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597Y1 - 메탈돔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메탈돔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597Y1
KR200378597Y1 KR20-2004-0036917U KR20040036917U KR200378597Y1 KR 200378597 Y1 KR200378597 Y1 KR 200378597Y1 KR 20040036917 U KR20040036917 U KR 20040036917U KR 200378597 Y1 KR200378597 Y1 KR 200378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dome
jig
upper jig
holes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광
Original Assignee
김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광 filed Critical 김해광
Priority to KR20-2004-0036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5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5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탈돔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과 같이 키패드를 구비한 전자제품의 버튼 하부에 설치되어 접점을 단속하는 메탈돔을 소정의 간격과 규칙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점착시트에 부착할 수 있는 메탈돔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메탈돔 정렬장치는, 키패드에 배열된 버튼 및 회로기판에 배열된 접점과 같이 소정 간격과 규칙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부지그와, 상기 상부지그와 이격되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지그와 동일한 간격과 규칙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하부지그와, 중공의 관으로서 각각의 양단이 각각 상기 상부지그의 복수의 관통구멍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상부지그의 어느 하나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하부지그의 관통구멍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메탈돔이 일렬로 적층되도록 삽입되는 복수의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탈돔 정렬장치{DEVICE FOR ARRANGING METAL DOME}
본 고안은 메탈돔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과 같이 키패드를 구비한 전자제품의 버튼 하부에 설치되어 접점을 단속하는 메탈돔을 소정의 간격과 규칙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점착시트에 부착할 수 있는 메탈돔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품이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해 키패드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휴대전화, PDA 등 소형 전자제품의 키패드는 하부에 메탈돔을 구비하여 접점을 스위칭하면서 동시에 버튼을 작동시키는 탄성을 확보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전화에는 키패드가 구비되어 있으며, 키패드는 상부 케이스(3) 및 하부 케이스(4) 사이에 버튼(5)과, 버튼(5) 하부에 위치한 메탈돔(20)과, 접점이 형성된 회로기판(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메탈돔(20)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료로 된 곡면판으로서, 평면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에 가깝고 측면형상은 상측을 향해 볼록하며 점착시트(40)에 부착된 채로 설치된다. 또한 메탈돔(20)은 회로기판(6)에 형성된 접점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력이 없을 때에는 돔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가 버튼(5)을 누르면 버튼(5)에 의해 돔의 정점이 하강하면서 상기 접점을 단락시키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에 의해 다시 돔 형상으로 되돌아가면서 상기 접점을 개방하는 것으로, 키패드에서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한 핵심 부품이다.
키패드에 메탈돔을 설치하는 작업 과정을 살펴보면, 키패드에 배열된 버튼 및 회로기판에 형성된 접점의 배열에 상응하도록 점착시트에 메탈돔을 소정 간격과 규칙에 따라 배열하여 부착하는 공정이 포함된다. 메탈돔이 부착된 점착시트는 접점이 형성된 회로기판에 형성된 접점들의 패턴에 정확히 대응하는 간격과 배열을 가지고 있는 바, 점착시트에 부착된 메탈돔이 정해진 위치에서 조금이라도 이탈할 경우 접점 형성이 불안정 또는 불가능하게 되어 버튼을 통해 데이터 입력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점착시트에 메탈돔을 정확히 부착시키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탈돔정렬용지그(10)를 사용하였다. 메탈돔정렬용지그(10)는 입방체인 금속괴로서, 키패드의 회로기판에 형성된 접점의 간격 및 규칙과 정확히 일치하는 배열을 가진 복수의 메탈돔삽입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메탈돔삽입구멍(11)은 통상 와이어 컷(wire cut) 방식으로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메탈돔삽입구멍(11) 각각에 미리 제작된 메탈돔(20)을 일렬로 적층되도록 삽입하고, 메탈돔정렬용지그(10)의 일면에는 점착시트(40)를 배치하고, 반대편 면에서 각 메탈돔삽입구멍(11)을 통해 푸시바(31)를 삽입하여 메탈돔(20)을 압박하면, 각 메탈돔삽입구멍(11)으로부터 메탈돔(20)이 하나씩 점착시트(40)에 부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30은 푸시바(3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메탈돔정렬용지그는 두꺼운 금속괴에 복수의 메탈돔삽입구멍을 두께 방향으로 가공해야 하므로 생산비용이 증가된다. 나아가 메탈돔삽입구멍의 간격과 배열이 매우 정밀한 수준으로 가공되어야 하므로 제작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비교적 무른 재질의 금속으로 메탈돔정렬용지그를 제작하기도 하지만, 메탈돔은 주로 스테인레스 재질이므로, 스테인레스보다 무른 재질의 메탈돔정렬용지그는 마모에 약해 수명이 매우 짧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괴에 메탈돔삽입구멍을 가공하면 삽입구멍에 버(burr)가 생성되며, 삽입구멍의 크기가 작고 형상이 원형이 아닐 때가 많으므로 디버링(deburring) 작업이 쉽지 않을 뿐더러 디버링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 또한 적지 않다. 메탈돔삽입구멍에 버(burr)가 잔존하면 메탈돔이 메탈돔삽입구멍을 빠져나오면서 중심이 흐트러질 수 있으므로 잘못된 위치에서 점착시트에 부착될 가능성이 대폭 늘어난다.
