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186Y1 -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186Y1
KR200377186Y1 KR20-2004-0033518U KR20040033518U KR200377186Y1 KR 200377186 Y1 KR200377186 Y1 KR 200377186Y1 KR 20040033518 U KR20040033518 U KR 20040033518U KR 200377186 Y1 KR200377186 Y1 KR 200377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ing device
ground
pole
grounding
co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사균
Original Assignee
나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3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1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1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장비, 전자계측장비, 피뢰장비, 전력장비, 건축물, 기지국, 통신용 중계기, 공항의 관제탑, 군부대의 각종 통신장비, 고압선철탑, 고층건물, 기차레일, 광고탑, 가로등 등에 설치 사용하는 전주 삽입형 접지장치로써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적은 면적에 설치 시공 가능하고, 토양의 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설치장소의 토질에 따라 다양한 접지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이설공사시에도 접지장치를 그대로 사용 가능하여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한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 통신 케이블을 지지토록 일정 간격으로 지면에 매설된 전주에 장착되는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하에 매설되는 전주의 하부 외측면상에 밀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 두께를 지닌 원통형상의 동판관과, 상기 동판관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판과, 상기 전주로부터 연결되는 접지선이 접합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GROUNDING APPARATUS AS ONE BODY WITH TELEGRAPH POLE}
본 고안은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장비, 전자계측장비, 피뢰장비, 전력장비, 건축물, 기지국, 통신용 중계기, 공항의 관제탑, 군부대의 각종 통신장비, 고압선철탑, 고층건물, 기차레일, 광고탑, 가로등 등에 설치 사용하는 전주 삽입형 접지장치로써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적은 면적에 설치 시공 가능하고, 토양의 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설치장소의 토질에 따라 다양한 접지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이설공사시에도 접지장치를 그대로 사용 가능하여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한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접지(ground)란 통신장비, 전자계측장비,피뢰장비 및 전력장비 등을 전기적으로 대지와 접속시켜 주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접지에 의해 장비와 대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장비에 가해지는 과부하나 낙뢰 등에 의한 써지(SERGE)전압을 대지로 흘려보낼 수 있게 된다. 즉, 접지에 의해 장비가 과부하 및 써지전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접지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제 접지봉(1)을 지중에 매설하고, 접지봉(1)과 장비를 리드선(2)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상기 접지봉(1)의 접지저항이 일반적으로 지나치게 크며, 정상적으로 접지저항이 설정되더라도 사용중에 접지저항이 커지게 됨으로써 정상적인 접지효과를 볼 수 없게 된다. 이는 금속재 접지봉(1)과 대지의 토양과의 접지저항이 토양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고 접지봉(1)이 토양과의 전식반응 때문에 손상되어 접지저항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접지저항이 높은 토질에서는, 접지봉(1) 만을 매설하는 것이나 리드선(2)을 매설하는 것 만으로 접지저항을 낮출수가 없어 접지저항 저감제를 접지봉(1)에 둘러싸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나, 저감제는 무기재료와 전해질을 함유하는 화학저감제와 시멘트, 골재, 탄소섬유를 함유하는 시멘트계 저감제로서 시간이 경과되면 빗물이나 지하수에 의해 유실되어 저감제의 기능이 상실될 뿐만 아니라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접지저항값이 높은 토질에서는 접지 저항값을 줄이기 위해 접지봉(1)과 리드선(2)을 반드시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설치면적이 넓어 시공이 번거럽고 인접되어 설치된 여타장비에 손상을 주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설치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경비가 과다하게 발생되고 파손의 우려가 상존하여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있으며, 넓은 면적이 소요됨에 따라 민원의 발생을 야기시키고, 상기 사용면적에 대한 임차 및 사용료가 막대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주 등과 같은 구조물을 이설작업 할 경우에는 매설된 접지봉(1)이나 리드선(2)을 수거하기가 번거러워 접지재료들을 재활용하지 못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가져오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통신장비, 전자계측장비, 피뢰장비, 전력장비, 건축물, 기지국, 통신용 중계기, 공항의 관제탑, 군부대의 각종 통신장비, 고압선철탑, 고층건물, 기차레일, 광고탑, 가로등 등에 설치 사용하는 전주 삽입형 접지장치로써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적은 면적에서 설치 시공 가능하고 토양의 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설치장소의 토질에 따라 다양한 접지방법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기 통신 케이블을 지지토록 일정 간격으로 지면에 매설된 전주에 장착되는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하에 매설되는 전주의 하부 외측면상에 밀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 