질에 의해 측정된 전류값을 입자의 개수 농도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입자상 물질의 기하학적 평균직경을 계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는 기하학적 평균직경(Dpm,i)는 하기의 수학식1에 의해 계산되었다.
Dpm,i = (Dp50,i50,i-1)1/2
여기서 Dp50,i는 임팩터 스테이지의 전 스테이지에서 보정된 분리입경을 나타낸다.
하전기(10)에서의 하전효율은 입자의 통과율(P)과 입자에 포집된 하전수(n)의 곱으로 나타나는데 이 값은 입자 크기의 함수로 표현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에서의 입자크기와 하전효율(Pn)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그래프는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도시된 것이다. 하기의 식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실험치를 정량화하여 유도한 것이다.
261.75 Dp1.9087 ( Dp〈 0.01㎛ )
Pn = 75.76 Dp1.3805 ( 0.01㎛ 〈 Dp 〈 1㎛ )
118.5 Dp0.5604 ( 1㎛ Dp )
표 1은 절단입경이 10.07㎛인 임팩터 스테이지(S1)와, 절단입경이 4.92㎛인 임팩터 스테이지(S2)와, 절단입경이 2.49㎛인 임팩터 스테이지(S3)와, 절단입경이 1.01㎛인 임팩터 스테이지(S4)와, 절단입경이 0.70㎛인 임팩터 스테이지(S5)를 순서대로 직렬로 연결시켜 제작한 임팩터(20)의 각 임팩터 스테이지(S1 내지 S5)와 최종포집기(30)에서의 기하학적 평균직경과 하전효율의 일례를 정리한 것이다. 표1에 정리된 기하학적 평균직경은 전단계의 가상 절단입경은 10.07㎛으로 하여 계산되었으며, 최종포집기에서는 0.1㎛의 값을 6단의 가상값으로 하여 계산된 것이다.
단계 절단입경(㎛) 기하학적 평균직경(㎛) Pn PneQ
S1 10.07 17.38(주1) 587.0 4.7e-14
S2 4.92 7.04 353.7 2.83e-14
S3 2.49 3.05 239.1 1.91e-14
S4 1.01 1.59 153.4 1.23e-14
S5 0.7 0.84 59.6(주2) 4.77e-15
최종포집기 - 0.10(주3) 3.2(주4) 2.58e-16
(주1) 전단계에서의 절단입경을 30㎛로 가정
(주2) Pn=75.76Dp1.3805를 사용
(주3) 기하학적 평균직경을 유효 표면 직경으로부터 결정함.
(주4) Pn=261.75Dp1.9087를 사용
각 임팩터 스테이지(S1 내지 S5) 및 최종포집기(30)에서 측정된 전류량은 입자의 기하학적 평균직경, 하전기(10)의 하전효율, 및 샘플링 유량에 의해 입자의 개수 농도 및 하전효율에 의해 수정한 전류측정값 분포(dN/dlogdp)로 환산되며, 표 2는 상기 표 1의 결과를 이용하여 구한 값을 정리한 것이다.
단계 전류측정값(pA) PneQ 개수농도Ci(cm-3) dN/dlogdp(cm-3)
S1 1 4.7e-14 2.13e1 3.49e2
S2 2 2.83e-14 7.07e1 1.80e2
S3 13 1.91e-14 6.80e2 2.24e3
S4 50 1.23e-14 4.07e3 1.18e4
S5 80 4.77e-15 1.68e4 6.09e4
최종포집기 2.3 2.58e-16 8.85e3 8.85e3
도 9는 표 2에 정리된 전류측정값과 그에 따른 개수농도 및 전류측정값을 하전효율에 의해 수정한 분포(dN/dlogdp)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환산된 개수농도는 입자상 물질의 평균밀도에 의해 PM의 규격단위인 질량농도(㎍/m3)로 환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는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어 시간별 입자상 물질의 농도 변화추이를 현장에서 바로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기환경을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는 대기중 입자상 물질의 입경별 개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대기오염의 주원인인 경유자동차 등의 배출원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으며, 입경별 개수 농도의 추이를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의 하전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의 하전의 유통로 내에서의 기류 유동장의 속도벡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의 임팩터 스테이지 하나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시예에 따른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의 임팩터의 입자포집효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의 임팩터의 충돌기판에 따른 입자포집효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의 최종포집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에서의 입자크기와 하전효율(Pn)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전류측정값과 그에 따른 개수농도 및 전류측정값을 하전효율에 의해 수정한 분포(dN/dlogdp)를 도시한 그래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하전기
11 하전기 외벽
13 절연체
14 와이어 전극
15 이온트랩극
16 전압원
20 임팩터
S1~S5 임팩터 스테이지
21 스테이지 외벽
23 가속노즐
24 절연체
25 충돌기판
30 최종포집기
31 최종 포집기 외벽
33 절연체
34 필터
40 진공펌프
50 전류측정기
60 데이터 로거
70 컴퓨터

Claims (5)

  1. 외부로부터 유입된 기류가 흐르기 위한 유통로가 관통 형성된 하전기 외벽과, 상기 유통로 내에 설치된 와이어 전극과, 상기 와이어 전극과 상기 유통로의 출구사이에서 상기 유통로 상에 설치된 이온트랩극과, 상기 유통로를 따라 흐르는 기류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하전시키기 위한 단극 이온이 생성되도록 상기 와이어 전극에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고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와이어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이온트랩극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이온트랩극에 연결된 전압원을 포함하여 구성된 하전기와;
