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196Y1 - 작업등 - Google Patents

작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196Y1
KR200377196Y1 KR20-2004-0034442U KR20040034442U KR200377196Y1 KR 200377196 Y1 KR200377196 Y1 KR 200377196Y1 KR 20040034442 U KR20040034442 U KR 20040034442U KR 200377196 Y1 KR200377196 Y1 KR 200377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amp housing
work
connecting ro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휘
손인명
김재현
Original Assignee
김재현
장영휘
손인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현, 장영휘, 손인명 filed Critical 김재현
Priority to KR20-2004-0034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1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1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out a self-contained power source, e.g. for mains connection
    • F21L1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out a self-contained power source, e.g. for mains connection capable of hand-held use, e.g. inspection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21V21/0965Magnetic device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등에 관한 것으로, 할로겐램프가 램프하우징내부에서 전선가닥에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손잡이부의 저면에는 자석이 수납·고정되도록 하며, 램프하우징이 원하는 방향으로 각도조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할로겐 램프가 사용중 빠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효율 및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도록 하며,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전선코드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시키는 어댑터가 내장되고, 소정 위치에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한편, 저면 내측에는 영구자석이 수납·고정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져 설치되어 전후좌우로 임의로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에는 손잡이부내의 어댑터로부터 인출된 전선을 가이드하기 위한 전선안내통로가 형성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전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소정 곡률반경의 만곡진 반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반사면의 중심부에는 램프끼움공이 형성된 램프하우징과; 상기 램프하우징의 전면으로부터 램프끼움공을 통하여 끼워지며, 상기 연결봉을 통하여 안내된 두가닥의 전선과 직접 연결된 상태에서 스위치의 제어동작에 따라 점등 및 소등되는 할로겐램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작업등{WORKING LIGHT}
본 고안은 작업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할로겐램프가 램프하우징내부에서 전선가닥에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손잡이부의 저면에는 자석이 수납·고정되도록 하며, 램프하우징이 원하는 방향으로 각도조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할로겐 램프가 사용중 빠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효율 및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도록 하며,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작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등은 자동차의 차체 내부를 정비하는 경우와 같이 어두운 곳에서 작업을 하거나 야간에 별도의 조명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반드시 필요한 조명장치이다.
이와 같은 작업등은 작업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잡아주거나 또는 도와줄 다른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작업부위를 충분히 밝혀줄 수 있는 위치에 매달거나 고정 시켜주게 되는데, 이 경우 작업자 이외에 작업등을 비춰줄 다른 사람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새로운 작업등에 관한 제안이 필요한 실정이며,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작업등으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356332호가 제안되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 20-0356332호의 작업등은 그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하부에 전원선이 연결되고, 내부에 전원선과 접속되는 어댑터가 내장되며, 일측에 스위치가 마련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어댑터에 접속되는 소켓이 내장되는 헤드부와, 헤드부의 소켓에 접속되어 헤드부의 전면측으로 고정되는 할로겐 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작업등은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소켓에 접속된 할로겐 램프가 쉽게 빠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할로겐 램프의 뒷부분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별도의 고정구를 준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작업성이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한 종래의 작업등에서는 헤드부의 상부면에 걸이구가 마련되어 있기는 하지만 작업부위에 걸이구를 걸 수 있는 마땅한 구조물이 없는 경우에는 필요없게 되어 반드시 작업등을 비춰줄 다른 사람이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혼자일 경우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작업등에서는 작업부위의 이면을 관찰할 수 있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밀하고 정확한 작업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할로겐램프가 램프하우징내부에서 전선가닥에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손잡이부의 저면에는 자석이 수납·고정되도록 하며, 램프하우징이 원하는 방향으로 각도조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할로겐 램프가 사용중 빠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효율 및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도록 하며,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작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작업등은 내부에 전선코드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시키는 어댑터가 내장되고, 소정 위치에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한편, 저면 내측에는 영구자석이 수납·고정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져 설치되어 전후좌우로 임의로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에는 손잡이부내의 어댑터로부터 인출된 전선을 가이드하기 위한 전선안내통로가 