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123Y1 -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77123Y1 KR200377123Y1 KR20-2004-0034206U KR20040034206U KR200377123Y1 KR 200377123 Y1 KR200377123 Y1 KR 200377123Y1 KR 20040034206 U KR20040034206 U KR 20040034206U KR 200377123 Y1 KR200377123 Y1 KR 20037712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heart
- coupled
- handle
- guide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2017/023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heart surgery
- A61B2017/024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heart surgery for immobilizing local areas of the heart, e.g. while it b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환자 심장의 외표면과 비외상(非外傷)적으로 지지되도록 소정형상의 다리부(foot)와 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박동중인 심장 외표면을 안정화시켜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안정화장치(stabilizer)의 다리부가 다수의 관절으로 이루어진 가요성 축 단부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라운딩 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심장 시술 부위의 시야 확보 및 시술부위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켜 시술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는, 슬라이딩 안내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메인 홀더와,
슬라이딩 안내홈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키이 조작으로 메인 홀더에 로킹 및 로킹해제되며, 핸들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홀더와,
다관절을 형성하는 다수의 링크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제1홀더를 관통하여 핸들에 고정되며 타단이 제2홀더에 고정되어, 핸들 조작시 제1홀더와 제2홀더사이의 링크들을 마찰결합시키는 로킹부재에 의해 로킹되는 가요성 아암과,
고정수단에 의해 심장 표면에 비외상적으로 지지되고, 박동하는 심장 표면을 안정화시키는 복수의 다리부가 결합되는 헤더와,
제2홀더에 장착된 제2키이 조작으로 헤더를 감싸지지하는 로커를 제2홀더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틸팅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심장의 관상 동맥 수술시 사용되는 안정화장치(stabilizer)의 구조 변경으로 인해 시술 부위의 시야를 최대한 확보하여 시술이 용이하고, 시술부위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일명, "옥토퍼스" 라고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 심장의 외표면과 비외상(非外傷)적으로 지지되도록 소정형상의 다리부(foot)와 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박동중인 심장 외표면을 안정화시켜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안정화장치의 다리부가 다수의 관절으로 이루어진 가요성 축 단부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라운딩 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심장 시술 부위의 시야 확보 및 시술부위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상동맥(冠狀動脈;coronary artery)"이란 심장벽(心臟壁)으로 혈액을 보내고 심장 자체를 부양하는 동맥, 좌우에 2개 있으며(좌,우측 관상동맥), 이들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대동맥(大動脈)의 기부에서 시작된다. 심실(心室)과 심방(心房)의 경계기점을 관(冠)모양으로 둘러싸며, 또한 하행(下行)하는 가지도 나와 있다. 이 동맥에 병변(病變)이 생기면 심장은 산소를 함유한 혈액을 충분하게 공급받을 수 없기 때문에 활동을 할 수 없게 된다. 심장의 혈액 공급 결핍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것이 협심증(狹心症)이며, 관상동맥이 막히면 심근경색(心筋梗塞) 또는 심장마비를 일으킬 우려를 갖는다.
전술한 협심증(狹心症)은 심장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세 가닥의 혈관중 한 개이상이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 성분이 체내에 축적되어 좁혀지거나, 막혀 심장 근육에 피가 잘 공급되지 않는 질병이다. 즉 지방 성분이 혈관내에 침착될 경우 혈관벽이 두꺼워지며 혈전(핏덩어리를 말함)이 끼어서 혈관은 자연히 좁아져 혈액순환에 지장을 받게 된다. 지방 성분의 축적은 동맥경화 병변, 일명 플라크(plaque)라고 한다.
한편, 일반적인 심장 수술중의 하나는 관상 동맥 대체 이식술(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CABG)이다. 관상 동맥 대체 이식술에서, 하나 이상의 관상 동맥 내의 방해물(blockage)은 그 방해물의 관상 동맥 하류에 이식관을 연결함에 따라 우회된다. 이식관을 관상 동맥에 연결하는 기술은 접합술로서 공지되어 있다. 이식관은 흉부 벽으로 부터 절개된 유동맥일 수 있고, 유동맥의 상류 단부는 손상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고 그 하류 단부는 관상 동맥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이식관은 환자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의 동맥 또는 정맥의 일부로 될 수 있고, 또는 인공 혈관이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이식관의 상류 단부는 대동맥과 같은 동맥에 연결되고 그 하류 단부는 관상 동맥에 연결된다. 이때 심장의 전방, 측부, 후부상의 다양한 위치에 존재하는 다수의 관상 동맥 방해물은 다수의 이식관을 사용하여 대체할 수 있다.