두께를 지닌 원통형상의 동판관과, 상기 동판관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판과, 상기 전주로부터 연결되는 접지선이 접합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는, 상기 동판관이 대지와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접지 효율을 높이도록 복수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별형상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은 중앙부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주연부로 부터 상기 전주의 내측홀에 삽입되도록 일정 높이로 돌출된 삽입돌기가 형성되거나, 상기 동판관에서 아래쪽으로 직선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동판관의 내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되도록 각각 복수개의 톱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선(30)은 동판관에 압착되어 접합되고, 상기 동판관과 하부판에 접지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저감제가 일정 두께로 코팅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주 매설지역의 토질에 따라 접지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동판관에서 별도의 리드선을 연장 형성하여 이를 다수개의 접지봉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접지방식은 일반 건축물에도 적용하여 사용가능한데, 즉 건물 낙뇌시 발생되는 이상 써지전압등을 H형빔을 통해 접지시켜 대지로 흘려보낼수 있도록 피뢰침이 구비된 건물에 있어서는 지하에 매설된 H형빔의 하측 끝단부 외측면에 접지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할수 있고, 이 경우에도 매설지역의 토질에 따라 접지저항을 줄일수 있도록 상기 접지부재에서 별도의 리드선을 연장 형성하여 이를 다수개의 접지봉에 연결하기도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키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2a는 도1의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를 사용한 사용상태도이며, 도2b는 도2a의 A-A선의 단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도4는 도3의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를 사용한 사용상태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도6은 도5의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를 사용한 사용상태도이고, 도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도8a, 8b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에 의한 접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9는 본 고안의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를 사용하여 시공된 설치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또는 통신케이블을 지지토록 일정 간격으로 지면에 매설된 전주(10)의 하부 외측면상에 제조과정에서 일체로 성형 형성되거나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접지부재(20)와 하부판으로 형성되는데,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는 도1 내지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 두께를 지닌 원통형상의 동판관(22)과, 상기 동판관(22)의 저면은 중앙부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홀(2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1)의 주연부로 부터 상기 전주(10)의 내측홀에 삽입되도록 일정 높이로 돌출된 삽입돌기(23)가 형성된 하부판(24)으로 구성된다.
도3 및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 상기 제1실시예의 동판관(22)은 대지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켜 접지 효율을 높이도록 외측으로 다수개 돌출되는 별형상의 별형상관(25)과,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하부판(24)으로 형성된다.
도5 및 도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된 동판관(22)과, 하부면에 다수개 돌출된 톱니부(26, 27)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톱니부(26)는 동판관(22)에서 아래쪽으로 직선되도록 연장되는 톱니부(26)와, 동판관(22)의 내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된 톱니부(27)가 엇갈리게 형성된다. 상기 내측으로 절곡된 톱니부(27)는 안쪽에 삽입되는 전주(10)를 지지하게 된다.
도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로, 상기 제1실시예의 동판관(22)과, 상기 동판관(22)의 상측부와 하측부는 전주(10)의 내측으로 매립되게 성형시켜 이루어 진다. 다시 말해, 접지부재(20)의 상측단과 하측단이 상기 전주(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복수회 절곡된 절곡부(28)가 형성된다.
한편, 건축물등에서 낙뇌시 발생되는 써지(serge)전압등을 H형빔을 통해 접지시켜 대지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피뢰침이 구비된 건물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로, 도8a 및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된 H형빔(70)의 하측 끝단부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접지부재(20)를 일체로 형성시켜 사용하거나, 상기 접지부재(20)가 일체로 형성된 H형빔(70)을 콘크리트 구조물(60)로 일정하게 성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나 송전탑등은 L형빔(71)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형빔(71)의 외측에 접지부재(20)를 일체로 형성시켜 사용하거나, 상기 접지부재(20)가 일체로 형성된 L형빔(71)을 콘크리트 구조물(60)로 일정하게 성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는 또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효율이 높아지도록 매설지역의 토질에 따라 접지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접지부재(20)에 별도의 리드선(30)을 연장 형성하여 이를 다수개의 접지봉(50)에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다.