형성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전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소정 곡률반경의 만곡진 반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반사면의 중심부에는 램프끼움공이 형성된 램프하우징과; 상기 램프하우징의 전면으로부터 램프끼움공을 통하여 끼워지며, 상기 연결봉을 통하여 안내된 두가닥의 전선과 직접 연결된 상태에서 스위치의 제어동작에 따라 점등 및 소등되는 할로겐램프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램프하우징의 전면 가장자리 외측에는 할로겐램프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그릴이 끼워져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램프하우징의 전면 가장자리 내측에는 반사경이 램프하우징의 내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끼워져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는 2개의 연결봉이 세우져 설치되고, 상기 각 연결봉의 상단에는 램프하우징이 결합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단면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등의 요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등에서 하나의 손잡이부에 2개의 연결봉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등에서 램프하우징의 전면 내측에 반사경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작업등은 할로겐 램프가 사용중 빠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효율 및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도록 하며, 작업이 보다 정밀하고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작업등(10)은 크게 손잡이부(12)와, 모든 방향으로 임의로 구부릴 수 있는 연결봉(14)과, 램프하우징(16) 및 할로겐 램프(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부(12)의 내부에는 전선코드(2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시키는 어댑터(22)가 내장되고, 소정 위치에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스위치(24)가 설치된다.
손잡이부(12)의 저면 내측에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나 그 주변의 금속 등 자력감응부재상에 충분히 부착될 수 있는 세기의 자력을 갖는 영구자석(26)이 수납·고정된다.
상기 손잡이부(12)의 상단으로부터 윗쪽으로는 전후좌우 모든 방향으로 임의로 구부릴 수 있는 연결봉(14)이 소정의 높이로 세워져 설치된다.
상기 연결봉(14)의 내부에는 손잡이부(12)내의 어댑터(22)로부터 인출된 전선(28)을 가이드하기 위한 전선안내통로(14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램프하우징(16)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연결봉(14)의 상단에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램프하우징(16)의 전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소정 곡률반경의 만곡진 반사면(16a)이 형성되고, 상기 반사면(16a)의 중심부에는 램프끼움공(16b)이 형성된다.
상기 램프하우징(16)의 전면으로부터 내측으로는 정해진 규격의 할로겐 램프(18)가 삽입된 후 반사면(16a)의 중심부에 형성된 램프끼움공(16b)을 통하여 끼워지며, 상기 연결봉(14)내의 전선안내통로(14a)를 통하여 안내된 두가닥의 전선(28)이 각각 할로겐 램프(18)의 정해진 부위에 직접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할로겐 램프(18)와 전선(28)이 연결되고, 외부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스위치(24)를 ON/OFF시키는 동작에 따라 할로겐 램프(18)가 점등 또는 소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램프하우징(16)의 전면 가장자리 외측에는 할로겐 램프(18)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그릴(30)이 끼워져 결합 될 수 있다.
또, 상기 램프하우징(16)의 전면 가장자리 내측에는 작업부위의 이면을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반사경(32)이 램프하우징(16)의 내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2)의 상단에는 2개의 연결봉(14)이 나란하게 세우져 설치되고, 상기 각 연결봉(14)의 상단에는 램프하우징(16)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어두운 차량의 내부 등에 대하여 정비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먼저 손잡이부(12)의 외측으로 인출된 전선코드(20)를 외부전원과 접속시킨다.
이 상태에서 스위치(24)를 ON상태로 놓으면,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류가 어댑터(22)를 통하여 할로겐 램프(18)로 흐름에 따라 점등된다. 이와 같이 할로겐 램프(18)가 점등된 상태에서 작업부위를 비추면 되는데, 상기 작업부위에 따라 상기 연결봉(14)을 구부리면 작업에 알맞은 상태로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작업등(10)을 잡고 비춰줄 다른 사람이 없는 경우에 손잡이부(12)의 저면을 주변의 금속 등 자력감응부재상에 올려 놓으면, 손잡이부(12)의 저면에 고정된 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고, 이 상태에서 연결봉(14)을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리면 혼자서도 충분히 작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부위가 협소하여 램프하우징(16)의 내측면이 주변의 다른 부품이나 물건 등에 부딪힐 우려가 높을 때에는 램프하우징(16)의 전면 가장자리 외측에 보호그릴(30)을 끼워 결합하면 할로겐 램프(18)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램프하우징(16)의 가장자리 내측에 반사경(32)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작업부위가 협소하여 작업하고자 하는 부품 또는 장치 등의 이면을 직접 볼 수 없는 경우에 유용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작업자가 작업등(10)을 해당 부품 또는 장치의 이면쪽으로 밀어 넣은 상태에서 반사경(32)을 관찰하면 할로겐 램프(18)로부터 나온 빛이 반사경(32)과 램프하우징(16)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하여 해당 부품이나 장치의 이면을 비추게 되고, 해당 부품의 이면은 반사경(32)에 반사됨에 따라 작업자가 직접 보지 못하는 부분을 관찰하면서 작업할 수 있어 작업이 정밀해지고 정확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할로겐램프가 램프하우징내부에서 별도의 소켓에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전선가닥에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성이 간편하고, 쉽게 빠지지 않는다.
또한, 손잡이부의 저면에 자석이 수납·고정되어 작업부위의 적절한 위치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자가 양손을 모두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향상되며, 램프하우징이 임의로 구부릴 수 있는 연결봉에 직접 연결됨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램프하우징의 전면 내측에 반사경이 설치되는 경우 작업부위의 이면을 반사경을 통하여 확이할 수 있음에 따라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단면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등의 요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등에서 하나의 손잡이부에 2개의 연결봉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등에서 램프하우징의 전면 내측에 반사경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손잡이부 14 : 연결봉
16 : 램프하우징 18 : 할로겐 램프
24 : 스위치 26 : 영구자석
30 : 보호그릴 32 : 반사경.