종래에는, 관상 동맥 대체 이식술은 환자가 심폐 대체술에 의존한 채로 심장이 멈춘 상태에서 시술되었고, 그에 따라 환자의 혈액은 체외 펌프 및 산소 공급시스템에 의해 순환되었다. 그러나 관상 동맥 대체 이식술은 심폐 대체술 대신에 "심장 박동(beating heart)" 또는 "오프-펌프(off- pump)" 관상 동맥 대체술(coronary artery bypass;OPCAB)로서 공지된 기술로 심장을 박동시키면서 시술될 수 있다.
관상 동맥 대체술에서, 관상 동맥의 접합부 근처의 심장의 표면은 심장이 박동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특정 도구를 사용하여 안정화된다. 이러한 국부적인 안정화는 이식관이 관상 동맥에 연결된 상태에서 가능한 접합부를 움직임없이 유지한다. 접합술이 혈액을 유동시키면서 부위를 유지하는 동안 관상 동맥이 일시적으로 막히거나 일시적인 관상 동맥 내로 삽입된다.
관상 동맥 대체 시술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능은 흉골 또는 늑골 견인, 심장조작(heart manipulation), 심장 안정화, 심막 견인, 관상 동맥 견인 및 지혈을 포함한다. "흉골 견인"은 흉부강을 개방하기 위해 분활된 흉골의 대향 절반부를 이격되게 들어올리는 것을 포함한다. "심장 조작"은 심장의 전방, 후방 또는 측부상의 관상 동맥에 접근하기 위하여 심장을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또는 들어올리는 것을 수반한다. 심장 안정화는 접합술이 시술되도록 접합부 근처의 박동중인 심장의 표면을 안정화시키는 공정이다.
"심막 견인"은 심장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절개된 심막을 견인하는데 사용된다. "관상 동맥 견인"은 접합부 근처의 관상 동맥 아래에 봉합선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관상 동맥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봉합선에 견인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견인력은 지혈을 제공하기 위해 접합부 위아래에 관상 동맥을 막도록 기능할 수 있다. 시술중에 혈액이 접합부를 통해 흐르도록, 일시적인 문합(anastomosis)부가 관상 동맥 내의 동맥절개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는, 환자 심장의 외표면 시술부위를 안정화시켜 해당 부위를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으로서, 수술실의 시술대에 장착되는 레일(미도시됨)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키이(1) 조작에 의해 레일에 로킹 및 로킹해제되는 메인 홀더(2)와, 메인 홀더(2)에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핸들(3)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홀더(4)를 구비한다.
또한, 전술한 제1홀더(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관절을 형성하는 다수의 링크(5)로 이루어진 가요성 아암(6)(flexible arm)과, 제1홀더(4)에 일단이 연결되고 가요성 아암(6) 단부에 결합된 제2홀더(7)에 타단이 연결되며, 핸들(3) 조작에 따라 다수의 링크(5)들 사이의 마찰 결합에 의해 가요성 아암(6)을 로킹시키도록 와이어 또는 케이블 등으로 형성된 로킹부재(미도시됨)와, 제2홀더(7)에 연결되고 심장 표면에 비외상(非外傷)적으로 지지되어 박동하는 심장 표면을 안정화시키는 다리부(9)를 구비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0은 환자의 심장 표면에 다리부(9)를 부착하기 위해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사용되는 흡입루멘(suction lumen)이다.
이때, 심장 시술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술내용이므로 이하에서 생략한다.
