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548B1 - 키패드받침부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키패드받침부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548B1
KR101295548B1 KR1020060114729A KR20060114729A KR101295548B1 KR 101295548 B1 KR101295548 B1 KR 101295548B1 KR 1020060114729 A KR1020060114729 A KR 1020060114729A KR 20060114729 A KR20060114729 A KR 20060114729A KR 101295548 B1 KR101295548 B1 KR 101295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support plate
actuator
pressed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5518A (ko
Inventor
한기두
유준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4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548B1/ko
Publication of KR20080045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하는 키패드를 지지하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키패드받침판과; 상기 키패드에 형성되는 키패드구획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돌기와; 상기 키패드 누름시 하부에 위치하는 돔스위치를 조작하도록,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키패드 누름시 상기 액츄에이터가 형성된 지점 근부의 하부 연동폭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하부에 상기 액츄에이터 보다 높이가 높게 돌출 형성되는 변형방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받침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키패드받침부를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키패드, 서스(SUS), 소성변형, 변형방지리브, 에칭

Description

키패드받침부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KEY PAD SUPPORTING PAR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도1은 실시예1의 키패드의 평면도.
도2는 실시예1의 키패드와 키패드받침판의 결합 평면도.
도3은 실시예1의 AA'의 단면도.
도4는 도2의 배면도.
도5는 실시예1의 변형 실시예로서 실시예1의 AA'의 단면도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키패드 12:키패드구획홈
14:폰트 16:고정홈
20:키패드받침판 22:상부돌기
24:액츄에이터 26:변형방지리브
30:돔스위치 40:신호접점부
50:회로기판 52:스페이서
54:회로기판돌출리브
본 발명은 신호입력을 위한 키패드 하부에 위치하는 키패드받침판 및 이러한 키패드 받침판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문자부 등의 홈이 형성된 키패드는 휴대폰, PDA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 밖에도 문자부 등이 새겨진 키버튼이 사용되는 모든 산업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휴대폰의 경우 전자제품의 경박 단소화 경향에 의하여 최근에는 얇은 두께의 슬림폰이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위하여 문자나 숫자의 인식을 위해 에칭이 행해져서 폰트가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클릭되는 키패드는 금속의 서스(SUS)재질로 얇게 형성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종래 서스(SUS)재질의 키패드는 폰트가 에칭되어 형성되므로 폰트가 형성된 부위는 강도가 약하게 되어, 폰트가 형성된 부위를 누르는 경우 그 부위가 소성변형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키패드의 재질에 관계없이 키패드 클릭시 하부연동이 필요없는 부위의 하부연동을 제한하는 키패드받침부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특히 키패드의 재질이 금속의 서스(SUS)재질인 경우 키패드 클릭시 하부연동이 필요없는 부위의 하부연동을 제한하여 키패드의 소성변형을 방지하는 키패드받침부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하는 키패드를 지지하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키패드받침판과; 상기 키패드에 형성되는 키패드구획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돌기와; 상기 키패드 누름시 하부에 위치하는 돔스위치를 조작하도록,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키패드 누름시 상기 액츄에이터가 형성된 지점 근부의 하부 연동폭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하부에 상기 액츄에이터 보다 높이가 높게 돌출 형성되는 변형방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받침부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폰트가 형성되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에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키패드구획홈과; 상기 키패드를 지지하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키패드의 하부에 위치하는 키패드받침판과; 상기 키패드구획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돌기와; 상기 키패드 누름시 하부에 위치하는 돔스위치를 