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541Y1 - 식생기반용 매트 - Google Patents

식생기반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541Y1
KR200377541Y1 KR20-2004-0036135U KR20040036135U KR200377541Y1 KR 200377541 Y1 KR200377541 Y1 KR 200377541Y1 KR 20040036135 U KR20040036135 U KR 20040036135U KR 200377541 Y1 KR200377541 Y1 KR 200377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mesh
mesh member
root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보술
오경진
이재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내 & 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내 & 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내 & 들
Priority to KR20-2004-0036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5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5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생기반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으로 적층된 망사부재; 및 상기 적층된 망사부재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재봉함으로써 상기 망사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에는 식물의 성체, 줄기, 뿌리, 씨앗 중 어느 하나를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생기반용 매트{Mat for vegetation base}
본 고안은 절개지, 하천변, 건물 옥상 등에서 식생(植生, vegetation)을 형성하기 위한 식생기반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토지 이용이 증대되고 도시화가 급진적으로 진행되면서, 홍수방지, 저수로 형성, 고수부지의 정비, 편의시설 확보 등의 목적으로 콘크리트와 조립식 블록에 의해 주위 환경이 급격히 변화하였다.
특히, 하천 환경의 변화는 하천이 갖는 고유의 자연환경치유 기능을 현저히 저하시켰고, 이 때문에 하천의 수질오염은 물론 하천식생과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와 조류의 밀도도 현저히 감소시키게 하였다.
최근 들어, 사람들은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토지 개발로 황폐화되거나 휴식장소를 마련하기 위해 절개지, 하천변, 건물 옥상 등에 녹지 공간을 가꾸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심의 일환으로, 생태적으로 훼손된 하천 환경을 재생 및 복구하고자 하는 시도가 다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하천변에 공급할 만한 충분한 양의 식물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식생을 조성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하천변에 식물의 씨앗을 직접 뿌려 식물을 자생시킨다 하더라도, 수질오염의 문제로 농약과 퇴비 등의 사용이 어려워서 씨앗이 성체로 자라는데는 장시간이 소요되었고, 병충해와 철새 등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절개지의 경우에 씨앗을 뿌리거나 성체를 심는다 하더라도 빗물에 의해 쉽게 쓸려 내려가기 때문에 식생 조성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손 쉽게 식생을 형성하여 절개지, 하천변,및 건물 옥상 등의 장소에서도 녹화를 위한 식생 시공을 간단하게 할 수가 있으며,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빗물에도 쉽게 휩쓸려 내려가지 않고 잘 견딜 수 있으며, 식생기초물에 충분한 수분과 영양분을 제공하여 식생 배양속도를 높일 수 있는 식생기반용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한 쌍으로 적층된 망사부재; 및 상기 적층된 망사부재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재봉함으로써 상기 망사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에는 식물의 성체, 줄기, 뿌리, 씨앗 중 어느 하나를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용 매트를 제공한다.
상기 망사부재들은 폭이 서로 동일하여 재봉 후에 양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망사부재들 중 어느 하나의 폭이 더 커서 재봉 후에 일면이 골 형상을 가지고 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사부재들은 상기 삽입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트임이 형성되도록 가장자리가 재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망사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식물의 성체, 줄기, 뿌리, 씨앗 중 어느 하나가 발육할 시 뿌리 엉킴이 활성화되도록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식물의 성체, 줄기, 뿌리, 씨앗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삽입되는 코코피트 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망사부재들의 내부에 상기 식물의 성체, 줄기, 뿌리, 씨앗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코코피트 칩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로 주입되는 인공토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사부재들은 황마사로 재봉되고, 상기 망사부재들은 코코피트, 황마, 볏짚 중 어느 하나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식생기반용 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기반용 매트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식생기반용 매트(10)는 망사부재(11,12)와 삽입부(20)를 포함한다.
먼저, 망사부재(11,12)는 한 쌍으로 적층된다.
이 망사부재(11,12)는 상하로 적층되고, 이 망사부재(11,12)들을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재봉함으로써 망사부재(11,12)들 사이에 복수의 삽입부(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부(20)에는 식물의 성체, 줄기, 뿌리, 씨앗 중 어느 하나(이하, '식생기초물'이라 함.)가 삽입된다. 여기서, 식물은 갈대, 달뿌리와 같은 수생식물(aquatic plant)인 것이 바람직하다.
망사부재(11,12)들은 길이방향인 (x)방향이 아닌 폭방향인 (y)방향으로 재봉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x)방향은 1,000cm이고 (y)방향은 100cm이다.
여기서, 망사부재(11,12)들은 폭이 서로 동일하여 재봉 후에 양면(13,14)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재봉 간격은 6.0cm에서 8.0cm정도가 적합하며, 망사부재(11,12)의 적층두께는 1.5cm에서 2.0cm정도가 적합하다.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제 2실시예와 같이, 식생기반용 매트(10')는 망사부재(11',12')들 중 어느 하나의 폭이 더 커서 재봉 후에 일면(13')이 골(15) 형상을 가지고 타면(14')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폭이 큰 망사부재(11')와 폭이 작은 망사부재(12')의 비율은 1.3 : 1정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재봉 간격은 9.0cm에서 10.0cm정도가 적합하며, 망사부재(11',12')의 적층두께는 4.0cm에서 5.0cm정도가 적합하다.