Claims (4)

  1. 내부에 전선코드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시키는 어댑터가 내장되고, 소정 위치에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한편, 저면 내측에는 영구자석이 수납·고정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져 설치되어 전후좌우로 임의로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에는 손잡이부내의 어댑터로부터 인출된 전선을 가이드하기 위한 전선안내통로가 형성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전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소정 곡률반경의 만곡진 반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반사면의 중심부에는 램프끼움공이 형성된 램프하우징과;
    상기 램프하우징의 전면으로부터 램프끼움공을 통하여 끼워지며, 상기 연결봉을 통하여 안내된 두가닥의 전선과 직접 연결된 상태에서 스위치의 제어동작에 따라 점등 및 소등되는 할로겐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하우징의 전면 가장자리 외측에는 할로겐램프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그릴이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하우징의 전면 가장자리 내측에는 반사경이 램프하우징의 내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는 2개의 연결봉이 세우져 설치되고, 상기 각 연결봉의 상단에는 램프하우징이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등.
KR20-2004-0034442U 2004-12-04 2004-12-04 작업등 KR200377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442U KR200377196Y1 (ko) 2004-12-04 2004-12-04 작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442U KR200377196Y1 (ko) 2004-12-04 2004-12-04 작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196Y1 true KR200377196Y1 (ko) 2005-03-11

Family

ID=4367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442U KR200377196Y1 (ko) 2004-12-04 2004-12-04 작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1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0529B2 (en) Folding worklight with attachment mechanism
US9046231B2 (en) Folding worklight with attachment mechanism
US6976771B1 (en) Work light with hinged lens
JP2007134294A (ja) 横向きライティングダクト用アダプター装置
KR200377196Y1 (ko) 작업등
KR200377197Y1 (ko) 작업등
KR20060062588A (ko) 작업등
KR20110059146A (ko) Led 조명용 고조도 반사갓
JP3840931B2 (ja) 照明器具
FR2745627A1 (fr) Lampe equipee d'un miroir mobile
CN204201509U (zh) 一种led投光灯
JP4456043B2 (ja) 灯体にコード収納部を備えるスポットライト
US20090251899A1 (en) Flexible Spotlight
KR20080083454A (ko) 휴대용 다기능 작업등
USRE22037E (en) Electric lighting fixture of the portable wall lamp type
RU140831U1 (ru) Переносной светодиодный световой прибор
CN212132205U (zh) 一种带有吊扇结构的吊灯
CN217843711U (zh) 一种新型电动车用前大灯
RU186331U1 (ru) Переносной светодиодный осветительный прибор
KR200209937Y1 (ko) 램프식 거울
CN220287307U (zh) 便携式照明系统
KR20090105625A (ko) 자석 작업등
KR200219211Y1 (ko) 휴대용 전선릴
CN210599494U (zh) 伸缩式吊扇灯
KR100724777B1 (ko) 작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