    유입된 기류가 흐르기 위한 유통로가 관통 형성된 스테이지 외벽과, 상기 유통로를 따라 흐르는 기류를 소정 속도로 가속시키도록 상기 유통로상에 설치된 가속노즐과, 상기 가속노즐을 통과한 기류 속의 입자상 물질 중 소정 절단입경 이상의 입자상 물질이 충돌되어 포집되도록 상기 가속노즐을 통과하여 가속된 기류의 전방에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상기 유통로 내에 설치된 전도성 재질의 충돌기판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팩터 스테이지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최초 임팩터 스테이지의 유통로의 입구가 상기 하전기의 유통로의 출구에 연결된 임팩터와;
    외부와 전기적으로 차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유입된 기류가 흐르기 위한 유통로를 갖는 최종포집기 외벽과, 상기 유통로를 흐르는 기류 속의 입자상 물질이 포집되록 상기 유통로상에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상기 유통로상에 설치된 전도성 재질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입구가 상기 임팩터의 최종 임팩터 스테이지의 유통로의 출구에 연결된 최종포집기와;
    상기 하전기의 유통로의 입구로 입자상 물질이 포함된 기류가 유입되어 하전기의 유통로, 임팩터의 각 임팩터 스테이지의 유통로 및 최종포집기의 유통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최종포집기의 유통로의 출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최종포집기의 출구에 연결된 진공펌프와;
    상기 임팩터의 각 임팩터 스테이지의 충돌기판과 상기 최종포집기의 필터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돌기판과 필터 각각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류측정기와;
    상기 전류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전류량을 연산처리 가능한 전류량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데이터 로거와;
    전류량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로거로부터 전송받아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산출하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기 외벽의 유통로의 입구는 기류의 진행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넓어지게 형성되고,
    일단이 원추형으로 형성된 원추부와 상기 원추부로부터 타단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원기둥부를 갖는 절연체가 상기 원추부는 상기 하전기 외벽의 유통로의 입구 쪽을 향하고 상기 원기둥부의 외주면은 유통로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하전기 외벽의 유통로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전극은 상기 절연체의 원추부의 첨점에서 기류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말단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온트랩극은 상기 절연체의 원기둥부의 외주연을 소정 폭으로 감싸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기의 외벽은 유통로의 출구가 기류의 진행방향으로 점접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최초 임팩터 스테이지의 가속노즐로 이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터는, 절단입경이 10㎛인 임팩터 스테이지와, 절단입경이 5㎛인 임팩터 스테이지와, 절단입경이 2.5㎛인 임팩터 스테이지와, 절단입경이 1㎛인 임팩터 스테이지와, 절단입경이 0.7㎛인 임팩터 스테이지가 순서대로 직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터 스테이지의 충돌기판은 다공성 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
KR20-2004-0037526U 2004-12-31 2004-12-31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 KR200378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526U KR200378620Y1 (ko) 2004-12-31 2004-12-31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526U KR200378620Y1 (ko) 2004-12-31 2004-12-31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620Y1 true KR200378620Y1 (ko) 2005-03-18

Family

ID=4368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526U KR200378620Y1 (ko) 2004-12-31 2004-12-31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620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324B1 (ko) 2007-03-13 2008-10-31 한국기계연구원 다단 구조의 가변형 입경 분리기
KR100893371B1 (ko) * 2007-02-21 2009-04-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멤스기반 초소형 전기적 임팩터
KR100948715B1 (ko) * 2008-01-25 2010-03-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목표 분류 입경의 제어가 가능한 입자 분류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입자 분류 유닛, 그 제조방법 및 입자 분류 장치