종래의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는, 전술한 핸들(3) 조작시 로킹부재에 의해 로킹되고 흡입루멘(10)을 통하여 심장 표면에 흡착되는 다리부(9) 형상이 직선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시술 부위의 시야를 충분하게 확보하는 데 한계에 직면하게 되어 시술자(수술담당 의사를 말함)는 수술에 대한 부담감 및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시술시 시각화 및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심장 표면에 대한 전술한 다리부(9)의 흡착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다리부(9)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루멘(10)에 장착된 개폐밸브(미도시됨) 조작으로 흡입력을 차단하여 다리부(9)를 심장 표면으로 부터 분리시킨 후, 핸들(3) 조작으로 가요성 아암(6)의 로킹을 해제시켜 다리부(9)를 심장표면의 최적위치로 옮겨야되는 과정을 거치므로, 시술하는 데 장시간이 소요되어 시술의 안정성이 떨어짐에 따라 의료사고 발생율이 증가되어 시술자 및 병원에 대한 신뢰성을 상실하게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환자의 박동중인 심장 외표면을 안정화시켜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안정화장치의 구조 변경으로 인해 심장 시술 부위의 넓은 시야 확보 및 시술부위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켜 시술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심장 시술 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안정성을 확보함에 따라 시술자의 수술에 대한 위험부담감을 줄이고, 또한 시술도중 의료사고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라이딩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메인 홀더와,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키이 조작으로 메인 홀더에 로킹 및 로킹해제되며, 핸들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홀더와,
다관절을 형성하는 다수의 링크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제1홀더를 관통하여 핸들에 고정되며 타단이 제2홀더에 고정되어, 핸들 조작시 제1홀더와 제2홀더사이의 링크들을 마찰결합시키는 로킹부재에 의해 로킹되는 가요성 아암과,
고정수단에 의해 심장 표면에 비외상적으로 지지되고, 박동하는 심장 표면을 안정화시키는 복수의 다리부가 결합되는 헤더와,
제2홀더에 장착된 제2키이 조작으로 헤더를 감싸지지하는 로커를 제2홀더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틸팅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심장 시술부위의 넓은 시야 확보 및 시술부위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리부는 라운드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다리부는 제2홀더에 대해 135∼150°범위내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관상 동맥을 안정화시키고 심장의 다른 부위를 수축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 다리부의 좌,우측 길이는 상이하게 형성된다.
전술한 틸팅수단은,
헤더의 연결편 외주연에 형성된 환형의 요홈에 대응되는 돌출편이 내측면에 형성되고 가이드 요홈이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연결편을 감싸 지지하는 제1로커와, 가이드 요홈에 대응되는 가이더가 내측면에 형성되고 제1로커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2로커와, 제1,2로커에 형성된 관통공에 결합되고 제2키이를 제2홀더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시키는 고정핀에 피봇고정되는 로킹핀을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는, 슬라이딩 안내홈(11)이 좌우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동홈(12)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파지가 용이하도록 웨이브형상을 갖는 외측면에 요철부(14)가 형성된 메인 홀더(15)(main holder)와, 슬라이딩 안내홈(11)에 대응되게 형성된 결합편(16)에 의해 메인 홀더(15)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홈(12)에 결합되는 구속편(17)의 관통공(17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키이(18) 조작으로 메인 홀더(15)에 대해 로킹 및 로킹해제되며, 파지가 용이하도록 외측면이 불가사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다리꼴형의 치형부(19a)가 내주연에 형성된 핸들(19)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홀더(20)를 구비한다.
또한, 다관절을 형성하는 다수의 링크(21,22,23)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제1홀더(20)를 관통하여 핸들(19)에 고정되며 타단이 제2홀더(26)에 고정되며, 제1홀더(20)와 제2홀더(26)사이의 링크(21,22,23)의 관통공(21a,22a,23a)을 통과하여 핸들(19) 조작시 이들을 마찰결합시키는 로킹부재(24)(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음)에 의해 로킹되는 가요성 아암(25)을 구비한다.
또한, 고정수단에 의해 심장 표면에 비외상(非外傷)적으로 지지되고, 박동하는 심장 표면을 안정화시키는 복수의 다리부(27,28)가 결합되는 헤더(29)와, 제2홀더(26)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제2키이(30) 조작으로 헤더(29)를 감싸지지하는 로커를 제2홀더(26)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틸팅수단(A)을 구비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다리부(27,28)는 심장 시술부위의 넓은 시야 확보 및 시술부위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라운드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다리부(27,28)는 제2홀더(26)에 대해 135∼150°범위내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관상 동맥을 안정화시키고 심장의 다른 부위를 수축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 다리부(27,28)의 좌,우측 길이는 상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틸팅수단(A)은, 전술한 헤더(29)의 연결편(31) 외주연에 형성된 환형의 요홈(32)에 대응되는 돌출편(33)이 내측면에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이드 요홈(34)이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연결편(31)을 감싸 지지하는 제1로커(35)와, 가이드 요홈(34)에 대응되는 가이더(36)가 내측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로커(35)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2로커(37)와, 제1,2로커(35,37)에 형성된 관통공(35a,37a)에 결합되고 제2키이(30)를 제2홀더(26)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시키는 고정핀(38)에 피봇고정되는 로킹핀(39)을 구비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20a는 메인 홀더(15)에 제1홀더(20)를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제1홀더(20)에 형성되어 구속편(17)이 결합되는 결합공이고, 21은 핸들(19)에 결합되는 캡이며, 40은 메인홀더(15)의 이동홈(12)에 탄설되는 탄성부재(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됨)이며, 41은 헤더(29)의 컨넥터(29a)를 통해 공급되는 흡입력에 의해 라운드형상의 다리부(27,28)를 심장 표면에 비외상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다리부(27;5개 형성됨)(28;4개 형성됨)에 형성되는 흡입공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메인 홀더(15)에 탄설된 제1홀더(20)를 도 3의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켜(이때, 탄성부재(40)는 압축력을 받게됨) 메인 홀더(15)와 제1홀더(20)사이에 공간을 확보한 후, 심장 수술실의 시술대에 장착되는 레일에 메인 홀더(15)와 제1홀더(20)를 결합하여 소정위치로 슬라이딩이동시켜 전술한 구속편(17)의 관통공(17a)에 결합되는 제1키이(18) 조작으로 고정한다.