조작하도록,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키패드 누름시 상기 액츄에이터가 형성된 지점 근부의 하부 연동폭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하부에 상기 액츄에이터 보다 높이가 높게 돌출 형성되는 변형방지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리브는, 상기 키패드가 눌려지지 않은 경우 상기 돔스위치가 실장되는 회로기판과 접촉하기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폰트가 형성되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에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키패드구획홈과; 상기 키패드를 지지하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키 패드의 하부에 위치하는 키패드받침판과; 상기 키패드구획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돌기와; 상기 키패드 누름시 하부에 위치하는 돔스위치를 조작하도록,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키패드 누름시 상기 키패드받침판 중 상기 액츄에이터가 형성된 지점 근부의 하부 연동폭이 줄어들도록, 상기 돔스위치가 실장되는 회로기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회로기판돌출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하부 중 상기 회로기판돌출리브에 대응하는 지점에는 상기 키패드 누름시 상기 회로기판돌출리브와 접촉하는 변형방지리브가 돌출 형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및 이와 이웃한 상기 변형방지리브는 상기 폰트가 형성된 지점에 대응하는 지점을 중심에 두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기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서스(SUS) 재질이고; 상기 폰트는 상기 키패드의 표면에 에칭되어 형성되기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실시예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일실시예이다. 도1은 실시예1의 키패드의 평면도를, 도2는 실시예1의 키패드와 키패드받침판의 결합 평면도를, 도3은 실시예1의 AA'의 단면도를, 도4는 도2의 배면도를, 도5는 실시예1의 변형 실시예로 서 실시예1의 AA'의 단면도에 대응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키패드(10)를 갖는다. 키패드(10)는 금속재질은 서스(SUS)재질로 형성된다. 키패드(10)의 표면에는 특정 도형이나 문자 등의 폰트(14)가 에칭되어 형성된다. 또한, 키패드(10)에는 소정 형상의 키패드구획홈(12)이 형성된다. 키패드구획홈(12)은 키패드(10) 누름시 특정 폰트(14) 이외의 부분에 해당하는 키패드(10)의 하부 연동을 방지하며, 폰트(14)와 폰트(14)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키패드(10)는 고정홈(16)을 갖는다. 고정홈(16)은 키패드(1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 굴곡 형성된 연결부(도면부호 미부여)에 형성되는데, 키패드(10)를 케이스(도면 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키패드받침판(20), 상부돌기(22), 액츄에이터(24) 및 변형방지리브(26)를 갖는다.
도3을 참조하면 키패드받침판(20)은 키패드(10) 하부에 위치한다. 키패드받침판(20)은 상부에 위치한 키패드(10)를 지지하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도3을 참조하면 키패드받침판(20)의 상부에는 상부돌기(22)가 돌출 형성된다. 상부돌기(22)는 키패드구획홈(12)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돌기(22)는 키패드구획홈(12)의 폭보다 약간 좁은 폭을 가지되, 키패드구획홈(12)의 전 영역에 끼워지도록 키패드구획홈(12)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키패드받침판(20)의 하부에는 액츄에이터(24)가 돌출 형성된다. 액츄에이터(24)는 키패드 누름시 액츄에이터(24)의 하부에 위치하는 돔 스위치(30)를 압박함으로써, 돔스위치(30)가 신호접점부(40)와 접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키패드받침판(20)의 하부에는 변형방지리브(26)가 돌출 형성된다. 변형방지리브(26)는 액츄에이터(24) 보다 높이가 높게 돌출 형성된다. 즉, 변형방지리브(26)의 하단부는 액츄에이터(24)의 하단부 보다 아래로 연장 형성되어 키패드(10)가 눌려지지 않은 경우 돔스위치(30)가 실장되는 회로기판(50)과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변형방지리브(26)는 키패드(10) 누름시 액츄에이터(24)가 형성된 지점 근부의 하부 연동 폭을 줄임으로써, 에칭으로 따져 있는 서스(SUS) 재질의 키패드(10)가 굴곡지며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변형방지리브(26)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액츄에이터(24)와 액츄에이터(24)를 연결하는 동일한 횡직선상에 형성된다. 특히 도4를 참조하면 액츄에이터(24) 및 이와 이웃한 변형방지리브(26)는 폰트(14)가 형성된 지점에 대응하는 지점을 중심에 두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폰트(14) 의 중심을 정확히 누르거나, 그 근부를 클릭한 경우에도 키패드(10) 중 폰트(14)가 형성된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은 하부 연동이 제한되어, 에칭으로 따져 있는 서스(SUS) 재질의 키패드(10)가 굴곡지며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일부는 액츄에이터(24)에 의해 하부연동이 제한되고, 일부는 변형방지리브(26)에 의해 하부연동이 제한된다. 물론, 변형방지리브(26)에 의한 하부연동 제한의 폭이 크다.