KR101269275B1 (ko) * 2011-03-31 2013-05-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 나노 입자 측정 센서
KR101860817B1 (ko) 2016-10-25 2018-05-25 세종공업 주식회사 다공기판에 의한 pm 센서
CN110118709A (zh) * 2019-04-17 2019-08-13 华电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捕集颗粒物在线分级采样测量系统及其方法
WO2020171594A1 (ko) * 2019-02-22 2020-08-27 주식회사 정엔지니어링 굴뚝 배출가스의 미세먼지 연속자동측정장치
CN112716532A (zh) * 2020-12-28 2021-04-30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呼气气溶胶采集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WO2022262881A1 (en) * 2021-06-18 2022-12-22 Technické Služby Ochrany Ovzduší Ostrava Spol. S R. O. Combined microparticle impactor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371B1 (ko) * 2007-02-21 2009-04-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멤스기반 초소형 전기적 임팩터
KR100866324B1 (ko) 2007-03-13 2008-10-31 한국기계연구원 다단 구조의 가변형 입경 분리기
KR100948715B1 (ko) * 2008-01-25 2010-03-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목표 분류 입경의 제어가 가능한 입자 분류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입자 분류 유닛, 그 제조방법 및 입자 분류 장치
KR101269275B1 (ko) * 2011-03-31 2013-05-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 나노 입자 측정 센서
KR101860817B1 (ko) 2016-10-25 2018-05-25 세종공업 주식회사 다공기판에 의한 pm 센서
WO2020171594A1 (ko) * 2019-02-22 2020-08-27 주식회사 정엔지니어링 굴뚝 배출가스의 미세먼지 연속자동측정장치
CN110118709A (zh) * 2019-04-17 2019-08-13 华电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捕集颗粒物在线分级采样测量系统及其方法
CN110118709B (zh) * 2019-04-17 2024-04-12 华电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捕集颗粒物在线分级采样测量系统及其方法
CN112716532A (zh) * 2020-12-28 2021-04-30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呼气气溶胶采集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2716532B (zh) * 2020-12-28 2024-04-30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呼气气溶胶采集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WO2022262881A1 (en) * 2021-06-18 2022-12-22 Technické Služby Ochrany Ovzduší Ostrava Spol. S R. O. Combined microparticle impa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8316B2 (en) Fine-particle number measurement device and fine-particle number measurement method
US89708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erosol analysis using optical spectroscopy
US6827761B2 (en) Particle concentrator
JP4159252B2 (ja) 大気中粒子の分析器
US20120274933A1 (en) Detection system for airborne particles
KR200378620Y1 (ko) 대기중 부유 입자상 물질의 실시간 측정 장치
US6828794B2 (en) Electrostatic particle measurement
JP2007506106A (ja) 浮遊微粒子を分類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30200787A1 (en) Method for measuring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in atmospheric air
CN107921443B (zh) 带纳米颗粒浓度和粒度测定器件的气溶胶中颗粒收集装置
US10799883B2 (en) Method for the selective purification of aerosols
US7145320B2 (en) Particle counting method and particle counter
US2932966A (en) Apparatus for smoke detection
US20040025567A1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size distribution of aerosol particles
US6091068A (en) Ion collector assembly
US4769609A (en) Measurement of ultra-fine particles utilizing pulsed corona signals
CN111122396B (zh) 基于动态法拉第杯的差分式高浓度颗粒物测量系统及方法
JP5094520B2 (ja) イオンフィルタ、質量分析システムおよびイオン移動度分光計
JP3487729B2 (ja) 微粒子分析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03443611B (zh) 用于监控颗粒的装置和方法
GB2346700A (en) Particulate size detector
JPWO2006098397A1 (ja) 超微粒子用静電濃縮捕集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サブミクロン粒子除去器
KR102023642B1 (ko) 미세 입자 측정 장치
KR100893371B1 (ko) 멤스기반 초소형 전기적 임팩터
EP0932184B1 (en) Ion coll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