나아가, 종래 기술에 따른 메탈돔정렬용지그의 메탈돔삽입구멍에 복수의 메탈돔을 일렬로 적층하여 삽입한 후, 복수의 메탈돔 중 어느 하나가 메탈돔삽입구멍에 걸렸을 때, 당해 메탈돔삽입구멍이 폐색되므로 메탈돔정렬용지그 전체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금속괴에 구멍을 형성함에 있어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다 높은 마모 강도를 가질 수 있는 메탈돔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메탈돔삽입구멍의 버를 최소화 시키고, 메탈돔삽입구멍이 폐색되더라도 간단히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메탈돔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메탈돔 정렬장치는, 키패드에 배열된 버튼 및 회로기판에 배열된 접점과 같이 소정 간격과 규칙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부지그와, 상기 상부지그와 이격되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지그와 동일한 간격과 규칙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하부지그와, 중공의 관으로서 각각의 양단이 각각 상기 상부지그의 복수의 관통구멍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상부지그의 어느 하나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하부지그의 관통구멍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메탈돔이 일렬로 적층되도록 삽입되는 복수의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튜브에 삽입된 메탈돔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튜브 각각의 상기 하부지그측 일단은 직경이 감소하여 삽입된 메탈돔을 지지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튜브가 상하방향 하중에 의해 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지그와 하부지그 사이에 개재된 보강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메탈돔 정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메탈돔 정렬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은 도 3의 실시예의 결합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부지그(100)와, 하부지그(200)와, 복수의 튜브(300)를 포함한다.
상부지그(100)는 입방체의 금속괴로서, 상하방향 두께가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의 길이에 비해 현저히 작은 값을 가져도 무방하다. 상부지그(100)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구멍(110)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110)은 키패드의 버튼이나 회로기판에 형성된 접점에 정확히 일치하도록 소정의 간격과 규칙을 갖고 배열되어 있다.
하부지그(200) 또한 입방체의 금속괴이며, 상하방향 두께가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의 길이에 비해 현저히 작은 값을 가진다. 하부지그(200)에도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구멍(210)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210)은 키패드의 버튼이나 회로기판에 형성된 접점에 정확히 일치하도록 소정의 간격과 규칙을 갖고 배열되어 있다. 요컨대, 실질적으로 하부지그(200)는 상부지그(100)와 동일한 형상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부지그(100)와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튜브(300)는 각각 중공의 관으로서, 상기 상부지그(100)와 하부지그(200)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의 양단이 각각 상부지그(100)의 관통구멍(110) 및 하부지그(200)의 관통구멍(210)에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이 때, 어느 한 튜브(300)가 각각 연통되는 상부지그(100)의 관통구멍(110)과 하부지그(200)의 관통구멍(210)은 서로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한, 즉 하나의 수직선 상에 위치한 한 쌍의 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튜브(300)는 각각 인발에 의해 제조하여 중공에 버(burr)가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부지그(100)와 하부지그(200)사이에 복수의 튜브(300)가 개재되어 있어서 복수의 튜브(300)가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영향을 받아 휘거나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지그(100)와 하부지그(200) 사이에는 보강지지대(220)를 설치함으로써 튜브(300)가 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보강지지대(220)가 하부지그(200)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고려해보면, 상부지그(100)의 관통구멍(110)을 통해 복수의 튜브(300)에 각각 메탈돔(20)을 일렬로 적층하고, 하부지그(200)의 관통구멍(110)을 통해 푸셔를 삽입하면, 상부지그(100)의 상면에 배치될 점착시트에 각 튜브로부터 하나씩의 메탈돔(20)이 부착된다. 이 때 하부지그(200)의 관통구멍(110)을 통해 푸셔를 삽입하기 이전에는 하부지그(200)의 관통구멍(110)을 통해 메탈돔(20)이 탈락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 튜브(300)의 하부지그(200) 측 일단은 직경이 감소하도록 오므려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튜브(300)의 직경이 감소하더라도 푸시바는 통과할 수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튜브(300)에 메탈돔(20)을 삽입할 때 반드시 상부지그(100)의 관통구멍(110)을 통해 삽입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각 튜브(300)를 상부지그(100) 및 하부지그(20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각 튜브(300)에만 메탈돔(20)을 삽입하는 손쉬운 방식을 택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메탈돔 정렬장치는 메탈돔이 삽입될 구멍을 금속괴에 직접 가공할 필요를 최소화하고, 상기 구멍의 대부분을 인발에 의해 제조된 튜브로 대체함으로써 구멍에 생성되는 버(burr)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두꺼운 금속괴 전체에 구멍을 직접 가공하는 것에 비해 보다 얇은 금속괴에 구멍을 가공하면 되므로 생산비용과 시간이 현저히 감소한다. 