한편, 망사부재(11,12)는 코코피트, 황마, 볏짚 중 어느 하나로 직조된다. 이 들 중에서도 망사부재(11,12)는 비교적 인장강도도 높고 가격도 저렴하며 쉽게 구할 수 있는 코코피트로 직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직조간격은 0.1cm에서 1.0cm정도가 적합하다.
부가적으로, 코코피트는 천연 코코넛 열매중 허스크(Husk) 부분에서 섬유질을 빼고난 부위에서 추출한 완전 무공해 입자성 유기질 성분으로 리그린과 셀룰로오스 성분이 많아 일반적으로 흙대용의 원예용으로 많이 사용 되어지고 있으며, 사용이 간편하고, 그 자체에 많은 영양소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휼륭한 기반재로 사용이 가능한 재료이다.
본 고안에서는 망사부재(11,12)가 코코피트, 황마사 및 볏짚과 같은 천연유기물사로 이루어지므로써, 시공한 후에도 환경오염이 전혀 없으며, 통기성, 보수력, 보비력이 좋아 식물의 성장을 우수하게 한다.
아울러, 망사부재(11,12)를 이루는 천연유기물사는 값이 타부재에 비해 저렴하고 취급이 간편하며 비교적 어두운 색이어서 태양열의 흡수율을 높일 수 있는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망사부재(11,12)를 이루는 천연유기물사는 자체가 중화물질이기 때문에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망사부재(11,12)들은 삽입부(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트임이 형성되도록 가장자리가 재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망사부재(11,12)의 가장자리가 재봉되므로써, 상기 식생기반용 매트(10)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삽입부(20) 내에 수용된 식생기초물(60)이 외부로 쏟아지거나 흘러내리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삽입부(20)의 일측에만 트임이 형성되는 경우는 양측에 트임이 형성되는 경우보다 식생기초물(60)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망사부재(11,12)들은 천연유기물사로 재봉된다. 이 천연유기물사 중에서도 비교적 인장강도가 높은 황마사(30)로 재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20)에는 식생기초물(60)과 함께 코코피트 칩(40)을 삽입한다.
이와 같이 삽입부(20) 내에 코코피트 칩(40)을 삽입하게 되면, 망사부재(11,12)의 내부에서 식생기초물(60)이 발육할 시 뿌리 엉킴이 활성화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제 2실시예와 같이, 망사부재(11',12')들 중 어느 하나의 폭이 더 커서 재봉 후에 일면(13')이 골(15) 형상을 가지고 타면(14')이 평평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도 1 및 도 2의 제 1실시예에 비해 상기 코코피트 칩(40)을 삽입부(20)에 삽입하는 것이 훨씬 용이하다.
상기한 제 2실시예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코피트 칩(40)을 삽입하더라도 지면과 접촉하는 타면(14')이 '-'형상을 항상 유지하기 때문에, 식생기반용 매트(10')를 시공할 경우에 식생기초물(60)의 뿌리와 지면이 확실하게 밀착되어 뿌리가 지면에 손 쉽게 안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식생기초물(60)의 뿌리가 지면에 안착하지 못해 말라 죽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2실시예에서 일면(13') 즉, 지면과 대향하는 면이 골(15)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식생기반용 매트(10')를 경사가 가파른 절개지에 시공하더라도 골(15) 형상이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로를 자연스럽게 형성하기 때문에 식생기반용 매트(10')가 빗물에 쉽게 휩쓸려 내려가지 않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망사부재(11,12,11',12')들의 내부에 상기 식생기초물(60)과 상기 코코피트 칩(4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20)로 주입되는 인공토양(5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식생기초물(60)은 씨앗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식생기초물(60) 중에서 씨앗은 코코피트 칩(40)이 이미 망사부재(11,12,11',12')들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공토양(50)에 혼합하여 삽입할 수도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서 삽입부(20)에 식생기초물(60)인 씨앗, 코코피트 칩(40), 및 인공토양(50)을 삽입한다면, 먼저 인공토양(50)이 가지고 있는 영양분과 수분을 충분히 씨앗이 섭취할 수 있어서 씨앗의 발육이 월등히 빨라 질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씨앗이 어느 정도 자라서 뿌리가 나게 되면 코코피트 칩(40)에 의해 뿌리 엉킴이 활성화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인공토양(50)은 예를 들어 피트모스, 코코피트, 분변토(지렁이가 분해한 토양), 제오라이트, 고흡수성수지(Super Absorbent polymers)를 서로 혼합한 것과, 여기에 형상 유지용 자연접착제인 당밀을 혼합하여 사용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식생기반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적층된 망사부재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재봉함으로써 망사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부에 식물의 성체, 줄기, 뿌리, 씨앗 중 어느 하나를 다수로 삽입시켜 손 쉽게 식생을 형성하므로써, 종래와 달리 절개지, 하천변, 건물 옥상 등의 장소에서도 녹화를 위한 식생을 작은 비용, 인력, 및 장비로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코코피트, 황마, 볏짚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므로써,환경친화적이고, 자체에 골이 형성되므로써 빗물에도 쉽게 휩쓸려 내려가지 않고 잘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망사부재들이 코코피트, 황마, 볏짚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므로써, 식생기초물에 충분한 수분과 영양분을 제공하기 때문에, 식생 배양 속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기반용 매트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기반용 매트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코코피트 칩을 삽입한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코코피트 칩과 인공토양을 삽입한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식생기반용 매트 11,11',12,12'; 망사부재
13,13'; 망사부재의 일면 14,14'; 망사부재의 타면
15; 골 20; 삽입부
30; 황마사 40; 코코피트 칩
50; 인공토양 60; 식생기초물