또한, 전주(10)로 부터 인출된 접지선(30)은 접지부재(20)에 각각 용접되거나(20-2) 압착되어(20-1) 압착되어 접합되도록 하며, 상기 접지부재(20)는 공히 접지 저항을 줄여 접지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저감제가 일정 뚜께로 코팅처리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주(10)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동판관(22)과는 틈새가 발생되며, 상기 틈새 사이로 함입된 수분은 하부판(24)에 의해 계속적으로 저장되게 된다. 따라서, 저장된 수분으로 인해 더욱 효과적으로 접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접지선(30)은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저감제는 대지와의 접지저항을 낮출 수 있는 화학물질이다.
또한, 전주 매설지역의 토질에 따라 접지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접지부재에서 별도의 리드선을 연장 형성하여 이를 다수개의 접지봉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시공을 위하여 유효반경 내의 지면을 일정 깊이 천공한 후 외측면에 접지부재(20)가 일체로 형성된 전주(10)를 넣어 매설한다.
상기 접지부재(20)는 재질이 동(銅)으로 이루어져 접지선(30)을 통해 써지전압등이 인가될 경우 대지와의 접지저항을 줄여줌으로써 접지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즉, 접지선(30)을 통해 외부로 부터 이상전압이 인입되면 대지와의 접촉면적이 큰 원통형 동관(접지저항이 적어)을 통해 대지전류로 흐르게 됨으로써 통신장비, 전자계측장비, 피뢰장비, 전력장비, 건축물, 기지국, 통신용 중계기, 공항의 관제탑, 군부대의 각종 통신장비, 고압선철탑, 고층건물, 기차레일 등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고 전류가 대지로 바이패스 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전주(10)가 매설되는 토양에 따라 접지저항값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으로 접지저항이 높은 토양에서는 상기 접지부재(20)에 저감제를 일정 뚜께로 코팅처리하여 접지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접지저항값이 상당이 높은 지역의 토양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를 사용함과 아울러 접지부재(20)에서 별도의 리드선(40)을 연장 형성하여 이를 다수개의 접지봉(50)에 연결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렇케 함으로써, 접지저항이 높은 토양에서도 접지효율을 높일 수 있어 통신기기와 전력설비등의 제품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접지장치는 일반 건축물에도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즉 건물 낙뇌시 발생되는 써지전압등을 H형빔을 통해 접지시켜 대지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피뢰침이 구비된 건물에 있어서는, 상기 지하에 매설된 H형빔의 하측 끝단부 외측면상에 접지부재(20)를 일체로 형성하게 되면 위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하게 접지효율을 높아지게 되고, 필요에 따라 건축물 매설지역의 토질에 따라 접지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접지부재에서 별도의 리드선(40)을 연장 형성하여 이를 다수개의 접지봉(5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는 그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지역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하는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각종 통신장비, 전자계측장비, 피뢰장비, 전력장비, 건축물, 기지국, 통신용 중계기, 공항의 관제탑, 군부대의 각종 통신장비, 고압선철탑, 고층건물, 기차레일, 광고탑, 가로등 등에 설치 사용하는 전주 삽입형 접지장치로서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적은 면적에서 설치 시공 가능하며, 접지극 간의 이격거리가 협소해도 타 접지극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감제에 의한 토양의 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일정양의 수분을 저장하기 때문에 접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설치장소의 토질에 따라 다양한 접지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특히 이설공사시에도 접지장치를 그대로 사용 가능하여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탁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2a는 도1의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를 사용한 사용상태도이며,
도2b는 도2a의 A-A선의 단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도4는 도3의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를 사용한 사용상태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도6은 도5의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를 사용한 사용상태도이고,
도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도8a, 8b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에 의한 접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9는 본 고안의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를 사용하여 시공된 설치단면도이며,
도10은 종래의 일반적인 접지장치가 시공된 설치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주 20: 접지부재
21: 관통홀 22: 동판관
23: 삽입돌기 24: 하부판
25: 별형상관 26, 27: 톱니부
30: 접지선 28: 절곡부
40: 리드선 50: 접지봉
60: 콘크리트 구조물 70: H형빔

Claims (9)