한편, 전술한 가요성 아암(25) 단부에 고정된 제2홀더(26)에 대해 좌,우측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다리부(27,28)를 심장 외표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핸들(19)을 조작하여 가요성 아암(25)을 로킹시킨다.
즉, 전술한 다리부(27,28)를 심장 외표면 소정위치로 이동시킨 후, 핸들(19)을 제1홀더(20)에 대해 회전시킴에 따라 다수의 링크(21,22,23)의 관통공(21a,22a,23a)을 관통하여 제2홀더(26)와 핸들(19)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 케이블 또는 와이어로 형성된 로킹부재(24)의 인장력에 의해 가요성 아암(25)을 이루는 링크(21,22,23) 각각을 마찰결합하여 로킹시킨다.
이때, 전술한 헤더(29)의 컨넥터(29a)에 연결되는 흡입루멘(10)을 통하여 공급되는 흡입력이 다리부(27,28)의 흡입공(41)에 각각 전달되므로, 다리부(27,28)를 심장 외표면 소정위치에 비외상적으로 지지하는 흡입력에 의해 박동하는 심장 외표면을 안정화(suction stabilization)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다리부(27,28)에 의해 심장 외표면을 안정되게 지지한 상태에서 일반적인 시술 방법에 따라 심장의 관상 동맥 시술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복수개의 다리부(27,28)가 라운드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시술 부위의 시야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시술 부위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시술에 대한 위험부담감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다리부(27)의 길이는 다리부(28)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넓은 바닥면적을 갖게됨에 따라(이때, 흡입력을 공급하는 흡입공(41)도 하나 더 형성됨), 길이가 긴 다리부(27)에 의해 관상 동맥을 안정화시킴은 물론, 넓은 시야 확보 및 접근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심장의 다른 부위를 수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가요성 아암(25) 단부에 장착된 제2홀더(26)에 연결되어 심장 외표면을 지지하는 다리부(27,28)의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일정각도범위내에서 용이하게 변경하여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4,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고정핀(38)에 의해 제2홀더(26)의 장착홈(26a)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2키이(30)를 로킹핀(39)을 중심축으로 하여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다리부(27,28)가 결합된 헤더(29)를 감싸 지지하는 제1,2로커(35,37)의 로킹이 해제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로킹부재(24)에 의해 가요성 아암(25)이 로킹된 상태에서, 전술한 틸팅수단(A)에 의해 제2홀더(26)에 대해 헤더(29)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135∼150°범위내에서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전술한 틸팅수단(A)으로서, 헤더(29)의 연결편(31) 외주연에 형성된 환형의 요홈(32)에 제1로커(35) 내측면에 띠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편(33)을 결합하여 감싸 지지하고, 제1로커(35)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요홈(34)에 제2로커(37)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더(36)를 결합하며, 제1,2로커(35,37)에 형성된 관통공(35a,37a)에 결합되고 제2홀더(26)의 관통공(26b)을 통과하는 로킹핀(39)을 제2홀더(26)에 제2키이(30)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한 고정핀(38)에 고정함에 따라, 헤더(29)는 제2키이(30) 조작에 따라 제2홀더(26)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루멘(10)을 통해 공급되는 흡입력에 의해 다리부(27,28)를 심장 외표면 소정위치에 재고정한 후, 전술한 제2키이(30)를 고정핀(38)을 중심축으로 하여 도 3의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제2키이(30)의 가압부(30a)에 의해 전술한 제2로커(37) 및 제1로커(35)를 가압하게 되어 헤더(29)를 제2홀더(26)에 대해 유동되지않도록 로킹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심장 수술시, 환자의 박동중인 심장 외표면을 안정화시켜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안정화장치의 구조 변경으로 인해 심장 시술 부위의 넓은 시야 확보 및 시술부위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켜 시술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심장 시술 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안정성을 확보함에 따라 시술자의 수술에 대한 위험부담감으로 부터 해방되고, 또한 시술도중 발생되는 의료사고 발생율을 최소화하여 병원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의 조립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틸팅수단의 요부발췌확대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틸팅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서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1; 슬라이딩 안내홈
12; 이동홈
14; 요철부
15; 메인 홀더
16; 결합편
17; 구속편
18; 제1키이
19; 핸들
20; 제1홀더
21,22,23; 링크
24; 로킹부재
25; 가요성 아암
26; 제2홀더
27,28; 다리부
29; 헤더