Claims (7)

  1. 한 쌍으로 적층된 망사부재; 및
    상기 적층된 망사부재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재봉함으로써 상기 망사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에는 식물의 성체, 줄기, 뿌리, 씨앗 중 어느 하나를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용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부재들은 폭이 서로 동일하여 재봉 후에 양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망사부재들 중 어느 하나의 폭이 더 커서 재봉 후에 일면이 골 형상을 가지고 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용 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부재들은 상기 삽입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트임이 형성되도록 가장자리가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용 매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식물의 성체, 줄기, 뿌리, 씨앗 중 어느 하나가 발육할 시 뿌리 엉킴이 활성화되도록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식물의 성체, 줄기, 뿌리, 씨앗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삽입되는 코코피트 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용 매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부재들의 내부에 상기 식물의 성체, 줄기, 뿌리, 씨앗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코코피트 칩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로 주입되는 인공토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용 매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부재들은 황마사로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용 매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부재들은 코코피트, 황마, 볏짚 중 어느 하나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용 매트.
KR20-2004-0036135U 2004-12-20 2004-12-20 식생기반용 매트 KR200377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135U KR200377541Y1 (ko) 2004-12-20 2004-12-20 식생기반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135U KR200377541Y1 (ko) 2004-12-20 2004-12-20 식생기반용 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935A Division KR100625866B1 (ko) 2004-12-20 2004-12-20 식생기반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식생 배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541Y1 true KR200377541Y1 (ko) 2005-03-14

Family

ID=4367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135U KR200377541Y1 (ko) 2004-12-20 2004-12-20 식생기반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5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989B1 (ko) * 2017-01-19 2018-12-12 한국론타이 주식회사 인공 배양토 매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989B1 (ko) * 2017-01-19 2018-12-12 한국론타이 주식회사 인공 배양토 매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091B1 (ko) 식생매트
CN104620838A (zh) 水库消落带植被恢复方法
CN102296567B (zh) 一种针对河岸带护坡和面源污染控制的软隔离带方法
KR100665965B1 (ko) 호안블록 녹화용 식생매트
CN109511422A (zh) 一种经济环保型沉水植物苦草栽培藤毡及栽种方法
KR100834083B1 (ko) 바이오 환경 식생포대 및 그 제조 방법
CN203361090U (zh) 一种用于河湖边坡生态治理的生态袋系统
KR100353012B1 (ko) 녹화용 매트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
KR100625866B1 (ko) 식생기반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식생 배양방법
KR200377541Y1 (ko) 식생기반용 매트
KR200419272Y1 (ko) 포트 삽입용 식생기반 매트
KR100580927B1 (ko) 다공질 필름을 이용한 식생매트 제조방법
CN105648999B (zh) 秸秆毯及其制造方法与应用
KR102041074B1 (ko) 식생매트
CN114128556A (zh) 生长床及其制作方法、边坡修护方法
CN114532099A (zh) 一种荒漠公路边坡植被固土系统及固土方法
JP2000064249A (ja) 緑化護岸材
KR200386677Y1 (ko) 식생 환경매트
KR100687584B1 (ko) 식생 환경매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950466B1 (ko) 친환경 네트 고정장치를 이용한 생태하천 조성공법
KR100430246B1 (ko)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식생블록의 제조방법
KR20050043821A (ko) 식생 환경매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0352912Y1 (ko) 호안블럭 녹화용 식생매트
CN211378721U (zh) 一种植生毯
KR20190030533A (ko) 녹화용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해안침식 방지 해안 녹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