도3을 참조하면 케이스(도면 미도시)의 저면에는 회로기판(50)이 구비된다. 회로기판(50)에는 액츄에이터(24)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돔스위치(30)와의 접촉에 의해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신호접점부(40)가 형성된다.
도3을 참조하면 회로기판(50)에는 돔스위치(30)를 감싸는 환테고리형의 스페이서(52)가 안치된다.
도5를 참조하면 스페이서(52) 안쪽에는 돔스위치(30)가 안치된다. 돔스위치(30)는 액츄에이터(24)의 연동에 의해 상면이 아래로 굴곡 변형되어 신호접점부(40)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실시예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의 경우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키패드(10)가 금속의 서스(SUS) 재질로서 얇게 형성되어 있고, 더우기 키패드(10) 표면에 문자나 도형 등이 에칭된 폰트(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키패드(10)를 누르게 되면 키패드(10)가 굴곡지며 소성변형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
그러나,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실시예1의 경우 키패드받침판(20) 하부에 변형방지리브(26)가 돌출 형성되어 액츄에이터(24)와 함께 하부연동을 제한하므로 폰트(14)가 형성된 부위의 소성변형이 방지된다.
즉, 도4를 참조하면 액츄에이터(24) 및 이와 이웃한 변형방지리브(26)는 폰트(14)가 형성된 지점에 대응하는 지점을 중심에 두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동일한 횡직선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폰트(14)의 중심을 정확히 누르거나, 그 근부를 클릭한 경우에도 키패드(10) 중 폰트(14)가 형성된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은 하부 연동이 제한되어, 에칭으로 따져 있는 서스(SUS) 재질의 키패드(10)가 굴곡지며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일부는 액츄에이터(24)에 의해 하부연동이 제한되고, 일부는 변형방지리브(26)에 의해 하부연동이 제한되어 키패드(10) 중 폰트(14)가 형성된 부위의 소성변형이 방지되는 것이다.
실시예1의 경우 키패드(10)를 누르지 않는 경우 변형방지리브(26)가 회로기판(50)과 접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키패드(10)를 누르지 않는 경우 변형방지리브(26)가 회로기판(50)과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변형방지리브(26)의 돌출길이는 액츄에이터(24)의 돌출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1의 경우 키패드(10)의 하부연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변형방지리브(26)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도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경우 회로기판(50) 중 변형방지리브(26)에 해당하는 부위에 변형방지리브(26)와의 접촉을 위해 회로기판돌출리브(54)를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경우 변형방지리브(26)를 구비하지 않고, 회로기판(50) 중 변형방지리브(26)에 해당하는 부위에 키패드받침판(20)의 하부와의 접촉을 위해 회로기판돌출리브(26)만이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예2
실시예2는 실시예1에서 설명한 키패드받참판(20), 상부돌기(22), 액츄에이터(24) 및 변형방지리브(26)로 구성되는 키패드받침부에 관한 것이다.
키패드받참판(20), 상부돌기(22), 액츄에이터(24) 및 변형방지리브(26)에 대한 설명은 실시예1에서 설명한 바에 준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키패드받침판 하부에 변형방지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액츄에이터와 함께 키패드의 하부연동을 제한하므로 폰트가 형성된 부위의 소성변형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키패드구획홈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영역에 위치하는 액츄에이터와 변형방지리브 가운데 이웃한 액츄에이터 및 변형방지리브는 폰트가 형성된 지점에 대응하는 지점을 중심에 두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당해 폰트의 중심을 정확히 누르거나, 그 근부를 클릭한 경우에도 키패드 중 당해 폰트가 형성된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은 하부 연동이 제한되어, 에칭으로 따져 있는 서스(SUS) 재질의 키패드가 굴곡지며 소성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상부에 위치하는 키패드를 지지하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키패드받침판과;
    상기 키패드에 형성되는 키패드구획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돌기와;
    상기 키패드 누름시 하부에 위치하는 돔스위치를 조작하도록,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키패드 누름시 상기 액츄에이터가 형성된 지점 근부의 하부 연동폭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키패드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하부에 상기 액츄에이터 보다 높이가 높게 돌출 형성되는 변형방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받침부.