  1. 전기 통신 케이블을 지지토록 일정 간격으로 지면에 매설된 전주에 장착되는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하에 매설되는 전주의 하부 외측면상에 밀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 두께를 지닌 원통형상의 동판관과, 상기 동판관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판과, 상기 전주로부터 연결되는 접지선이 접합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판관은, 대지와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접지 효율을 높이도록 복수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별형상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은, 중앙부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주연부로 부터 상기 전주의 내측홀에 삽입되도록 일정 높이로 돌출된 삽입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은, 상기 동판관에서 아래쪽으로 직선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동판관의 내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되도록 각각 복수개의 톱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30)은 동판관에 압착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판관과 하부판에 접지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저감제가 일정 두께로 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주 매설지역의 토질에 따라 접지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동판관에서 별도의 리드선을 연장 형성하여 이를 다수개의 접지봉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8. 건물 낙뢰시 발생되는 이상 써지전압등을 H형빔을 통해 접지시켜 대지로 흘려보낼수 있도록 피뢰침이 구비된 건물의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H형빔의 하측 끝단부 외측면상에 동판관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빔 일체형 접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매설지역의 토질에 따라 접지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동판관에 별도의 리드선을 연장 형성하여 이를 다수개의 접지봉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빔 일체형 접지장치.
KR20-2004-0033518U 2004-11-26 2004-11-26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KR200377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518U KR200377186Y1 (ko) 2004-11-26 2004-11-26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518U KR200377186Y1 (ko) 2004-11-26 2004-11-26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917A Division KR100598466B1 (ko) 2004-03-19 2004-03-19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186Y1 true KR200377186Y1 (ko) 2005-03-10

Family

ID=4367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518U KR200377186Y1 (ko) 2004-11-26 2004-11-26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1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295B1 (ko) * 2006-11-01 2007-04-18 육혜연 전주용 배전선 접지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295B1 (ko) * 2006-11-01 2007-04-18 육혜연 전주용 배전선 접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57089T3 (es) Un sistema de puesta a tierra para una turbina eólica conectada a una red de distribución y para un parque eólico
KR100818938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1097717B1 (ko) 원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0713698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0857151B1 (ko) 배전 전주용 접지 시설물
KR100598466B1 (ko)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CN110444919B (zh) 一种城区配电网永久性预埋接地体及其施工方法
KR100819389B1 (ko) 동복강판에 의한 접지판 및 그 접지판을 갖는 아치형전주근가
KR100725268B1 (ko) 접지수단을 구비한 콘크리트 전주
KR200377186Y1 (ko)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KR20090090868A (ko) 접지장치
KR100446344B1 (ko) 전주의 접지시공방법과 그 장치
KR100866027B1 (ko) 망상전극의 나동선 접합용 관형 십자 슬리브
KR200257071Y1 (ko) 성형된 접지저항 저감재를 사용한 전주용 접지장치
KR20060002315A (ko)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접지봉
RU2331737C2 (ru)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и защиты стар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фундаментов, свай и стоек электроустановок от воздействия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KR200288758Y1 (ko) 접지용 전주
KR200343950Y1 (ko) 배전 선로의 접지 장치
KR100493901B1 (ko) 콘크리트 접지전극 및 그 시공방법
KR100708295B1 (ko) 전주용 배전선 접지판
CN2796160Y (zh) 一种用绝缘导线深引入地的过电压保护接地装置
KR200253293Y1 (ko) 수개의 구멍이 뚫린 접지용 동파이프
KR102124644B1 (ko) 파이프형 콘크리트 접지블록
KR101024569B1 (ko) 등전위화 접지설비
KR200451817Y1 (ko)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