30; 제2키이
Claims (5)
- 슬라이딩 안내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메인 홀더;상기 슬라이딩 안내홈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키이 조작으로 상기 메인 홀더에 로킹 및 로킹해제되며, 핸들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홀더;다관절을 형성하는 다수의 링크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제1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핸들에 고정되며 타단이 제2홀더에 고정되어, 상기 핸들 조작시 제1홀더와 제2홀더사이의 상기 링크들을 마찰결합시키는 로킹부재에 의해 로킹되는 가요성 아암;고정수단에 의해 심장 표면에 비외상적으로 지지되고, 박동하는 심장 표면을 안정화시키는 복수의 다리부가 결합되는 헤더; 및상기 제2홀더에 장착된 제2키이 조작으로 상기 헤더를 감싸지지하는 로커를 제2홀더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틸팅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심장 시술부위의 넓은 시야 확보 및 시술부위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다리부는 라운드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2홀더에 대해 135∼150°범위내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관상 동맥을 안정화시키고 심장의 다른 부위를 수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 다리부의 좌,우측 길이는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상기 헤더의 연결편 외주연에 형성된 환형의 요홈에 대응되는 돌출편이 내측면에 형성되고, 가이드 요홈이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을 감싸 지지하는 제1로커;상기 가이드 요홈에 대응되는 가이더가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로커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2로커; 및상기 제1,2로커에 형성된 관통공에 결합되고, 상기 제2키이를 제2홀더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시키는 고정핀에 피봇고정되는 로킹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34206U KR200377123Y1 (ko) | 2004-12-02 | 2004-12-02 |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34206U KR200377123Y1 (ko) | 2004-12-02 | 2004-12-02 |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00243A Division KR100640041B1 (ko) | 2004-12-02 | 2004-12-02 |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77123Y1 true KR200377123Y1 (ko) | 2005-03-11 |
Family
ID=4367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34206U KR200377123Y1 (ko) | 2004-12-02 | 2004-12-02 |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77123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53683A1 (ko) * | 2010-10-20 | 2012-04-26 | Kim Seounggwon | 심장 안정화 장치. |
-
2004
- 2004-12-02 KR KR20-2004-0034206U patent/KR20037712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53683A1 (ko) * | 2010-10-20 | 2012-04-26 | Kim Seounggwon | 심장 안정화 장치. |
US9107647B2 (en) | 2010-10-20 | 2015-08-18 | Young-sam Lee | Heart stabiliz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001971B2 (ja) | 手術用開創器 | |
JP4382055B2 (ja) | 手術用器具 | |
JP4149566B2 (ja) | 着脱式装填装置付きシングルショット吻合器具および方法 | |
US6709389B2 (en) | Surgical apparatus and method | |
US8734320B2 (en) | Methods and apparatus providing suction-assisted tissue engagement through a minimally invasive incision | |
US6083234A (en) | Anastomosis instrument and method | |
US6391039B1 (en) | Anastomosis instrument and method | |
US6726697B2 (en) | Anastomosis instrument and method | |
JP4307724B2 (ja) | 鼓動する心臓の冠状動脈バイパス手術器具 | |
US6015427A (en) | Heart stabilizer with controllable stay suture and cutting element | |
CA2283362C (en) | Anastomosis instrument and method | |
JP2001510695A (ja) | 外科手術のための支持部材 | |
AU733169B2 (en) | Adjustable multi-purpose coronary stabilizing retractor | |
EP1560527B1 (en) | Suction-assisted tissue engagement through a minimally invasive incision | |
KR100640041B1 (ko) |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 | |
KR200377123Y1 (ko) | 회동가능한 심장 수술용 안정화장치 | |
WO2001054562A2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cardiac surgery | |
CA2508363C (en) | Surgical retractor | |
CA2597814C (en) | Anastomosis instrument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EXTG | Extinguishment |