  2. 폰트가 형성되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에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키패드구획홈과;
    상기 키패드를 지지하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키패드의 하부에 위치하는 키패드받침판과;
    상기 키패드구획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돌기와;
    상기 키패드 누름시 하부에 위치하는 돔스위치를 조작하도록,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키패드 누름시 상기 액츄에이터가 형성된 지점 근부의 하부 연동폭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키패드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하부에 상기 액츄에이터 보다 높이가 높게 돌출 형성되는 변형방지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리브는, 상기 키패드가 눌려지지 않은 경우 상기 돔스위치가 실장되는 회로기판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4. 폰트가 형성되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에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키패드구획홈과;
    상기 키패드를 지지하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키패드의 하부에 위치하는 키패드받침판과;
    상기 키패드구획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돌기와;
    상기 키패드 누름시 하부에 위치하는 돔스위치를 조작하도록,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키패드 누름시 상기 키패드받침판 중 상기 액츄에이터가 형성된 지점 근부의 하부 연동폭이 줄어들도록, 상기 키패드의 하부 영역에 상기 돔스위치가 실장되는 회로기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회로기판돌출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받침판의 하부 중 상기 회로기판돌출리브에 대응하는 지점에는 상기 키패드 누름시 상기 회로기판돌출리브와 접촉하는 변형방지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및 이와 이웃한 상기 변형방지리브는 상기 폰트가 형성된 지점에 대응하는 지점을 중심에 두고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7. 6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서스(SUS) 재질이고;
    상기 폰트는 상기 키패드의 표면에 에칭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KR1020060114729A 2006-11-20 2006-11-20 키패드받침부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1295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729A KR101295548B1 (ko) 2006-11-20 2006-11-20 키패드받침부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729A KR101295548B1 (ko) 2006-11-20 2006-11-20 키패드받침부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518A KR20080045518A (ko) 2008-05-23
KR101295548B1 true KR101295548B1 (ko) 2013-08-12

Family

ID=3966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729A KR101295548B1 (ko) 2006-11-20 2006-11-20 키패드받침부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5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025Y1 (ko) * 2005-02-03 2005-04-28 (주)삼영테크놀로지 금속키패드
KR100595123B1 (ko) * 2003-12-09 2006-06-30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123B1 (ko) * 2003-12-09 2006-06-30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구조
KR200383025Y1 (ko) * 2005-02-03 2005-04-28 (주)삼영테크놀로지 금속키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518A (ko) 2008-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2545B2 (en) Keyboard
US8283587B2 (en) Button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90007496A (ko) 스위치 통합 케이싱 및 이 케이싱을 가진 전자기기
JP3165574U (ja) キーパッド用メタルドームスイッチ
US9799465B2 (en) Key structure
KR101457337B1 (ko) Lds를 이용한 전자 기기의 측면 키 및 그 제조 방법
KR101295548B1 (ko) 키패드받침부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US9959989B2 (en) Key structure
US10692667B1 (en) Keyboard keycap connecting element
JP4394047B2 (ja) キーフレームおよび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JP2010021034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5249827B2 (ja) スイッチ用可動接点およびスイッチ装置
KR101891151B1 (ko) 키 버튼 장치
US20060126825A1 (en) Input device, especially for a mobile telephone, module comprising an input device, mobile telepho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20190378667A1 (en) Keyboard device
JP6055157B2 (ja) 押釦スイッチ
KR100576647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키패드구조
CN102832065B (zh) 按钮开关装置
JP2008010162A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構造
JP2007200738A (ja) 押釦スイッチ
KR101258291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584595B1 (ko) 키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키패널 조립체
JP4749404B2 (ja) スイッチ基板の保持構造
CN117441220A (zh) 按压操作体及开关装置
KR100715475B1 (ko)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