따라서 동일 비용으로도 보다 마모강도가 높은 재질로 된 메탈돔 정렬장치를 제조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메탈돔이 삽입된 복수의 튜브 중 어느 하나가 폐색되더라도 폐색된 당해 튜브만을 교체하여 메탈돔 정렬장치는 계속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복수의 튜브를 상부지그 및 하부지그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각 튜브에 메탈돔을 삽입하는 작업이 훨씬 용이해진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전화의 키패드의 부품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메탈돔정렬용지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메탈돔 정렬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결합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상부지그 110 관통구멍
200 하부지그 210 관통구멍
220 보강지지대 300 튜브

Claims (3)

  1. 키패드에 배열된 버튼 및 회로기판에 배열된 접점과 같이 소정 간격과 규칙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부지그와,
    상기 상부지그와 이격되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지그와 동일한 간격과 규칙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하부지그와,
    중공의 관으로서 각각의 양단이 각각 상기 상부지그의 복수의 관통구멍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상부지그의 어느 하나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하부지그의 관통구멍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메탈돔이 일렬로 적층되도록 삽입되는 복수의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돔 정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튜브 각각의 상기 하부지그측 일단은 직경이 감소하여 삽입된 메탈돔을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돔 정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그와 하부지그 사이에 개재된 보강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돔 정렬장치.
KR20-2004-0036917U 2004-12-27 2004-12-27 메탈돔 정렬장치 KR2003785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917U KR200378597Y1 (ko) 2004-12-27 2004-12-27 메탈돔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917U KR200378597Y1 (ko) 2004-12-27 2004-12-27 메탈돔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597Y1 true KR200378597Y1 (ko) 2005-03-18

Family

ID=4368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917U KR200378597Y1 (ko) 2004-12-27 2004-12-27 메탈돔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5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96Y1 (ko) * 2009-04-03 2011-05-27 주식회사 마그마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96Y1 (ko) * 2009-04-03 2011-05-27 주식회사 마그마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4038B2 (en) Keypad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ame
US6512827B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US6809660B2 (en) Keypad and electronic device
KR200378597Y1 (ko) 메탈돔 정렬장치
KR20060085603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위치 모듈
US6833522B1 (en) Key switch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067757B1 (en) Multi-tier keypad assembly
CN102403150B (zh) 可动触点部件及开关装置
US8537530B2 (en) Electronic device
US20080307840A1 (en) Casing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10205586A (ja) 接触ピン
KR200442488Y1 (ko) 돔 스위치의 상부에 가압돌기가 형성된 시트를 구비한키패드 조립체
US6550993B2 (en) Keyboard structure with latch sections and retaining sections
JP2000149701A (ja) 押し釦装置及び携帯電話無線機
US20140218889A1 (en) Optical waveguide sheet for keypad
US8345432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lim button
KR101254188B1 (ko) 안테나 접촉단자
JP3825464B1 (ja) 加工板、及び、製品板の製造方法
KR200318567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키패드
KR20050120550A (ko) 캔틸레버 금속판을 이용한 일체형 휴대폰 버튼부 제작 방법
KR101268985B1 (ko) 배터리 장착 구조
CN101996808B (zh) 滑动开关
KR1006280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KR101295548B1 (ko) 키패드받침부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0615029B1 (ko) 키패드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